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049B1 -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049B1
KR102268049B1 KR1020200177887A KR20200177887A KR102268049B1 KR 102268049 B1 KR102268049 B1 KR 102268049B1 KR 1020200177887 A KR1020200177887 A KR 1020200177887A KR 20200177887 A KR20200177887 A KR 20200177887A KR 102268049 B1 KR102268049 B1 KR 10226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electric vehicle
input means
control means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평훈
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이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이브이
Priority to KR102020017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36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33Rever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외부에 있는 운전자가 전기 자동차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음으로, 차량의 적재함(13)에 적재된 자재를 내려놓거나, 자재를 적재함(13)에 싣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외부에 있는 운전자가 전기 자동차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전기자동차 중에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자동차를 예시한 것으로, 전방에 운전석(11)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에 구비된 조향휠(21) 및 구동휠(22)과, 상기 구동휠(22)에 연결되어 구동휠(2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3)와, 상기 운전석(11)에 구비된 조향핸들(24)과, 상기 구동모터(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며, 본체(10)의 후측에는 적재함(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운전석(11)에는 운전자가 앉기 위한 시트(11a)와, 운전자가 조작하기 위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등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3)는 본체(10)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조향핸들(24)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향휠(21)에 연결된 샤프트(24a)의 상단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조향핸들(24)을 회전시켜 조향휠(2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시트(11a)에 앉은 상태에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및 조향핸들(24)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여 농업에 사용되는 각종 자재를 운반할 때는, 자량을 조금씩 전진시키면서 적재함(13)에 적재된 자재를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운전석(11)에 올라 시트(11a)에 앉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를 운전하여 전기자동차를 전진시키고, 운전석(11)에서 내려와 적재함(13)에 적재된 자재를 바닥에 내려놓고, 다시 운전석(11)에 올라 전기자동차를 전진시키는 것을 반복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05-010043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의 외부에 있는 운전자가 전기 자동차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자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에 구비된 조향휠(21) 및 구동휠(22)과, 상기 구동휠(22)에 연결되어 구동휠(2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3)와, 상기 운전석(11)에 구비된 조향핸들(24)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5)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5)에 연결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입력수단(30)으로부터 전진명령 또는 후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23)를 제어하여 전기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향핸들(24)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향휠(21)에 연결된 샤프트(24a)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25)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30)에는 모드전환스위치(32a)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모드전환스위치(32a)를 조작하여 제어수단(25)이 통상모드와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고정수단(40)을 작동시켜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운전석(11)에는 운전자가 앉도록 된 시트(11a)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1a)에는 시트(11a)에 운전자가 않아있는 것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5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착석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수단(3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무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전후즉에 구비된 근접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구동모터(23)를 구동시켜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때 상기 근접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자동차가 이동하는 방향에 근접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모터(23)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입력수단(30)은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전면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를 포함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25)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둘레면에는 피동기어열(31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는 감지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의 둘레면에는 자성체 재질의 링부재(31c)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상기 링부재(31c)가 부착고정되는 자석부재(12b)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홈(12)의 관통공(12a)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71)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2a)을 통과한 연결와이어(71)의 내측단을 권취하여 케이스(31)가 상기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당기는 윈치(72)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73)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에는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는 구동기어(74a)가 구비된 구동모터(74)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홈(31b)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홈확인수단(7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74)는 전후진구동수단(75)에 의해 상기 결합홈(12)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74a)는 상기 결합홈(12)이 일측에 형성된 장공(12c)을 통해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운전자가 상기 입력수단(30)을 결합홈(12)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권취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윈치(72)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와이어(71)를 권취하여 입력수단(30)이 상기 결합홈(1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감지수단(73)을 통해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의 내부로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윈치(72)를 정지시키고, 상기 감지홈확인수단(76)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구동모터(74)를 구동시켜 상기 입력수단(30)을 회전시켜, 입력수단(30)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음으로, 차량의 적재함(13)에 적재된 자재를 내려놓거나, 자재를 적재함(13)에 싣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 실시예의 입력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를 도시한 것으로, 운전석(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에 구비된 조향휠(21) 및 구동휠(22)과, 상기 구동휠(22)에 연결되어 구동휠(2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3)와, 상기 운전석(11)에 구비된 조향핸들(24)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며, 본체(10)의 후측에는 적재함(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운전석(11)에는 운전자가 앉기 위한 시트(11a)와, 운전자가 조작하기 위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등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3)는 본체(10)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조향핸들(24)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향휠(21)에 연결된 샤프트(24a)의 상단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조향핸들(24)을 회전시켜 조향휠(2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시트(11a)에 앉은 상태에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및 조향핸들(24)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25)에 연결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0)과,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25)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상기 시트(11a)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시트(11a)에 앉는 것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50)와, 상기 본체(10)의 전후즉에 구비된 근접감지센서(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입력수단(30)은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외측면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방 일측에 고정된 것으로, 상기 입력스위치(32)는 유선으로 상기 제어수단(25)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입력스위치(32)는 상기 제어수단(25)에 모드를 전환하도록 하는 모드전환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모드전환스위치(32a)와, 상기 제어수단(25)에 전진명령과 후진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전후진스위치(3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25)은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11)의 시트(11a)에 앉아 상기 전기 자동차를 운전하는 통상모드와, 운전자가 상기 전후진스위치(32b)를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전후진시키는 외부조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통상모드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모드전환스위치(32a)를 조작하여 모드전환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통상모드와 외부조작모드로 번갈아가면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스위치(32b)는 운전자가 버튼을 손으로 누르고 있을 때만 전후진명령을 입력하는 푸쉬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조향핸들(24)의 샤프트의 둘레부에 결합된 상태로 본체(10)에 고정된 제동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25)에 의해 작동제어되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착석감지센서(50)는 상기 시트(11a)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시트(11a)에 앉을 때 시트(11a)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시트(11a)에 앉으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25)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감지센서(60)는 본체(10)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본체(10)의 전후방에 근접되는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25)이 통상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상기 시트(11a)에 앉은 상태에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및 조향핸들(24)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30)의 전후진스위치(32b)를 조작하더라도 전기자동차는 전후진되지 않는다.
그리고, 운전자가 전기자동차를 정차시킨 후, 상기 입력수단(30)의 모드전환스위치(32a)를 조작하여 모드전환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모드전환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착석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있는 지를 감지하고,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모드전환명령을 무시하여 통상모드를 유지하고,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있지 않는 것이 확인될 때만,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된다.
즉,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모드전환명령이 입력된다는 것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모드전환명령을 무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가 전후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5)은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고정수단(40)을 작동시켜 조향핸들(24)의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어수단(25)이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전진스위치 또는 후진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진명령 또는 후진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구동모터(23)를 제어하여, 전기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기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속도는 일반적인 사람이 걷는 속도에 비해 조금 늦게 설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동모터(23)가 구동되어 전기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될 때,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구동모터(23)를 구동시켜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때 상기 근접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자동차가 이동하는 방향에 근접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모터(23)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운전자가 다시 상기 모드전환스위치(32a)를 다시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이 통상모드로 전환되어, 운전자가 상기 시트(11a)에 앉은 상태에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및 조향핸들(24)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음으로, 차량의 적재함(13)에 적재된 자재를 내려놓거나, 자재를 적재함(13)에 싣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제어수단(25)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이 결합되고, 상기 입력수단(30)에는 모드전환스위치(32a)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모드전환스위치(32a)를 조작하여 외부조작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고정수단(40)을 작동시켜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가 전후진될 때, 바닥면의 굴곡에 의해 조향핸들(24)이 의도하지 않게 회전되어 전기자동차의 전후진방향이 바뀌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운전석(11)에는 운전자가 앉도록 된 시트(11a)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1a)에는 시트(11a)에 운전자가 않아있는 것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5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착석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수단(3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무시하도록 구성됨으로, 운전자가 시트(11a)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후측에는 근접감지센서(6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구동모터(23)를 구동시켜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때 상기 근접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자동차가 이동하는 방향에 근접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모터(23)를 정지시키도록 함으로, 운전자가 전기차를 전후진시킬 때, 전기차가 보이지 않는 사각에 있는 물체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입력수단(30)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25)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는 상기 본체(1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31)는 내측면이 콘형상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2)은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관통공(1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30)의 입력스위치(32)에는 후술하는 윈치(72)를 작동시키기 위한 윈치제어스위치(32c)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의 둘레면에는 피동기어열(31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는 감지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의 둘레면에는 자성체 재질의 링부재(31c)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상기 링부재(31c)가 부착고정되는 자석부재(12b)가 구비된다.
상기 피동기어열(31a)은 케이스(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감지홈(31b)은 케이스(31)의 내측면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자석부재(12b)는 내경이 상기 링부재(31c)의 외경에 대응되는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가 결합홈(12)의 내부로 삽입되면, 링부재(31c)가 자석부재(12b)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자석에 부착되어, 케이스(31)가 결합홈(12)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단은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홈(12)의 관통공(12a)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71)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2a)을 통과한 연결와이어(71)의 내측단을 권취하여 케이스(31)가 상기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당기는 윈치(72)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73)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에는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는 구동기어(74a)가 구비된 구동모터(74)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홈(31b)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홈확인수단(7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와이어(71)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케이스(31)의 중앙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윈치(72)는 연결와이어(71)의 타단부가 권취된 권취드럼(72a)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케이스(31)를 외측으로 당겨 결합홈(12)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권취드럼(72a)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와이어(71)가 풀려나가도록 하고, 작동되면, 상기 권취드럼(72a)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와이어(71)를 당김으로써,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가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감지수단(73)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홈(12)에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가 결합되면 이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구동기어(74a)는 상기 결합홈(12)에 케이스(31)가 결합되면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74)는 작동시 상기 구동기어(74a)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케이스(3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4)는 전후진구동수단(75)에 의해 상기 결합홈(12)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74a)는 상기 결합홈(12)이 일측에 형성된 장공(12c)을 통해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5)은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75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74)에 연결된 슬라이드블록(75b)과, 상기 슬라이드블록(75b)에 연결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록(75b)이 전후진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75c)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기구(75c)를 신축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블록(75b)과 구동모터(74)가 전후진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5)을 이용하여 구동모터(74)를 상기 피동기어열(31a)쪽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73a)가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구동수단(75)을 이용하여 구동모터(74)를 후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73a)가 상기 피동기어열(31a)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감지홈확인수단(76)은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홈(31b)에 삽입되는 푸쉬바(76a)가 구비된 푸쉬버튼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감지홈확인수단(76)과 감지홈(31b)은 상기 케이스(31)가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푸쉬바(76a)가 감지홈(31b)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윈치(72)에 의해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가 결합홈(1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74)에 의해 케이스(31)가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감지홈확인수단(76)의 푸쉬바(76a)가 상기 감지홈(31b)에 삽입되어, 케이스(31)가 정해진 방향을 향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수단(30)이 상기 결합홈(12)에 결합된 상태에는 상기 링부재(31c)가 자석부재(12b)에 부착되어,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입력수단(30)을 손으로 잡고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윈치(72)에 권취된 연결와이어(71)가 풀려나오게 되며, 운전자는 입력수단(30)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를 조작하여, 전기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상기 입력수단(30)을 유선 리모컨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결합감지수단(73)의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수단이 결합홈(12)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5)을 제어하여 구동모터(74)와 구동기어(74a)를 후퇴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다시 결합될 때, 상기 피동기어얼(31a)이 상기 구동기어(74a)와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차량의 적재함(13)에 적재된 자재를 내려놓거나, 자재를 적재함(13)에 싣는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입력수단(30)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 특히, 상기 윈치제어스위치(32c)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윈치(72)를 구동시켜 연결와이어(71)를 감아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수단(30)이 상기 결합홈(12)에 삽입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결합감지수단(73)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윈치(72)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5)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74)와 구동기어(74a)를 전진시킴으로써, 구동모터(74)의 구동기어(74a)가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에 구비된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감지홈확인수단(7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스(31)가 정해진 방향을 향하는지 확인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1)가 정해진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74)를 구동시켜 케이스(31)가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즉, 상기 사용자가 입력수단(30)을 결합홈(12)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한 후, 윈치(72)를 이용하여 연결와이어(71)를 감아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하면, 입력수단(30)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결합홈(12)에 삽입되며, 이때,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의 배열이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입력스위치(32)를 조작할 때, 운전자가 실수로 다른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삽입되면, 구동모터(74)로 입력수단(30)을 회전시켜 입력수단(30)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가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입력스위치(32)를 조작할 때 조작 실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동차는 상기 입력수단(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운전자가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전기자동차를 전후진시킬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 아니라, 입력스위치(32)를 조작하여 윈치(72)를 작동시킴으로서 자동으로 입력수단(30)이 본체(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삽입되면, 구동모터(74)로 입력수단(30)을 회전시켜 입력수단(30)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가 정해진 배열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할 때, 운전자가 입력스위치(32)를 조작할 때 조작실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1. 조향휠
22. 구동휠 23. 구동모터
24. 조향핸들 25. 제어수단
30. 입력수단 40. 고정수단
50. 착석감지센서 60. 근접감지센서

Claims (5)

  1. 운전석(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에 구비된 조향휠(21) 및 구동휠(22)과,
    상기 구동휠(22)에 연결되어 구동휠(2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3)와,
    상기 운전석(11)에 구비된 조향핸들(24)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5)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5)에 연결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입력수단(30)으로부터 전진명령 또는 후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23)를 제어하여 전기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수단(30)은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전면에 구비된 입력스위치(32)를 포함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25)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둘레면에는 피동기어열(31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는 감지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의 둘레면에는 자성체 재질의 링부재(31c)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상기 링부재(31c)가 부착고정되는 자석부재(12b)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입력수단(30)의 케이스(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홈(12)의 관통공(12a)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71)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2a)을 통과한 연결와이어(71)의 내측단을 권취하여 케이스(31)가 상기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당기는 윈치(72)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수단(73)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에는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는 구동기어(74a)가 구비된 구동모터(74)와,
    상기 결합홈(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홈(31b)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홈확인수단(7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74)는 전후진구동수단(75)에 의해 상기 결합홈(12)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74a)는 상기 결합홈(12)이 일측에 형성된 장공(12c)을 통해 상기 피동기어열(31a)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운전자가 상기 입력수단(30)을 결합홈(12)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입력수단(30)을 조작하여 권취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윈치(72)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와이어(71)를 권취하여 입력수단(30)이 상기 결합홈(1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감지수단(73)을 통해 입력수단(30)이 결합홈(12)의 내부로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윈치(72)를 정지시키고, 상기 감지홈확인수단(76)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구동모터(74)를 구동시켜 상기 입력수단(30)을 회전시켜, 입력수단(30)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24)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향휠(21)에 연결된 샤프트(24a)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25)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30)에는 모드전환스위치(32a)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모드전환스위치(32a)를 조작하여 제어수단(25)이 통상모드와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외부조작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고정수단(40)을 작동시켜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11)에는 운전자가 앉도록 된 시트(11a)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1a)에는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있는 것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5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착석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시트(11a)에 운전자가 앉아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수단(3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무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후측에 구비된 근접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구동모터(23)를 구동시켜 전기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때 상기 근접감지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자동차가 이동하는 방향에 근접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모터(23)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5. 삭제
KR1020200177887A 2020-12-17 2020-12-17 전기자동차 KR10226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87A KR102268049B1 (ko) 2020-12-17 2020-12-17 전기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87A KR102268049B1 (ko) 2020-12-17 2020-12-17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049B1 true KR102268049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87A KR102268049B1 (ko) 2020-12-17 2020-12-17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0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7367A (ja) * 1990-10-03 1992-10-21 Fiat Spa 外部操作式駐車装置を備えた電気自動車
JPH09160639A (ja) * 1995-12-12 1997-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0170530B1 (ko) * 1995-12-11 1999-02-18 정몽원 차량의 무인유도시스템
KR20050100436A (ko)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화물 운반용 전기자동차
JP2015104229A (ja) * 2013-11-26 2015-06-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移動支援装置
KR20170027635A (ko) * 2015-09-02 2017-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7367A (ja) * 1990-10-03 1992-10-21 Fiat Spa 外部操作式駐車装置を備えた電気自動車
KR0170530B1 (ko) * 1995-12-11 1999-02-18 정몽원 차량의 무인유도시스템
JPH09160639A (ja) * 1995-12-12 1997-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20050100436A (ko)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화물 운반용 전기자동차
JP2015104229A (ja) * 2013-11-26 2015-06-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移動支援装置
KR20170027635A (ko) * 2015-09-02 2017-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863B1 (ko) 협소 공간 차량 저속 이동 구현 장치 및 구현 방법
US9677315B2 (en)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US7761207B2 (en) Seat belt device
JP3421201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4037429B2 (ja) 駐車補助装置
US20170344001A1 (en) Portable device
EP2017144B1 (en) Seatbelt device for vehicle
JP2006207214A (ja) 開閉体制御装置
US9035591B2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JP2006347514A (ja) 電動スライドシート
KR102268049B1 (ko) 전기자동차
CN106043143B (zh) 用于车辆的自行车装载系统
JP2015101225A (ja) 車両制御装置
JP4724853B2 (ja) 車両用ドア開閉操作装置
JP2012107387A (ja) パワーアシストドア
JP4481327B2 (ja) 車両用ドアのパワー開閉装置
JP3840057B2 (ja) 充電装置
KR101611250B1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JP7104004B2 (ja) ウィンチ装置
JP200602251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210168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787623A (ja) 電気車制御装置
KR20090089146A (ko) 전동휠체어의 유,무선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2019025034A (ja) 車いす固定装置
JP2007022153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