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749B1 -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 Google Patents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749B1
KR102268749B1 KR1020200054034A KR20200054034A KR102268749B1 KR 102268749 B1 KR102268749 B1 KR 102268749B1 KR 1020200054034 A KR1020200054034 A KR 1020200054034A KR 20200054034 A KR20200054034 A KR 20200054034A KR 102268749 B1 KR102268749 B1 KR 10226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amine
yeast
vector
protein
recombi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지호
장혜원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 C12N15/81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for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signal seque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Recombinant Yeast containing histamine-binding proteins and yeast surface expression protein}
본 발명은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에 관한 것이다.
히스타민은 즉각적이고 신속한 반응이 필요할 때 주로 분비되는 면역 매개체이다. 이 히스타민은 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조절될 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과다 분비되거나 히스타민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면 체내의 자가 면역 질환을 매개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아토피 및 건선과 같은 피부 질환에서, 이러한 히스타민의 작용은 종종 혈관 확장 및 피부 신경 자극을 매개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항히스타민제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GPCR)의 한 유형인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고, 이를 비활성화시키는 길항제이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두 가지 형태로 변환되고, 히스타민 수용체는 활성화 된 경우에만 작동 할 수 있다. 현재, 항히스타민제 중에서 H1 및 H2 수용체 억제제가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H1 항히스타민제는 널리 사용되며 위장관 감염 및 알레르기 질환뿐만 아니라 구토 안정화, 진정 및 진통에도 사용된다. 특히 H1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성 비염, 두드러기, 과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의 완화를 위해 처방된다. 항히스타민제는 증상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항히스타민제는 주로 알약으로 섭취되며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몸 전체에 퍼진다. 따라서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를 억제시켜 히스타민으로 인한 부작용을 억제한다. 하지만 항히스타민은 히스타민 수용체 외에 다른 수용체에 작용하여 졸음, 피로, 기억 상실 및 주의력 결핍과 같은 중추 신경계 부작용과 변비, 설사, 구역 및 구토와 같은 소화 장애를 유발한다.
흡혈 진드기의 경우 흡혈 시 숙주 동물의 면역반응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Histamine binding protein, HBP)을 분비한다. 분비된 단백질은 히스타민을 내부에 가두어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도록 막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작용이 있는 항히스타민제를 대체하기 위해, 흡혈 진드기에 의해 분비되는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Histamine Binding Protein, HBP)을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효모 표면에서 발현하는 히스타민 결합 재조합 단백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하나의 벡터에 도입하여 발현시킨 결과, 효모의 표면에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histamine binding protein; HBP),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의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형질 전환된 효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형질 전환된 효모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histamine binding protein; HBP),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의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pYES 2일 수 있다.
상기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염기서열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형질 전환된 효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형질 전환된 효모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은 히스타민과 결합하여, 히스타민에 의한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효모 균주 표면에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이 발현 벡터의 개열 지도이다.
도 2는 MBTL-GWL-1 벡터가 발현됐을 시 재조합 효모 균주의 표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형질전환된 효모 내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1차 항체를 재조합 효모에 부착한 한 뒤, 1차 항체에만 부착되는 형광이 달려있는 2차 항체를 부착 시킨 뒤, 형광 현미경으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이 발현된 GWL-1과 1000 ppm 히스타민 수용액을 단순 교반으로 반응시킨 후 LC/MS 분석을 통해 히스타민 농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초음파 분쇄를 통해 재조합 효모 균주를 파쇄시키고 1000 ppm 히스타민 수용액과 단순 교반으로 반응시킨 후 LC/MS 분석을 통해 히스타민 농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효모 표면에서 발현하는 히스타민 결합 재조합 단백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하나의 벡터에 도입하여 발현시킨 결과, 효모의 표면에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histamine binding protein; HBP),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의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핵 미생물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Gly-Ser 링커를 갖는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Cwp2p) 유전자,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Cwp2p)의 신호 펩타이드, HA tag 및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2(Histamine binding protein 2; HBP 2) 유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즈미드를 제조하였다 (도 1). 상기 플라즈미드를 S. cerevisiae 2805에 리튬 아세테이트법으로 형질 전환한 뒤, 갈락토즈 프로모터(galactose promoter)를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였고, 이를 영양 선택적 배지를 통해 MBTL-GWL-1이 형질전환된 효모를 선별하였다 (도 2). 상기MBTL-GWL-1의 Ha tag에 1차 항체를 붙인 후, Green signal인 FITC(Fluorescince isothiocynate)가 달린 2차 Antidody(항체)를 붙여 형광 현미경을 통해 형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MBTL-GWL-1 벡터가 S. cerevisiae 2805에 형질 전환되어 형질 전환된 효모된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도 3). 상기 효모 균주의 표면에 발현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과 히스타민 수용액을 함께 반응시켜 히스타민의 농도 감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세포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히스타민 농도가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상기 세포의 생존 여부에 따른 히스타민 저감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균주가 살았을 때와 죽었을 때 모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상기 벡터는 pYES 2일 수 있다.
상기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 (Cwp2p2)의 신호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형질전환된 효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형질 전환된 효모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의 제작
본 발명은 Rhipicephalus appendiculatus에서 발견한 Histamine binding protein 2 유전자를 효모 표면에서 발현시키기 위해,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Cwp2p)와 이의 신호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먼저 HBP2 단백질의 유전자 합성을 요청하여 서열을 얻었다. HBP2 서열에 원래 존재하는 신호 펩타이드는 배제되었고, 정지 코돈도 배제되었다. 합성된 유전자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함유하는 pBHA 벡터에 제공되었다. 이를 대장균에 형질 전환하여 유전자를 증폭한 후 항생제 함유 배지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배양하였다. 벡터의 증폭을 위해, 재조합 대장균을 항생제 포함한 배지에 배양시킨 후 재조합 벡터를 추출하였다. 재조합 플리스미드는 pYES2 벡터(Introgen, Califonia, USA)에 의해 구축되었다. 먼저, Gly-Ser 링커를 갖는 Cw2p2 유전자를 pYES2벡터에 삽입한 후, 대장균에 넣어 형질 전환시켰으며 배양시켜 상기 벡터를 증폭시켰다. 다음으로 Cwp2p 신호 펩타이드, HA tag를 갖는 HBP2 유전자를 상기 벡터에 삽입하여 벡터를 완성시켰다. 이를 MBTL-GWL-1이라 명명했다 (도 1). 또한 완성된 플라스미드를 HBP seq-F-552(5-TGA GTA CGC TGT AGG TAG GG-3’) 및 HBP2 seq R-658 (5-ATG GCG GCA GCG GAT TCA GA-3’)의 2개의 시퀀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염기 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본 발명의 유전자의 염기서열
염기 서열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Cwp2p ; 서열번호 2) GAATCCGCTGCCGCCATTTCTCAAATCACTGACGGTCAAATCCAAGCTACTACCACTGCTACCACCGAAGCTACCACCACTGCTGCCCCATCTTCCACCGTTGAAACTGTTTCTCCATCCAGCACCGAAACTATCTCTCAACAAACTGAAAATGGTGCTGCTAAGGCCGCTGTCGGTATGGGTGCCGGTGCTCTAGCTGCTGCTGCTATGTTGTTATAA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Cwp2p)의
신호 펩타이드
(서열번호 3)
ATGCAATTCTCTACTGTCGCTTCCGTTGCTTTCGTCGCTTTGGCTAACTTTGTTGCCGCT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2(Histamine binding protein 2; 서열번호 1) AATCAGCCAGATTGGGCCGATGAAGCGGCAAATGGTGCACACCAAGACGCCTGGAAGAGTCTGAAAGCGGACGTTGAAAACGTTTACTACATGGTGAAGGCCACCTATAAGAATGACCCAGTGTGGGGCAATGACTTCACTTGCGTGGGTGTTATGGCAAATGATGTCAACGAGGATGAGAAGAGCATTCAAGCAGAGTTTTTGTTTATGAATAATGCTGACACAAACATGCAATTCGCCACTGAAAAGGTGACTGCTGTTAAAATGTATGGTTACAATAGGGAAAACGCCTTCAGATACGAGACGGAGGATGGCCAAGTTTTCACAGACGTCATTGCATACTCTGATGACAACTGCGATGTCATCTACGTTCCTGGCACAGACGGAAATGAGGAAGGTTACGAACTATGGACTACGGATTACGACAACATTCCAGCCAATTGTTTAAATAAGTTTAATGAGTACGCTGTAGGTAGGGAGACAAGGGATGTATTCACAAGTGCTTGCCTAGAG
HA tag
(서열번호 4)
TACCCATACGACGTTCCAGACTACGCT
실시예 2. 상기 제작한 벡터를 형질전환한 세포 표면에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의 발현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진핵 미생물인 S. cerevisiae 2805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MBTL-GWL-1 벡터를 S. cerevisiae 2805에 리튬 아세테이트법으로 형질 전환하여 재조합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S. cerevisiae 2805에서 MBTL-GWL-1를 벡터 내 갈락토즈 프로모터(galactose promoter)를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였고, 이를 영양 선택적 배지를 통해 MBTL-GWL-1이 형질전환된 효모를 선별하였다 (도 2). 상기 MBTL-GWL-1벡터가 들어간 재조합 효모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HA tag를 이용하여 면역 형광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재조합 효모를 갈락토즈를 넣어 배양하여 상기 벡터의 발현을 유도시킨 후, 1차 항체가 HA tag가 아닌 다른 부분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 Bovin Serum Albumin을 이용하고, 1차 항체를 재조합 효모에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1차 항체에만 부착되는 형광이 달려있는 2차 항체를 부착시킨 후 형광 현미경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다 (도 3). 그 결과, MBTL-GWL-1 벡터가 S. cerevisiae 2805에 형질 전환되어, 형질전환 되지 않은 효모(Mock)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형광이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이 발현된 미생물에 히스타민 수용액과 반응 및 히스타민의 농도의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효모 균주의 표면에 발현된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과 히스타민 수용액을 함께 반응시켜 히스타민의 농도 감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재조합 효모를 배양 후 갈락토즈를 넣어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였다.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이 발현된 GWL-1과 1000 ppm 히스타민 수용액을 단순 교반으로 반응시킨 후 LC/MS 분석을 통해 히스타민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공벡터만 들어간 Mock, 표면 발현 단백질만 들어간 GWL-0를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은 증류수로 세척한 재조합 효모 균주와 히스타민 수용액을 상온에서 단순 교반에 의해 이루어지고, 효모 균주의 농도 (도 4)에 따른 히스타민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단백질 발현 유도한 배양액 10 ml (1X) 을 기준으로 5 ml (1/2X), 2.5 ml (1/4X)의 원심 분리하여 반응한 결과, 세포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히스타민 저감 능력 또한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도 4). 또한 상기 세포의 생존 여부에 따른 히스타민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초음파 분쇄를 통해 재조합 효모 균주를 파쇄 시키고 1000 ppm 히스타민 수용액과 단순 교반으로 반응시킨 후 LC/MS 분석을 통해 히스타민 농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균주가 살았을 때와 죽었을 때 모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110>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20> Recombinant Yeast containing histamine-binding proteins and yeast surface expression protein <130> 1067284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1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stamine binding protein 2 <400> 1 aatcagccag attgggccga tgaagcggca aatggtgcac accaagacgc ctggaagagt 60 ctgaaagcgg acgttgaaaa cgtttactac atggtgaagg ccacctataa gaatgaccca 120 gtgtggggca atgacttcac ttgcgtgggt gttatggcaa atgatgtcaa cgaggatgag 180 aagagcattc aagcagagtt tttgtttatg aataatgctg acacaaacat gcaattcgcc 240 actgaaaagg tgactgctgt taaaatgtat ggttacaata gggaaaacgc cttcagatac 300 gagacggagg atggccaagt tttcacagac gtcattgcat actctgatga caactgcgat 360 gtcatctacg ttcctggcac agacggaaat gaggaaggtt acgaactatg gactacggat 420 tacgacaaca ttccagccaa ttgtttaaat aagtttaatg agtacgctgt aggtagggag 480 acaagggatg tattcacaag tgcttgccta gag 513 <210> 2 <211> 2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wp2p <400> 2 gaatccgctg ccgccatttc tcaaatcact gacggtcaaa tccaagctac taccactgct 60 accaccgaag ctaccaccac tgctgcccca tcttccaccg ttgaaactgt ttctccatcc 120 agcaccgaaa ctatctctca acaaactgaa aatggtgctg ctaaggccgc tgtcggtatg 180 ggtgccggtg ctctagctgc tgctgctatg ttgttataa 219 <210> 3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wp2p signal peptide <400> 3 atgcaattct ctactgtcgc ttccgttgct ttcgtcgctt tggctaactt tgttgccgct 60 60 <210> 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 tag <400> 4 tacccatacg acgttccaga ctacgct 27

Claims (6)

  1. (a) 서열번호 1의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2 (HBP2)의 유전자를 pBHA 벡터에 도입하고, 제조된 벡터로 대장균을 형질전환시키고 배양하여 상기 pBHA 벡터를 증폭시키고 추출하는 단계;
    (b) pYES2 벡터에 Gly-Ser 링커를 갖는 서열번호 2의 효모 표면 단백질 Cwp2p의 유전자를 삽입한 후, 제조된 벡터로 대장균을 형질전환시키고 배양하여 벡터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제조된 벡터에 서열번호 3의 Cwp2p 신호 펩타이드 서열, 서열번호 4의 HA tag를 갖는 HBP2 유전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재조합 벡터.
  3. 제2항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효모.
  4. 제3항의 형질전환된 효모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3항의 형질전환된 효모를 배양하고, 초음파 분쇄를 통해 상기 효모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히스타민용 조성물.



KR1020200054034A 2020-05-06 2020-05-06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KR10226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34A KR102268749B1 (ko) 2020-05-06 2020-05-06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34A KR102268749B1 (ko) 2020-05-06 2020-05-06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749B1 true KR102268749B1 (ko) 2021-06-23

Family

ID=7659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34A KR102268749B1 (ko) 2020-05-06 2020-05-06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7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948B1 (ko) * 1995-02-18 1998-08-01 김은영 효모로부터 재조합 인간 안티트립신-α-1 단백질을 발현 분비시키기 위한 벡터
WO2009141621A1 (en) * 2008-05-21 2009-11-26 Varleigh Limited Histamine binding protein
WO2014157141A1 (ja) * 2013-03-25 2014-10-02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細胞表層発現用ポリヌクレオチド
KR20170053537A (ko) * 2015-11-06 2017-05-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의 에피토프 단백질,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948B1 (ko) * 1995-02-18 1998-08-01 김은영 효모로부터 재조합 인간 안티트립신-α-1 단백질을 발현 분비시키기 위한 벡터
WO2009141621A1 (en) * 2008-05-21 2009-11-26 Varleigh Limited Histamine binding protein
WO2014157141A1 (ja) * 2013-03-25 2014-10-02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細胞表層発現用ポリヌクレオチド
KR20170053537A (ko) * 2015-11-06 2017-05-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의 에피토프 단백질,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 et al. High-throughput insertion mutagenesis and functional screening in the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CN86107108A (zh) 毕赤属酵母基因组选择性定点修饰
CN1225125A (zh) 用于将木糖发酵为乙醇的稳定的重组酵母
EP1951877B1 (en) Translational elongation factor promoter from pichia pastori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ombinant protein using the same
KR102186997B1 (ko) 단백질 정제의 신규한 방법
WO2023045682A1 (zh) 一种提高多肽可溶性表达产量的方法
CN112695054A (zh) 一种高表达几丁质酶内生真菌枫香拟茎点霉的构建方法和应用
KR102268749B1 (ko) 히스타민 결합 단백질 및 효모 표면 발현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효모
CN115975004A (zh) 一种重组人纤连蛋白、其制备方法和应用
JPH0671432B2 (ja) ヒト血清アルブミンの製造方法
Thean et al. To plate or to simply unfreeze, that is the question for optimal plasmid extraction
CN109852650B (zh) 一种由茶碱调控的人工适体酶及应用
US20110033893A1 (en) Improved methods for protein production
Suzuki et al. GFP-tagged exp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me histidine kinases of Aspergillus nidulans show temporally and spatially different expression during the life cycle
NO173452B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polypeptider i streptomyceter
CN1924001A (zh) 用甲基营养酵母生产人热休克蛋白70的方法
CA2573130A1 (en) Isolated fungal promoters and gene transcription terminators and methods of protein and chemical production in a fungus
KR100947376B1 (ko) 이스트 gal80 결핍주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방법
CN114806992B (zh) 一种rsh过表达基因工程淀粉酶产色链霉菌及提高丰加霉素发酵产量的方法
CN1206343C (zh) 利用丁香假单胞菌制备假单胞霉素
CN114317385B (zh) 一种促进her2亲和体蛋白分泌表达的发酵培养基及发酵工艺
CN114671934B (zh) 桃蛀螟抗菌肽、基因及其产品与应用
CN113846041B (zh) 增强转运蛋白基因的表达以提高盐霉素发酵水平的方法
CN115838712B (zh) 具有肌肽水解酶功能的蛋白酶及其在l-肌肽合成中的应用
CN118006655A (zh) 提高克拉维酸发酵水平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