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693B1 -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693B1
KR100514693B1 KR10-2003-0068748A KR20030068748A KR100514693B1 KR 100514693 B1 KR100514693 B1 KR 100514693B1 KR 20030068748 A KR20030068748 A KR 20030068748A KR 100514693 B1 KR100514693 B1 KR 10051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pc
connector
connection
s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789A (ko
Inventor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6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6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프피씨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컨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굴곡이 자유롭고 면적이 작아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가능하고 운동에 따른 손상이 적어, 특히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절첩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통신 단말기 등의 다방향 운동부(힌지부)에 적용하기가 적합한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랙시블한 스트립 라인(110)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 라인(110)의 양단에 접속부(120)가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신호 또는 전기를 전송할 수 있는 연결선(112)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112)의 단부에는 접속용 핀(114)이 형성되어 있는 에프피씨비(100); 및 상기 에프피씨비(100)가 연결되기 위한 원형 단면의 연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210)의 내부에는 연결선(220)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220)의 단부에는 상기 에프피씨비(100)측의 접속용 핀(114)에 접속가능한 접속용 핀(222)이 구비되는 컨넥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FPCB and connector structure}
본 발명은 에프피씨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컨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굴곡이 자유롭고 면적이 작아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가능하고 운동에 따른 손상이 적어, 특히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절첩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통신 단말기 등의 다방향 운동부(힌지부)에 적용하기가 적합한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에프피씨비와 컨넥터는 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비에서 있어서 정보 신호와 전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에 있어서, 에프피씨비(10)는 플랙시블한 박판상의 스트립(12)에 신호 연결을 위한 핀(14)을 가지면서, 상기 핀(14)을 통해, 소정의 기판(20, 인쇄회로기판)상에 접속되어 있는 컨넥터(30)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에프피씨비(10)와 컨넥터(30)가, 본체에 대해 커버가 절첩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기판(20)을 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되는 메인 보드라고 가정할 경우, 이 기판(20) 상에 컨넥터(30)를 구비하고, 단말기의 커버측 서브 보드에는 또 다른 컨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에프피씨비(10)를 상기 본체측의 컨넥터(30)와 커버측의 컨넥터에 접속시킨 형태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만일 상기 커버가 본체에 대해 상,하로 회동절첩 가능하면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첩 회전식 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상기 에프피씨비(10)는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힌지부에 절첩과 회전 운동에 대응하도록 적당히 감아 연결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에프피씨비는 박판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힌지부에 감기도 불편하고, 힌지부에 감았더라도 커버의 다방향 운동에 의해 무리가 가해질 수 밖에 없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박판상의 에프피씨비는 통신 단말기나 버티컬 타입 캠코더 등의 다방향 운동부에 대한 회전각도 등을 설계하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함으로써,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에프피씨비와 컨넥터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프피씨비를 굴곡이 자유롭고 면적이 작게 구성함으로써,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가능하고 운동에 따른 손상도 적어, 다방향 운동부에 적용하기 적합하도록 한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랙시블한 스트립 라인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 라인의 양단에 접속부가 연장 형성되며, 그의 내부에는 신호 또는 전기를 전송할 수 있는 연결선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의 단부에는 접속용 핀이 형성되어 있는 에프피씨비; 상기 에프피씨비가 연결되기 위한 원형 단면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의 내부에는 연결선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의 단부에는 상기 에프피씨비 측의 접속용 핀에 접속가능한 접속용 핀이 구비되는 컨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에프피씨비가 플랙시블한 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이의 에프피씨비에 알맞는 컨넥터가 구비됨으로써, 에프피씨비를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굴곡시킬 수 있어,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가능하며, 운동에 따른 손상도 적게된다.
여기서, 상기 에프피씨비의 접속부와 상기 컨넥터의 연결부중 하나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프피씨비의 접속부를 상기 컨넥터의 연결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결합요홈과 결합돌기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되어 상기 에프피씨비 측의 접속용 핀과 컨넥터측의 접속용 핀이 신호,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에는 분리 사시도기 도시되어 있고, 도 3a는 요부 분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요부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100)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랙시블한 스트립 라인(110)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 라인(110)의 양단에 접속부(120)가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플랙시블한 스트립 라인(110)의 내부에는 신호 또는 전기를 전송할 수 있는 연결선(112)이 매립되어 있으며, 연결선(112)의 단부에는 접속용 핀(1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200)는, 상기 에프피씨비(100)가 연결되기 위한 원형 단면의 연결부(210)가 형성되어 소정의 기판(2)상에 설치된다.
상기 컨넥터(200)에 있어서,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210)의 내부에는 상기 기판(2)에 연결되는 연결선(220)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220)의 단부에는 상기 에프피씨비(100)측의 접속용 핀(114)에 접속가능한 접속용 핀(222)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프피씨비(100)와 컨넥터(200)의 연결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접속부(120)와 상기 컨넥터(200)의 연결부(210)중 하나에는 결합요홈(30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돌기(400)가 형성된다.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접속부(120)를 상기 컨넥터(200)의 연결부(210)에 결합시키면 상기 결합요홈(300)과 결합돌기(400)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에프피씨비(100)측의 접속용 핀(114)과 컨넥터(200)측의 접속용 핀(222)은 신호,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요홈(300)은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접속부(120)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0)는 상기 컨넥터(200)의 연결부(210)에 형성된 형태의 것으로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에프피씨비(100)가 플랙시블한 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므로, 다방향으로 굴곡이 자유롭고, 어떤 형태의 부품에도 쉽게 감을 수 있다. 따라서,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적용된 이후에는 다방향 운동에 원할하게 적응하여 반복되는 운동에도 쉽게 손상되지 아니한다.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는, 상기한 본 발명의 에프피씨비(100)와 컨넥터(200)를 다방향 운동부인 절첩 회전식 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a에는 단말기의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개략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절첩 회전식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A)와 커버(B)를 절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는, 본체(A)에 대하여 커버(B)를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축(50)과, 상기 제1축(50)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60)과, 상기 제2축(60) 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커버(B)에 고정되는 브라켓(7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A)와 커버(B) 내부에는 각각 메인 보드(81)와 서브 보드(82)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메인 보드(81)와 서브 보드(8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20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경우, 에프피씨비(100)의 도선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프피씨비(100)의 일측 접속부(120)를 단말기 본체(A)측에 설치된 컨넥터(200)에 연결시키고, 그의 스트립 라인(110)을 상기 제1축(50)의 측방을 통하여 굴곡시켜 진입시킨 후, 상기 제2축(60)을 몇 바퀴 감은 다음, 제2축(60)의 내부를 관통하여 커버(B)측으로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도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프피씨비(100)는, 상기 본체(A)에 대한 커버(B)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축(60)에 감겨지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감는 방향과 감김수에 따라 상기 본체(A)에 대한 커버(B)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가 결정된다. 예를들어, 에프피씨비(100)가 상기 제2축(60)에 소정의 어떤 한 방향으로 감겨지면, 상기 커버(B)는 상기 에프피씨비(100)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에프피씨비(100)를 2회 정도 감는다면, 커버(B)는 약270도 각도까지는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예에서, 에프피씨비(100)는 절첩 동작과 회전 동작에 원할히 대응하기 위하여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복잡하게 굴곡되면서 도선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100)는 플랙시블한 원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과 감기 등이 용이하여,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굴곡 형태를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실제 단말기 커버(B)가 회동 및 회전하게 되더라도, 그러한 다방향 운동을 쉽게 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판상의 스트립 형태를 가져, 다방향을로 굴곡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던 종래의 에프피씨비를 배제하고, 에프피씨비를 플랙시블한 원형의 단면으로 구성하고, 이의 에프피씨비에 알맞는 컨넥터를 구비함으로써, 다방향으로의 굴곡이 자유롭게 되어, 다방향 운동부에 쉽게 적용가능하고 운동에 따른 손상도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를 회전 커버형 휴대폰의 힌지 부분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피씨비와 컨넥터를 회전 커버형 휴대폰의 힌지 부분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프피씨비(FPCB) 110 : 스트립 라인
112,220 : 연결선 114,222 : 접속용 핀
200 : 컨넥터 210 : 연결부
300 : 결합요홈 400 : 결합돌기

Claims (3)

  1.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랙시블한 스트립 라인(110)을 가지고, 상기 스트립 라인(110)의 양단에 접속부(120)가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신호 또는 전기를 전송할 수 있는 연결선(112)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112)의 단부에는 접속용 핀(114)이 형성되어 있는 에프피씨비(100); 및
    상기 에프피씨비(100)가 연결되기 위한 원형 단면의 연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210)의 내부에는 연결선(220)이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220)의 단부에는 상기 에프피씨비(100)측의 접속용 핀(114)에 접속가능한 접속용 핀(222)이 구비되는 컨넥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접속부(120)와 상기 컨넥터(200)의 연결부(210)중 하나에는 결합요홈(30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돌기(4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접속부(120)를 상기 컨넥터(200)의 연결부(210)에 결합시키면 상기 결합요홈(300)과 결합돌기(400)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되어 상기 에프피씨비(100)측의 접속용 핀(114)과 컨넥터(200)측의 접속용 핀(222)이 신호,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피씨비(100)와 컨넥터(200)를, 본체(A)에 대하여 커버(B)가 축(60)으로써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본체(A)에 대한 커버(B)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에프피씨비(100)는 상기 축(60)에 감겨지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 경우 상기 에프피씨비(100)의 감는 방향과 감김수에 따라 상기 본체(A)에 대한 커버(B)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KR10-2003-0068748A 2003-10-02 2003-10-02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KR10051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48A KR100514693B1 (ko) 2003-10-02 2003-10-02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48A KR100514693B1 (ko) 2003-10-02 2003-10-02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89A KR20050032789A (ko) 2005-04-08
KR100514693B1 true KR100514693B1 (ko) 2005-09-13

Family

ID=3723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48A KR100514693B1 (ko) 2003-10-02 2003-10-02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83B1 (ko) 2005-11-18 2007-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75B1 (ko) * 2006-10-10 2008-03-04 이주열 배선시스템
KR101305518B1 (ko) * 2013-02-13 2013-09-06 주식회사 기가레인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고주파 전송선로를 구비한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83B1 (ko) 2005-11-18 2007-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89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9073B1 (en) Hinge connector extensible to a longitudinal direction
US9004951B2 (en) Multi-functional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different receptacles
US778035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photoelectric flexible wiring board, connector and photoelectric flexible wiring board
KR100421370B1 (ko) 전자기기의 에프피씨 연결 구조 및 전자기기용 에프피씨
US11137667B2 (en) Three-axis gimbal and three-axis gimbal photographing apparatus
WO2007050666A1 (en) Electrical-wire support apparatus
US20110267798A1 (en) Harness for electronic device wiring and electronic device
KR100666069B1 (ko) 통신기기
EP1475864A2 (en) Hinge and pivot mechanism with electrical connection
KR2005012038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회로 연결장치
KR100514693B1 (ko)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JP2003158355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200419714Y1 (ko) 동축케이블과 필름케이블간의 연성 접속구조
JP351549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を有する折畳式携帯電話端末
KR20070063933A (ko) 절곡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JPH0578155B2 (ko)
KR101327601B1 (ko) Usb 장치
KR20110051130A (ko) 양면 연성회로케이블용 커넥터
CN208028273U (zh) 一种连接器
WO2010134909A1 (en) Modular network connector
CN2383244Y (zh) 线缆连接器
JP4088966B2 (ja) Fpc中継器
KR200410659Y1 (ko) 절곡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JP2007531431A (ja) 同軸導体
KR100600390B1 (ko) 360도 측방향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