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176B1 -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176B1
KR102275176B1 KR1020200131697A KR20200131697A KR102275176B1 KR 102275176 B1 KR102275176 B1 KR 102275176B1 KR 1020200131697 A KR1020200131697 A KR 1020200131697A KR 20200131697 A KR20200131697 A KR 20200131697A KR 102275176 B1 KR102275176 B1 KR 10227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herbal
cinnamon
hours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명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자연이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자연이래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자연이래
Priority to KR102020013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176B1/ko
Priority to CN202110538389.5A priority patent/CN11434303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23F3/205Using flocculating or adsorb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2Ad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아리에 물을 담고, 소금과 숯을 투입하여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한 한방차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Ssanghwa tea boil down in jar}
본 발명은 항아리에 물을 담고, 소금과 숯을 투입하여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한 한방차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에 관한 것이다.
쌍화차란 백작약, 천궁, 숙지황, 감초 등 여러 종류의 약용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함께 넣어 다려 마시는 차로 우리 몸의 혈과 기를 보호해 줌으로 신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장기를 튼튼하게 하며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집중력 저하, 가슴 두근거림, 시력 저하, 생리불순 같은 증상을 예방하고 체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이 각종 효능이 있는 쌍화차는 한약재 특유의 맛과 향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취식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쌍화차의 취식거부감으로 인하여 각종 영양이 풍부한 쌍화차를 가공한 음료 또한, 소비자가 손쉽게 선택하여 취식하기 어려워 영양이 풍부한 쌍화차의 효능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각종 건강 음료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에서 한약재의 맛과 향에 관계없이 취식할 수 있는 특정한 소비자만 쌍화차를 소비하는 문제가 있어 각종 효능이 있는 쌍화차와 이와 연계된 산업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어려웠으며, 쌍화차를 제조하기 위한 각종 약재의 소비와, 이를 재배하는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쌍화차는 첨가되는 재료의 양과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약리효과에서 차이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13229호에는 쌍화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2037292호에는 가마솥에 달이는 쌍화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기호도가 우수한 한방차를 제조하기 위해, 재료 선정, 전처리, 배합비 및 숙성 조건 등의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품질 및 기호도가 증진된 한방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생지황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구절초 뿌리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숙지황, 생강, 대추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숙성시키는 단계; (4)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생강 및 대추와 상기 (4)단계의 숙성시킨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를 혼합하는 단계; (6) 항아리에 물을 담고, 소금과 숯을 투입하여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의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5)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8) 상기 (7)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9) 상기 (8)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쌍화차는 종래의 단조로운 맛을 지니는 한방차에 비해 풍미와 맛이 더욱 증진되고, 재료들의 맛과 향이 잘 어우러지면서 재료들이 가진 기능성을 최대로 살리고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 및 이취는 제거하여 소비자들이 더욱 선호하는 한방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생지황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구절초 뿌리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숙지황, 생강, 대추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숙성시키는 단계;
(4)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생강 및 대추와 상기 (4)단계의 숙성시킨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를 혼합하는 단계;
(6) 항아리에 물을 담고, 소금과 숯을 투입하여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의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5)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8) 상기 (7)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9) 상기 (8)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생지황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생지황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지황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구절초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구절초 뿌리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절초 뿌리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 및 (4)단계의 분무는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각각에 추출액을 0.8~1.2:0.1~0.3(w:v) 비율로 분무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각각에 추출액을 1:0.2(w:v) 비율로 분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분무하는 것이 각각의 한약재에 추출액의 향미가 더해져 기호도가 우수하고 항산화 활성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 및 (4)단계의 숙성은 바람직하게는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숙성시키는 것이 각각의 한약재에 추출액이 충분히 스며들고 품질 및 깊은 풍미가 증진된 한약재로 숙성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5)단계의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3.5~4.5 kg, 생강 1.8~2.2 kg, 대추 1.8~2.2 kg, 당귀 500~600 g, 천궁 500~600 g, 작약 500~600 g, 황기 500~600 g, 계피 500~600 g, 계피가지 500~600 g 및 감초 500~600 g의 한약재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4.04 kg, 생강 2.02 kg, 대추 2.02 kg, 당귀 540 g, 천궁 540 g, 작약 540 g, 황기 540 g, 계피 540 g, 계피가지 540 g 및 감초 540 g의 한약재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시 한약재를 더 추가로 혼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지황 3.5~4.5 kg, 생강 1.8~2.2 kg, 대추 1.8~2.2 kg, 천궁 500~600 g, 황기 500~600 g, 진피 500~600 g, 작약 500~600 g, 차조기 500~600 g, 눈꽃동충하초 45~55 g, 당귀 500~600 g, 칡 500~600 g, 두충 500~600 g, 뽕나무잎 500~600 g, 배초향 500~600 g, 산사나무열매 500~600 g, 용안육 1.2~1.5 kg, 고량강 500~600 g, 복분자 500~600 g, 삽주 500~600 g, 박하 500~600 g, 계피 500~600 g, 계피가지 500~600 g 및 감초 500~600 g의 한약재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숙지황 4.04 kg, 생강 2.02 kg, 대추 2.02 kg, 천궁 540 g, 황기 540 g, 진피 540 g, 작약 540 g, 차조기 540 g, 눈꽃동충하초 50 g, 당귀 540 g, 칡 540 g, 두충 540 g, 뽕나무잎 540 g, 배초향 540 g, 산사나무열매 540 g, 용안육 1.35 kg, 고량강 540 g, 복분자 540 g, 삽주 540 g, 박하 540 g, 계피 540 g, 계피가지 540 g 및 감초 540 g의 한약재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 종류 및 배합비로 혼합한 한약재는 재료들의 맛과 향이 잘 어우러지면서 부드럽고 깊은 풍미로 인해 기호도를 더욱 향상시켜 음용이 용이한 한방차로 제조할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6)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항아리에 물 20~28 L를 담고, 소금 45~55 g과 숯 80~120 g을 투입하여 20~28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아리에 물 24 L를 담고, 소금 50 g과 숯 100 g을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물을 전처리하는 것이 한방차 제조에 사용할 물을 살균시키고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7)단계의 첨가는 바람직하게는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혼합한 한약재를, 항아리 내 한약재와 물이 19.2:80.8(w:v) 비율이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8)단계의 가열은 바람직하게는 89~93℃에서 44~52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9~93℃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9)단계의 숙성은 바람직하게는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첨가, 가열 및 숙성시켜 한방차를 제조하는 것이 은은한 맛과 향미가 우수하고, 기능성을 증가시켜 소비자들이 더욱 선호하는 한방차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생지황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구절초 뿌리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숙지황, 생강, 대추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4)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3.5~4.5 kg, 생강 1.8~2.2 kg 및 대추 1.8~2.2 kg과 상기 (4)단계의 숙성시킨 당귀 500~600 g, 천궁 500~600 g, 작약 500~600 g, 황기 500~600 g, 계피 500~600 g, 계피가지 500~600 g 및 감초 500~600 g의 한약재를 혼합하는 단계;
(6) 항아리에 물 20~28 L를 담고, 소금 45~55 g과 숯 80~120 g을 투입하여 20~28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의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5)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8) 상기 (7)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89~93℃에서 44~52시간 동안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9) 상기 (8)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생지황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구절초 뿌리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숙지황, 생강, 대추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4)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4.04 kg, 생강 2.02 kg 및 대추 2.02 kg과 상기 (4)단계의 숙성시킨 당귀 540 g, 천궁 540 g, 작약 540 g, 황기 540 g, 계피 540 g, 계피가지 540 g 및 감초 540 g의 한약재를 혼합하는 단계;
(6) 항아리에 물 24 L를 담고, 소금 50 g과 숯 100 g을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의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5)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8) 상기 (7)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89~93℃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9) 상기 (8)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생지황 추출액 제조 시 바레리안(Valeriana officinalis) 뿌리 및 용담(Gentianae scabrae Radix) 뿌리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지황, 바레리안 뿌리 및 용담을 1:1:1 중량비율로 혼합한 생지황 혼합물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레리안 및 용담을 추가로 사용함으로 인해 한방차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한방차(쌍화차)
(1) 생지황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구절초 뿌리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숙지황, 생강, 대추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1:0.2(w:v) 비율로 분무하였다. 구체적으로 숙지황 5 kg에 구절초 추출액 1 L를 분무, 생강 2.5 kg에 구절초 추출액 0.5 L를 분무, 대추 2.5 kg에 구절초 추출액 0.5 L를 분무하였다. 그 다음 항아리에 추출액을 분무한 각각의 한약재를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4)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1:0.2(w:w)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 방법은 상기 (3)단계와 동일하다. 그 다음 항아리에 상기 분무처리한 한약재를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5) 상기 (3)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4.04 kg, 생강 2.02 kg 및 대추 2.02 kg과 상기 (4)단계의 숙성시킨 당귀 540 g, 천궁 540 g, 작약 540 g, 황기 540 g, 계피 540 g, 계피가지 540 g 및 감초 540 g의 한약재를 혼합하였다.
(6) 항아리에 정제수 24 L를 담고, 천일염 50 g과 정제숯 100 g을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정제숯을 제거하였다.
(7) 상기 (6)단계의 정제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5)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였다. 상기 항아리 내 한약재와 정제수(천일염 제외한 무게)는 19.2:80.8(w:v)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8) 상기 (7)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89~93℃에서 48시간 동안 약불로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9) 상기 (8)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새로운 항아리에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제조예 2. 혼합한방차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한방차를 제조하되, (5)단계에서 한약재 혼합 시, 숙성시킨 숙지황 4.04 kg, 생강 2.02 kg, 대추 2.02 kg, 당귀 540 g, 천궁 540 g, 작약 540 g, 황기 540 g, 계피(육계) 540 g, 계피가지(계지) 540 g 및 감초 540 g과 물에 세척한 진피 540 g, 차조기 540 g, 눈꽃동충하초 50 g, 칡 540 g, 두충 540 g, 뽕나무잎 540 g, 배초향 540 g, 산사나무열매 540 g, 용안육 1.35 kg, 고량강 540 g, 복분자 540 g, 삽주 540 g 및 박하 540 g의 한약재를 혼합하여, 혼합한방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한방차(쌍화차)
(1) 숙지황 4.04 kg, 생강 2.02 kg, 대추 2.02 kg, 당귀 540 g, 천궁 540 g, 작약 540 g, 황기 540 g, 계피(육계) 540 g, 계피가지(계지) 540 g 및 감초 540 g의 한약재를 혼합하였다.
(2) 항아리에 정제수 24 L를 담고, 천일염 50 g과 정제숯 100 g을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정제숯을 제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정제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1)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였다. 상기 항아리 내 한약재와 정제수(천일염 제외한 무게)는 19.2:80.8(w:v)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89~93℃에서 48시간 동안 약불로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새로운 항아리에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비교예 2. 한방차(쌍화차)
(1) 생지황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숙지황, 생강, 대추,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1:0.2(w:w) 비율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 항아리에 상기 분무처리한 한약재를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3) 상기 (2)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생강, 대추,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를 이용하여 제조예 1의 (5) 내지 (9)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한방차(쌍화차)
(1) 구절초 뿌리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숙지황, 생강, 대추,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1:0.2(w:w) 비율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 항아리에 상기 분무처리한 한약재를 넣고 0℃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3) 상기 (2)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생강, 대추,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를 이용하여 제조예 1의 (5) 내지 (9)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한방차의 DPPH 라디칼 소거능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수소전자공여능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희석한 시료를 메탄올(or DMSO) 용매로 희석하여, 900 ㎕의 DPPH 용액(100 uM)과 각 시료 100 ㎕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 (A-B)/A × 100
A: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B: 반응용액 중의 DPPH와 시료의 반응한 흡광도
한방차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시료(312.5 ppm) DPPH 라디칼 소거능(%)
제조예 1 65.8±1.2
비교예 1 44.2±1.7
비교예 2 50.5±2.5
비교예 3 58.1±3.2
한방차의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예 1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비교예 3으로 활성이 58.1%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이 44.2%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2. 한방차의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1 및 2와 비교예들의 한방차를 시음하게 하고, 향, 맛 및 종합 기호도를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2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매우 좋다를 나타나는 5점 기호척도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한방차의 관능검사
한방차 종류 종합 기호도
제조예 1 4.2 4.3 4.2
제조예 2 4.3 4.5 4.5
비교예 1 3.9 3.4 3.5
비교예 2 4.0 3.8 3.9
비교예 3 4.0 3.7 4.0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들에 비해 제조예 1 및 2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제조예 2와 같이 다양한 약재류를 더 혼합한 한방차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1) 생지황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생지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구절초 뿌리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숙지황, 생강, 대추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구절초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4) 당귀, 천궁, 작약, 황기, 계피, 계피가지 및 감초의 한약재 각각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생지황 추출액을 분무한 후, 항아리에 넣고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3)단계의 숙성시킨 숙지황 3.5~4.5 kg, 생강 1.8~2.2 kg 및 대추 1.8~2.2 kg과 상기 (4)단계의 숙성시킨 당귀 500~600 g, 천궁 500~600 g, 작약 500~600 g, 황기 500~600 g, 계피 500~600 g, 계피가지 500~600 g 및 감초 500~600 g의 한약재를 혼합하는 단계;
    (6) 항아리에 물 20~28 L를 담고, 소금 45~55 g과 숯 80~120 g을 투입하여 20~28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숯을 제거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의 숯을 제거한 항아리에 상기 (5)단계의 혼합한 한약재를 첨가하는 단계;
    (8) 상기 (7)단계의 한약재를 첨가한 항아리를 89~93℃에서 44~52시간 동안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 및
    (9) 상기 (8)단계의 여과한 한방차를 -5~5℃에서 66~7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의 한약재 혼합 시 진피, 차조기, 눈꽃동충하초, 칡, 두충, 뽕나무잎, 배초향, 산사나무열매, 용안육, 고량강, 복분자, 삽주 및 박하의 한약재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차.
KR1020200131697A 2020-10-13 2020-10-13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KR10227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97A KR102275176B1 (ko) 2020-10-13 2020-10-13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CN202110538389.5A CN114343036A (zh) 2020-10-13 2021-05-18 在罐里煎的双花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97A KR102275176B1 (ko) 2020-10-13 2020-10-13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176B1 true KR102275176B1 (ko) 2021-07-08

Family

ID=7689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97A KR102275176B1 (ko) 2020-10-13 2020-10-13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5176B1 (ko)
CN (1) CN1143430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922A (ko) * 2018-04-25 2019-11-04 주식회사 자연초마을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8462A (zh) * 2017-09-04 2019-03-05 杨友成 “双花茶”纯中药组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922A (ko) * 2018-04-25 2019-11-04 주식회사 자연초마을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자연이래 쌍화차, 집에서 즐기기’(2019.07.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3036A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KR101869492B1 (ko) 침향을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방법
CN101768514A (zh) 骆驼刺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29226B1 (ko) 고로쇠 수액 및 꽃잎을 포함하는 전통주 제조 방법
CN106798061A (zh) 菊芋叶茶及其制作方法
KR20140129526A (ko) 고함량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흑삼 제조방법
CN104694353A (zh) 女士用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102187229B1 (ko) 침향을 포함하여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향상시킨 혼합차 제조방법
KR102275176B1 (ko) 항아리에서 달인 쌍화차의 제조방법
KR102104175B1 (ko)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155096B1 (ko) 식초의 제조 방법
KR102363848B1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2391737B1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 방법
KR102081445B1 (ko) 인동초 발효액을 이용한 인동초 발효주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20050079074A (ko) 녹차를 함유한 혼합차 조성물
CN108329999A (zh) 一种牛樟芝精油的提取方法及其在青少年保健中的应用
KR101742010B1 (ko)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KR101653124B1 (ko)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6173087A (zh) 暴马丁香茶
KR101203536B1 (ko)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04288A (ko) 차의 제조방법
CN108450612A (zh) 一种清咽利喉的凉茶及其制备方法
JP2018078875A (ja) チョウセンゴミシ、バクモンドウ、及びブクシンを含有する機能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33796B1 (ko)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액상 커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