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177B1 -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77B1
KR102272177B1 KR1020190128853A KR20190128853A KR102272177B1 KR 102272177 B1 KR102272177 B1 KR 102272177B1 KR 1020190128853 A KR1020190128853 A KR 1020190128853A KR 20190128853 A KR20190128853 A KR 20190128853A KR 102272177 B1 KR102272177 B1 KR 102272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housing
fiber
cable
conductiv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093A (ko
Inventor
유의상
이현경
김은주
임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2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25Contact members formed by the conductors of a cabl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일단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1 접속 금구, 제1 접속 금구와의 결합 상태에서 제1 접속 금구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제2 접속 금구, 및 개구부의 주변부 및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코팅되는 도전성 고무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의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제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제1 접속 금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FIBER-BASED CONDUCTIVE CABLE CONNEC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기반 재질 상의 회로나 전자기기에 연결된 전도성 케이블을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시대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통신용 스마트 디바이스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는 전기 전도성을 띠는 스마트 섬유소재로 구성되고, 감지제어, 통신, 작용동작, 저장, 신호처리와 같은 5가지 기본 구성요소를 가진 스마트 의류의 한 형태로 취급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에 적용되는 전도성 스마트 소재는 전도성 원사, 전도성 고분자,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잉크, 전도성 페이스트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중에 전도성 원사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도성 원사는 그 구조 즉 전도성 물질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금속 클래드(metal clad) 타입과 시스-코어(sheath-core) 타입으로 구분된다. 금속 클래드 타입의 전도성 원사는 전도성 물질이 원사 표면에 위치한 구조로 전기 전도가 원사 표면에서 발생하는 형태를 지칭하고, 시스-코어 타입의 전도성 원사는 전도층이 원사 중심부에 위치하고 그 주변을 일반 섬유가 감싸고 있는 형태를 지칭한다.
한편, 전도성 원사 등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은 장치와 장치 간의 연결이나 스마트 의류와 외부의 연결을 위해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와 결합된다. 하지만,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은 일반 섬유 자체의 유연성과 일반 섬유에 결합된 전도성 물질의 섬유 수준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케이블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케이블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을 연결하면, 작은 외력에 의해서 케이블 연결 장치와 전도성 케이블의 결합이 풀리거나 해체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연결 장치를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실질적으로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그 경우 별도의 고정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고정된 케이블 연결 장치가 스마트 의류 상에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스마트 의류의 전체적인 유연성을 저감시키거나, 스마트 의류의 전기 회로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키고, 스마트 의류의 유지관리를 어렵게 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2135호(2019.02.0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의류 등에 사용되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적합한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의 연결 구조에 내구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로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일단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1 접속 금구; 상기 제1 접속 금구와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속 금구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제2 접속 금구; 및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 및 상기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코팅되는 도전성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는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접속 금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고무는 실리콘 재질과 도전성 필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속 금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표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접착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로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와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탑재되는 도전성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는 개구부를 구비한 제1 부재와 돌기를 구비한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부재의 타단은 상대적인 회동 또는 탄성의 결합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서로 마주하는 양면이 서로 밀착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관통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양면이 서로 분리되거나 그 사이가 벌어질 때 상기 회동 또는 탄성의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개구부에서 빠지거나 분리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서로 마주하는 양면이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는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접속 금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 및 상기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도전성 고무가 코팅되어 있어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을 고정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방법은,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도성 접속 부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하되,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전에, 도전성 접속 부재의 개구부의 주변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도전성 고무를 코팅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도전성 접속 부재의 개구부의 주변 부분과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의 돌기의 표면을 도전성 고무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를 두 부분이 서로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구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도성 접속 부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고무는 실리콘 재질과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고무의 전기 저항치는 105Ω 이하이고 경도는 듀로미터(durometer) A형 경도 기준으로 60 내지 80이다.
전술한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케이블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을 연결할 때, 작은 외력에 의해서 케이블 연결 장치와 전도성 케이블의 결합이 풀리거나 해체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연결 장치를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실질적으로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작업이 요구되는 것과 고정된 케이블 연결 장치가 유연한 스마트 의류 상에서 사용자에게 비유연함 등의 불편을 주거나 스마트 의류의 전체적인 유연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의류의 전기 회로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스마트 의류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대한 측면도 및 그 일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2 접속 금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결합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대한 부분 분해 사시도 및 그 일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의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도전성 직물에 대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가진다" 등과 관련된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대한 측면도 및 그 일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2 접속 금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이하 간략히 '섬유 케이블 커넥터'라고 한다)(100)는 제1 커넥터몸체(31) 및 제2 커넥터몸체(32)를 구비한다. 제1 커넥터몸체(31)은 하부 커넥터몸체로 지칭되고, 제2 커넥터몸체(32)는 상부 커넥터몸체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섬유 케이블 커넥터(100)는 제1 커넥터몸체(31) 및 제2 커넥터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코팅되는 도전성 고무(331)를 더 구비한다.
제1 커넥터몸체(31)는 제1 하우징(311) 및 제1 접속 금구(312)를 구비하고, 제2 커넥터몸체(32)는 제2 하우징(321) 및 제2 접속 금구(322)를 구비한다. 제1 접속 금구(312)는 커넥터몸체(31,32)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단자부(323)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속 금구(312)의 일단은 제2 접속 금구(322)의 중간부 또는 중간 결합공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속 금구(312)는 제1 하우징(311)의 회동 동작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하도록 제1 하우징(311)의 내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커넥터몸체(31)는 제2 커넥터몸체(32)에 대하여 회동 분리되거나 독립적인 형태로 분리되고 섬유 기반 도전성 케이블(200)을 게재하고 다시 제2 커넥터몸체(3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1)과 제2 하우징(321)의 결합 구조의 일측 혹은 제1 커넥터몸체(31)와 제2 커넥터몸체(32)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제2 접속 금구(322)에서 연장하는 단자부(322) 또는 다른 전도성 케이블을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성 고무(331)는 제1 접속 금구(312)의 굴곡된 말단부(312a) 표면 상에 부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현에 따라서 제2 접속 금구(322)의 일부분에는 도전성 고무(332)가 더 코팅될 수 있다. 도전성 고무(332)가 코팅되는 제2 접속 금구(322)의 일부분은 제1 접속 금구의 말단부(312a)가 삽입되는 제2 접속 금구(322)의 개구부(322a)의 가장자리와 그 하단면일 수 있다.
도전성 고무(331,332)는 실리콘 재질과 도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필러는 금속성 재료, 탄노나노튜브, 도전성 나노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섬유 케이블 커넥터(100)에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200)이 끼워질 때 제1 접속 금구의 말단부(312a)와 제2 접속 금구의 개구부(322a)에 의한 요철 형태로 굴곡된 삽입 경로에서 제1 접속 금구 상의 도전성 고무(331)와 제2 접속 금구 상의 도전성 고무(332)에 의해 접속 금구와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200)의 결합력과 마찰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의 당기는 힘에 의해 전도성 케이블(200)이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제1 커넥터몸체(31)와 제2 커넥터몸체(32)는 돌기(313)와 홈을 구비한 플레이트(323)의 조합 등의 체결 구조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제1 커넥터몸체(31)와 제2 커넥터몸체(32)는 일단부에 배치되는 연결부(34)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몸체들이 서로 부분적으로 분리되도록 조작되고, 타단부에 배치되는 돌기(313)와 홈을 구비한 플레이트(323)의 조합 등의 체결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마주보는 면들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대한 부분 분해 사시도 및 그 일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 케이블 커넥터에서, 제1 커넥터몸체(31) 또는 제1 하우징과 제2 커넥터몸체(32) 또는 제2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접속 금구(312)와 제2 접속 금구(322)는 금속성 혹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접속 금구의 일단은 단자부(323)과 일체로 연결되어 커넥터몸체의 일단부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2 접속 금구(322)는 제2 하우징의 내표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일체로 접착되고, 제1 접속 금구(312)는 제2 접속 금구(322)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하우징 혹은 제1 커넥터몸체(31)가 회동할 때 말단부(312a)가 개구부(322a)에 삽입되거나 개구부(322a) 상에 조금 떨어져 위치하는 형태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접속 금구(312)와 제2 접속 금구(322)는 각각 도전성 접속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200)은 도전사(201)와 유전체 섬유사(202)를 구비하고 도전사(201)가 복수의 분리된 도전 라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접속 부재로서 개구부를 구비한 제1 부재와 돌기(말단부에 대응함)를 구비한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제1 부재의 타단과 제2 부재의 타단은 상대적인 회동 또는 탄성의 결합 구조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서로 마주하는 양면이 서로 밀착할 때 돌기가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관통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양면이 서로 분리되거나 그 사이가 벌어질 때 회동 또는 탄성의 결합 구조에 의해 돌기가 개구부에서 빠지거나 분리되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서로 마주하는 양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개구부의 주변부 및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형성된 도전성 고무에 의해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고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 케이블 커넥터는 일정 폭을 가지고 전도사에 의한 복수의 도전 라인을 가지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200a,200b)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두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도성 접속 부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부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하되,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전에, 도전성 접속 부재의 개구부의 주변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도전성 고무를 코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예의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또다른 제조방법은, 도전성 접속 부재의 개구부의 주변 부분과 도전성 접속 부재의 돌기의 표면을 도전성 고무로 코팅하는 단계, 및 도전성 접속 부재를 두 부분이 서로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구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일측에는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타측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도성 접속 부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단자부에 대응함)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전성 고무는 실리콘 재질과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며, 도전성 고무의 전기 저항치는 105Ω 이하이고 경도는 듀로미터(durometer) A형 경도 기준으로 60 내지 80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저항치는 전기 회로의 도전성 커넥터로서 요구되는 최대 저항치에 해당하고, 경도는 유연한 섬유 기반의 도전성 케이블과 단단한 금속성 재질의 접속 금구 사이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최적의 거칠기를 얻기 위한 범위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도전성 직물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직물(10)은 제1 도전성 직물(20)과 제2 도전성 직물(22)을 상하로 면접합시켜 적층하여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성 직물(20)은 도전사(12)를 씨실 또는 위사의 일부로 사용하고 절연사(14)를 씨실의 나머지 일부로 사용하여 직조될 수 있다. 이때, 도전사(12)는 제1 도전성 직물(20)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전성 직물(10)의 일측면에는 도전사(12)에 의한 복수의 도전 라인들(21)이 노출될 수 있다.
제2 도전성 직물(22)는 도전사(16)를 날실 또는 경사의 일부로 사용하고 절연사(18)를 날실의 나머지 일부로 사용하여 직조될 수 있다. 이때, 도전사(16)는 제2 도전성 직물(22)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전성 직물(10)의 다른 일측면에는 도전사(16)에 의한 복수의 도전 라인들(23)이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도전성 직물(20)과 제2 도전성 직물(22)에서 직선 형태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도전사들의 그룹은 도전 라인 또는 도전 패턴(21,23 참조)을 형성하고, 도전 패턴 사이에는 유전체 섬유사 또는 절연사들의 그룹에 의해 섬유사 라인 또는 절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 패턴(21)과 제2 도전 패턴(23)은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센싱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압력 센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도전성 직물(10)에서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는 제1 도전성 직물(20)의 도전 패턴(21)에 연결되거나 제2 도전성 직물(22)의 도전 패턴(23)에 선택적으로 혹은 동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직물(10)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는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668966호(2015.02.12)를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섬유 케이블 커넥터에서 작은 외력에 의해서 케이블 연결 장치와 전도성 케이블의 결합이 풀리거나 해체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스마트 의류의 전기 회로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스마트 의류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구조의 일측에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구조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도전성 접속 부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 전에,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의 개구부의 주변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돌기의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도전성 고무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 방법.
  6.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도전성 접속 부재의 개구부의 주변 부분과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의 돌기의 표면을 도전성 고무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를 두 부분이 서로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구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기 도전성 접속 부재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케이블 또는 복수의 단자를 위한 제2 개구부가 구비되는,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무는 실리콘 재질과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고무의 전기 저항치는 105Ω 이하이고 경도는 듀로미터(durometer) A형 경도 기준으로 60 내지 80인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90128853A 2019-10-17 2019-10-17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53A KR102272177B1 (ko) 2019-10-17 2019-10-17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53A KR102272177B1 (ko) 2019-10-17 2019-10-17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093A KR20210046093A (ko) 2021-04-28
KR102272177B1 true KR102272177B1 (ko) 2021-07-05

Family

ID=7572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53A KR102272177B1 (ko) 2019-10-17 2019-10-17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200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이엠플러스 도전성 직물과 커넥터의 접속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8187A (ja) * 1999-01-14 2000-07-28 Fuji Electronics Kk クリップ式中継コネクタ
JP2008300064A (ja) * 2007-05-29 2008-12-11 Fujikura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5100114B2 (ja) 2006-12-28 2012-12-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接続用コネクタ
JP2019121513A (ja) 2018-01-05 2019-07-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135A (ko) 2018-12-03 2019-02-08 조봉익 프리컷 고속 충전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8187A (ja) * 1999-01-14 2000-07-28 Fuji Electronics Kk クリップ式中継コネクタ
JP5100114B2 (ja) 2006-12-28 2012-12-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接続用コネクタ
JP2008300064A (ja) * 2007-05-29 2008-12-11 Fujikura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2019121513A (ja) 2018-01-05 2019-07-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200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이엠플러스 도전성 직물과 커넥터의 접속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093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038B2 (ja) コネクタ
CN103119795B (zh) 电连接器
KR102272177B1 (ko) 섬유 기반 전도성 케이블 연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071661B2 (ja) コネクタ装置
TWM249255U (en) Electrical connector
US11710922B2 (en) Connector
WO2009130963A1 (ja) 電気コネクタ
US20220244112A1 (en) Load sensor
JP2013149454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4713604B2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5266388B2 (ja) デジタルバンド用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07526609A (ja) 布地相互接続システム
CN108644225B (zh) 固定件、转轴组件及电子设备
JP6669902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コネクタ
CN109104178A (zh) 电容式触摸组件以及控制面板
JP2537606Y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JP2018018749A (ja) 両面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263098B2 (ja) マイクロホン
JP2021070909A (ja) 操作検知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0514693B1 (ko)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CN216794493U (zh) 一种电源线固定结构及洗衣设备
KR102167507B1 (ko)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US20240072489A1 (en) Cable en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