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38B1 -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38B1
KR102272638B1 KR1020190046194A KR20190046194A KR102272638B1 KR 102272638 B1 KR102272638 B1 KR 102272638B1 KR 1020190046194 A KR1020190046194 A KR 1020190046194A KR 20190046194 A KR20190046194 A KR 20190046194A KR 102272638 B1 KR102272638 B1 KR 10227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llection plate
opening hole
wires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858A (ko
Inventor
안승환
Original Assignee
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환 filed Critical 안승환
Priority to KR102019004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6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네트의 소재인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 유닛;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에서 인출된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정렬시킨 후, 서로 인접한 와이어를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시키는 와이어 정렬 유닛; 상기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된 와이어를 서로 고정시켜 와이어 네트를 조립하는 와이어 체결 유닛; 및 상기 조립된 와이어 네트를 권취하는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삼각형 개구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2 개의 와이어 모음판이 교대로 인접하는 와이어를 모은 후 클램프에 의해 모아진 와이어를 자동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일일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와이어 네트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WIRENET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균일한 형태의 와이어 네트를 제조할 수 있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네트는 도로, 주거지, 기반 시설 또는 위험한 지역에 낙석 또는 산사태 등의 진행방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거나 사람이나 동물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계를 지어 막는 구조물에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 네트는 일반적으로 섬유 또는 금속으로 된 와이어로프를 서로 그물처럼 교차하게 제작하여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와이어로프 간의 유기적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로프와 인접한 와이어로프를 서로 꼬아 얽히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제10-1318918호 『보호 와이어 네트 및 보호 구조물』에서는 종방향 와이어는 서로 인접한 종방향 와이어와 서로 꼬여있는 꼬임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꼬임부로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는 견고하지 못하며,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해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138666호 『와이어로프 그물망』에서는 그물망 몸체를 구성하기 위해 와이어로프 클립을 구비하는데, 다수 개의 와이어로프를 평행하게 수평으로 놓은 다음, 와이어로프 클립 한 개 마다 와이어로프 두 가닥을 통과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로프 클립은 스테인레스 철편을 사각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자른 후 양 변을 절곡하여 양변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것으로, 와이어로프를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을 통과한 후 압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라 와이어로프 클립의 제조가 복잡하다. 또한, 이를 이용한 그물망 몸체 제작에서도 일일이 와이어로프를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씩 와이어로프 클립에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89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6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동화된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견고하면서도 형태가 균일하고 품질 일관성을 유지하는 와이어네트를 제조할 수 있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와이어 네트의 소재인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 유닛;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에서 인출된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정렬시킨 후, 서로 인접한 와이어를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시키는 와이어 정렬 유닛; 상기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된 와이어를 서로 고정시켜 와이어 네트를 조립하는 와이어 체결 유닛; 및 상기 조립된 와이어 네트를 권취하는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체결 유닛은,
서로 밀착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편 공급수단; 상기 고정편을 압착하기 위한 복수의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프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은, 와이어 정렬 틀, 와이어 모음 판 및 모음판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정렬 틀은, 상단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와이어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홈이 형성된 와이어 유입판과, 조립된 와이어 네트를 배출하는 와이어 네트 배출판과, 상기 와이어 유입판과 와이어 네트 배출판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모음 판은, 다수의 삼각형 개구홀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음판 구동 모듈은,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을 교번하여 각각 승하강 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은,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상단 꼭지점들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상단 꼭지점들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에는 각각 이웃하는 2 줄의 와이어가 삽입되되,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과 중첩되는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에는, 동일한 1개의 와이어가 공통되게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에 삽입된 2 줄의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양쪽 변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은, 상기 와이어들이 양측의 인접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되, 밀착되는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좌측 와이어 및 우측 와이어가 각각 교번하여 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은, 각각 하강 운동에 의하여 하강되는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에 삽입된 2 줄의 와이어를 개구홀의 상단 꼭지점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삼각형 개구홀은, 밑변의 양쪽 꼭지점에 삽입된 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원호형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 꼭지점에 모아진 한 쌍의 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원호형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삼각형 개구홀은, 삽입된 와이어와 접하는 내측 변이 라운드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클램프들은,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상단 꼭지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상단 꼭지점의 상방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의 상단 꼭지점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램프들과, 상기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의 상단 꼭지점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램프들이, 각각 교대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편을 압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은, 단면이 『C』자형 압출바를 토막으로 절단하여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유입판에는, 상기 와이어 정렬홈의 전단에 와이어로 인한 정렬홈의 파임을 방지하기 위한 파임보강 부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정렬틀은, 정렬된 와이어가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하부에 와이어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판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지지판은, 제2 와이어 모음판과 와이어 체결 유닛의 클램프 사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 및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에 정렬된 와이어에 기 설정된 인장력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네트는, 와이어가 마름모꼴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삼각형 개구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2 개의 와이어 모음판이 교대로 인접하는 와이어를 모은 후 클램프에 의해 모아진 와이어를 자동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일일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와이어 네트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패턴이 균일하여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네트의 저항 강도 등 물리적 특성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어 와이어 네트를 구조 부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와이어 고정용 클립으로 단면이 'C'자형 압출바를 토막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와이어 네트 제조 공정을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의 개략적 블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정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 네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모음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모음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체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정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100)는 크게 와이어 인출 유닛(10), 와이어 정렬 유닛(20), 와이어 체결 유닛(30) 및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10)은 와이어 네트(N)의 소재인 와이어(W)를 인출하여 와이어 정렬 유닛(20)으로 공급하는 부분으로,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각각 소정의 속도로 풀리면서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20)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20)은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정렬시킨 후, 서로 인접한 와이어를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시키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20)은, 와이어 정렬 틀(210)과 와이어 모음판(220) 및 와이어 모음판 구동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정렬 틀(21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와이어 정렬 틀(210)은, 와이어 인출 유닛(10)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홈(214)이 상단에 형성된 와이어 유입판(211)과, 조립된 와이어 네트를 배출하는 와이어 네트 배출판(212) 및 상기 와이어 유입판(211)과 와이어 네트 배출판(212)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정렬홈(214)의 전단에는 와이어로 인한 정렬홈(214)의 파임을 방지하기 위한 파임보강 부재(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임보강 부재(215)는 단면이 『C』자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와이어가 유입되는 정렬홈(214)의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가 와이어 유입판(211)으로 유입되면서 와이어 정렬홈(214)을 안쪽으로 파고들어 와이어 유입판(211)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모음판(220)은 서로 인접하는 2 줄의 와이어를 한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 모음판(220)은, 장방형의 플레이트(221) 상에 다수의 삼각형 개구홀(222)이 플레이트(2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모음판(220)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앞뒤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1)의 재질로는 금속판 또는 고강도의 강화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은 상기 와이어 모음판 구동 모듈에 의해 각각 교대로 승하강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 네트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 네트(N)는, 좌우로 연속해서 배열된 와이어(W)의 중간 중간을 마름모꼴 형태의 홀이 형성되도록 인접한 좌우간 와이어들을 와이어 고정클립(C)으로 고정됨으로써, 패턴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견고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어 모음판(220A,B)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개구홀(222)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은,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인접하는 개구홀(222) 사이에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개구홀(222)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은,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 상단 꼭지점들 사이의 중앙부에,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 상단 꼭지점들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개구홀(222)과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에는 각각 이웃하는 2 줄의 와이어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과 중첩되는 제2 와이어 모음판(220B) 개구홀(222)에는 동일한 1 줄의 와이어가 공통되게 삽입된다. 한편, 개구홀(222)에 삽입된 2 줄의 최초 위치는 개구홀(222) 양쪽 변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개구홀(222)과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의 위치 관계를 부연 설명하면,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은 삽입된 2 줄의 와이어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 모음판(220B)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은 삽입된 2 줄의 와이어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과 상기 제2 와이어 모음판(220B)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와이어의 이격거리(t) 만큼 어긋나 위치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 모음판(220A,B)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을 아래쪽으로 하강시키면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양쪽 변 중앙에 위치하는 2 줄의 와이어가 상단 꼭지점 부근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2 줄의 와이어는 와이어 인출 유닛(10)과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40)에 의하여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와이어 모음판(220A,B)을 아래쪽으로 눌러도 아래쪽으로 밀려남이 없이 삼각형 개구홀(222)의 양쪽 변을 따라서 상단 꼭지점 부근으로 모이에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을 하강시키면 예를 들어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1번 및 2번 와이어, 3번 및 4번 와이어, 5번 및 6번 와이어 등의 순서로 2 줄의 와이어가 한 곳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모아진 와이어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체결 유닛(30)에 의해 와이어 고정편(클립)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어서,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을 하강시키면 2번 및 3번 와이어, 4번 및 5번 와이어, 6번 및 7번 와이어 등의 순서로 2 줄의 와이어가 제2 와이어 모음판(220B)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제2 와이어 모음판(220B)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에 모아진 2 줄의 와이어는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의 서로 인접하는 개구홀(222)의 좌측 및 우측, 또는 우측 및 좌측 꼭지점으로 모이에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의 서로 인접하는 개구홀(222)의 좌측 및 우측, 또는 우측 및 좌측 꼭지점으로 모아진 와이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체결 유닛(30)에 의해 와이어 고정편(클립)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은, 상기 와이어들이 양측의 인접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되, 밀착되는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좌측 와이어 및 우측 와이어가 각각 교번하여 밀착되게 된다.
이때 제1 와이어 모음판(220A)과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에 삽입된 와이어들은 와이어 인출 유닛(10)과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40)에 의해 일정한 속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와이어 모음판(220A)과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하강 시간 간격에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여 와이어들이 교대로 모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정렬틀(210)의 내측에는 정렬된 와이어가 제1 와이어 모음판(220A)과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하부에 와이어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판(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모음판(220A,B)을 아래쪽으로 눌러도 와이어 지지판(230)이 와이어를 지지하기 때문에 와이어들을 아래쪽으로 밀려남이 없이 삼각형 개구홀(222)의 양쪽 변을 따라서 상단 꼭지점 부근으로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삼각형 개구홀(22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2 개의 와이어 모음판(220A,B)이 교대로 인접하는 와이어를 모은 후 클램프에 의해 모아진 와이어를 자동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일일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와이어 네트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작업의 경우 마름모꼴의 형태도 일정하지 않고 각각의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도 일정하지 않아 와이어 네트의 모양이 조악하고 내구성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균일한 패턴의 와이어 네트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어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질 또는 상기 금속재질에 탄성의 피복재를 코팅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강도 및 고강성의 합성섬유 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100)에 사용되는 와이어 모음판(22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 모음판(220)에 형성된 삼각형 개구홀(222)은, 밑변의 양쪽 꼭지점에 삽입된 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원호형의 안착홈(22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홀(222)에 삽입된 와이어들이 안쪽으로 밀려남이 없이 밑변의 양쪽 꼭지점 위치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단 꼭지점에도 모아진 한 쌍의 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원호형 안착홈(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꼭지점에 모아진 2 줄의 와이어가 서로 밀려남이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개구홀(222)은 삽입된 와이어와 접하는 내측 변은, 도 6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단면(22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홀(222)의 내측 변과 와이어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와이어가 개구홀(222)의 변을 따라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모음판(220)의 사시도이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개구홀(222)이 『ㅅ』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ㅅ』자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2 줄의 와이어가 와이어 모음판(220)의 승하강에 따라 이웃하는 『ㅅ』자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2 줄의 와이어와 함께 서로 교대로 모아지게 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체결 유닛(3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체결 유닛(30)은, 박스형의 본체(31) 내부에 고정편 공급수단(미도시)과, 복수의 클램프(32)와, 클램프 이동수단(미도시)이 내장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32)는 클램프 이동수단에 의해 본체(31)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C』 자형 압출바를 토막으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편(C)은 고정편 공급수단에 의해 클램프로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램프는 서로 밀착된 와이어를 고정편(C)으로 둘러싸고 이를 압착하여 서로 밀점한 와이어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클램프(32)의 배열은,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의 개구홀(222) 상단 꼭지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의 개구홀(222) 상단 꼭지점의 상방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와이어 모음판(220A)에 의해 와이어들이 모아지면,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220A)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램프들(32)이 동시에 하강하여 고정편(C)을 압착함으로써 서로 밀접된 와이어를 고정하며, 이어서 제2 와이어 모음판(220B) 개구홀(222)의 상단 꼭지점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램프들(32)이 동시에 하강하여 고정편(C)을 압착함으로써 서로 밀접된 와이어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와이어 모음판(220A)과 제2 와이어 모음판(220B)이 각각 교대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편(C)을 압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마름모꼴 형상으로 견고하게 연속적으로 이어진 균일한 형태의 와이어 네트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와이어 네트는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40)에 의해 권취되어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이때 완성된 와이어 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네트 가이드 롤러(41)에 의해 안내되어 와이어 네트 권취 드럼(42)에 의해 최종적으로 권취된다.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균일한 형태의 와이어 네트를 제조할 수 있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일일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와이어 네트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와이어를 모아 고정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패턴이 균일하여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네트의 저항 강도 등 물리적 특성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어 와이어 네트를 구조 부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와이어 인출 유닛 20 : 와이어 정렬 유닛
30 : 와이어 체결 유닛 31 : 와이어 체결 유닛 본체
32 : 클램프 40 :와이어 권취 유닛
41 : 와이어 네트 가이드 롤러 42 : 와이어 네트 권취 드럼
210 : 와이어 정렬 틀 211 : 와이어 유입판
212 : 와이어 네트 배출판 213 : 프레임
214 : 와이어 정렬홈 215 : 정렬홈 보강부재
220 : 와이어 모음판 221 : 플레이트
222 : 개구홀 230 : 와이어 지지판

Claims (13)

  1. 와이어 네트의 소재인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 유닛;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에서 인출된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정렬시킨 후, 서로 인접한 와이어를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시키는 와이어 정렬 유닛;
    상기 소정의 패턴으로 밀착된 와이어를 서로 고정시켜 와이어 네트를 조립하는 와이어 체결 유닛; 및
    상기 조립된 와이어 네트를 권취하는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체결 유닛은,
    서로 밀착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편 공급수단;
    상기 고정편을 압착하기 위한 복수의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프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은,
    와이어 정렬 틀, 와이어 모음 판 및 모음판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정렬 틀은,
    상단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와이어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홈이 형성된 와이어 유입판과, 조립된 와이어 네트를 배출하는 와이어 네트 배출판과, 상기 와이어 유입판과 와이어 네트 배출판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모음 판은,
    다수의 삼각형 개구홀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모음판 구동 모듈은,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을 교번하여 각각 승하강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은,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상단 꼭지점들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상단 꼭지점들이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에는 각각 이웃하는 2 줄의 와이어가 삽입되되,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과 중첩되는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에는, 동일한 1개의 와이어가 공통되게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에 삽입된 2 줄의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및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 양쪽 변의 중앙에 각각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은,
    상기 와이어들이 양측의 인접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되, 밀착되는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좌측 와이어 및 우측 와이어가 각각 교번하여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은,
    각각 하강 운동에 의하여 하강되는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에 삽입된 2 줄의 와이어를 개구홀의 상단 꼭지점 방향으로 밀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프들은,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상단 꼭지점 및 제2 와이어 모음판의 개구홀 상단 꼭지점의 상방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상기 제1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의 상단 꼭지점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램프들과,
    상기 제2 와이어 모음판 개구홀의 상단 꼭지점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램프들이,
    각각 교대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편을 압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단면이 『C』자형 압출바를 토막으로 절단하여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입판에는,
    상기 와이어 정렬홈의 전단에 와이어로 인한 정렬홈의 파임을 방지하기 위한 파임보강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는,
    상기 와이어 인출 유닛 및 와이어 네트 권취 유닛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정렬 유닛에 정렬된 와이어에 기 설정된 인장력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네트는,
    와이어가 마름모꼴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KR1020190046194A 2019-04-19 2019-04-19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KR10227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194A KR102272638B1 (ko) 2019-04-19 2019-04-19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194A KR102272638B1 (ko) 2019-04-19 2019-04-19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58A KR20200122858A (ko) 2020-10-28
KR102272638B1 true KR102272638B1 (ko) 2021-07-02

Family

ID=7301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194A KR102272638B1 (ko) 2019-04-19 2019-04-19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010B1 (ko) * 2022-08-04 2023-04-14 주식회사 건승테크 능형망 제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93B1 (ko) * 2014-09-26 2015-10-30 주식회사 대양금속 와이어네트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P2040A (en) 2003-10-22 2009-09-07 Maccaferri Spa Off A protective wire net, a protective structure constructed with the net, and the use of the protective wire net for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ve structure
KR101138666B1 (ko) 2011-03-28 2012-04-19 이세동 와이어로프 그물망
KR101464855B1 (ko) * 2013-01-15 2014-11-24 (주)아리산업 개방형 클립과 칼라 코팅 와이어로우프를 이용한 와이어 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93B1 (ko) * 2014-09-26 2015-10-30 주식회사 대양금속 와이어네트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58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638B1 (ko)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EP1628790A1 (de) Schutznetz, insbesondere für einen steinschlagschutz oder für eine böschungssicherung
US20050218393A1 (en) Wire mesh fencing system
DE102019131051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wehrten Betonbauteils, bewehrtes Betonbauteil und Fertigungssystem
KR101138666B1 (ko) 와이어로프 그물망
ITBO20070638A1 (it) Procedimento e impianto per la realizzazione di pannelli.
KR101464855B1 (ko) 개방형 클립과 칼라 코팅 와이어로우프를 이용한 와이어 네트
KR101564393B1 (ko) 와이어네트의 제조장치
DE3734733C2 (de) Rohrstütze für wenigstens eine gekrümmte Rohrleitung
KR101935338B1 (ko) 기능성 철조망
RU2383695C1 (ru) Арматурный каркас дл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DE20208865U1 (de) Siebboden für eine Siebeinrichtung
DE3724608A1 (de) Vorrichtung zum aufbau von bergmaennisch hergestellten stollen
EP2805605B1 (de) Überdachung für Obstanlagen
EP0732460A1 (de) Deckenbekleidung für Räume
KR101662691B1 (ko) Frp 보강근용 섬유꼬임방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 보강근 제작방법
CH671442A5 (ko)
DE102010022191B4 (de) Federstrebe mit einem Federwickelkörper aus einem federelastischen Kunststoffstrang
DE10104846A1 (de) Führungsanordnung zur Aufnahme und Führung von flexiblen Leitungen
KR101137152B1 (ko) 와이어 수평열 분리배치형 조립식 단부마감판, 및 이를 현수교용 다각형 단면 와이어 스트랜드의 단부에 결합하는 방법
JPH07207659A (ja) 連壁内篭体の組立方法
RU239239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арматурного каркаса дл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DE20302437U1 (de) Rolladen
US570938A (en) Fence-machine
US594642A (en) Wire fenc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