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337B1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Google Patents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7337B1 KR102267337B1 KR1020200032463A KR20200032463A KR102267337B1 KR 102267337 B1 KR102267337 B1 KR 102267337B1 KR 1020200032463 A KR1020200032463 A KR 1020200032463A KR 20200032463 A KR20200032463 A KR 20200032463A KR 102267337 B1 KR102267337 B1 KR 1022673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ox
- disposed
- module
- f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4—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형태 박스를 절첩하여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제함기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동성을 높이고, 박스의 내구성이 향상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개 상태의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자동 제함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가 다수 개 적층 보관된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풋모듈; 상기 인풋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하는 폴딩모듈; 상기 폴딩모듈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모듈; 상기 폴딩모듈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모듈로부터 배출된 접힌 상태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아웃풋모듈; 및 상기 인풋모듈, 폴딩모듈, 프레스모듈, 아웃풋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된 오픈형태 박스를 전개 상태에서 인입한 후 자동을 절첩하여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제함기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동성을 높여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박스의 측면을 보강하는 측부보강판의 절첩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대부분 골판지를 재단하여 소정의 위치에 절취선과 절곡선을 개설하고, 그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제조되는데 포장용 박스 중 상부가 개방된 오픈형태 박스는 측면판들을 상호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포장용 박스를 수작업으로 절곡하여 생산하기에는 소요되는 시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전개된 상태로 제공된 포장용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제함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 제함기 중 상술한 오픈형태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제함기로서 제안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837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가이드봉에 둘러쌓인 공간에 세팅공간이 형성되고,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포장박스 제조를 위해 공급된 골판지를 세팅공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가 있다.
그리고 접착제 공급부와 세팅공간 상부에 위치되는 골판지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세팅부가 있고, 세팅부의 실린더에 의해 세팅공간에 위치된 골판지의 측벽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부가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봉과 브라켓 및 골판지의 상부 덮개판을 접을 수 있는 접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전체 제함기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대형 제함기는 공장 설치형이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며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포장용 박스는 전개된 상태와 접힌 상태의 부피 차이가 20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접은 상태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처에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오픈형태 박스의 경우 소용량의 제품을 포장하는데 사용하는데, 가구원 감소에 따른 소포장을 선호하는 추세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사용 개수가 증가하고 사용 범위도 확장되고 있다.
또한 과수농가 및 야채농가에서도 제품의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포장할 수 있어 제품의 신선도 및 상태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016년 기준으로 농업 가구에 속한 인구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로서 고령화로 인하 수익감소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데,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농가의 경우 인건비, 재료비, 포장비 등의 생산비의 상승에 따른 원가상승으로 인해 수익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픈형태 박스가 필요한 과수농가에 제함기를 이동시켜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성이 향상된 자동 제함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오픈형태 박스를 절첩하는 제함기를 제공하되, 부피를 줄이고 무게를 줄여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켜 오픈형태 박스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한 후 전개된 상태의 박스를 현장에서 접어서 제공함으로써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은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픈형태 박스에서 측판을 보강하기 위한 측부보강판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오픈형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단부에 보조측판이 각각 형성된 측판과, 상기 측판과 이웃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에 측부보강판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장측판과, 상기 장측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단측판과, 상기 단측판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끼움판 및 바닥판을 포함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자동 제함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가 다수 개 적층 보관된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풋모듈; 상기 인풋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하는 폴딩모듈; 상기 폴딩모듈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모듈; 상기 폴딩모듈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모듈로부터 배출된 접힌 상태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아웃풋모듈; 및 상기 인풋모듈, 폴딩모듈, 프레스모듈, 아웃풋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모듈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작업공간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폴딩플레이트와, 상기 작업공간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인풋모듈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가 상기 작업공간으로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공이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스키대와, 상기 폴딩플레이트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을 통해 작업공간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된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을 접는 한 쌍의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와,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출입공을 통해 작업공간으로 출입하되 상기 작업공간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에 구비된 보강판을 접는 한 쌍의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와, 상기 폴딩플레이트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을 통해 작업공간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된 전개 상태 박스의 단측판을 접는 한 쌍의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와, 상기 작업공간의 개구된 하단 일부를 개폐하는 다수 개의 링크형 지지판과, 상기 링크형 지지판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가 구비된 프레싱지지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출입하는 로드의 선단부가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수직대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된 작업공이 형성된 이동플레이트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는, 상기 폴딩플레이트에 배치된 제2구동실린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고정축과, 일단이 상기 제1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작업공에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전개 상태 박스의 보강판을 절곡시키는 절곡판 및 상기 제1고정축과 상기 절곡판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보조링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스모듈은, 중앙이 개구된 프레스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의 개구된 중앙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가이드바와, 상기 상부 가이드바 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프레스 실린더와, 상기 프레스 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스판과,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승강하되, 하강시 전개 상태 박스의 측부보강판을 보강판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다수 개의 보조프레스 실린더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기 작업공간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풋모듈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용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구동수단과,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배출로드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로드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출용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접힌 박스를 상기 배출로드로 이동시키는 이젝트수단과, 상기 배출로드에 배치되어 상기 이젝트수단을 통해 이송된 접힌 박스를 배출로드의 출구측으로 밀어내는 배출판 및 상기 배출판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풋모듈은, 상기 카세트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입용컨베이어와, 상기 인입용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인입구동수단과,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에 배치하기 위한 인서트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수단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흡착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함기의 전체 크기를 줄여 제함기 자체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오픈형태 박스가 필요한 현장으로 제함기를 이동시켜 현장에서 절첩된 오픈형태 박스를 제공할 수 있어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픈형태 박스의 측벽을 지지하는 측부보강판을 자동으로 절곡 및 절첩함으로써 내구성이 형상된 오픈형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풋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풋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풋모듈을 박스의 이동 방향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의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의 프레싱 지지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스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스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스모듈에 전개 상태의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웃풋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웃풋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웃풋모듈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의해 절첩 되기 전 상태인 전개 상태의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의해 절첩되는 상태의 오픈형태 박스의 순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풋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풋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풋모듈을 박스의 이동 방향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의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딩모듈의 프레싱 지지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스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스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스모듈에 전개 상태의 박스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웃풋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웃풋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웃풋모듈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의해 절첩 되기 전 상태인 전개 상태의 박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에 의해 절첩되는 상태의 오픈형태 박스의 순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가 다수 개 적층 보관된 카세트(21)와, 상기 카세트(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풋모듈(20)과, 상기 인풋모듈(20)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하는 폴딩모듈(30)과, 상기 폴딩모듈(30)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모듈(40)과, 상기 폴딩모듈(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모듈(30)로부터 배출된 접힌 상태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아웃풋모듈(50) 및상기 인풋모듈(20), 폴딩모듈(30), 프레스모듈(40), 아웃풋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을 포함한 것으로, 전체 부피를 줄이고 중량을 경량화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측벽 내구성을 향상시킨 오픈형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함기를 설명하기 앞서, 절첩 되기 전 상태인 전개 상태의 박스(B)를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본 각 구성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단부에 보조측판(B12)이 각각 형성된 측판(B11)과, 상기 측판(B11)과 이웃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에 측부보강판(B14)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보강판(B13)을 포함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장측판(B1)과, 상기 장측판(B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단측판(B2)과, 상기 단측판(B2)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끼움판(B21) 및 바닥판(B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직각관(11)과, 상기 수직각관(11)을 연결하는 수평각관(12) 및 상기 수직각관(11) 중 일단이 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직각관에 구비된 이동용 캐스터(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은 무게를 줄이면서도 후술하는 각 구성이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량성 금속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은 후술하는 각 구성이 배치되는 것으로, 각 구성의 부피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의 형태도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이동용 캐스터(13)는 일단이 지면과 인접하게 배치된 수직각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전체 제함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이동용 캐스터(13)는 이동 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톱퍼(131)가 구비된다.
상기 인풋모듈(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로 적층된 다수 개의 박스를 하나씩 폴딩모듈(30)로 이송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상태의 박스가 다수 개 적층 보관된 카세트(21)와, 상기 카세트(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입용컨베이어(22)와,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를 구동하기 위한 인입구동수단(23)과, 상기 카세트(21)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에 배치하기 위한 인서트수단(24)을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수단(24)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실린더(242)와, 상기 승강실린더(242)의 로드에 결합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로 이동시키는 흡착판(241)을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21)는 상하 및 일측면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하로 적층한 상태로 다수 개 배치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서 적층된 박스가 하나씩 배출된다.
이때 상기 카세트(21)의 개구된 하부에는 배출되기 전 박스의 테두리가 안치되는 돌출편(212)이 더 구비되며, 카세트(21)의 적층공간에 적층된 박스의 유무(有無)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3)가 구비되어 감지된 감지값을 후술하는 제어모듈(60)로 전송하여 박스가 소진된 경우 이를 스피커, 조명 등의 알람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의 엔드리스 타입으로 이루어져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면에 안치된 박스를 일정속도로 이송한다.
이러한 인입용컨베이어(2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롤러 및 장력 유지를 위한 다수개 배치되는 장력유지롤러의 구조 및 개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입구동수단(23)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구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력을 인입용컨베이어(22)로 전달하여 이를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인입구동수단(23)의 구조 및 동작 관계는 공지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인서트수단(24)은 상기 카세트(21)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에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실린더(242)와, 상기 승강실린더(242)의 로드에 결합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로 이동시키는 흡착판(241)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실린더(242)는 상기 카세트(21)의 개구된 하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판(241)은 상기 승강실린더(242)의 로드 선단부가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전달되어 카세트의 최하단에 적층된 박스의 저면을 흡착한다.
상기 흡착판(241)을 통해 흡착된 박스는 승강실린더(242)의 동작에 의해 하강하고, 하강 후 인입용컨베이어(22)에 박스가 도달하면 흡착판(241)으로 공급되던 압축공기를 차단하여 흡착판(241)을 박스에서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인서트수단(24)을 통해서 카세트에 다수 개 적층된 박스를 하나씩 인입용 컨베이어로 이동시키고, 인입용컨베이어(22)로 이송된 박스는 이동하는 인입용 컨베이어를 통해 일정속도로 후술하는 폴딩모듈(30)로 공급된다.
상기 폴딩모듈(30)은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폴딩모듈(30)과 후술하는 프레스모듈(40)이 동작하면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폴딩모듈(30)과 프레스모듈(40)을 동시에 설명하여 전개된 상태의 박스를 접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폴딩모듈(30)의 구조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작업공간(3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폴딩플레이트(31)와, 상기 작업공간(32)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가 상기 작업공간(32)으로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곡면(331)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공간(3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공(332)이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스키대(33)와,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작업공간(32)에 배치된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을 접는 한 쌍의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와,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되 상기 작업공간(32)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에 구비된 보강판을 접는 한 쌍의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와,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작업공간(32)에 배치된 전개 상태 박스의 단측판을 접는 한 쌍의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36)와, 상기 작업공간(32)의 개구된 하단 일부를 개폐하는 다수 개의 링크형 지지판(371)과, 상기 링크형 지지판(371)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372)가 구비된 프레싱지지체(37)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플레이트(31)는,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박스가 절첩되는 작업공간(3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스키대(33)는 상기 작업공간(32)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스모듈(40)을 통해 가압되는 박스가 작업공간(32)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스키대(33)의 상단은 프레스모듈(40)을 통해 가압되는 박스를 유도하고 이동 중 박스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공간(32)측을 향해 만곡진 안내곡면(331)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스키대(33)에는 상기 작업공간(32)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출입공(33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스키대(33) 사이에는 후술하는 프레스모듈(40)을 통해 가압될 때 절첩되는 보조측판(B12)이 직립 상태로 배치되는 직립스페이스(333)가 형성되며 상기 직립스페이스(333)는 상기 보조측판(B12)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데, 도 8의 평면도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종횡(縱橫)으로 배치된 스키대(33)에서 4개의 모서리측에 형성된다.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는,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B1)을 접기 위한 것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제1구동실린더(341)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341)에 출입하는 로드의 선단부가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수직대(343)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된 작업공(344)이 형성된 이동플레이트(342)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대(34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대(3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실린더(341)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각각의 로드가 동시에 출입하면서 이동플레이트(34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42)는 상기 스키대(33)에 형성된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면서 박스의 장측판(B1)을 가압하여 절곡시킨다.
이를 위해 이동플레이트(342)는 한 쌍의 수직대(343)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 수직대(343)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구동실린더(341)의 로드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수직대(343)는 맞닿은 박스의 장측판이 하방으로 접히도록 장측판(B1)의 상하 길이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맞닿도록 호(弧)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박스의 장측판(B1)을 가압하는 수직대(343)는 장측판과 맞닿는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장측판과 맞닿는 접점이 장측판의 상하 길이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가압되는 장측판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고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345)는 한 쌍의 수직대(343)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수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살빼기 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는 제1구동실린더(341)가 구동하면서 이동플레이트(342)를 스키대(33)에 형성된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시켜 작업공간에 배치된 박스의 장측판(B1)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절곡시킨다.
그리고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는 상기 작업공간(32)에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어 박스에 구비된 한 쌍의 장측판(B1)을 각각 하방으로 절곡시키며 이때 한 쌍의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의 동작 순서는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선후(先後)로 이루어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의 동작 순서는 절첩되는 박스의 골판지 두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박스의 경우 한 쌍의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가 동시에 가동하는 것이 박스의 다른 부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장측판을 절곡할 수 있고, 반대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 한 쌍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절곡한 후 다른 하나를 나중에 절곡하도록 가동함으로써 두꺼운 박스를 절첩할 때 동시에 절첩할 때 바닥판 또는 연결된 단측판의 일부가 굴곡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는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342)에 형성된 출입공(332)을 통해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B1)에 구비된 보강판(B13)을 접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는,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되는 제2구동실린더(351)와, 양단이 상기 지지대(345)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345)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고정축(352)과, 일단이 상기 제1고정축(3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구동실린더(351)의 로드가 결합된 제1링크(353)와, 상기 제1링크(353)의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342)의 출입공(332)을 통해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박스의 보강판(B13)을 절곡시키는 절곡판(354) 및 상기 제1고정축(352)과 상기 절곡판(354)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보조링크(355)를 포함한다.
상기 제2구동실린더(351)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구동실린더(341) 사이에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42)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절곡판(354)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제1링크(353)와 연결되어 제2구동실린더(351)를 통해 생성 및 전달된 힘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축(352)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한 쌍의 지지대(345)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대(345)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링크(353)는 일단이 상기 제1고정축(3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측에 상기 제2구동실린더(351)의 로드가 결합되어 제2구동실린더가 구동하면서 로드가 외부로 인출되면 제1링크(353)의 타단부는 하방을 향해 회전하고, 제2구동실린더의 로드가 인입되면 제1링크(353)의 타단부는 상방을 향해 회전하여 절곡판(354)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절곡판(354)은 상기 제1링크(353)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제2구동실린더(351)의 구동에 따라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보강판을 절첩하거나 상방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절곡판(354)은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의 이동플레이트(342)에 형성된 작업공(344)을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보조링크(355)는 상기 제1링크(353)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는 절곡판(354)이 회전시 흔들려 제2구동실린더로부터 전달된 절첩하는 힘이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보조링크(355)가 제1링크(353)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는 절곡판(354)이 회전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전 속도의 향상은 물론 회전력을 온전히 보강판으로 전달하여 안정적인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는 한 쌍의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가 동작하여 박스의 장측판을 절곡한 후 동작하면서 장측판에 구비된 보강판(B13)을 절곡한다.
상기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36)는, 전개 상태 박스의 단측판(B2)을 절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직립판(361)과, 양단이 상기 직립판(361)에 결합된 제2고정축(362)과,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3구동실린더(363)와, 일단이 상기 제2고정축(3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결합된 일단측에 상기 제3구동실린더(363)에 출입하도록 구비된 로드의 선단부가 결합하는 제2링크(364)와, 상기 제2링크(364)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키대(33)의 출입공(332)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단측절곡판(365)과, 상기 단측절곡판(365)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 개의 각도유지링크(366)와, 상기 각도유지링크(366)의 상단이 결합되며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박스의 단측판(B2)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움판(B21)을 절곡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끼움판 절곡부(36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36)는 제3구동실린더(363)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하면서 로드를 외부로 이동시키면 로드의 선단부가 결합된 제2링크(364)가 스키대(33)에 형성된 출입공(332)을 통해 전진하고, 작업공간(32)측으로 단측절곡판(365)이 이동하면 제2링크(364)가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대기하는 단측판(B2)을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이후 제3구동실린더(363)가 구동하면서 로드를 몸체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링크(364)의 타단에 연결된 단측절곡판(365)이 상방으로 회전 후 수평 방향으로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끼움판 절곡부(367)는 도 17에 도시된 전개 상태의 박스에서 단측판(B2)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움판(B21)을 단측판(B2)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시켜 절곡된 끼움판(B21)의 단부가 장측판(B1)과 바닥판(B3) 사이의 틈새(B4)에 끼워져 단측판(B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끼움판의 일면에는 공지의 핫멜트가 도포되어 맞닿은 장측판(B1)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싱지지체(37)는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형성된 작업공간(32)의 개구된 하부 중 일부를 개폐함과 동시에 프레스모듈(40)에 의해 가압되는 박스의 저면이 맞닿아 지지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공간(32)의 모서리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작업공간(32)의 일부를 개폐하는 다수 개의 링크형 지지판(371)과, 상기 링크형 지지판(37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실린더(372)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싱지지체(37)는 상기 링크형 지지판(371)이 작업공간(32)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박스가 프레스모듈(40)을 통해 가압되고, 가압된 박스의 저면이 링크형 지지판(371)에 맞닿아 지지된다.
이후, 폴딩모듈(30) 및 프레스모듈(40)을 통해 오픈형태 박스로 절첩이 완료되면 상기 링크형 지지판(371)이 각도조절실린더(37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작업공간(32)을 개방하여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폴딩모듈(30)과 함께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하는 프레스모듈(40)은, 상기 폴딩모듈(30)의 상방 측에 배치되어 인풋모듈(20)을 통해 전달된 박스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프레스모듈(4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개구된 프레스 플레이트(41)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의 개구된 중앙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가이드바(42)와, 상기 상부 가이드바(42) 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4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프레스 실린더(44)와, 상기 프레스 실린더(44)의 로드가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스판(45)과,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승강하되, 하강시 전개 상태 박스의 측부보강판(B14)을 보강판(B13)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다수 개의 보조프레스 실린더(46)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기 작업공간(32)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실린더(47)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는, 중앙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딩모듈(30)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상부 가이드바(42)는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의 개구된 중앙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 양단부가 프레스 플레이트에서 돌출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이드바(42)에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상부 가이드바(42)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용횡바(421)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용횡바(421)와 상부 가이드바(4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고정플레이트(43)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프레스 실린더(44)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상면에 프레스 실린더(44)가 배치되며,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실린더(44)를 고정하는 고정봉이 상기 관통공에 결합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43)의 중앙에는 상기 프레스 실린더(44)의 로드가 출입하는 구멍(도면 중 미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스판(45)은 상기 프레스 실린더(44)의 로드가 결합하여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배치되어 인입용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 바닥면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를 위해 프레스판(45)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딩모듈(30)에 형성된 작업공간(32)의 직상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조프레스 실린더(46)는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승강하되, 하강시 전개 상태 박스의 측부보강판(B14)을 보강판(B13)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곡시킨다.
여기서 상기 박스의 측부보강판(B14)은 종래의 제함기에서 자동으로 절첩할 수 없었던 구역으로써 상기 측부보강판(B14)이 박스의 단측판(B2)에 맞닿도록 배치되면서 단측판(B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박스의 장측판(B1)이 보강판(B13)에 의해 두 번 겹쳐진 형태로 절첩되어 내구성을 보장할 때 단측판은 한겹으로 배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데, 상기 측부보강판(B14)이 단측판(B2)에 배치됨으로써 단측판(B2)도 두 겹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측부보강판(B14)의 일면에는 공지의 핫멜트가 도포되어 단측판(B2)과 일체로 접착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의 측부보강판(B14)이 상호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스 실린더(46)에 의해 하방으로 절곡된 측부보강판(B14)은 상기 폴딩모듈(30)의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가 동작하면서 보강판(B13)을 절첩할 때 절첩된 보강판(B13)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단측판(B2)의 내면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다음 상기 푸쉬실린더(47)는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에서 개구된 중앙의 좌우 양측에서 나란히 돌출된 한 쌍의 측부를 향해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작업공간(32)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밀어낸다.
이러한 푸쉬실린더(47)는 로드의 선단부에 맞닿은 박스를 밀어낼 때 손상시키지 않도록 연질의 패드(471)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프레스모듈(40)은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가압하여 폴딩모듈(30)의 작업공간(32)측으로 이송시키되 박스의 장측판(B1)과 단측판(B2)이 폴딩모듈(30)에 구비된 스키대(33)에 맞닿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장측판(B1)과 단측판(B2)이 바닥판(B3)에서 직립된 상태에서 작업공간(32)에 배치되도록 한다.
동시에 보조프레스 실린더(46)를 통해 측부보강판(B14)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폴딩모듈(30)에 구비된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가 동작하면서 장측판(B1)을 절첩할 때 상기 측부보강판(B14)이 단측판(B2)과 맞닿게 배치하여 단측판의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아웃풋모듈(50)은 상기 폴딩모듈(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모듈(30)과 프레스모듈(40)을 통해 오픈형태 박스로 절첩이 완료된 박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용 컨베이어(52)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구동수단(53)과,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배출로드(54)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와 상기 배출로드(54)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출용 컨베이어(52)를 통해 이송된 접힌 박스를 상기 배출로드(54)로 이동시키는 이젝트수단(55)과, 상기 배출로드에 배치되어 상기 이젝트수단(55)을 통해 이송된 접힌 박스를 배출로드의 출구측으로 밀어내는 배출판(56) 및 상기 배출판(56)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실린더(57)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판(51)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여기서 한 쌍의 수직판(51) 사이의 간격은 절첩된 오픈형태 박스의 장측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루어져 작업공간(32)의 개구된 하방에서 배출된 박스의 위치 및 방향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한 쌍의 수직판(51) 사이의 간격은 절첩된 오픈형태 박스의 장측판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이동 제한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는 엔드리스 타입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지고 배출구동수단(53)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작업공간(32)에서 배출된 오픈형태 박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젝트수단(55)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배출구동수단(53)은 공지의 모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로드(54)는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젝트수단(55)을 통해 상승 이동한 오픈형 박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출로드(54)는 편평한 판재가 수평하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출구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다수 개의 자유 구름형 롤러가 배치되어 상승 이동한 오픈형 박스가 자유 구름형 롤러에 의해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이젝트수단(55)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와 배출로드 사이에 배치되어 배출용 컨베이어(52)로 배출된 오픈형 박스를 배출로드측으로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이젝트 실린더(551)와, 상기 이젝트 실린더(551)의 로드가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판(552)을 포함한다.
상기 이젝트 판(552)은 배출용 컨베이어(52)에 배치된 오픈형 박스의 저면과 맞닿아 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승 또는 하강 중 배출용 컨베이어(52) 또는 배출로드와의 간섭을 피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배출용 컨베이어(52)의 외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되 승강시 간섭을 피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길게 형성되어 오픈형 박스를 상승 이동시킬 때 안정감을 보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젝트 실린더(551)는 공지의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며 후술하는 제어모듈(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압 실린더의 구조 및 동작 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모듈(60)은 상술한 상기 인풋모듈(20), 폴딩모듈(30), 프레스모듈(40), 아웃풋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모듈(40)을 구성하는 프레스 플레이트(4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직각관 중 어느 하나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어모듈(60)은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멀티컨트롤유닛과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모듈(60)의 구성 및 동작관계는 다양한 자동화 장치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오픈형태 박수의 절첩되는 순서를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장측판과 한 쌍의 단측판이 하나씩 순서대로 절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절첩되는 순서를 상세히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측판이 동시에 절첩될 수 있고, 한 쌍의 단측판도 동시에 절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10 : 베이스 프레임
11 : 수직각관 12 : 수평각관
13 : 이동용 캐스터
20 : 인풋모듈
21 : 카세트 22 : 인입용컨베이어
23 : 인입구동수단 24 : 인서트수단
241 : 흡착판 242 : 승강실린더
30 : 폴딩모듈
31 : 폴딩플레이트 32 : 작업공간
33 : 스키대 34 :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
35 :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
36 :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
37 : 프레싱 지지체
40 : 프레스모듈
41 : 프레스 플레이트 42 : 상부 가이드바
43 : 고정플레이트 44 : 프레스 실린더
45 : 프레스판 46 : 보조프레스 실린더
47 : 푸쉬실린더
50 : 아웃풋모듈
51 : 수직판 52 : 배출용 컨베이어
53 : 배출구동수단 54 : 배출로드
55 : 이젝트수단 56 : 배출판
57 : 배출실린더
551 : 이젝트실린더 552 : 이젝트 판
60 : 제어모듈
10 : 베이스 프레임
11 : 수직각관 12 : 수평각관
13 : 이동용 캐스터
20 : 인풋모듈
21 : 카세트 22 : 인입용컨베이어
23 : 인입구동수단 24 : 인서트수단
241 : 흡착판 242 : 승강실린더
30 : 폴딩모듈
31 : 폴딩플레이트 32 : 작업공간
33 : 스키대 34 :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
35 :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
36 :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
37 : 프레싱 지지체
40 : 프레스모듈
41 : 프레스 플레이트 42 : 상부 가이드바
43 : 고정플레이트 44 : 프레스 실린더
45 : 프레스판 46 : 보조프레스 실린더
47 : 푸쉬실린더
50 : 아웃풋모듈
51 : 수직판 52 : 배출용 컨베이어
53 : 배출구동수단 54 : 배출로드
55 : 이젝트수단 56 : 배출판
57 : 배출실린더
551 : 이젝트실린더 552 : 이젝트 판
60 : 제어모듈
Claims (7)
-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단부에 보조측판(B12)이 각각 형성된 측판(B11)과, 상기 측판(B11)과 이웃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에 측부보강판(B14)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보강판(B13)을 포함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장측판(B1)과, 상기 장측판(B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단측판(B2)과, 상기 단측판(B2)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끼움판(B21) 및 바닥판(B3)을 포함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자동 제함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가 다수 개 적층 보관된 카세트(21)와, 상기 카세트(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풋모듈(20);
상기 인풋모듈(20)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절첩하는 폴딩모듈(30);
상기 폴딩모듈(30)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모듈(40);
상기 폴딩모듈(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모듈(30)로부터 배출된 접힌 상태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아웃풋모듈(50); 및
상기 인풋모듈(20), 폴딩모듈(30), 프레스모듈(40), 아웃풋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모듈(30)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작업공간(3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폴딩플레이트(31)와,
상기 작업공간(32)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가 상기 작업공간(32)으로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곡면(331)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공간(3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공(332)이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스키대(33)와,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작업공간(32)에 배치된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을 접는 한 쌍의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와,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되 상기 작업공간(32)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개 상태 박스의 장측판에 구비된 보강판을 접는 한 쌍의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와,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332)을 통해 작업공간(32)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작업공간(32)에 배치된 전개 상태 박스의 단측판을 접는 한 쌍의 단측판 절곡용 가동체(36)와,
상기 작업공간(32)의 개구된 하단 일부를 개폐하는 다수 개의 링크형 지지판(371)과, 상기 링크형 지지판(371)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372)가 구비된 프레싱지지체(37)를 포함한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측판 절곡용 가동체(34)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제1구동실린더(341)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341)에 출입하는 로드의 선단부가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수직대(343)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된 작업공(344)이 형성된 이동플레이트(342)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대(34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대(34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 절곡용 가동체(35)는,
상기 폴딩플레이트(31)에 배치된 제2구동실린더(351)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345)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342)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고정축(352)과,
일단이 상기 제1고정축(3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실린더(351)의 로드가 결합된 제1링크(353)와,
상기 제1링크(353)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작업공(344)에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전개 상태 박스의 보강판을 절곡시키는 절곡판(354) 및
상기 제1고정축(352)과 상기 절곡판(354)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보조링크(35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모듈(40)은,
중앙이 개구된 프레스 플레이트(41)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의 개구된 중앙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가이드바(42)와,
상기 상부 가이드바(42) 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4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3)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프레스 실린더(44)와,
상기 프레스 실린더(44)의 로드가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스판(45)과,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승강하되, 하강시 전개 상태 박스의 측부보강판(B14)을 보강판(B13)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다수 개의 보조프레스 실린더(46)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41)에 배치되어 상기 인풋모듈(20)을 통해 이송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상기 작업공간(32)측으로 밀어내는 푸쉬실린더(4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풋모듈(5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판(51)과,
상기 수직판(51)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용 컨베이어(52)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를 구동하기 위한 배출구동수단(53)과,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배출로드(54)와,
상기 배출용 컨베이어(52)와 상기 배출로드(54)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출용 컨베이어(52)를 통해 이송된 접힌 박스를 상기 배출로드(54)로 이동시키는 이젝트수단(55)과,
상기 배출로드(54)에 배치되어 상기 이젝트수단(55)을 통해 이송된 접힌 박스를 배출로드(54)의 출구측으로 밀어내는 배출판(56) 및
상기 배출판(56)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실린더(5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모듈(20)은,
상기 카세트(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이송하는 인입용컨베이어(22)와,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를 구동하기 위한 인입구동수단(23)과,
상기 카세트(21)에 적재된 전개 상태의 박스를 하나씩 인출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에 배치하기 위한 인서트수단(24)을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수단(24)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실린더(242)와,
상기 승강실린더(242)의 로드에 결합되며, 전개 상태의 박스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인입용컨베이어(22)로 이동시키는 흡착판(241)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463A KR102267337B1 (ko) | 2020-03-17 | 2020-03-17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463A KR102267337B1 (ko) | 2020-03-17 | 2020-03-17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7337B1 true KR102267337B1 (ko) | 2021-06-18 |
Family
ID=7662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2463A KR102267337B1 (ko) | 2020-03-17 | 2020-03-17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733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48033A (zh) * | 2021-11-29 | 2022-03-08 | 山东华旭包装制品有限公司 | 一种包装盒用自动打预折线装置及使用方法 |
CN114889882A (zh) * | 2022-06-07 | 2022-08-12 | 泸州老窖股份有限公司 | 一种双层白酒包装盒全自动装盒机 |
KR102470718B1 (ko) * | 2021-10-19 | 2022-11-28 | 김승희 | 박스 접이 자동화장치 |
KR20230024627A (ko) * | 2021-08-12 | 2023-02-21 | 노태환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7861B1 (ko) * | 1993-04-23 | 1998-04-04 | 쇼오지 히로아끼 |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
KR200351585Y1 (ko) * | 2004-02-20 | 2004-05-24 | 최원락 | 박스접이장치 |
KR200401766Y1 (ko) * | 2005-08-18 | 2005-11-22 | 주식회사 일품포장 | 박스 조립장치 |
KR20100027837A (ko) | 2008-09-03 | 2010-03-11 |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
KR101367767B1 (ko) | 2011-09-19 | 2014-03-13 | 이래용 | 고속 오픈형 박스 제조장치 |
KR101383485B1 (ko) * | 2013-04-17 | 2014-04-08 | 김승희 | 박스 접이 자동화 장치 |
KR101735206B1 (ko) | 2015-10-29 | 2017-05-12 | 서태환 |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
-
2020
- 2020-03-17 KR KR1020200032463A patent/KR1022673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7861B1 (ko) * | 1993-04-23 | 1998-04-04 | 쇼오지 히로아끼 |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
KR200351585Y1 (ko) * | 2004-02-20 | 2004-05-24 | 최원락 | 박스접이장치 |
KR200401766Y1 (ko) * | 2005-08-18 | 2005-11-22 | 주식회사 일품포장 | 박스 조립장치 |
KR20100027837A (ko) | 2008-09-03 | 2010-03-11 |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
KR101367767B1 (ko) | 2011-09-19 | 2014-03-13 | 이래용 | 고속 오픈형 박스 제조장치 |
KR101383485B1 (ko) * | 2013-04-17 | 2014-04-08 | 김승희 | 박스 접이 자동화 장치 |
KR101735206B1 (ko) | 2015-10-29 | 2017-05-12 | 서태환 |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4627A (ko) * | 2021-08-12 | 2023-02-21 | 노태환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
KR102597541B1 (ko) * | 2021-08-12 | 2023-11-03 | 노태환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
KR102470718B1 (ko) * | 2021-10-19 | 2022-11-28 | 김승희 | 박스 접이 자동화장치 |
CN114148033A (zh) * | 2021-11-29 | 2022-03-08 | 山东华旭包装制品有限公司 | 一种包装盒用自动打预折线装置及使用方法 |
CN114148033B (zh) * | 2021-11-29 | 2024-01-19 | 山东华旭包装制品有限公司 | 一种包装盒用自动打预折线装置及使用方法 |
CN114889882A (zh) * | 2022-06-07 | 2022-08-12 | 泸州老窖股份有限公司 | 一种双层白酒包装盒全自动装盒机 |
CN114889882B (zh) * | 2022-06-07 | 2024-04-09 | 泸州老窖股份有限公司 | 一种双层白酒包装盒全自动装盒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7337B1 (ko)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 |
US4897980A (en) | Apparatus for forming a bulk package | |
US20100204030A1 (en) |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 Methods | |
KR100480380B1 (ko) | 판재 적재 시스템 | |
US10934108B1 (en) | Lift unit for use with a load former and load former including the lift unit | |
EP0683721A1 (en) |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 |
AU2019284077A1 (en) | Machine for erecting a carton from a blank | |
CN109159953B (zh) | 挂面开装封箱一体机 | |
CN113772143A (zh) | 一种改进的文件自动封装设备 | |
RU2583773C1 (ru) |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мещения товаров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нем | |
CN109625411B (zh) | 一种苏式月饼纸包机 | |
JPH08305950A (ja) | 自動販売機 | |
KR102597541B1 (ko)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 |
JPS60236929A (ja) | 箱移送装置 | |
KR20150078923A (ko) | 선 자세로 물품을 수취할 수 있는 자판기 | |
KR102628337B1 (ko) | 가구 포장 장치 | |
JP6444012B1 (ja) | 商品収納装置 | |
KR200334932Y1 (ko) | 공책 포장기의 공책 적재장치 | |
KR200251482Y1 (ko) | 진공 흡착방식의 비닐 포장 상품용 자동 판매기 | |
KR101398515B1 (ko) | 포장박스용 스티칭 장치에서의 톰슨박스를 패스할 수 있는 장치 | |
CN215707437U (zh) | 一种三入口条烟全品规包装机 | |
JPS6015522B2 (ja) | トイレットペ−パ−ロ−ルの包装装置 | |
KR101089703B1 (ko) | 패턴지 상자 자동 접지장치 | |
US4598526A (en) | System for boxing forms | |
KR100553352B1 (ko) | 인쇄기용 골판지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