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437B1 -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437B1
KR102268437B1 KR1020210060065A KR20210060065A KR102268437B1 KR 102268437 B1 KR102268437 B1 KR 102268437B1 KR 1020210060065 A KR1020210060065 A KR 1020210060065A KR 20210060065 A KR20210060065 A KR 20210060065A KR 102268437 B1 KR102268437 B1 KR 10226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low
minutes
fixing ag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숙
Original Assignee
강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숙 filed Critical 강인숙
Priority to KR1020210060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55Compounds containing ammonium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4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macromolecular substanc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73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 시 저온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조된 것으로서, 적은 횟수의 수세 과정을 통해서도 충분한 염료의 분산 및 제거가 가능하고, 염색견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온도와 적은 횟수의 수세과정을 필요로 하는 탈염색성이 우수한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Highest fixing agent for dyeing at low temperature and low water frequenc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섬유 염색시 사용되는 고착제로서, 섬유의 염색시 기존의 고착제보다 5℃ ~ 20℃로 낮은 온도(저온(低溫))와, 기존 고착제 보다 1.5 ~ 2.5배 낮은 수세 횟수(저(低)수세횟수)로 염색이 가능하여, 적은 횟수의 수세 과정을 통해서도 충분한 염료의 분산 및 제거가 가능하고, 염색견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섬유공장에서도 사용 용수 절감과 사용 에너지 절감을 통해 원가 절감과 폐수 절감 효과를 거두려는 추세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사용 용수 절감이 가능한 고착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고착제는, 모든 섬유제품에 필수적으로 염색 공정에서 사용되며, 원단에 부착된 이물질(지방계열)이 제거된 원단에 염료를 원단 표면을 개질화 시킨 후 염료를 고착화 하여 염색을 우수하게 반응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착제는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Polyacrylamide)와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고급 섬유제품 양이 증가함에 따라 디시안 디아미이드에서 아크릴아마이드로 대체되고 있다.
염색에서 염색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재가공이 매우 까다로우며 특히, 면섬유가공 업체에서는 염색 불량에 의한 불량률이 10 % 이상 발생되는 등 애로사항이 있고 또한 염색 중 고온으로 가열 하여야 하며, 여러 번의 수세 과정을 거쳐야 하여 큰 환경 파괴를 야기한다.
그리하여, 낮은 온도와 적은 횟수의 수세 과정을 거치는 고착제가 많이 출시되고 있지만 염료가 염색 용액 속에서 완전히 분산되지 않으며, 표면에 지방산이 제대로 탈착되지 않고 표면이 제대로 개질화 되지 않아 완전한 염색이 일어나지 않은 문제점이 재차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77625(등록일자:2020년02월10일)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염색 시 저온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조하고, 적은 횟수의 수세 과정을 통해서도 충분한 염료의 분산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염색견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1로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과 뷰톡시에탄올(2-butoxy ethanol) 0.1 ~ 1.0 wt%을 투입한 후 10 ~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S10)와,
상기 1차 교반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 을 투입하여 5 ~ 2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S20)와,
상기 2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25 ~ 35분 동안 3차 교반하는 단계(S30)와,
상기 3차 교반된 반응기에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 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를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4차 교반하는 단계(S40)와,
상기 4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5차 교반하는 단계(S50)와,
상기 5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30.0 ~ 60.0 wt%를 재차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최종 교반하는 단계(S60)와,
상기 최종 교반이 완료된 후 pH 및 당도 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2로서,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과 뷰톡시에탄올(2-butoxy ethanol) 0.1 ~ 1.0 wt%을 투입한 후 10 ~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S10')와,
상기 1차 교반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 을 투입하여 5 ~ 2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S20')와,
상기 2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와 카제인 분말 0.1 ~ 2.0 wt% 및 키토산 분말 0.1 ~ 2.0 wt%을 투입하여 25 ~ 35분 동안 3차 교반하는 단계(S30')와,
상기 3차 교반된 반응기에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 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를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4차 교반하는 단계(S40')와,
상기 4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5차 교반하는 단계(S50')와,
상기 5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30.0 ~ 60.0 wt%를 재차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최종 교반하는 단계(S60')와,
상기 최종 교반이 완료된 후 pH 및 당도 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 ~ 1.0 wt%와,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와,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와,
물(H20) 70.0 ~ 90.0 wt%을 혼한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키토산 분말과 카제인 분말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와,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 ~ 1.0 wt%와,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와,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와, 카제인 분말 0.1 ~ 2.0 wt%와, 키토산 분말 0.1 ~ 2.0 wt%와, 물(H20) 70.0 ~ 90.0 wt%을 혼합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스트 고착제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의 개질화, 및 저온반응에 따른 반응속도증가를 통해, 섬유의 염색시 기존의 고착제보다 5℃ ~ 20℃로 낮은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절온효율을 기존에 비해 70 %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에 비해 80% 뛰어난 세탁견뢰도를 가진 염색원단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의 색상변화시키는 부반응억제효과로 인해, 기존에 비해 2 ~ 4배의 뛰어난 색상 선명도를 가질 수 있다.
넷째. 기존 고착제 보다 1.5 ~ 2.5배 낮은 수세 횟수로 염색이 가능하여, 적은 용수사용으로 인해 절수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낮은 온도와 적은 횟수의 수세 과정을 필요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공정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에서 하이스트(highest)의 의미는 최고라는 뜻이란 본 출원인이 독창적으로 발명한 것으로서, 절온 효율을 기존에 비해 70 %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존에 비해 80 % 뛰어난 세탁견뢰도를 가진 염색원단을 얻을 수 있어 최고 효율의 고착제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물을 재차(再次) 투입한다는 것에서 재차(再次)는 "거듭하여 다시", "한번 더" 라는 의미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로서,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과 뷰톡시에탄올(2-butoxy ethanol) 0.1 ~ 1.0 wt%을 투입한 후 10 ~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S10)와,
상기 1차 교반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 을 투입하여 5 ~ 2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S20)와,
상기 2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25 ~ 35분 동안 3차 교반하는 단계(S30)와,
상기 3차 교반된 반응기에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 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를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4차 교반하는 단계(S40)와,
상기 4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5차 교반하는 단계(S50)와,
상기 5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30.0 ~ 60.0 wt%를 재차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최종 교반하는 단계(S60)와,
상기 최종 교반이 완료된 후 pH 및 당도 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1차 교반하는 단계(S10)]
본 S10단계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20g/mol인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과,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10 ~ 30분 동안 1차 교반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은 알칼리 촉매 하에서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중합시켜 제조되고, 개시제로서는 낮은 분자량의 di, polyfunctional 알코올 또는 아민이 사용된다. 결합구조상 에테르 타입은 에스테르 타입보다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은 화학식 BuOC₂H₄OH의 유기 화합물이다. 무색 액체로서, 글리콜 에테르 계열에서 유래하여 단 에테르 같은 냄새를 갖는다.
상기 S10단계에서는 반응기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420g/mol인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를 먼저 투입하는 이유는 교반시 점도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둘 모두 극성기를 가지고 있어 용해가 편하게 진행된다.
상기 S10단계에서 교반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에는 교반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추후 용제들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30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용액 내부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교반시간은 10 ~ 30분의 한정 범위 내로 한정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420g/mol인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의 사용량은 하이스트 고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비 0.1 ~ 1.0 wt%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의 사용량이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용액의 점도가 묽어서 사용이 불편하며, 원단에 염료가 제대로 분산되지 않으며,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불편하고 수세과정에서 물질이 모두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wt%를 사용하는 것이 용액의 점도가 묽은 문제와, 점도가 높아 불편하고 수세과정에서 물질이 모두 제거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효율이 가장 좋다.
상기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은 용액의 희석성을 증가시키며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은 하이스트 고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비 0.1 ~ 1.0 wt%가 사용된다.
상기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은 하이스트 고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비 사용량이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완전하게 희석되지 않아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분순물 외 원단의 내구성 감소가 발생하므로, 상기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의 사용량은 저온용 하이스트 고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비 0.1 ~ 1.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 wt%를 사용하는 것이 제품이 완전하게 희석되지 않아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제품의 분순물과 원단의 내구성 감소가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효율이 가장 좋다.
[2차 교반하는 단계(S20)]
본 S20단계는 상기 1차 S10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420g/mol인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가 1차 교반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을 더 투입하여 5 ~ 20 분 동안 2차 교반을 실시한다.
또한, 황산 나트륨은 Na2SO₄ 화학식을 지니는 나트륨의 황산염이다. 유리, 군청 따위의 제조에 쓰이며 빛깔이 없는 단사 정계의 결정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S10단계에서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의 교반 과정을 거친 후, S20단계에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를 투입하여 고체 용제를 용해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해가 충분히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20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제일 바람직하게는 15 분간 교반하는 것이 용해에 있어서 충분하며, 기포 또한 작게 발생하여 작아 제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은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0.1 ~ 1.0 wt%를 사용한다.
상기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은 원단에 제거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원단에 제거되지 않은 불순물이 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단에 손상과 추후 수세과정에서 모두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의 사용량은 저온용 하이스트 고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 1.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wt%를 사용하는 것이 추후 수세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지 않는 문제와, 불순물이 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의 발생이 큰 폭 낮아져 제일 바람직하다.
[3차 교반하는 단계(S30)]
본 S3단계는 상기 S2단계에서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이 2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을 투입하여 25 ~ 35분 동안 3차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교반 시간이 25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해가 충분히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35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교반시간은 25 ~ 35분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 분간 교반하는 것이 효율적인 용해를 이루어 제일 바람직하다.
또한, 본 S30단계에서 투입되는 물(H2O)의 사용량은 1.0 ~ 20.0 wt%를 사용한다. 상기 본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물은 용매의 종류가 상이하여 녹아있는 고체인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의 석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S30단계에서 투입되는 물(H2O)의 사용량이 1.0 wt% 미만이면 이거나 20 .0 wt%를 초과하면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의 석출을 방지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서, 30단계에서 투입되는 물(H2O)의 사용량은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1.0 ~ 20.0 wt%로 한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0 wt%를 사용하는 것이 녹아있는 고체인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에 제일 효율적이므로서, 제일 바람직하다.
[4차 교반하는 단계(S40)]
상기 물(H2O)이 3차 교반된 반응기에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 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를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4차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는 분자식 C24H54Cl3N3X2 밀도 1.09 g/mL at 25 °C, 굴절률 n20/D 1.417, 인화점 100 °C로서, 구조식은 하기와 같다.
[구조식]
Figure 112021053759455-pat00001
본 S40단계 에서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이유는 용매가 충분히 희석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S3단계에서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이 물과 충분히 교반 된 후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40단계에서 교반시간이 55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액이 완전히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65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교반 시간은 55 ~ 65분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분간 교반하는 것이 용액을 완전히 혼합하여 제일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는 고착제로써 표면을 개질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저온반응이 가능하여 반응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교반에 의해 색상을 변화시키는 부반응을 억제시켜준다. 이로 인해, 섬유의 염색시 기존의 고착제보다 5℃ ~ 20℃로 낮은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절온효율을 기존에 비해 70%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비해 2 ~ 4배의 뛰어난 색상 선명도를 가질 수 있다.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9.0 wt%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이 개질화 되지 않아 염색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29.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불편하고 수세과정에서 물질이 모두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서,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9.0 wt% ~ 29.0 wt%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는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20 wt%를 사용하는 것이 표면 개질 효율에 제일 바람직하다.
[5차 교반 단계(S50)]
상기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이 4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을 다시 점차적으로 투입하여 5차 교반을 실시한다. 이때, 물(H2O)을 반응기에 점차적으로 투입하면서 55 ~ 65분 동안 교반을 실시한다.
본 S50 단계에서는 물(H₂O)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 대비 1.0 ~ 20.0 wt%를 점차적으로 서서히 투입한다. 그 이유는 점도가 다른 용매가 교반될 때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물(H2O)이 투입되는 속도는 1L/h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wt%를 투입하고, 그 이유는 용액과 충분히 혼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S50단계에서 물(H2O)의 교반시간이 55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액이 완전히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65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교반시간은 55 ~ 65분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분간 교반하는 것이 용액의 완전 혼합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최종 교반하는 단계(S60)]
본 S60 단계는 상기 5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을 또 다시 점차적으로 서서히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최종 교반을 실시하고, S50 단계에서 S60단계까지 두차례에 걸쳐 물(H2O)을 투입하는 이유는 용제들에 충분한 희석을 위함이다.
본 S60 단계에서 물(H₂O)을 서서히 투입하는 이유는 점도가 다른 용매가 교반될때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물(H2O)이 투입되는 속도는 1L/h이다
또한, 상기 교반시간이 55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액이 완전히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65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교반시간은 55 ~ 65분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분간 교반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S60 단계의 물(H20)은 용매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3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용제들이 희석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6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하이스트 고착제의 특성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물(H20)의 사용량은 하이스트 고착제 전체 중량에 대해 30.0 ~ 60.0 wt%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58.82 wt%를 사용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S70)]
상기 최종 교반이 완료된 후 pH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로서, 제조된 하이스트 고착제의 적정 pH 및 당도는 pH 7.0±0.1, 당도 21.5±0.5 brix 이다.
여기서, pH는 pH측정기로 측정하고, 당도는 비파괴식 당도계 또는 굴절당도계, 컴팩트 디지털 굴절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측정한다. 상기 당도는 와인과 비슷한 당도를 갖는다.
상기 pH가 상기 7.0±0.1범위 미만 또는 초과 변화할 경우 섬유와 염료간의 빠른 화학결합에 의한 염색 불균염, 염료가수분해 촉진 등 색상재현성불량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총 조성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 420g/mol인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 ~ 1.0 wt%와,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와,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와, 물(H20) 70.0 ~ 90.0 wt%을 혼한 교반하는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 420g/mol인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5 wt%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8 wt%와,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5 wt%와,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20.0 wt%와, 물(H20) 78.82wt%을 혼한 교반한다.
또한, 상기 물(H20)은 실시예1의 하이스트 고착제 제조방법와 동일하게 3차례의 걸쳐 나누어서 투입한다.
이로써, 종래 사용되던 고착제로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20 wt%, 가성소다(NaOH) 1 wt%,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5 wt%, 물(H20) 74 wt%으로 구성되는 제품(FIX-755)과 비교하여 볼 때, 종래 사용되던 고착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단 섬유 1kg당 70L의 양의 물과, 90 ~ 95 ℃의 온도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하이스트 고착제는 원단 섬유 1kg당 30L양의 물과 70 ~ 95 ℃온도 범위 내에서 제약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더 적은 용수와 더 낮은 온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낮은 온도와 적은 횟수의 수세과정을 거치면서도 염료가 염색 용액 속에서 완전히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표면에 지방산이 제대로 탈착되지 않고 표면이 제대로 개질화 되지 않아 완전한 염색이 일어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각각 다른 배합비를 갖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의 제조방법을 통한 비교예1 내지 비교예4를 살펴보도록 한다.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조성물 - 비교예 1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6 wt% 및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9 wt%을 혼합하여 30분 동안 1차 교반하고,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wt%을 투입하여 15분동안 2차 교반한 다음 물(H20) 9.0 wt%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3차 교반하고,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26.0 wt%을 투입하여 60분 동안 4차 교반 한 후 물(H20) 13.0 wt%을 다시 투입하여 10분 동안 5차 교반하면서 물(H20) 50.4 wt%을 재차(再次) 투입하여 60분 동안 최종 교반하여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조성하고 상기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통해 염색공정을 실시하였다.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조성물 - 비교예 2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5 wt% 및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8 wt%을 혼합하여 30분 동안 1차 교반하고,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wt%을 투입하여 15분 동안 2차교반 한 다음 물(H20) 9.0 wt%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3차 교반하고,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20 wt%을 투입하여 60분 동안 4차 교반 한 후 물(H20) 10.0 wt%을 다시 투입하여 10분 동안 5차 교반하면서 물(H20) 59.6 wt% 을 재차(再次) 투입하여 60분 동안 최종 교반하여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조성하고 상기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통해 염색공정을 실시하였다.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조성물 - 비교예 3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5 wt% 및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8 wt%을 혼합하여 30분 동안 1차 교반하고,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5 wt%을 투입하여 15분 동안 2차 교반한 다음 물(H20) 10.0 wt%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3차 교반하고,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20.0 wt%를 투입하여 60분 동안 4차 교반 한 후 물(H20) 10.0 wt%을 다시 투입하여 10분 동안 5차 교반하면서 물(H20) 58.82 wt%를 재차(再次) 투입하여 60분 동안 최종 교반하여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조성하고 상기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통해 염색 공정을 실시하였다.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조성물 - 비교예 4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3 wt% 및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2 wt%을 혼합하여 30분 동안 1차교반 하고,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3 wt%을 투입하여 15분 동안 2차 교반한 다음 물(H20) 15.0 wt%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3차교반하고,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28.0 wt%를 투입하여 60분 동안 4차 교반 한 후 물(H20) 15.0 wt%을 다시 투입하여 10분 동안 5차 교반하면서 물(H20) 41.28 wt%를 재차(再次) 투입하여 60분 동안 최종 교반하여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조성하고 상기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를 통해 염색공정을 실시하였다.
이하, 상기 각각의 비교예에 따른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의 시험예 1을 살펴보도록 한다.
[시험예 1]
본 시험의 원단 섬유는 1 kg당 30 L양의 물과 70 ℃의 온도에서 염색 공정을 실시하여 제조된 섬유제품을 통한 세탁 견뢰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섬유제품에 대해 45 ℃ 에서 30분간 4 %의 세제를 사용하였으며, 10개의 스틸 볼을 삽입하여 세탁하였다. 상기 세탁에 대한 색상의 변퇴 정도와 오염 정도를 총 1등급(효율낮음) 내지 5등급(효율높음)으로 구분하여 표 1에 표시하였다.
섬유원단 비교예1
level
비교예2
level
비교예3
level
비교예4
level


오염도
(pollution level)
아세테이트(acetate) 4 4 5 4
코튼(cotton) 4 5 5 5
나일론(nylon) 5 4 5 4
울(wool) 4 4 5 4



변퇴도
아세테이트(acetate) 5 5 5 4
코튼(cotton) 4 5 5 5
나일론(nylon) 5 5 5 5
울(wool) 5 4 5 5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오염도 및 변퇴도에 대한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비교예3의 등급이 제일 높게 나타나 비교예3이 변퇴 정도와 오염 정도 효율이 제일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2로서,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나, 카제인 분말과 키토산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카제인 분말은 우유에 아세트산을 넣고 70 ~ 100 ℃로 가열한 후, 칼슘 이온을 둘러싸고 있던 카제인을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하고, 상기 바닥에 가라 앉은 카제인을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불용물을 제거한 후 55 ℃를 넘지 않는 온도에서 통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얻은 카제인 분말을 포함하여 개선된 염착성과 견뢰도를 갖는다.
키토산 분말을 설명하기 앞서, 키토산 분말은 새우, 게 곤충 등의 갑각류 껍질에 단백질과 복합체로서 존재하는 키틴을 진한 알칼리로 탈아세틸화하여 얻어지며 다수의 아미노산을 갖는 양이온성 다당이다. 키틴은 셀룰로오스와 비슷한 화학구조로서 n-아세틸 글루코사민이 결합되어 있는 아미노산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라노오스환의 위치에 키틴은 n-아세틸기 키틴의 탈아세틸화물인 키토산 아미노기가 결합되어 있다.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생성되는 키토산은 아세틸아민기가 1차 아민으로 유리되어 나오면서 키틴에 비하여 반응성 친수성이 증가하여 키틴이 대부분의 용매에 불용성을 보이는 반면 키토산은 산성 조건에서 쉽게 용해된다. 고착제로서 키토산은 구조중의 아민기가 전자 공여체로 작용하여 섬유에 염색시 시료와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염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 분말 제조방법으로는. 새우, 게 곤충 등의 갑각류 껍질 게껍질을 1 ~ 3 cm 크기로 절단한 후 분쇄하여 20 mesh 체를 통과한 분말 형태로 껍질분말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껍질 분말을 실온에서 HCl 수용액에 5 ~ 6시간 처리한 후, 증류수로 충분히 씻어낸 후, 여과하여 40 ~ 43 ℃에서 건조시킨 후 상기 건조물을 4 % NaOH 수용액으로 13 ~ 15℃ 에서 24시간 처리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씻어내어 건조하여 키틴을 얻는다. 그 후, 상기 키틴을 NaOH 수용액으로 110℃에서 1시간 동안 탈아세틸화 반응을 행하여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 천연성분인 카제인 분말과 키토산을 분말을 포함하면서 염착성과 견뢰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과 뷰톡시에탄올(2-butoxy ethanol) 0.1 ~ 1.0 wt%을 투입한 후 10 ~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S10')와,
상기 1차 교반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 을 투입하여 5 ~ 2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S20')와,
상기 2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와 카제인 분말 0.1 ~ 2.0 wt% 및 키토산 분말 0.1 ~ 2.0 wt%을 투입하여 25 ~ 35분 동안 3차 교반하는 단계(S30')와,
상기 3차 교반된 반응기에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 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를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4차 교반하는 단계(S40')와,
상기 4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5차 교반하는 단계(S50')와,
상기 5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30.0 ~ 60.0 wt%를 재차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최종 교반하는 단계(S60')와,
상기 최종 교반이 완료된 후 pH 및 당도 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키토산 분말과 카제인 분말을 더 포함하는 하이스트 고착제의 총 조성물은,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와,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 ~ 1.0 wt%와,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와,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와, 카제인 분말 0.1 ~ 2.0 wt%와, 키토산 분말 0.1 ~ 2.0 wt%와, 물(H20) 70.0 ~ 9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또한, 상기 물(H20)은 실시예2의 하이스트 고착제 제조방법와 동일하게 3차례의 걸쳐 나누어서 투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는 염료 탈착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고착제보다 더 낮은 처리온도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더 적은 용수의 사용으로 인하여 폐수의 양과 에너지 사용량을 낮춰 하이스트적이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Claims (6)

  1.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과 뷰톡시에탄올(2-butoxy ethanol) 0.1 ~ 1.0 wt%을 투입한 후 10 ~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S10)와,
    상기 1차 교반된 반응기에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 을 투입하여 5 ~ 2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S20)와,
    상기 2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25 ~ 35분 동안 3차 교반하는 단계(S30)와,
    상기 3차 교반된 반응기에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 체(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를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4차 교반하는 단계(S40)와,
    상기 4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1.0 ~ 20.0 wt%을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5차 교반하는 단계(S50)와,
    상기 5차 교반된 반응기에 물(H2O) 30.0 ~ 60.0 wt%를 재차 투입하여 55 ~ 65분 동안 최종 교반하는 단계(S60)와,
    상기 최종 교반이 완료된 후 pH 및 당도 검사 과정을 거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S50 단계 및 S60 단계의 물(H2O)이 반응기 내(內)에 투입되는 속도는 점도가 다른 용매가 교반될 때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1L/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제조방법.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S70 단계의 적정 pH는 7.0±0.1이고, 당도 21.5±0.5 B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제조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S30단계는,
    3차 교반 중 카제인 분말 0.1 ~ 2.0 wt% 및 키토산 분말 0.1 ~ 2.0 wt%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제조방법.
  5.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ther polyol) 0.1 ~ 1.0 wt%와,
    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0.1 ~ 1.0 wt%와,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0.1 ~ 1.0 wt%와,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호모중합체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9.0 ~ 29.0 wt%와,
    물(H20) 70.0 ~ 9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하이스트 고착제는,
    카제인 분말 0.1 ~ 2.0 wt% 및 키토산 분말 0.1 ~ 2.0 wt%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KR1020210060065A 2021-05-10 2021-05-10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65A KR102268437B1 (ko) 2021-05-10 2021-05-10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65A KR102268437B1 (ko) 2021-05-10 2021-05-10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437B1 true KR102268437B1 (ko) 2021-06-22

Family

ID=7660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065A KR102268437B1 (ko) 2021-05-10 2021-05-10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4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080A (ja) * 1984-03-30 1985-10-21 花王株式会社 湿潤摩擦染色堅牢度向上剤
JPS648756B2 (ko) * 1980-03-11 1989-02-15 Nippon Senka Kogyo Kk
JP2008509231A (ja) * 2004-05-30 2008-03-27 コルニット ディジタル リミテッド インク組成物
JP2020019173A (ja) * 2018-07-31 2020-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処理液組成物、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および布帛
KR102077625B1 (ko) 2018-11-07 2020-02-14 (주)네오켐 섬유염색용 수세절감 고착제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756B2 (ko) * 1980-03-11 1989-02-15 Nippon Senka Kogyo Kk
JPS60209080A (ja) * 1984-03-30 1985-10-21 花王株式会社 湿潤摩擦染色堅牢度向上剤
JP2008509231A (ja) * 2004-05-30 2008-03-27 コルニット ディジタル リミテッド インク組成物
JP2020019173A (ja) * 2018-07-31 2020-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処理液組成物、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および布帛
KR102077625B1 (ko) 2018-11-07 2020-02-14 (주)네오켐 섬유염색용 수세절감 고착제 및 그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siszár et al. Enzymes and chelating agent in cotton pretreatment
EP3045573A1 (en) Cellulose nanofibers, method for producing same, aqueous dispersion using cellulose nanofibers,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US10426184B1 (en) Seaweed me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760412A (zh) 再生竹纤维素纤维的制造方法
CN111560079B (zh) 一种Iota卡拉胶胶液的制备方法
DE69918171T2 (de) Wäschebehandlung
KR102281214B1 (ko) 해조 가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6145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인피섬유 및 그 제조방법
DE60123377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n, filmen und anderen produkten aus modifizierter löslicher zellulose
KR102268437B1 (ko) 저온·저수세횟수형 염색용 하이스트 고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31776A (zh) 一种环保皂洗剂
Kvarnlof et al. Enzymatic treatment to increase the reactivity of a dissolving pulp for viscose preparation
KR20120039808A (ko) 친환경 섬유의 천연염색방법
CN102277736A (zh) 高耐碱丝光渗透精炼剂
CN107522797B (zh) 一种低粘度高持水性琼脂的生产工艺
CN111518227B (zh) 一种琼脂胶液的制备方法
CN104988779A (zh) 沙柳纳米纤维素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796112B (zh) 一种超细旦涤纶拉伸丝的抗菌加工工艺
US2074339A (en) Preparation of cellulosic material
CN1118477C (zh) 壳聚糖的制备方法
KR20230164084A (ko) 용해 방법
CN108330565A (zh) 一种吸热甲壳素纤维的制备方法
CN108560262A (zh) 一种湿摩擦牢度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24760A (ko) 해조류 유래 천연 복합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E69628311T3 (de) Verhütung des verschmierens beim stone-wa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