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092B1 -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 Google Patents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92B1
KR102269092B1 KR1020200169758A KR20200169758A KR102269092B1 KR 102269092 B1 KR102269092 B1 KR 102269092B1 KR 1020200169758 A KR1020200169758 A KR 1020200169758A KR 20200169758 A KR20200169758 A KR 20200169758A KR 102269092 B1 KR102269092 B1 KR 10226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housing
vehicl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첸
Priority to KR102020016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직렬로 연결되고 순차적으로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하는 피세정차량을 스캔하여 상기 피세정차량의 형상을 감지하는 차량스캔부; 상기 피세정차량에 초기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 각각에 위치하여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초기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복수의 초기세척수 분사장치를 구비한 초기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정수의 분사 높이 및 분사 방향이 조절 가능한 세정제출력부; 상기 피세정차량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척수의 분사 높이가 조절 가능한 제1 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에 발수 코팅을 위한 액체 또는 왁스가 함유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세척부; 및 상기 피세정차량을 건조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Touchless car washing machine with integrated car wash devices into a housing}
본 발명은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형 자동 세차 장치는 피세정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 장치 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물과 세제 또는 왁스 등을 분사하면서 세척용 브러쉬를 회전 및 접촉시켜 차체를 세척한 뒤,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차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문형 자동 세차 장치는, 차량의 상부 등 외측에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가지고 있다. 분사 노즐은 차량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차량의 표면으로 분사된다. 그러나, 이 경우, 세척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서 분사되므로, 차량에 도달하는 세척액의 양과 압력이 세척을 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차량의 표면을 닦기 위한 별도의 브러쉬라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차량의 세차를 위해 브러쉬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브러쉬 자체의 청결을 항상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세척 후에 에어를 분사할 때, 에어의 분사 방향이 차체 표면에 수직으로 분사되므로, 차체 표면으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나 물기가 공중에 부양되었다가 다시 차체 표면에 가라앉는 경우가 발생하여, 충분히 세척 및 건조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세차를 한 이후에도 직접 헝겊이나 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표면을 닦아주는 등의 후처리가 필요하였다. 또한, 물과 세제 등을 분사하며 브러쉬로 차체의 세척을 완료한 후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차체를 건조하여야 하므로, 세척 및 건조를 별도로 진행하여 전체적인 세차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종래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브러쉬가 없는 타입의 세차기가 개발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825526호는 터치리스 세차기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좌우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에 세제수와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모듈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수직 방향을 따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브러시를 제거하고, 차량의 표면에 세제수와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하며,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해서 터치리스 방식으로 세차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6039호에 소개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차량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차량을 향해 에어와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차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차량을 향해 에어와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차부; 상기 차량의 형상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세차부간의 상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차부는, 고압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브러쉬를 구비하지 않고도 차체를 효율적으로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세차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세차부에 세척부터 건조기능까지 구비되어 있어 세차의 각 단계들 중 어느 하나가 종료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세차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피세정차량으로부터 오염물의 외부로 튀어 나가는 한계가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825526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6039호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점을 해결하려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브러쉬를 구비하지 않고도 차체를 효율적으로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세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척 및 건조를 함께 진행하여 세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세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척 수단과 건조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여 콤팩트 한 구성으로도 물과 세정제, 오염수, 분진, 버블 등 세차를 진행하면서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세척 공정과 건조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차량으로 세척수와 세정제 그리고 건조를 위한 송풍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직렬로 연결되고 순차적으로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하는 피세정차량을 스캔하여 상기 피세정차량의 형상을 감지하는 차량스캔부; 상기 피세정차량에 초기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 각각에 위치하여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초기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복수의 초기세척수 분사장치를 구비한 초기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정수의 분사 높이가 조절 가능한 세정제출력부; 상기 피세정차량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척수의 분사 높이 및 분사 방향이 조절 가능한 제1 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에 발수 코팅을 위한 액체 또는 왁스가 함유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세척부; 및 상기 피세정차량을 건조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초기세척수 분사장치 각각은 상기 초기세척수 분사장치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노출된 초기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분사모듈은 좌우측 방향과 상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피세정차량에 상기 초기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세정제출력부는,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제를 분사히기 위한 세정제분사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위치제어부; 상기 제1 위치제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세정제분사 구동부; 및 상기 세정제분사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된 제2 위치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위치제어부는, 상기 세정제분사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위치제어기어부; 상기 제1 위치제어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제어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를 수납하는 제1 수직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은, 세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봉홀을 구비한 세정제노즐봉; 상기 세정제노즐봉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 노즐봉수납홀더; 상기 노즐봉수납홀더에 연결된 홀더고정축;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홀더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레일체결부;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위치제어기어와 맞물린 제1 동력전달기어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동력전달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회전링크;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위치제어기어부; 상기 제2 위치제어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위치제어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를 수납하는 제2 수직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은,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상기 홀더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레일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브러쉬를 구비하지 않고도 차체를 효율적으로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세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세척 및 건조를 함께 진행하여 세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세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세척 수단과 건조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여 콤팩트 한 구성으로도 물, 세정제 및 세차에 따른 오염수 등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세척 공정과 건조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다른측면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d는 제어부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a 및 도 2b는 차량스캔부와 초기세척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초기세척수 분사장치 중 제1 초기분사모듈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세정제출력부와 제1 세척부의 사시도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세정제출력부와 제1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e 및 도 3f는 세정제출력부의 일측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g는 세정제분사모듈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h는 세정제출력부의 타측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i는 제2 세척수분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구성하는 제2 세척부의 사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제2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건조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건조부를 뒤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건조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d 내지 도 5f는 제1 건조부의 내부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휠 세척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차량”은 승용차, SUV, 트럭, 버스 등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차량을 지칭하기 위해 상호 교환 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세차” 및 “세정”은 일반적으로 간단한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차량 처리 절차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는 세정 시퀀스 또는 더 복잡한 여러 기능(예: 사전 세차, 세정, 헹굼, 왁스 및 공기 건조)이 적용된 자동 세차기이며, 모든 브랜드의 모든 사이즈 및 규격의 차량이 가능한 세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빠르고 쉽게 자동 세척되도록 설계된다. 실시예는 주차 센서, 차량 진입 감지 센서, 기계 갠트리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다른측면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1d는 제어부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세척 공정과 건조 공정을 일방적으로만 실행하기 위해서는 세척 수단과 건조 수단 사이에 긴 간격을 두거나 물 튀김을 방지하기 위한 커튼이나 셔터 부재를 사이에 배치하는 것 대신에 하우징(11)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세척 및 건조 모듈을 컴팩트하게 일체화시키면서도 세정액과 물, 세정제 그리고 세차에 따른 오염수 등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는 하우징(11)에 의해 둘러쌓인 복수의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하우징(11)과 함께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은 차량스캔부(100), 초기세척부(200), 세정제출력부(300), 제1 세척부(400), 제2 세척부(500) 및 건조부(6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순서대로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를 구성할 수 있다.
초기세척부(200)는 하우징(11) 내측에서 하우징(11)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세정제출력부(300)와 제1 세척부(400)는 하우징(11)의 내측에서 하우징(1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세척부(500)는 하우징(11)의 내측에서 하우징(11)의 측면과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조부(600)는 하우징(11)의 내측에서 하우징(1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전체적으로 피세정차량을 둘러싸는 형태의 터널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은 차량의 진입공간과 출차 공간 그리고 바닥면에 대응하는 면은 개구되고 나머지 면에는 복수의 패널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보관하는 저장탱크,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왁스가 함유된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에는 각각의 저장탱크와 초기세척부(200), 세정제출력부(300), 제1 세척부(400), 제2 세척부(500)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1)에 의해 커버되는 지면에는 차량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 상에는 공기 압력이나 오일의 압력을 이용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공압펌프 또는 유압펌프로 마련되고, 벨트나 기어 등을 이용해서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는 제어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프로세서(13), 메모리(14), 센서부(15), 디스플레이부(16), 출력부(17) 그리고 전원부(18)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개별 로직 회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명령들과 같은 명령들(예를 들어,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서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들로 하여금 감지 정보를 분석하고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를 제어하는 것을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 할 수도 있다.
센서부(15)는 피세정차량(20)이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의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5)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 내부로 이동하는 피세정차량(20)의 전체적인 형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5)는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포토센서, 카메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는 프로세서(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피세정차량의 진입, 정차, 출차를 안내하는 등의 각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차량스캔부와 초기세척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초기세척수 분사장치 중 제1 초기분사모듈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스캔부(100)는 차량이 진입하는 하우징(11)의 출입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차량스캔부(100)는 차량스캐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스캐너(110)는 전술한 센서부(15)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차량스캐너(110)는 하우징(11)내로 진입하는 피세정차량을 스캔하여 차량의 진입 여부, 정차 위치, 외형, 앞단부, 후단부, 후드의 높이를 감지한 감지 정보를 프로세서(13)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초기세척부(200), 세정제출력부(300), 제1 세척부(400), 제2 세척부(500) 및 건조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는 감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초기세척부(200)는 초기세척수 분사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세척수 분사장치(21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초기세척수 분사장치(210)는 하우징(11) 내에서 좌 우측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 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된 초기세척수 분사장치(210)는 제1 및 제2 초기분사모듈(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초기분사모듈(201)은 초기세척수 분사장치(21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고, 제2 초기분사모듈(202)은 초기세척수 분사장치(21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초기분사모듈(201)의 내부에는 초기분사노즐(211)과 초기분사노즐 구동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초기분사노즐(2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초기분사모듈(20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초기분사노즐 구동부(212)는 초기분사노즐(211)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이다. 초기분사노즐 구동부(212)는 프로세서(13)의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초기분사노즐(211)을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및/또는 상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초기분사모듈(201)과 제2 초기분사모듈(202)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들 내의 초기분사노즐(211)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초기분사모듈(202)은 피세정차량의 예비 세척 단계로써 피세정차량이 차량스캔부(100)에 진입하여 차량스캔이 완료되면 초기분사노즐(211)은 피세정차량측으로 향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차량의 전면부위를 세척하고, 피세정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초기분사노즐(211) 피세정차량의 측면을 세척하며, 피세정차량이 다음 모듈로 이동함에 따라 초기분사노즐(211)의 분사 방향을 피세정차량의 후방측으로 향하면서 피세정차량의 후방 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분사노즐(211)이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세정차량의 전면에서 후면 부위까지 세척수를 분사하고, 아울러 상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세정차량의 전체적인 부위에 세척수가 골구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초기분사모듈(202) 소정의 압력 이하의 저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차량의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덮혀 있는 상태에서 저압의 세척수를 차량에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에 따른 차량 표면의 스크레치 등은 방지하면서 차량 표면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a는 세정제출력부와 제1 세척부의 사시도이고, 도 3b 내지 도 3d는 세정제출력부와 제1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3e 및 도 3f는 세정제출력부의 일측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g는 세정제분사모듈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3h는 세정제출력부의 타측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i는 제2 세척수분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h를 참조하면, 세정제출력부(300)는 초기세척부(200)에서 초기세척에 완료된 피세정차량에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제출력부(300)는 피세정차량에 소정의 압력 이하의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제출력부(300)의 세정제분사장치(301)는 프로세서(13)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수의 분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세정제출력부(300)의 세정제분사장치(301)는 세정제분사모듈(310), 세정제분사 구동부(320), 제1 동력전달부(330), 제1-1 위치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제분사모듈(310)은 피세정차량에 세제를 분사할 수 있다. 세정제분사모듈(310)은 피세정차량의 전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피세정차량의 폭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1)의 일내측면에서 타내측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세정제분사모듈(310)은 제1 노즐봉수납홀더(311), 세정제노즐봉(311a), 홀더고정축(312) 및 제1-1 레일체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봉수납홀더(311)는 세정제노즐봉(3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세정제노즐봉(311a)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하우징(11)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는 복수의 노즐봉홀(311h)을 통해 피세정차량에 분사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봉홀(311h)은 서로 이격되어 제1 노즐봉수납홀더(311)의 하측의 개구된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노즐봉수납홀더(311)는 일정한 방향으로 세정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고정된 각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고정축(312)은 제1 노즐봉수납홀더(311)에 연결되고, 하우징(11)의 좌우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정제분사 구동부(320)는 하우징(11)에 마련된 세정제를 보관하는 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세정제노즐봉(311a)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분사 구동부(320)는 제1 동력전달부(330) 및 제1-1 위치제어부(34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330)는 제1-1 동력전달기어부(331) 및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및 제1-2 동력전달기어부(331, 333)는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는 하우징(11)의 좌우측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의 일측에 마련된 제1-1 동력전달기어부(331)는 세정제분사 구동부(320)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우징(11)의 일측 상의 제1-1 위치제어부(340) 상의 기어와 맞물리면서 해당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의 회전은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의 타측에 마련된 제1-2 동력전달기어부(333)에 전달되면서 하우징(11)의 타측 상의 제1-2 위치제어부(344)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1 위치제어부(340)는 제1-1 위치제어기어부(341), 제1-1 컨베이어(342) 및 제1-1 수직레일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위치제어기어부(341)는 세정제분사 구동부(32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1 위치제어기어부(341)의 회전에 따라 제1-1 위치제어기어부(341)와 맞물린 제1-1 동력전달기어부(331)가 회전할 수 있다. 제1-1 동력전달기어부(331)의 회전에 의해 제1 동력전달회전링크(332)는 회전하고 하우징(11)의 타측의 제1-2 동력전달기어부(333)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와 맞물린 하우징(11)의 타측의 제1-2 위치제어기어부(345)가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1 컨베이어(342)는 제1-1 위치제어기어부(341)와 연결되고, 제1-1 위치제어기어부(341)의 회전에 따라 제1-1 컨베이어(342)가 회전할 수 있다. 제1-1 컨베이어(342)는 지면으로부터 하우징(11)의 내측 상부 영역으로 이어지는 제1-1 수직레일부(343)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 타측에서 제1-2 위치제어기어부(345)가 회전하면서 이와 연결된 제1-2 컨베이어(346)가 하우징(11) 타측의 제1-2 수직레일부(347)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세정제분사모듈(310)의 제1-1 레일체결부(313)는 제1-1 컨베이어(342)에 연결되어 제1-1 컨베이어(342)의 이동에 의해 제1-1 수직레일부(34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 타측에서는 제1-2 컨베이어(346)의 회전에 따라 제1-2 컨베이어(346)에 연결된 제1-2 레일체결부(314)는 제1-2 수직레일부(347)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제분사모듈(310)은 상승 또는 하강 동작 수행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각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세정제를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세정차량의 표면 전체의 영역에 골구로 세정제가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 제1-1 및 제1-2 위치제어기어부(341, 345) 각각에는 기어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프로세서(13)로 제공하기 위한 인코더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i를 참조하면, 제1 세척부(400)는 세정제출력부(300)의 세정제 출력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세척부(400)의 제1 세척수분사장치(401)는 세정제출력부(300)로부터 분사된 세정제가 도포된 차량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세척수분사장치(401)는 프로세서(13)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수의 분사 높이 및/또는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세척수분사장치(401)는 세척수분사모듈(410), 세척수분사 구동부(410), 제2 동력전달부(430), 제2-1 위치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모듈(410)은 세정수로 도포된 피세정차량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모듈(410)은 피세정차량의 전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피세정차량의 폭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1)의 일내측면에서 타내측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세척수분사모듈(410)은 제2 노즐봉수납홀더(411), 홀더회전축(412) 및 제2-1 레일체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즐봉수납홀더(411)는 내부의 세척수노즐봉(미도시)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즐봉수납홀더(411)는 다양한 방향으로 세정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홀더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홀더회전축(412)은 제2 노즐봉수납홀더(411)에 연결되고, 하우징(11)의 좌우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노즐봉수납홀더(411)는 홀더회전축(412)의 회전에 따라 홀더회전축(41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 구동부(410)는 하우징(11)에 마련된 세척수를 보관하는 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세척수노즐봉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분사 구동부(410)는 제2 동력전달부(430) 및 제2-1 위치제어부(44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430)는 제1 동력전달부(330)와 마찬가지로 제2-1 동력전달기어부 및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및 제2-2 동력전달기어부는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는 하우징(11)의 좌우측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의 일측에 마련된 제2-1 동력전달기어부는 세척수분사 구동부(420)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하우징(11)의 일측 상의 제2-1 위치제어부(440) 상의 기어와 맞물리면서 해당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의 회전은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의 타측에 마련된 제2-2 동력전달기어부에 전달되면서 하우징(11)의 타측 상의 제2-2 위치제어부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1 위치제어부(440)는 제2-1 위치제어기어부(441), 제2-1 컨베이어(442) 및 제2-1 수직레일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위치제어기어부(441)는 세척수분사 구동부(42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2-1 위치제어기어부(441)의 회전에 따라 제2-1 위치제어기어부(441)와 맞물린 제2-1 동력전달기어부가 회전할 수 있다. 제2-1 동력전달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제2 동력전달회전링크는 회전하고 하우징(11)의 타측의 제2-2 동력전달기어부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와 맞물린 하우징(11)의 타측의 제2-2 위치제어기어부가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2-1 컨베이어(442)는 제2-1 위치제어기어부(441)와 연결되고, 제2-1 위치제어기어부(441)의 회전에 따라 제2-1 컨베이어(442)가 회전할 수 있다. 제2-1 컨베이어(442)는 지면으로부터 하우징(11)의 내측 상부 영역으로 이어지는 제2-1 수직레일부(443)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 타측에서 제2-2 위치제어기어부가 회전하면서 이와 연결된 제2-2 컨베이어가 하우징(11) 타측의 제2-2 수직레일부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모듈(410)의 제2-1 레일체결부(413)는 제2-1 컨베이어(442)에 연결되어 제2-1 컨베이어(442)의 이동에 의해 제2-1 수직레일부(44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 타측에서는 제2-2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제2-2 컨베이어에 연결된 제2-2 레일체결부는 제2-2 수직레일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분사모듈(410)은 상승 또는 하강 동작 수행하고,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홀더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세정차량의 표면 전체의 영역에 골구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세척부(400)는 제2 세척수분사장치(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척수분사장치(40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하우징(11) 내의 양 측면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세척수분사장치(402)들 각각은 고정된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세척수분사장치(402)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각도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세정제분사모듈(310)은 피세정차량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피세정차량과 세정제분사모듈(3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진 세정수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세정차량의 표면과 근접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피세정차량의 표면을 따라 수평이동하 면서 고압의 세척액을 분사하므로, 브러쉬 없이도 높은 세차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세정제분사장치(301) 및 제1 세척수분사장치(401) 각각에는 제1 및 제2 충돌방지장치(351a, 352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충돌방지장치(351)는 제1 노즐봉수납홀더(311)의 외측으로 노출된 테두리와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대로 구성되고, 여기서의 테두리 부분은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충돌방지장치(351a)는 제1 충돌감지부(351b)에 연결되고, 제2 충돌방지장치(352a)는 제2 충돌감지부(352b)에 연결된다. 제1 충돌감지부(351b)는 제1 충돌방지장치(351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충돌감지부(352b)는 제2 충돌방지장치(352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충돌감지부(351b, 352b) 각각은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 감지 정보를 프로세서(13)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3)는 이에 응답하여 세정제분사장치(301) 또는 제1 세척수분사장치(401)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를 구성하는 제2 세척부의 사시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제2 세척부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2 세척부(500)는 하우징(11) 내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세척수출력프레임(50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출력프레임(501)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세척수 출력홀(501h)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수 출력홀(501h)을 통해 하우징(11)으로부터 세척수가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수 출력홀(501h) 중 하우징(11)의 상부면 측에 위치한 세척수 출력홀(501h)은 지면을 향하여 세척수가 출력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11)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세척수 출력홀(501h)은 세척수가 피세정차량의 측면을 향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여 광택을 내도록 하는 왁스가 함유된 세척수가 복수의 세척수 출력홀(501h)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세척수출력프레임(501) 중에서 앞단에 위치한 세척수출력프레임(501)과 후단에 위치한 세척수출력프레임(502)은 서로 다른 액체를 함유한 세척수를 토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척수는 발수 코팅을 위한 액체가 함유된 세척수 및 왁스가 함유된 세척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건조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건조부를 뒤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건조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5d 내지 도 5f는 제1 건조부의 내부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건조부(600)는 제1 및 제2 건조부(601, 60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 분사되는 건조부(601, 602)가 2중으로 구성하되, 분사되는 에어의 각도를 조절하여 높은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람이 헝겊이나 천 등을 이용하여 별도로 차량의 표면을 클리닝(cleaning)하여 물기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제1 건조부(601)에는 제1 송풍기(610)를 구비하고, 제2 건조부(602)에는 제2 송풍기(620)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 송풍기(610, 6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송풍기(6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송풍기(610)는 라인노즐부(611), 송풍기회전축(6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613), 송풍기링크(614), 송풍기링크기어부(615), 제3 동력전달기어부(616), 송풍기기어부(617a), 제3 컨베이어(617b), 제3 수직레일부(618) 및 제3 레일체결부(619)를 포함한다.
라인노즐부(611)는 하우징(1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라인으로 개구부를 가진 송풍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인노즐부(611)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613)이 설치될 수 있다.
팬(613)은 프로세서(13)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한다.
제1 송풍기(610)의 송풍기회전축(612)은 라인노즐부(6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라인노즐부(611)의 내부 관통하여 하우징(1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송풍기(610)의 송풍기기어부(617a)는 송풍기 구동부(63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송풍기기어부(617a)는 제3 동력전달기어부(616)와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 구동부(630)에 의해 송풍기기어부(617a)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동력전달기어부(616)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기어부(617a)는 제3 컨베이어(617b)에 연결될 수 있다. 송풍기기어부(617a)의 회전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3 컨베이어(617b)가 회전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617b)는 하우징(11)의 일 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3 수직레일부(618)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기어부(617a)는 송풍기링크(614)의 일단에 연결된 송풍기링크기어부(615)와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기어부(617a)의 회전에 따라 이와 맞물린 송풍기링크기어부(615)는 회전함으로써 송풍기링크기어부(615)를 중심으로 송풍기링크기어부(615)에 연결된 송풍기링크(614)가 회전할 수 있다. 송풍기링크(614)는 하우징(11)의 타측에 위치한 송풍기링크기어부를 회전시키고 이와 맞물린 송풍기기어부를 회전시켜 이와 연결된 제4 컨베이어가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송풍기회전축(612)의 일 측에 연결된 제3 레일체결부(619)가 제3 컨베이어(617b)에 연결되어 제3 컨베이어(617b)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라인노즐부(611)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 구동부(630)는 송풍기회전축(6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기회전축(612)의 회전에 따라 라인노즐부(611)로부터의 분사되는 에어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어 이물질이나 물기가 피세정차량의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하고, 제3 컨베이어(617b)의 회전에 따라 라인노즐부(611)로부터의 분사되는 에어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피세정차량에 인접하여 에러를 토출함으로써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람이 헝겊이나 천 등을 이용하여 별도로 차량의 표면을 클리닝(cleaning)하여 물기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의 휠 세척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10)는 휠 세척 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휠 세척 장치(700)는 하우징(10)의 내측면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휠 세척 장치(7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내측면 양쪽 하단 각각에 설치되고, 피세정차량의 휠 측과 마주보며 피세정차량의 휠 측을 세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휠 세척 장치(700)는 초기세척부(200), 세정제출력부(300), 제1 세척부(400)가 위치한 하우징(10)의 내측면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휠 세척 장치(700)는 프레임부(710)와 이동세척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710)는 하우징(10)의 내측면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세척부(720)는 프레임부(710) 상에 설치되어 프레임부(710)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프레임부(71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동세척부(720)각 프레임부(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레일 시스템(7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세척부(720)는 휠 형상 감지부(721), 회전부(722) 및 복수의 휠노즐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휠 형상 감지부(721)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휠 형상 감지부(721)는 프레임부(710) 상의 레일 시스템(711)에 체결되어 레일 시스템(711)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전방은 하우징(10) 내에서의 피세정차량의 전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휠 영상 감지부(721)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의 휠 형상 감지 센서(721a)가 설치될 수 있다.
휠 형상 감지 센서(721a)는 깊이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세척부(720)는 프레임부(710)의 초기 위치에서부터 출발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피세정차량의 앞바퀴 상의 휠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한 후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피세정차량의 뒷바퀴 상의 휠을 세척할 수 있다. 그 후,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회전부(722)는 휠 형상 감지부(721)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휠 형상 감지부(72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동세척부(7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회전부(722)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피세정차량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세척부(720)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피세정차량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휠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부(722)는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722)에는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724)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휠노즐부(723)는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724)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휠노즐부(723)들 각각은 제1 및 제2 휠노즐부(723, 72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휠노즐부(723, 724) 중 어느 하나에서는 세정수가 공급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휠 형상 감지 센서(721a)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피세정차량의 휠의 형상 정보과 휠의 회전상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휠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724) 상에서의 복수의 휠노즐부(72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는 휠의 회전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부(722)의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724) 상에서의 복수의 휠노즐부(723)의 위치 조절 및 회전부(722)의 회전에 따른 초기 위치 설정에 따라 복수의 휠노즐부(723)는 피세정차량의 휠의 스포크(spoke)의 일 영역과 마주하게 된다.
프로세서(13)는 피세정차량의 세차에 따라 피세정차량이 이동할 때, 피세정차량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세척부(7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는 피세정차량의 이동 속도 및 휠의 형상 정보로부터 분석된 휠의 외경에 기초하여 추정된 휠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부(722)를 회전시킴으로써 휠의 프레임과 복수의 휠노즐부(723)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휠 상의 스포크을 제외한 빈공간 영역으로 세정수나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는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724) 상에서의 복수의 휠노즐부(723)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휠노즐부(723)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나 세척수는 휠의 스포크 전체적인 부위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휠의 스포크는 방사향 형상을 가지므로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724) 상에서의 복수의 휠노즐부(723)의 왕복 운동을 통해서 휠의 스포크 전체적인 영역에 세정수와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하여 휠을 세척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이동세척부(720)가 프레임부(71)의 레일 시스템(711)의 종점에 도달하면 신속히 이동세척부(72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피세정차량의 뒷바퀴 상의 휠의 형상 감지 및 회전상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동세척부(720)와 회전부((722) 그리고, 복수의 휠노즐부(723)의 위치를 제어하며 피세정차량의 뒷바퀴측 휠을 세척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직렬로 연결되고 순차적으로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하는 피세정차량을 스캔하여 상기 피세정차량의 형상을 감지하는 차량스캔부;
    상기 피세정차량에 초기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 각각에 위치하여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초기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복수의 초기세척수 분사장치를 구비한 초기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정수의 분사 높이가 조절 가능한 세정제출력부;
    상기 피세정차량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척수의 분사 높이 및 분사 방향이 조절 가능한 제1 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에 발수 코팅을 위한 액체 또는 왁스가 함유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세척부;
    상기 피세정차량을 건조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건조부; 및
    상기 피세정차량의 휠로 세정수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휠 세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초기세척수 분사장치 각각은 상기 초기세척수 분사장치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노출된 초기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분사모듈은 좌우측 방향과 상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피세정차량에 상기 초기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정제출력부는, 상기 피세정차량에 세제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제분사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위치제어부, 상기 제1 위치제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세정제분사 구동부 및 상기 세정제분사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된 제2 위치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휠 세척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하단에 설치되고 레일 시스템을 포함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상기 레일 시스템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세척부는 상기 레일 시스템에 체결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휠 형상 감지부, 상기 휠 형상 감지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복수의 휠 형상 감지 센서, 상기 휠 형상 감지부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휠 형상 감지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을 구비한 회전부 및 상기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에 설치되고 분석된 상기 휠의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휠의 스포크와 마주하도록 상기 방사형의 노즐이동레일 시스템 상에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복수의 휠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세척부는 초기 위치에서 출발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피세정차량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피세정차량의 전방으로의 이동 속도 및 상기 휠의 형상 정보로부터 분석된 상기 휠의 외경에 기초하여 추정된 휠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휠노즐부가 상기 휠의 스포크의 일 영역과 마주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휠을 세척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제어부는,
    상기 세정제분사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위치제어기어부;
    상기 제1 위치제어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제어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를 수납하는 제1 수직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은,
    세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봉홀을 구비한 세정제노즐봉;
    상기 세정제노즐봉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 노즐봉수납홀더;
    상기 노즐봉수납홀더에 연결된 홀더고정축;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홀더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레일체결부;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위치제어기어와 맞물린 제1 동력전달기어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동력전달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회전링크;를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위치제어기어부;
    상기 제2 위치제어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위치제어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를 수납하는 제2 수직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은,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상기 홀더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세정제분사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레일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7. 삭제
KR1020200169758A 2020-12-07 2020-12-07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KR10226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58A KR102269092B1 (ko) 2020-12-07 2020-12-07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58A KR102269092B1 (ko) 2020-12-07 2020-12-07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092B1 true KR102269092B1 (ko) 2021-06-24

Family

ID=7660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58A KR102269092B1 (ko) 2020-12-07 2020-12-07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303A (zh) * 2021-08-11 2021-10-22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及其洗车方法
KR20230090201A (ko) * 2021-12-14 2023-06-21 (주)엔티아이 다중-스테이지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을 위한 전기적 분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515A (ja) * 1996-11-22 1998-06-30 Maeda Shigeo 車両洗浄装置
JP4173661B2 (ja) * 2001-12-17 2008-10-29 澁谷工業株式会社 門型洗車機
KR101706039B1 (ko) 2016-08-29 2017-02-15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노브러쉬 세차 장치
KR101825526B1 (ko) 2016-08-23 2018-02-06 송창호 터치리스 세차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54784B1 (ko) * 2016-08-31 2018-05-04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세차장치
JP2019069703A (ja) * 2017-10-10 2019-05-09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515A (ja) * 1996-11-22 1998-06-30 Maeda Shigeo 車両洗浄装置
JP4173661B2 (ja) * 2001-12-17 2008-10-29 澁谷工業株式会社 門型洗車機
KR101825526B1 (ko) 2016-08-23 2018-02-06 송창호 터치리스 세차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06039B1 (ko) 2016-08-29 2017-02-15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노브러쉬 세차 장치
KR101854784B1 (ko) * 2016-08-31 2018-05-04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세차장치
JP2019069703A (ja) * 2017-10-10 2019-05-09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303A (zh) * 2021-08-11 2021-10-22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及其洗车方法
CN113525303B (zh) * 2021-08-11 2023-09-05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及其洗车方法
KR20230090201A (ko) * 2021-12-14 2023-06-21 (주)엔티아이 다중-스테이지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을 위한 전기적 분리 시스템
KR102629156B1 (ko) 2021-12-14 2024-01-29 (주)엔티아이 다중-스테이지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을 위한 전기적 분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574A (en) Method of automatically washing vehicl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269092B1 (ko) 세차를 위한 장치들이 하우징으로 일체화된 터치리스 세차기
US20210009085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JP4400476B2 (ja) 洗車機
JP4739135B2 (ja) 洗車機における洗車方法
JP2010018216A (ja) 洗車機
JP7316896B2 (ja) 車両処理装置
JP2021070387A (ja) 車両処理装置
JP2524077B2 (ja) 自動洗車装置
JP2843229B2 (ja) 自動洗車装置
JPH06321064A (ja) 自動洗車装置
JP2575588B2 (ja) 自動洗車方法
JP2524076B2 (ja) 自動洗車装置
KR102406539B1 (ko) 이중노즐라인을 갖는 차량용 노브러쉬 자동세차장치
JP7020391B2 (ja) 洗車機
US20240067135A1 (en) Sensor cleaning device
JP7396257B2 (ja) 洗車機
JP6835027B2 (ja) 洗車機
JP7056601B2 (ja) 洗車機
JPH08276830A (ja) 洗車方法及び装置
JP6838579B2 (ja) 洗車機
JPH054263B2 (ko)
JPH11198772A (ja) 洗車装置
JP2017105326A (ja) 洗車装置
JP2024001702A (ja) 洗車機および洗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