KR20170013560A -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60A
KR20170013560A KR1020150106348A KR20150106348A KR20170013560A KR 20170013560 A KR20170013560 A KR 20170013560A KR 1020150106348 A KR1020150106348 A KR 1020150106348A KR 20150106348 A KR20150106348 A KR 20150106348A KR 20170013560 A KR20170013560 A KR 2017001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speed
accelera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도
Original Assignee
이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도 filed Critical 이응도
Priority to KR102015010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60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비상경고등과 연동하여 위급상황시 전,후방 차량들에게 해당 차량의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시인성이 좋은 차량의 외관이 부착되는 발광비상등을 통해 추가적인 2차 추돌사고등 관련한 추가적 피해를 방지하며, 차량의 속도계 및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의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외측 섀시 및 전조등, 후미등 또는 방향지시등과 같은 조명장치와 인접한 외측면 또는 조명장치의 내부에 고휘도의 조명부(30)를 구비하고, 차량의 비상등(60)과 연동하여 점등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증가시키는 액셀레이터(11)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경고음 및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2)를 포함하며, 조명부(30)의 점등시간, 광량, 점등방법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차량의 운전석과 인접하는 계기 패널에 설치되고, 제어부(10) 및 조명부(30)를 동작시키며, 차량의 비상등(60)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0)와, 상기 제어부(10)와 스위치부(20)에 의해 제어되어 빛을 점멸하거나, 빛을 섬광하는 조명부(30)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와 연동되는 속도측정부(40);와 상기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 속도측정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액셀레이터, 속도계 및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을 제어하고 시가지 또는 규정속도를 위반하며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을 제어하여 비상경고등을 악용하는 차량운전자를 제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EMERGENCY VEHICLE WARNING LIGHT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경고등의 제어시스템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비상경고등과 연동하여 위급상황시 전,후방 차량들에게 해당 차량의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고휘도의 발광부재를 적용하고, 시인성이 좋은 차량의 외관에 부착되는 발광비상등을 통해 추가적인 2차 추돌사고등 관련한 추가적 피해를 방지하며, 차량의 속도계 및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의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방향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비상상태를 표시하는 비상등은 방향등을 모두 점등하여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등의 경우 양측에 위치한 두개의 비상등이 모두 점멸하는 방식으로, 그 점멸주기 및 밝기가 일정하고, 방향등이 위치하는 부분이 모두 차량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시인성이 높지 않다.
또한, 비상등의 점멸주기가 일정하여 차량에 특별한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고,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9-020205호(충격센서를 이용한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9-0065201호(자동차의 비상경고등 자동점등장치, 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이 있으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 1과 2는 차량용 비상경고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정도의 기술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기존차량의 장착된 비상등의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비상경고등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441호(사이드램프를 구비하여 측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는 차량의 측면에 사이드 장애물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램프 장치를 부착하여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1092호(차량용 램프, 이하 '선행기술 4'라 함) 또한, 차량의 일측에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램프장치를 구비하여, 차량의 광원이 도달하지 않는 측면 및 사각지대 등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3과 4의 경우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차량의 비상상태를 표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상등과 같은 발광 수단은 일반적인 램프 및 일반 LED를 적용하여 안개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2차 사고 등의 위험에 대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설치된 비상경고등을 과다하게 악용하여 사용하는 운전자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의 액셀레이터, 속도계 또는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의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비상경고등을 악용하여 사용하는 운전자를 방지하고자 차량에 설치된 액셀레이터, 속도계 또는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의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의 외측 섀시 및 전조등, 후미등 또는 방향지시등과 같은 조명장치와 인접한 외측면 또는 조명장치의 내부에 고휘도의 조명부(30)를 구비하고, 차량의 비상등(60)과 연동하여 점등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증가시키는 액셀레이터(11)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2)를 포함하며, 조명부(30)의 점등시간, 광량, 점등방법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차량의 운전석과 인접하는 계기 패널에 설치되고, 제어부(10) 및 조명부(30)를 동작시키며, 차량의 비상등(60)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0)와, 상기 제어부(10)와 스위치부(20)에 의해 제어되어 빛을 점멸하거나, 빛을 섬광하는 조명부(30)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와 연동되는 속도측정부(40);와 상기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 속도측정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측정부와 연동되며, 차량의 운전석과 인접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70)을 구비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액셀레이터의 동작유무에 따라 조명부의 제어동작을 명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셀레이터를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가 가속될 경우 조명부의 동작이 정지되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정지될 경우 조명부의 동작이 원상태로 정상작동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초과한 정보가 제어부를 통해 입력될 경우 조명부의 동작이 정지되며, 상기 신호발생부를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초과한 차량의 제어부는 액셀레이터의 정지동작 및 차량의 주행속도가 규정속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신호발생부를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가 규정속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신호발생부의 동작을 정지하며, 상기 조명부의 동작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50)는 차량의 비상등(60) 및 번호판 램프(80)의 전원과 연동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조명부(30)의 동작만 제어할 경우 차량의 번호판 램프(80)도 동시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50)에는 차량의 비상등(60)의 전원이 공급불능의 경우를 대비한 보조전원(51)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방법은 납치, 사고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운전자의 스위치부 조작을 통하여 비상상황임을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비상상황에 따른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하는 단계(S20)와, 제어부를 통해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의 제어값을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제어값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단계와(S40)와,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50)와, 상기 측정된 도로의 규정속도에 따른 규정속도 위반 판단하는 단계(S60) 및 엑셀레이터의 제어값과 도로의 규정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면, 시인성이 좋은 차량의 외관 및 전조등, 후미등 및 방향지시등을 차량의 비상등 신호체계와 연동하여 동작시켜, 후방 차량에 의한 2차 추돌 등의 추가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속도계 및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을 동작시키고 액셀레이터를 동작 중인 차량 또는 규정속도를 위반하며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을 제어하여 비상경고등을 악용하는 차량운전자를 제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 및 네이게이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외부에 설치된 조명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램프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셀레이터 및 규정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 및 네이게이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외부에 설치된 조명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램프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의 제어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비상경고등과 연동하여 위급상황시 전,후방 차량들에게 해당 차량의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고휘도의 발광부재를 적용하고, 시인성이 좋은 차량의 외관이 부착되는 발광비상등을 통해 추가적인 2차 추돌사고등 관련한 추가적 피해를 방지하며, 액셀레이터, 속도계 또는 차량의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비상경고등의 기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의 외측 섀시 및 방향지시등의 주변 및 내부 일측에 고휘도의 조명부재를 구비하고, 차량의 비상등(60)과 연동하여 점등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증가시키는 액셀레이터(11)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2)를 포함하며, 점등시간, 점등방법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0)와, 차량의 외관에 부착하여 조명을 발생시키는 조명부(30)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속도측정부(4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0)로 구성된다.
또한,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측정하며, 차량의 운전석과 인접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은 GPS를 통해 내장된 실시간 도로교통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상기 속도측정부(40)의 정보와 규정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부(1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0)는 스위치부(20)의 동작에 따라 조명부(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스위치부(20)의 동작에 따라 조명부(30)의 점등시간 즉, 점등간격, 밝기, 점등방법 및 색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동작제어를 통해 조명부의 광량, 점등시간, 점멸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동시에 네비게이션의 동작상태는 항상 ON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이는 엑셀레이터의 동작 이외에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위반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의 작동상태가 ON이 되어야 도로의 규정속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0)는 차량의 운석적과 인접한 계기 패널에 설치되며, 비상점등스위치(21)와 상기 비상점등스위치(21)를 내포하는 다이얼(22)과 상기 다이얼(22)이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23)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23)와 결합되는 표시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부(20)의 비상점등스위치(21)는 통상의 누름스위치로서 차량의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등하여 점멸동작하는 차량 비상등(60)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차량용 비상점등스위치(21)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상시 비상등(60)을 점등시킬 경우, 비상점등스위치(21)를 눌러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상점등스위치(21)를 내포하고 있는 다이얼(22)은 회전을 통해 동작되는 것으로, 비상점등스위치(21)와 연동되거나 별도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22)이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23)의 상측에는 다이얼표시램프(22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표시램프(22a)는 다이얼(22)을 회전시켜 회전플레이트(23)가 표시플레이트(24) 상에서 회전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이얼표시램프(22a)는 회전플레이트(23)가 표시플레이트(24) 상에서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적용하며, 점멸동작을 통하여 운전자가 동작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플레이트(24)의 일측에는 동작레벨표시구(24a)가 더 구비되어, 회전플레이트(23)가 회전하여 조명부(30)의 동작 수준을 표시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레벨표시구(24a) 또한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발광량의 증가 또는 점등되는 발광수단의 갯수가 달라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플레이트(23)의 다이얼(22)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쪽으로 회전할 경우 조명부(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과 제어부(1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점등방법 및 점멸시간 등을 차등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부(20)의 표시플레이트(24)는 가변저항을 적용하여 제어부(10) 및 조명부(30)에 공급하는 전원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회전플레이트(23)를 회전시켜 동작레벨표시구(24a)의 점등수가 증가하면 제어부(10)와 조명부(30)에 공급되는 전력량이 증가하여 조명부(30)의 밝기가 증가하고, 점멸시간이 짧아지고, 조명부(30)의 조명 색상이 변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점멸시간, 조명의 색상 및 밝기와 같은 조명부의 동작에 대한 부분은 제어부에 설정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30)는 차량의 외관 즉, 외측 섀시 및 방향지시등과 인접한 곳 또는 방향지시등과 같은 조명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곳에 복수개로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갯수는 한정 짓지 않으며, 차량의 외관 즉, 외측 섀시 및 범퍼와 같은 외측일부 및 방향지시등의 주변 및 내부에 복수개로 부착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부(20)를 통해 조명부(30)가 작동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10)는 액셀레이터(11)의 동작유무에 따라 조명부(30)의 제어동작을 명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액셀레이터(11)를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가 가속될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이 정지되며, 액셀레이터(11)의 작동이 정지될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이 원상태로 정상작동된다.
이는 스위치부를 통해 조명부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액셀레이터를 작동하여 시가지 및 고속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운전자가 악용하여 사용할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70)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초과한 정보가 제어부(10)를 통해 입력될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이 정지되며, 상기 신호발생부(12)를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시속 80Km/h의 도로구간에서 스위치부(20)를 통해 조명부(30)를 작동시킨 상태로 100Km/h로 주행할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에서 규정속도를 감지하여 속도측정부(40)로 규정속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속도측정부(40)에서는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와 네비게이션에서 수신한 규정속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제어부(10)로 전송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액셀레이터의 동작유무와 상기 규정속도 위반 유무를 판단하여 조명부(30)의 광량증가 및 점멸속도 동작을 제어하여 정지시키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신호발생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초과한 차량의 제어부(10)는 액셀레이터(11)의 정지동작 및 차량의 주행속도가 규정속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신호발생부(12)를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는, 운전자가 액셀레이터의 동작을 정지하며 차량의 주행속도가 내려가게 제재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부가 작동된 상태에서 저속으로 주행을 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0)는 차량의 속도가 규정속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신호발생부(12)의 큰소리의 경고음 동작을 정지하며, 조명부가 동작중이라는 신호차원의 작은 음량발생은 유지되면서 상기 조명부(30)의 동작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에서 제시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규정속도를 초과하거나 액셀레이트의 동작을 가동 중인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을 제재하는 것은 시가지 또는 고속주행을 하면서 악용하는 운전차량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주변에 정상적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시각적인 불편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50)는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 속도측정부(40) 이외에 차량의 비상등(60), 네비게이션, 및 번호판 램프의 전원과도 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개별적인 전원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차량의 비상등(60) 및 조명부(30)에 적용되는 전원이 외부요인에 의해 공급불가 상태일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전원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은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보조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시키게 되는 것으로, 보조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가 적용되며, 차량의 내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에 의해 상시 점검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전원의 전력량을 검침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수단에 대하여 한정짓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비상등(60)을 동작하지 않고 스위치부(20)를 통해 조명부(30)의 동작만 제어하게 되는 경우 차량의 후미에 구비된 차량의 번호판 램프도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이는 조명부(30)가 작동할 경우 후방차량에게 비상신호를 알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을 악용하여 조명부(30)를 동작시키면서 시가지 또는 규정속도를 위반한 고속주행차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방법은 납치, 사고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운전자의 스위치부 조작을 통하여 비상상황임을 감지하는 단계(S10)와, 비상상황에 따른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하는 단계(S20)와, 제어부를 통해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의 제어값을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제어값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단계(S40)와,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50)와, 상기 측정된 도로의 규정속도에 따른 규정속도 위반 판단하는 단계(S60) 및 엑셀레이터의 제어값과 도로의 규정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20 단계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스위치부를 통해 조명부를 ON시키게 되며, 차량의 비상등과 조명부가 동시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60 단계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측정되는 도로의 규정속도 측정값과 속도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값을 제어부로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규정속도 측정값 및 주행속도값을 비교하여 규정속도 위반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셀레이터 및 규정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주행중인 차량의 조명부 및 액셀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와(S100)와, 상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N상태일 경우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 위반 유무에 따른 조명부 및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신호발생부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0)와, 상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FF상태일 경우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 위반 유무에 따른 조명부 및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신호발생부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00)와,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를 위반하지 않고 액셀레이터의 정지동작일 경우 차량의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S100 단계는, 주행 중인 차량에 사고, 납치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여 조명부가 ON되는 단계(S110)와, 상기 조명부가 ON된 상태에서 제어부는 액셀레이터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N이 되어 조명부의 작동이 OFF되며, 차량 내부의 신호발생부가 ON이 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210)와, 상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N인 상태에서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 위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220)와,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N인 상태 및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위반한 경우 차량 내부의 신호발생부를 통해 경고음의 증가하는 단계(S230) 및 규정속도를 위반하지 않은 경우 작은 경고음이 유지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FF이 되며, 조명부 및 차량 내부의 신호발생부가 OFF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S310)와, 상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FF인 상태에서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 위반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S320)와,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FF인 상태 및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위반한 경우 상기 조명부의 작동이 OFF되며, 차량 내부의 신호발생부가 ON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400 단계는, S200단계 및 S300단계 이후 차량의 주행속도가 규정속도에 충족하며, 상기 액셀레이터의 정지동작이 제어부로 입력되는 단계(S410)와, 상기 S410 단계의 조건에 해당할 경우 조명부의 동작이 ON되며, 신호발생부의 동작이 OFF되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S320 단계 이후에,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OFF인 상태에서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의 작동이 유지되며, 상기 S420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S420 단계로 넘어가게 되는 것은 이전에 작동중이던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의 작용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액셀레이터(11), 속도측정부(40) 및 네비게이션(70)과 연동하여 조명부(30)를 동작시키고 시가지 또는 규정속도를 위반하며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을 제어하여 비상경고등을 악용하는 차량운전자를 제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어부 11 : 액셀레이터
12 : 신호발생부 20 : 스위치부
21 : 비상점등스위치 22 : 다이얼
22a : 다이얼표시램프 23 : 회전플레이트
24 : 표시플레이트 30 : 조명부
40 : 속도측정부 50 : 전원부
60 : 비상등 70 : 네비게이션
80 : 번호판 램프

Claims (13)

  1. 차량의 외측 섀시 및 전조등, 후미등 또는 방향지시등과 같은 조명장치와 인접한 외측면 또는 조명장치의 내부에 고휘도의 조명부(30)를 구비하고, 차량의 비상등(60)과 연동하여 점등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증가시키는 액셀레이터(11)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2)를 포함하며, 조명부(30)의 점등시간, 광량, 점등방법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차량의 운전석과 인접하는 계기 패널에 설치되고, 제어부(10) 및 조명부(30)를 동작시키며, 차량의 비상등(60)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부(20);와
    상기 제어부(10)와 스위치부(20)에 의해 제어되어 빛을 점멸하거나, 빛을 섬광하는 조명부(30)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와 연동되는 속도측정부(40);와 상기 제어부(10), 스위치부(20), 조명부(30), 속도측정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측정부와 연동되며, 차량의 운전석과 인접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70);을 구비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규정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액셀레이터(11)의 동작유무에 따라 조명부(30)의 제어동작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레이터(11)를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가 가속될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이 정지되며, 액셀레이터(11)의 작동이 정지될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이 원상태로 정상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70)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초과한 정보가 제어부(10)를 통해 입력될 경우 조명부(30)의 동작이 정지되며, 상기 신호발생부(12)를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초과한 차량의 제어부(10)는 액셀레이터(11)의 정지동작 및 차량의 주행속도가 규정속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신호발생부(12)를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조명부가 동작중임을 알리는 신호음을 지속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차량의 속도가 규정속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신호발생부(12)의 동작은 정지하며, 상기 조명부(30)의 동작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50)는 차량의 비상등(60) 및 번호판 램프(80)의 전원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조명부(30)의 동작만 제어할 경우 차량의 번호판 램프(80)도 동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50)에는 차량의 비상등(60)의 전원이 공급불능의 경우를 대비한 보조전원(5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동작제어를 통해 조명부의 광량, 점등시간, 점멸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동시에 네비게이션의 동작상태도 항상 ON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11. 제어부, 스위치부, 조명부 및 속도측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를 제어하는 단계(S20)와;
    제어부를 통해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의 제어값을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제어값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단계와(S40); 네비게이션을 통해 주행중인 도로의 규정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50);와
    상기 측정된 도로의 규정속도에 따른 규정속도 위반 판단하는 단계(S60); 및 엑셀레이터의 제어값과 도로의 규정속도에 따른 조명부 및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이전에,
    납치, 사고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운전자의 스위치부 조작을 통하여 비상상황임을 감지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에 따라 조명부 및 엑셀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측정된 도로의 규정속도 측정값과 속도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규정속도 측정값과 주행속도값을 비교하여 규정속도의 위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방법.
KR1020150106348A 2015-07-28 2015-07-28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70013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48A KR20170013560A (ko) 2015-07-28 2015-07-28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48A KR20170013560A (ko) 2015-07-28 2015-07-28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60A true KR20170013560A (ko) 2017-02-07

Family

ID=5810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48A KR20170013560A (ko) 2015-07-28 2015-07-28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7898A (zh) * 2023-10-18 2023-12-12 浙江上开汽车电器股份有限公司 汽车定速巡航开关及其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7898A (zh) * 2023-10-18 2023-12-12 浙江上开汽车电器股份有限公司 汽车定速巡航开关及其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0002B2 (en) In-vehicle lighting apparatus having a ligh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in each of the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parts thereof
US9947216B2 (en) Pedestrian safe crossing vehicle indication system
US7710243B2 (en) Driver-assistance vehicle
KR101295833B1 (ko)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US7095318B1 (en) Enhanced vehicle advisory system to advise drivers of other vehicles and passengers in the vehicle of actions taken by the driver
US20060125616A1 (en) Method for a changing safety signaling system
EP3126194B1 (en) A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US11052818B2 (en) Large vehicle turning safety warning apparatus
WO2020096060A1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US10773644B2 (en) Warning system for a turning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CN110646800A (zh) 一种车辆安全提示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车辆
CN112272843A (zh) 用于车辆的指示装置
US10202072B2 (en) Brake warning lamp system
US9452706B2 (en) Maneuvering aid, method, and headlight device for a utility vehicle
US20060192665A1 (en) System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vehicle during reduced visibility conditions
KR101624188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051558A1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KR20170013560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3224121U (ja) 車両用謝意表示装置
JPH0776244A (ja) 車両用意志伝達装置
US8967840B1 (en) Vehicle auxiliary lighting system
KR101596322B1 (ko)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200492433Y1 (ko) 자동차용 선회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