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541B1 -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 Google Patents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41B1
KR102597541B1 KR1020210106623A KR20210106623A KR102597541B1 KR 102597541 B1 KR102597541 B1 KR 102597541B1 KR 1020210106623 A KR1020210106623 A KR 1020210106623A KR 20210106623 A KR20210106623 A KR 20210106623A KR 102597541 B1 KR102597541 B1 KR 10259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dule
box
long sid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627A (ko
Inventor
노태환
Original Assignee
노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환 filed Critical 노태환
Priority to KR102021010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54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6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folding, leading, or trailing flaps of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22Holders for feeding or positioning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3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mechanically interlocking integral parts, e.g. by tongues and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바닥판과, 상기 장측판은 내측에 형성되는 장측보강판과 상기 장측보강판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장측보강판다리와 상기 장측보강판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측보강판다리 고정홀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판과,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1보강판과 단측 제 2보강판 체결부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단측 제 1보강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2보강판를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상기 장측판과 이웃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단측판, 및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판다리가 상기 장측판 측에 형성되는 상판다리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판을 포함하는 전개 상태의 박스를 자동을 접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전개된 복수 개의 박스가 세워진 상태로 적재되는 박스매거진으로부터 상기 박스를 일 방향으로 1개씩 공급하는 로딩모듈, 상기 로딩모듈로부터 공급된 상기 박스를 상기 로딩모듈의 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모듈, 상기 트랜스퍼모듈에 의하여 이송이 완료된 상기 박스의 바닥판을 지지하여 상기 트랜스퍼모듈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스레일을 따라 이송 및 정렬시키는 프레스모듈 및 상기 프레스모듈을 통하여 이송 및 정렬되는 상기 박스를 복수 개의 롤러를 통하여 접철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폴딩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Lightweight Open-Type Box Folding Apparatus With Improved Mobility}
본 발명은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대부분 골판지를 재단하여 소정의 위치에 절취선과 절곡선을 개설하고, 그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제조되는데 포장용 박스 중 상부가 개방된 오픈형태 박스는 측면판들을 상호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를 수작업으로 절곡하여 생산하기에는 소요되는 시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전개된 상태로 제공된 포장용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제함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 제함기 중 상술한 오픈형태 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제함기로서 제안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837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가이드봉에 둘러쌓인 공간에 세팅공간이 형성되고,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포장박스 제조를 위해 공급된 골판지를 세팅공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가 있다.
또한, 그리고 접착제 공급부와 세팅공간 상부에 위치되는 골판지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세팅부가 있고, 세팅부의 실린더에 의해 세팅공간에 위치된 골판지의 측벽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부가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봉과 브라켓 및 골판지의 상부 덮개판을 접을 수 있는 접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전체 제함기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대형 제함기는 공장 설치형이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며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포장용 박스는 전개된 상태와 접힌 상태의 부피 차이가 20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접은 상태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처에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오픈형태 박스의 경우 소용량의 제품을 포장하는데 사용하는데, 가구원 감소에 따른 소포장을 선호하는 추세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사용 개수가 증가하고 사용 범위도 확장되고 있다.
또한 과수농가 및 야채농가에서도 제품의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포장할 수 있어 제품의 신선도 및 상태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016년 기준으로 농업 가구에 속한 인구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로서 고령화로 인하 수익감소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데,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농가의 경우 인건비, 재료비, 포장비 등의 생산비의 상승에 따른 원가상승으로 인해 수익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오픈형태 박스가 필요한 과수농가에 제함기를 이동시켜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성이 향상된 자동 제함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7837호(공개일 2010.03.11.)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피를 줄이고 무게를 줄여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켜 오픈형태 박스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한 후 전개된 상태의 박스를 현장에서 접어서 제공함으로써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은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의 각 부의 고정을 위하여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 구조를 통하여 각 부가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는 전개된 복수 개의 박스가 세워진 상태로 적재되는 박스매거진으로부터 상기 박스를 일 방향으로 1개씩 공급하는 로딩모듈, 상기 로딩모듈로부터 공급된 상기 박스를 상기 로딩모듈의 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모듈, 상기 트랜스퍼모듈에 의하여 이송이 완료된 상기 박스의 바닥판을 지지하여 상기 트랜스퍼모듈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스레일을 따라 이송 및 정렬시키는 프레스모듈 및 상기 프레스모듈을 통하여 이송 및 정렬되는 상기 박스를 복수 개의 롤러를 통하여 접철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폴딩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박스는 1개의 바닥판과, 상기 장측판은 내측에 형성되는 장측보강판과 상기 장측보강판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장측보강판다리와 상기 장측보강판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측보강판다리 고정홀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판과,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1보강판과 단측 제 2보강판 체결부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단측 제 1보강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2보강판를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상기 장측판과 이웃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단측판, 및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판다리가 상기 장측판 측에 형성되는 상판다리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모듈은 상기 박스매거진 상에 적재된 복수 개의 박스를 이송시키는 메인로더, 상기 메인로더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 개의 박스 중 1개를 고정시켜 상기 트랜스퍼모듈 공급하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에 고정된 1개의 박스와 나머지 박스를 분리시키는 서브로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퍼모듈은 상기 로딩모듈로부터 공급된 박스를 제 1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프레스모듈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트랜스퍼 및 상기 제 1컨베이어와 동일한 직성 상에 형성되는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 1트랜스퍼와 이격 형성되는 상기 제 2트랜스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랜스퍼모듈에 의하여 이송이 완료된 박스는 일측이 상기 제 1컨베이어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 2컨베이어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상기 프레스모듈은 상기 프레스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매거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1트랜스퍼와 상기 제 2트랜스퍼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스베이스 및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프레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스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모듈은 제 1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측보강판에 대하여 상기 단측보강판을 절곡시키는 제 1롤러,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기 단측판과 상기 단측 제 1보강판을 각각 절곡시키는 제 2롤러,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기 장측판을 절곡시키는 제 3롤러, 제 4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장측판에 대하여 상기 장측보강판을 절곡시키며, 상기 제 4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측판과 상기 장측보강판을 접철시키는 제 4롤러, 제 5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상판다리를 절곡시키는 제 5롤러 및 제 6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단측판에 대하여 상기 상판을 절곡시키는 제 6롤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는 상기 로딩모듈과 트랜스퍼모듈과 프레스모듈 및 폴딩모듈이 각각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폴딩모듈의 일측에 탈착되어 상기 폴딩모듈로부터 조립이 완료된 박스를 배출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는 전체 크기를 줄여 제함기 자체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오픈형태 박스가 필요한 현장으로 제함기를 이동시켜 현장에서 절첩된 오픈형태 박스를 제공함에 따라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는 박스 각 부의 고정을 위하여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 구조를 통하여 각 부가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박스 조립을 위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고 박스 제조 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대상이 되는 오픈형태 박스가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로더모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트랜스퍼모듈과 프레스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폴딩모둘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7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대상이 되는 오픈형태 박스가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제작 대상이 되는 오픈형태 박스(이하, 박스(B))는 상판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의 직육면체 형성으로 1개의 바닥판(B1)과 상기 바닥판(B1)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판(B2) 및 단측판(B3)과 상기 단측판(B3)으로부터 절곡되는 한 쌍의 상판(B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스(B)는 골판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과일 등을 포장하기에 적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측판(B2)은 내측에 형성되는 장측보강판(B21)과 상기 장측보강판(21)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장측보강판다리(B22)와 상기 장측보강판다리(B2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측보강판다리 고정홀(B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측판(B3)은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1보강판(B31)과 단측 제 2보강판 체결부(B33)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단측 제 1보강판(B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2보강판(B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측 제 1보강판(B31)과 상기 단측 제 2보강판(B32)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B4)은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판다리(B41)가 상기 장측판(B2) 측에 형성되는 상판다리 고정홀(B4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로더모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트랜스퍼모듈과 프레스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폴딩모둘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로더모듈(200)과 트랜스퍼모듈(300)과 프레스모듈(400)과 폴딩모듈(500)과 제어모듈(600) 및 출력모듈(7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각 프레임이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구성들이 배치 및 지지되는 틀로서 바닥면에 이동 및 고정을 위한 복수 개의 캐스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스터(110)는 이동이 완료되면 바닥면과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스토퍼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는 각종 공구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는 캐비닛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1ton 트럭 적재함에 탑재 가능하도록 길이가 2700mm 내외이고, 폭이 1600m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길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에 대한 길이를 의미하며, 폭은 x축에 대한 길이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로더모듈(200)은 전개된 상태의 박스(B)들이 적재되어 1개씩 상기 트랜스퍼모듈(3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스매거진(210)과 이젝터(220) 및 서브로더(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스매거진(210)은 장측판(B2)이 각각 상,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적재되는 복수 개의 박스(B)들을 x축을 기준으로 상기 이젝터(220) 측으로 이송시키는 메인로더(211)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로더(211)는 상기 박스(B)의 양측을 각각 지지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박스(B)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로더(211)는 리니어모터, 서보모터, 유공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매거진(210)은 적재된 박스(B)가 상기 메인로더(2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매인로더(211)의 이동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매거진(210)의 박스 적재 용량은 25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젝터(220)는 상기 박스매거진(210)의 일단 측과 이격 형성되는 이젝터베이스(221)에 대하여 상기 메인로더(21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석션패드(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석션패드(222)는 상기 이젝터베이스(231)에 대하여 승강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220)는 리니어모터, 서보모터, 유공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로더(230)는 상기 이젝터베이스(231) 측에 형성되는 서브로더베이스(231)에 대하여 상기 메인로더(21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브로더(230)는 상기 메인로더(211)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박스(B) 일면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로더(230)는 리니어모터, 서보모터, 유공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박스매거진(210)에 적재된 복수 개의 박스(B) 중 1개가 상기 석션패드(222)에 의하여 고정되면, 상기 서브로더(230)는 상기 메인로더(211)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 개의 박스(B)로부터 상기 석션패드(222)에 의하여 고정된 1개의 박스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220)에 의하여 분리된 1개의 박스(B)는 상기 석션패드(222)의 진공이 해제되면 자유 낙하하여 상기 트랜스퍼모듈(3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석션패드(222)는 진공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이젝터베이스(221)에 대하여 z축으로 하강하여 상기 박스(B)가 상기 트랜스퍼모듈(300)에 안착되면 진공이 해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트랜스퍼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B)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트랜스퍼(310)와 제 2트랜스퍼(3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트랜스퍼(310)는 상기 박스매거진(210)과 상기 이젝터(230) 사이에 상기 메인로더(211)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트랜스퍼(310)는 레일 제 1플레이트(311a)와 레일 제 2플레이트(311b) 사이에 형성되는 트랜스퍼레일(311)과 제 1컨베이어(3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일 제 1플레이트(311a)는 상기 이젝터(230) 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제 2플레이트(312b)는 상기 박스매거진(310) 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 제 1플레이트(311a)는 상기 레일 제 2플레이트(312b)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퍼모듈(300)로 공급된 박스가 상기 이젝터(230) 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레일 제 2플레이트(312b)는 상단부가 상기 박스매거진(210)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트랜스퍼(310)로 공급되는 상기 박스(B)가 상기 트랜스퍼레일(31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컨베이어(312)는 서보모터 등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퍼레일(311)에 안착된 박스(B)를 상기 제 2트랜스퍼(320) 측으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트랜스퍼모듈(300)의 박스 이송 방향은 상기 박스매거진(210)의 박스 이송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트랜스퍼(320)는 상기 제 1컨버이어(31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 2컨베이어(321)와 상기 제 1트랜스퍼(310)를 거쳐 상기 제 2트랜스퍼(320)로 이송된 박스(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3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컨베이어(321)는 서보모터 등에 의하여 상기 제 1컨베이어(312)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 2컨베이어(321)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수직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 돌기(321a)를 포함하여 상기 박스(B)가 상기 제 2컨베이어(321)의 표면으로부터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컨베이어(312)는 상기 제 2컨베이어(3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컨베이어 돌기(321a)와 동일한 형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322)는 상기 제 2컨베이어(321)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토퍼레일(322a)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박스(B)의 측단부 일측이 삽입되도록 'ㄷ' 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로더모듈(200)로부터 공급된 박스(B)는 양측부가 각각 상기 제 1트랜스퍼(310)와 상기 제 2트랜스퍼(3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트랜스퍼(310)와 상기 제 2트랜스퍼(3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22)는 상기 박스(B)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로더모듈(200)로부터 공급된 박스(B)가 상기 제 1트랜스퍼(310)와 상기 제 2트랜스퍼(320)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 1컨베이어(312)와 상기 제 2컨베이어(32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모듈(400)은 도 2와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트랜스퍼(310)와 상기 제 2트랜스퍼(320) 사이에 상기 박스매거진(210)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스모듈(400)은 상면에 상기 트랜스퍼모듈(30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스레일(411)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스베이스(410)와 상기 프레스레일(411)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스(4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스(420)의 이동 방향은 상기 메인로더(21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더모듈(200)과 상기 트랜스퍼모듈(300)과 상기 프레스모듈(400)을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프레스(420)는 상기 트랜스퍼모듈(3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 제 1트랜스퍼(310)와 상기 제 2트랜스퍼(320) 사이에 위치한 박스(B)의 바닥판(B1)을 지지하는 프레스플레이트(4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스플레이트(421)의 면적은 상기 바닥판(B1)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스(420)는 서보모터, 리니어모터, 유공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구동 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딩모듈(500)은 상기 프레스모듈(400)에 의하여 이동되는 전개된 상태의 박스(B)를 절곡 및 접철하여 완성된 상태의 박스(B)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 1롤러(510)와 제 2롤러(520)와 제 3롤러(530)와 제 4롤러(540)와 제 5롤러(550) 및 제 6롤러(5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모듈(50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중앙부와 중앙부 하측에는 상기 프레스(4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스레일(411)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로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스모듈(3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폴딩모듈(500)의 각 롤러는 각각의 회전 축에 대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모듈(500)에 있어서 구동이 필요한 롤러들의 구동 수단은 유공압 실린더, 서보 모터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롤러(510) 측이 전방이며, 상기 제 6롤러(560) 측이 후방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롤러(510)는 상기 단측 제 2보강판(B32) 각각에 대응되도록 총 4개가 형성되어 제 1롤러베이스(511)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4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 후진한다.
이때, 상기 제 1롤러(510)는 도 7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플레이트(421)가 접촉되는 면 측에서 상기 단측 제 2보강판(B32)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롤러(510)의 회전축은 각각 z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의 b와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롤러(510)가 상기 제 1롤러베이스(511)에 대하여 후진함으로써 상기 단측 제 2보강판(B32)은 상기 장측보강판(B21)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420)는 이동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롤러(520)는 상기 단측판(B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1롤러(521)와 상기 단측 제 1보강판(B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2롤러(522)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롤러(5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롤러(520)는 상기 제 2-1롤러(521)와 상기 제 2-1롤러(521)의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2-2롤러(522)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폴딩모듈(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어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1롤러(521)와 상기 제 2-2롤러(522)는 각각 상기 폴딩모듈(50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바닥판(B1)으로부터 상기 단측판(B3)과 상기 단측 제 1보강판(B31) 각각의 절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c와 도 8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프레스(420)가 후진함으로써 상기 단측판(B3)과 상기 단측 제 1보강판(B31)은 각각 상기 제 2롤러(520)에 의하여 상기 바닥판(B2)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상기 제 3롤러(530)는 상기 장측판(B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상기 제 2롤러(520)의 후방 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3롤러(530)의 회전축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의 d와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420)가 후진함으로써 상기 장측판(B2)은 상기 바닥판(B2)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장측판(B2)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단측 제 1보강판(B31)은 상기 단측판(B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4롤러(540)는 상기 장측보강판(B21)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상기 제 3롤러(530)의 후방 측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롤러(540)는 회전축이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딩모듈(500)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 4롤러베이스(541)에 대하여 승, 하강 및 전, 후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4롤러베이스(541)는 상기 폴딩모듈(500)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 4롤러고정부(541a)와 상기 제 4롤러고정부(541a)에 대하여 승, 하강하는 상기 제 4롤러가동부(541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4롤러(540)는 상기 제 4롤러가동부(541b)와 함께 상기 제 4롤러고정부(541a)에 대하여 승, 하강하며, 상기 제 4롤러가동부(541b)에 대하여 전,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e와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롤러(540)가 상기 제 4롤러베이스(541)에 대하여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장측보강판(B21)은 각각 상기 장측판(B2)에 대하여 상하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도 1의 f와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롤러(540)가 상기 제 4롤러베이스(541)에 대하여 후진함에 따라 상기 장측보강판(B21)은 상기 장측판(B2)의 내측으로 접철된다.
이때, 상기 장측보강판다리(B22)는 상기 장측보강판다리 고정홀(B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장측보강판(B21)은 상기 장측판(B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측 제 2보강판(B32)은 상기 단측 제 1보강판(3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철되는 동시에 상기 단측 제 2보강판 체결부(B33)에 의하여 인접한 단측 제 2보강판(B32)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4롤러(540)가 상기 제 4롤러베이스(541)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스(420)는 이동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5롤러(550)는 상기 상판다리(B4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4개가 상기 제 4롤러(540)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5롤러(550)의 회전축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5롤러(550)는 각각 제 5롤러베이스(551)에 대하여 y축으로 전, 후진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1의 g와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5롤러(550)가 상기 제 5롤러베이스(551)에 대하여 y축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판다리(B41)는 상기 상판(B4)에 대하여 y축으로 절곡된다.
한편, 상기 제 6롤러(560)는 상기 상판(B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상기 제 5롤러(550)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6롤러(560)의 회전축은 z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6롤러(560)는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폴딩모듈(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 6롤러베이스(561)에 대하여 y축으로 전, 후진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1의 h와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5롤러(560)가 상기 제 6롤러베이스(561)에 대하여 y축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판(B4)은 상기 장측판(B3)에 대하여 y축으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상판다리(B41)가 상기 상판다리 고정홀(B4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판(B4)은 상기 장측판(B3)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딩모듈(500)은 각 롤러에 의하여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롤러 사이마다 상기 프레스(4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600)은 상기 로더모듈(200)과 상기 트랜스퍼모듈(300)과 상기 프레스모듈(400) 및 상기 폴딩모듈(50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60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의 각 구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널 타입의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출력모듈(700)은 상기 폴딩모듈(500)을 통하여 완성된 박스(B)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과일 등을 박스(B)에 담는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폴딩모듈(500)의 후방 측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출력컨베이어(7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를 차량(V)에 적재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출력모듈(700)은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를 차량(V)에 적재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출력모듈(700)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폴딩모듈(500)과 상기 출력컨베이어(71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7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출력컨베이어(710)는 서보모터 등에 의하여 자동을 구동하거나 수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모듈(500) 내에서 조립이 완료된 박스(B)는 상기 프레스모듈(400)에 의하여 상기 출력컨베이어(710)로 배출되어 과일 수납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는 상기 출력모듈(700)을 제외한 나머지의 무게가 900kg 내외로 1ton 트럭에 적재되기 적합한다.
또한, 상기 출력모듈(700)은 40Kg 내외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를 1ton 트럭에 적재하여 운반 시 상기 출력모듈(700)도 같이 운반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B. 박스
B1. 바닥판
B2. 장측판
B21. 장측보강판
B22. 장측보강판다리
B23. 장측보강판다리 고정홀
B3. 단측판
B31. 단측 제 1보강판
B32. 단측 제 2보강판
B33. 단측 제 2보강판 체결부
B4. 상판
B41. 상판다리
B42. 상판다리 고정홀
V. 차량
100. 베이스프레임
110. 캐스터
200. 로더모듈
210. 박스매거진
211. 메인로더
220. 이젝터
221. 이젝터베이스
222. 석션패드
230. 서브로더
231. 서브로더베이스
300. 트랜스퍼모듈
310. 제 1트랜스퍼
311. 트렌스퍼레일
311a. 레일 제 1플레이트
311b. 레일 제 2플레이트
312. 제 1컨베이어
320. 제 2트렌스퍼
321. 제 2컨베이어
321a. 컨베이어 돌기
322. 스토퍼
322a. 스토퍼레일
400. 프레스모듈
410. 프레스베이스
411. 프레스레일
420. 프레스
421. 프레스플레이트
500. 폴딩모듈
510. 제 1롤러
511. 제 1롤러베이스
520. 제 2롤러
521. 제 2-1롤러
522. 제 2-2롤러
530. 제 3롤러
540. 제 4롤러
541. 제 4롤러베이스
541a. 제 4롤러고정부
541b. 제 4롤러가동부
550. 제 5롤러
551. 제 5롤러베이스
560. 제 6롤러
561. 제 6롤러베이스
600. 제어모듈
700. 출력모듈
710. 출력컨베이어
720. 슬라이드

Claims (6)

1개의 바닥판과, 내측에 형성되는 장측보강판과 상기 장측보강판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장측보강판다리와 상기 장측보강판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측보강판다리 고정홀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측판과,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1보강판과 단측 제 2보강판 체결부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여 상기 단측 제 1보강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측 제 2보강판를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상기 장측판과 이웃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단측판, 및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판다리가 상기 장측판 측에 형성되는 상판다리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판을 포함하는 전개 상태의 박스를 자동을 접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에 있어서,
전개된 복수 개의 박스가 세워진 상태로 적재되는 박스매거진으로부터 상기 박스를 일 방향으로 1개씩 공급하는 로딩모듈;
상기 로딩모듈로부터 공급된 상기 박스를 상기 로딩모듈의 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랜스퍼모듈;
상기 트랜스퍼모듈에 의하여 이송이 완료된 상기 박스의 바닥판을 지지하여 상기 트랜스퍼모듈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스레일을 따라 이송 및 정렬시키는 프레스모듈; 및
상기 프레스모듈을 통하여 이송 및 정렬되는 상기 박스를 복수 개의 롤러를 통하여 접철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폴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로딩모듈은,
상기 박스매거진 상에 적재된 복수 개의 박스를 이송시키는 메인로더;
상기 메인로더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 개의 박스 중 1개를 고정시켜 상기 트랜스퍼모듈 공급하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에 고정된 1개의 박스와 나머지 박스를 분리시키는 서브로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모듈은,
상기 로딩모듈로부터 공급된 박스를 제 1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프레스모듈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트랜스퍼; 및
상기 제 1컨베이어와 동일한 직선 상에 형성되는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 1트랜스퍼와 이격 형성되는 상기 제 2트랜스퍼;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모듈에 의하여 이송이 완료된 박스는 일측이 상기 제 1컨베이어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 2컨베이어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삭제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모듈은
상기 프레스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매거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1트랜스퍼와 상기 제 2트랜스퍼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스베이스; 및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프레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스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스;를 포함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모듈은
제 1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측보강판에 대하여 상기 단측 제 2보강판을 절곡시키는 제 1롤러;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기 단측판과 상기 단측 제 1보강판을 각각 절곡시키는 제 2롤러;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기 장측판을 절곡시키는 제 3롤러;
제 4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장측판에 대하여 상기 장측보강판을 절곡시키며, 상기 제 4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측판과 상기 장측보강판을 접철시키는 제 4롤러;
제 5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에 대하여 상기 상판다리를 절곡시키는 제 5롤러; 및
제 6롤러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프레스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단측판에 대하여 상기 상판을 절곡시키는 제 6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모듈과 트랜스퍼모듈과 프레스모듈 및 폴딩모듈이 각각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폴딩모듈의 일측에 탈착되어 상기 폴딩모듈로부터 조립이 완료된 박스를 배출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KR1020210106623A 2021-08-12 2021-08-12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KR10259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623A KR102597541B1 (ko) 2021-08-12 2021-08-12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623A KR102597541B1 (ko) 2021-08-12 2021-08-12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27A KR20230024627A (ko) 2023-02-21
KR102597541B1 true KR102597541B1 (ko) 2023-11-03

Family

ID=8532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623A KR102597541B1 (ko) 2021-08-12 2021-08-12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29B1 (ko)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KR101367375B1 (ko) 2011-11-14 2014-03-12 장현규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KR101463862B1 (ko)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US20200298524A1 (en) 2017-05-18 2020-09-24 Juan Antonio HERRERO PEREZ RIOJA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ackaging tray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product obtained
KR102267337B1 (ko) * 2020-03-17 2021-06-18 노태환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76B1 (ko) 2008-09-03 2011-05-26 정봉우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29B1 (ko)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KR101367375B1 (ko) 2011-11-14 2014-03-12 장현규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KR101463862B1 (ko)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US20200298524A1 (en) 2017-05-18 2020-09-24 Juan Antonio HERRERO PEREZ RIOJA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ackaging tray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product obtained
KR102267337B1 (ko) * 2020-03-17 2021-06-18 노태환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27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7980A (en) Apparatus for forming a bulk package
JP5828001B2 (ja) マルチフォーマットボックス成形機
US20080283535A1 (en) Cellular container
US8297490B2 (en) Materials 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with corner supports and the resulting container
NZ228204A (en) Forming cardboard cartons by wrapping blank around mandrel
US20070006782A1 (en) Combination knockdown pallet structure and article container
CN107336465B (zh) 一种纸盒折叠机
KR102198905B1 (ko)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KR102267337B1 (ko)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JP2000085710A (ja) 物品または積重ね体を包装するための装置
CN111619874A (zh) 一种纸质包装盒成型装置及成型工艺
KR101037276B1 (ko)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CN102712161A (zh) 生产购物袋的方法和相关的自动化生产线
AU683246B2 (en)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US10745166B2 (en) Prefolded cardboard blank, method and system for folding closed packaging boxes of varying height and length
US5807225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paperboard packaging
KR102597541B1 (ko)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ES2259142T3 (es) Mejoras en plataformas de carga de carton ondulado y relativas a dichas plataformas de carga.
CN113998271B (zh) 折叠式双层香烟陈列盒及其生产线
JPH0688569B2 (ja) タイル梱包装置
EP3530578B1 (en) Packaging machin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JPH0514607B2 (ko)
JP4104398B2 (ja) 段ボール箱を用いた物品の梱包方法及び装置
CN215044604U (zh) 一种单元化的重型托盘包装箱
KR20070103004A (ko) 운반용기 성형 소재, 운반용기 제작 방법, 운반용기 및운반용기에의 식품 분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