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861B1 -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 Google Patents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861B1
KR0127861B1 KR1019930030195A KR930030195A KR0127861B1 KR 0127861 B1 KR0127861 B1 KR 0127861B1 KR 1019930030195 A KR1019930030195 A KR 1019930030195A KR 930030195 A KR930030195 A KR 930030195A KR 0127861 B1 KR0127861 B1 KR 012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material
supply
opening
convey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찌야 고사와
Original Assignee
쇼오지 히로아끼
린테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205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50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120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5590A/ja
Application filed by 쇼오지 히로아끼, 린테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쇼오지 히로아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861B1/ko

Link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여러개의 편평함 박스소재를 적층상태로 배치하여 두고, 이것을 1장씩 반송장치에 공급한다. 이 공급은, 반송장치측의 박스소재에 연결과 비연결을 번갈아 반복하는 소재이송수단으로 하게 된다. 소재이송수단으로 공급되는 박스소재는, 요동할 수 있는 흡착패드로 흡착되면서 반송장치에 이송된다. 흡착패드의 요동에 따라서, 박스소재의 저부를 형성하는 플랩이 개함용 바아에 맞물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에 따라 개함하면서 반송장치에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반송로상에는 개함된 박스의 저부 접어개이는수단과 프레스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스장자치는 접어개임 완성의 저부 내에 진퇴할수 있도록 되어서 저부를 강하게 가압한다.

Description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함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재이송수단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제5도는 압출부재를 구비한 소재이송수단의 주요부분 사시도.
제6도는 개함 완성 박스의 저부를 형성하는 플랩을 접어개는 수단 및 저부가압용의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제7도는 프레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8도는 프레스장치의 주요부분 분해 사시도.
제9도는 소재이송수단에 있어서의 초기 동작 설명도.
제10도는 제9도의 다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소재이송수단의 동작 설명도.
제11도는 제10도의 다음 상태를 나타낸 소재이송수단의 동작 설명도.
제12도는 제11도의 상태시에 있어서의 요동 아암의 상태 설명도.
제13도는 제11도의 다음 상태를 나타낸 소재이송수단의 동작 설명도.
제14도는 제13도의 다음 상태를 나타낸 소재이송수단의 동작 설명도.
제15도는 종래의 제함기에 있어서의 소재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제16도는 종래의 제세함기에 있어서의 프레스장치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박스소재(函素材), 13 : 매거지인(magazine),
15 : 소재이송수단, 16 : 흡착수단,
17 : 반송(耭送)수단, 20 : 프레스장치,
74 : 제1날개, 75 : 제2날개,
105 : 보울스터(bolster), 114 : 신축체(伸縮體.),
114A : 제1신축부재, 114B : 제2신축부재,
117 : 가압블록, 120 : 각 기둥블록.
본 발명은 적층 상태로 수납된 다수의 박스소재를 한장씩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공급된 박스소재를 순차 개함하면서 저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소재공급, 개함방법에 관한것이다.
종래로 부터, 공장등에서 제조된 각종 제품 및 상품의 대부분은 일정한 형식의 박스에 수납되어, 이것이 유통과정에 있어서의 수송력 증대에 커다란 공헌을 가져오게 하였다.
이 박스는 초기 단계에서는 박스소재로서 편평하게 접어개어져있어, 이것들 박스소재를 일정한 반송수단에 한장 그렇지 않으면 한단위씩 공급하여, 수송되는 과정에서 입방체 형상으로 조립하여 이용되고 있다.
제15도에는 종래의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소재 공급장치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떼어서 배치된 좌우 한쌍의 판재(200A,200B)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잇따른 매거지인(20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매거지인(200)내에는 골판지 등으로 형성된 다수의 박스소재(201)가 그것들 각면을 서로 겹쳐서 적층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것들 박스소재(201)는 메거지인(200)의 하부에 배치된 한쌍의 로울러(203,204)의 외주면에 맞물려거 있다. 즉, 각 로울러(203,204)상호간의 거리는 박스소재(201)의 좌우 양단간의 거리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박스소재(201)가 전체적으로 매거지인(200)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매거지인(200)의 하방에는 수평방향으로 뻗은 반송로(20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반송로(205)는 도면에 업슨 체인 또는 벨트 등의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반송로(205)는 도면에 업슨 체인 또는 벨트 등의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반송로(205)에는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흡착패드(pad)(206,207)가 승강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흡착패드(206,207)가 하강하려할 때에 박스소재(201)를 흡착하여 그 상태에서 각 흡착패드(206,207)가 하강하려할 때에 박스소재(201)의 양단부와 로울러(203,204)의 맞물림이 강제적으로 해제되어, 이 박스소재(201)를 반송로(205)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송로(205)의 하류측에는 개함장치(20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함 장치(208)는 도면에 없는 요동아암을 개재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는 흡착패드(209)와 개함위치결정부재(210)등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로(205)상의 소정위치에 박스소재(201)가 반송되어 왔을 때에 흡착패드(209)가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쓰러져서 이 흡착패드(209)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요동할 때에 개함위치 결정부재(210)에 박스소재(201)의 한측면에 고정되어, 그 매끄러움을 방지하면서, 박스소재(201)를 대략 입방체의 박스(201A)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박스소재(201)를 반송로(205)위에 공급하기 위한 박스소재 공급장치는 한쌍의 흡착패드(206,207)에 의한 강제공급방식이기 때문에 박스소재(201)의 양단부에서, 각 로울러(203,204)를 강제적으로 뛰어 넘게 하는 힘이 작용함에 기인하여 박스소재(201)의 양단부에 변형, 손상 등의 악영향을 가거오게 하여 최종적인 박스(201A)그것 자체의 제품가치를 크게 저하시킨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박스소재(201)의 양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적인 강제력에 의하여 각 로울러(203,204)의 외주면을 건너서 공급되는 것으로, 이 공급에 필요한 강제력은 흡착패드(206,207)의 흡착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그러기 위하여 이 강제공급을 함에 충분한 감압을 불가결하게 하는 결고, 감압펌프가 필연적으로 대형화가게 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박스소재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흡착패드(206,207)의 설치수도 증가시키지 않으면 아니되며,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도 있었다.
또, 개함장치(208)는 반송로(205)에 잇따라서, 박스소재(201)가 반송되는 동안에 개함동작하게 됨과 동시에 반송 반대방향으로 흡착패드(209)가 요동하므로서 개함력이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송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게 되어, 단위 시간당의 개함 효율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박스소재(201)를 반송로(205)상에 공급하기 위한 흡착패드(206,207)는 개함용의 흡착패드(209)와 별개로 독립한 위치에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도 있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흡착패드(206,207,209)의 설치수에 대응하여 단 하나의 감압텡크를 체용하였을 경우에는 비교적 고능력의 감압탱크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감압탱크의 대형화도 부득이 하게 된다고 하는 불합리를 초래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개함되는 박스(201a)는 그 반송과정에서 박스(201a)의 저부를 형성하는 각 플랩(가동의 작은 날개:flap)을 안쪽으로 접어개어, 이 저부를 외부로 부터 프레스장치를 가압하여 완전한 저부 형성을 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제16도에는 이와 같은 저부 형성을 하기 위한 종래의 제함기에 있어서의 프레스장치의 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에서 반송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00)에 잇따라서 개함된 박스(210A)가 반송되고 있다. 이 박스(20lA)는 반송 반대방향에 있는 상술한 개함장치(Z08)를 개재하여 개함된 것이다.
박스(201A)가 가이드레일(300)위에서 반송되는 과정에서는 박스(201A)의 저부를 형성하는 각 플랩을 도면의 화살표(a)방향으로 각기 접어개어지게 된다. 이렇게 접어개어진 경우에는 도면에 없는 외부장치에 따라 적당한 접착제를 사출하도록 되어 있어, 접어갠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프레스장치(305)에 의하여 저부가 가압되고, 이에 따라 완전한 저부 형성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프레스장치(305)는 지지블록(306)과, 이 지지블록(306)에 지지된 실린더(307,307)와, 이 실린더(307)에 고정된 가압블록(308)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307)는 각기, 실린더본체(310)와 이 실린더 본체(310)에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피스톤로드(311)등에 따라 구성되어 있고, 가압블록(308)은, 피스톤로드(311)의 선단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박스(201A)의 저부 바깥면측에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305)와 대응하여 저부 바깥면에 맞닿을 수 있는 보울스터(bolster)(315)가, 소정의 진퇴수단을 개재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도면에 없는 저부측의 플랩을 접어개는 수단등을 개재하여 각 플랩이 안쪽으로 접어개어짐과 동시에, 이렇게 접어개이는 동안에 있어서의 플랩 서로의 중합면 사이에 적당한 접착제가 외부장치에 의하여 사출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프레스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프레스장치(305)의 실린더 (307)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311)가 전진하여 이 피스톤로드(311)의 선단에 고정된 가압블륵(308)이 박스(201A)내에 진출한다. 이때, 대응하는 보울스터(315)와 협동하여 일정한 가압이 이루어져서 접착제에 의한 각 플랩 서로를 강고하게 접착하여 완전한 저부 형성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프레스장치(305)는 가압블륵(308)이 평면적인 1개의 블록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압영역이 불변이고, 충분한 가압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커다란 가압블륵을 필요로 한다. 이경우에는 프레스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제함기를 구성하는 그 밖의 구성부재 등의 자유정도 까지도 제약한다고 하는 불합리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불합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그 제1목적은 박스소재에 외적인 부가를 가하는 이리 없는 원활한 공급을 실현함과 동시에 강제 공급 전용의 흡착패드를 불필요하게 하여 구조의 간이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제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박스소재를 일정한 반송수단으로 향하여 공급하는 동안에 그 반송방향에 잇따른 박스의 이동시에 개함할 수 있는 제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제함기에 있어서의 프레스장치 전체로서의 크기를 극히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교적 저부 면적이 큰 박스에 유효하게 적용하여 범용성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잇는 제함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개의 박스소재를 적층상태로 하여 매거지인 내에 배치하고, 이것들 박스소재를 순차 일정한 공급방향측에 공급할 수 잇도록 설치한 박스슈재의 공급장치를 구비한 제함기에있어서, 고급방향측에 위치하는 박스소재의 양단 근방에 이 박스소재를 지지하면서 1장씩의 송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소재 송출수단이 각기 배치되있고, 이러한 소재 이송수단은 일정한 구동수단을 개재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상에 소정 간격을 떼어서 배치함과 동시에 박스소재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또한 대략 번갈아 맞무는 제1및 제2날개 등으로 구성되었고, 공급방향측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에 대하여 제1날개의 맞물림이 해제되었을 때에 이 박스 소재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다음의 박스소재가 제2날개에 맞물릴 수 잇도록 설치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 박스소재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적층상태로 수납된 박스소재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또한 대략 번갈아 맞물릴 수 있는 제1및 제2날개를 구비한 소재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박스소재를 일정한 공급방향으로 1장씩 공급하는 제함기의 박스소재 공급방법이며, 공급방향측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에 제1날개를 맞물리게 하여 두고, 이어서 제1날개에 의한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제2날개를 이어주는 박스소재에 맞물게 하여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 다음, 제2날개로 박스소재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제1날개에 맞물게 하고, 이 일련의 동작을 반복 계속함에 따라서 1장씩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개의 박스소재를 적층상태로 수납한 매거지인 냉에서 공급되는 박스소재를 순차 개함하는 자치를 구비한 제함기에 있어서, 전술한 박스소재에 대한 맞물림을 간헐적으로 해제하여 1장씩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소재이송수단고, 이 소재이송수단에 의한 박스소재의 공급위치와 일정한 반송수단과의 사이를 요동하는 흡착수단과, 박스소재의 이동 궤적상에 배치된 맞무는 수단 등을 설치하여, 흡착수단이 박스소재를 흡착하면서 반송수단으로 향하여 요동할 때에 맞무는 수난이 반송수단 반대측에 위치하는 박스소재의 플랩(flap)내측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개함방법은 박스소재를 순차 간헐적으로 1장씩 개방하여 공급하는 공정과 이 개방의 직전에 공급되는 박스소재를 흡착수단으로 흡착하는 공정과 이 흡착 수단으로 흡착된 박스소재를 일정한 반송수단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공정과, 이렇게 이동하는 경우에, 반송수단 반대측에 위치하는 박스 소재의 플랩 내측면에 소정의 맞무는 수단을 맞물리게 하는 공정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송로에 잇따라서 순차 반송되는 박스의 접어갬이 완성된 저부에 향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레스장치를 구비한 제함기에 있어서, 전술한 프레스장치는 실린더에 의하여 진퇴할 수 있는 신축 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신축부재의 선단에 가압블록을 설치하고, 신축부재의 신장에 추종하여 가압블록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확대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박스소재의 공급에 있어, 제1및 제2날개는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간헐적으로 박스소재의 공급방향 측면으로 밀고 들어가서, 제1날개가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박스소재의 공급이 저지된다. 회전축이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제1날개가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의 공급방향측의 면에서 떨어지게 되면 제1날개에 의한 박스소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며, 이때 박스소재는 그 자체 무게 등에 의하여 반송수단 등에 공급하게 된다.
제1날개에 의한 박스소재에의 맞물림이 해제될 때에는 제2날개가 다음의 박스소재의 공급방향 측면으로 밀고 들어가서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만의 공급을 원조한다. 그리고, 회전축의 더욱 회전함에 따라서 제2날개에 의한 맞물림이 해제될 때에 제1날개가 박스소재의 공급방향 측면에 재차 밀고 들어가게 되고, 그런 다음 마찬가지 운동을 반복함에 따라서 박스소재를 1장씩 반송수단측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재이송수단이 박스소재에 대하여 일정한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박스소재의 공급은 할 수 없으나, 맞물림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이 박스 소재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맞물림이 해제된 박스소재는 흡착수단에 의하여 흡착되어, 반송수단으로 향하는 흡착수단의 요동에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의 박스소재의 이동궤적상에는 맞물림 수단이 배치되어 있어, 박스소재의 반송수단 반대측에 위치하는 플랩 내측면과 맞무는 수단 등이 맞문다. 이때, 맞무는 수단에 의한 반송수단 반대측의 플랩의 이동규제와, 반송수단측의 플랩의 이동 등에 의하여 개함력이 발생하고, 흡착수단이 더욱더 반송수단측으로 요동함에 따라서 박스소재의 개함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부가 접어개어진 박스가 반송로에 있어서의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프레스장치의 실린더가 작동되어서 박스의 저부에 향하여 전진한다. 실린더의 전진작동에 추종하여 신축부재도 신장하여, 이 신축부재의 선단에 설치된 가압블록이 저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가압블록은 신축부재가 신장함에 따라서, 점차로 확대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광범위에 미치는 가압영역이 확보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그 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 있어서, 제함기(10)는 여러개의 강재를 종횡으로 조립하여 형성된 프레임(11)고,이 프레임(11)의 상부 일단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편평히게 접어개어진 박스소재(12)를 적층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설치된 매거지인(13)과, 박스소재(12)의 양단부 근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나중에 설명하는 모우터, 스프로킷 및 체인 등으로 된 구동전달수단(14)을 거재하여 회전구동되는 한쌍의 소재이송수단(15)과, 이 소재이송수단(15)의 하방위치에 설치된 흡착수단(16)과, 이 접착수단(16)의 하부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반송수단(l7)및 이 반송수단(17)에 의하여 반송된 개함 완성 박스(12A)의 저부를 형성하기 위한 플랩을 접어개는 수단(19)과, 이 플랩을 접어개는 수단(19)으로 접어개어진 박스의 저부를 가압하는 프레스장치(20)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1)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2)및 상부 프레임(23)은 반송수단(17)에 잇따라서 일정간격을 떨어져서 배치된 제1문형 프레임 (24)및 제2문형 프레임(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 문형(門型)프레임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지인(13)을 구성하는 판재(13A∼13E)가 각기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되었고, 이것들 판재(13A∼13E)로 구회형성되는 안쪽 영역에 다수의 박스소재(12)가 적층상태로 하여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및 제2문형 프레임(24,25)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양단의 베어링(26,26)을 개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각 기둥형의 회전축(27,28)이 배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문형 프레임(24,25)의 일단축에는 회전축(27,28)을 동시에 회전구동하기 위한 각 기둥으로 된 구동축(30)이 베어링(31,31)을 개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7,28)의 축방향 중앙부 영역에는 일정간격을 떨어져서 배치된 베벨기어 등의 기어(35,36)및 (37,38)가 각기 한쌍의 관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회전축(27,28)의 일단에 위치하는 베어링(26,26)의 바깥쪽에는 구동축(30)에 배치된 한쌍의 기어(40,41)에 각기 맞무는 기어(43,4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기어(43,44)중에서, 제1도중 좌측에 위치하는 기어(43)는 구동전달수단(14)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회전축(27)의 회전이 구동축(30)을 개재하여 회전축(28)에 전달되어,이 회전축(28)이 회전축(27)과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7,28)및 구동축(30)에 각기 설치된 각 기어는 모두 축방향에 잇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문형 프레임(25)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3)에 잇따라서 제1문형 프레임(24)에 대하여 격리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고, 공급대상이 되는 박스소재(12)의 각종 사이즈에 적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7)에의 동력전달은, 이 회전축(27)의 일단에 고정된 전술한 기어(43)에 연결되는 구동전달수단(14)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것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 구동전달수단(14)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2)의 저부측에 배치된 모우터(50)와, 이 모우터(50)의 출력축에 고정된 제1스프로킷(sprocket)(51)과, 이제1스프로킷(51)에 돌려감은 제1체인 (52)이 돌려감긴 제2스프로킷(54)과, 이제2스프로킷(54)의 회전축(55)위에 고정된 제3스프로킷(56)과, 이제3스프로킷(56)에 돌려감겨진 제2체인(57)과, 제3스포로킷(56)과 상대하는 상부위치에 설치된 제4스프로킷(58)과, 이제3스프로킷(58)의 회전축에 지지된 제5스프로킷(59)과, 이제5스프로킷(59)에 돌려감겨진 제3체인(60)고, 이제 3체인(60)을 타단측에서 돌려감는 제6스프로킷(61)과, 이제6스프로킷(61)의 회전축(62)에 고정된 제7스프로킷(63)과, 이제7스프로킷(63)과 기어(4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돌려서 건 제4체인(6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재이송수단(15)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소재(12)의 좌우 양단 근방위치에서, 제1및 제2문형 프레임(24,25)에 상하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소재이송수단(15)은, 본 실시예에서는 각 문형 프레임(24,25)에 각기 2개를 1조로 하여 한쌍 배치로 되어 있다. 이것들 소재 이송수단(15,15)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및 제2문형 프레임(24,25)에 지지된 회전축(27,28)의 중앙부예 설치된 기어(35∼38)에 각기 맞무는 기어(70)와, 이것들 각 기어(70)가 고정된 회전축(72)과, 이 회전축(72)의 하단측에 설치된 제1및 제2날개(74,75)와, 제3도에서 나타낸 바로 앞쪽에 있어서의 제1날개(74)위에 설치된 압출회전체(7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각 소재이송수단(15)을 각기 구성하는 각 회전축(72)은, 제1및 제2문형 프레임(24,25)에 지지된 통케이스(68)내를 관통한 상태에서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1및 제2날개(74,75)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날개(74)는 제2날개 보다도 부채의 확대 개방하는 각도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제1및 제2날개(74.75)는, 회전축(72)측을 기부로 한 돌출방향이 회전축(72)의 원주방향에 잇따라서 소정각도 만큼 차이진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 설정은, 제1날개(74)가 박스소재(12)의 맞물림을 해제하였을 때에, 제2날개(75)가 다음의 박스소재(12)의 하면측에 위치하여 다음의 박스소재(12)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으며, 한편, 제2날개가 그 맞물림을 해제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제1날개가 가장 바깥 부분 즉 최하부에 위치하는 박스소재(12)에 재차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각 날개(74,75)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접어개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박스소재(12)의 1단위 두께에 대략 상단하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1날개(74)위에 설치된 압출회전체(76)에 의하여 박스소재(12)를 그 면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서 박스소재(12)의 공급을 하기 위하여, 압출회전체(76)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제2날개는, 제1날개(74)와 상하방향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설치되어 잇다. 또, 압출회전체(76)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쪽의 소재이송수단(15)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지인(13)보다도 약간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재이송수단(15)사이에는, 최하부에 있는 박스소재(12)를 반송수단(17)에 공급하는 경우에, 제2날개(75)가 다음의 박스소재(12)의 하면측에 들어가는 것을 보조하는 한쌍의 요동 아암(77,78)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들 요동 아암(77,78)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문형프레임(24,25)의 다리 사이를 지면(紙面)직교방향으로 향하여 걸친 정역회전막대(79,8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요동방향이 서로 어긋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들 정역회전로드(79,80)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기구(82)를 개재하여, 회전축(27,28)의 일단에 연결되었고, 이에 따라서 정역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나아가서는 요동 아암(77,78)이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아암(78)의 하방에는 흡착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흡착수단(16)은, 본 실시에에서는 1개의 흡착패드(85)와, 이 흡착패드(85)에 적당한 호오스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감압펌프(92)(제3도 참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착패드(85)의 양쪽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박스소재(12)에 있어서의 나중에 설명하는 플랩부분에 맞무는 맞물림수단으로서의 한쌍의 개함용막대(86)가 배치되어 있다.
흡착패드(85)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단이 제1문형 프레임(24)의 다리 사이에 뻗은 정역회전로드(87)에 고정되어 있고, 이 정역회전로드(87)의 일단은 구동전달수단(14)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6 및 제7스프로킷(61,63)을 지지하는 회전축(62)의 외측단에 링크기구(90)를 개재하여 연결되었고, 이에 따라 흡착패드(85)가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흡착패드(85)의 요동 각도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박스소재(12)의 하면 상당위치를 상한으로 하는 한편, 이 박스소재(12)를 공급방향인 하방의반송수단(17)위에 공급합 수 있는 위치를 하한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한쌍의 개함용 막대(86)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문형 프레임(24)에 서로 격리 접근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것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각 개함용 막대(86)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박스소재(12)의 공급방향측, 즉 하면측에 위치하는 플랩(12C)에 형성된 슬릿(12D)이 통과하여, 상면측에 위치하는 플랩(12B)의 내측면이 맞물리도록 되었고, 이 맞물린 상태에서 박스소재(12)가 흡착패드(85)에서 흡착되면서 이 흡착패드(85)의 하방으로의 요동에 따라서 개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착수단(16)의 하방위치에는 반송수단(1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반송수단(17)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2)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95,95)과, 이것들 가이드 레일(95,95)에 잇따라서 돌려서 걸린 반송체인(96)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전달수단(14)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전축(55)에 지지된 반송용 스프로킷(98,98)과, 이것들 반송용 스프로킷(98,98)과 상대하는 하부 프레임(22)의 우측에 배치된 스프로킷(93,93)및 (99,99)에 돌려감겨져 있어, 이 반송용 스프로킷(98)의 회전에 의하여, 제1도 및 제2도중 화살표(B)로 나타낸 반송방향으로 박스(12A)를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제2도중에서 각 가이드 레일(95,95)의 더욱 바깥쪽위치에는 가이드 레일(95,95)과 평행으로 뻗은 사이드 가이드(side guide)(89,89)가 각기 배치되었고, 이것들 사이드 가이드(89,89)에 의하여, 박스(12A)의 반송로 밖으로의 탈락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사이드 가이드(89)에 있어서의 도중에는 플랩을 접어개는 수단(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랩을 접어개는 수단(19)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방향(B)에 대한 반송방향 반대측에 설치된 요동바아(100)와, 이 요동 바아(100)의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떼어서 배치된 가이드 바아(101)와, 나중에 설명하는 프레스장치(20)와 협동하는 보울스터(105)의 단면에서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확대 개방 바아(106,10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바아(100)는, 개함이 완성 박스(12A)에 있어서의 저부를 형성하는 좌우 양측의 플랩중에서, 반송방향 반대측에 있는 플랩을 안쪽으로 접어 개이기 위한 것으로, 이 요동 바아(100)는, 선단이 혹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지지축(102)에 축방향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102)은,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종동기어(103)를 구비하였고, 이 종동 기어(103)는 하부 프레임(22)의 부분에 지지된 주동기어(104)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이 주동기어(104)는, 반송수단(17)을 구동하는 반송용 스프로킷(98,98)의 회전축(55)의 일단에 연결된 링크기크(109)에 연결되어, 이에 따라 종동기어(103)가 정역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있고, 나아가서는 요동 바아(100)가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가이드 바아(101)는 개함 완성 박스(12A)의 저부를 형성하는 반송방향 가까이의 플랩을 안쪽으로 접어갬과 동시에, 요동 바아(100)로 접어개인 전술한 플랩을 접어갠 상태를 유지하면서 박스(12A)의 반송을 원조하는 것이며, 이 가이드 바아(101)는, 박스(12A)의 반송측 플랩을 원활하게 안쪽으로 접어개는 만곡가이드부(10la)와, 반송반향으로 뻗은 직진가이드부(101B)등을 구비하였고, 만곡가이드부(101A)의 선단은, 직진가이드부(101B)와 평행으로 뻗은 지지부품(101C)으로 되었으며, 이 지지부품(101C)에는 연결축(101D)이 연결되었고, 이 연결축(101D)은, 지지판(101E)에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확대 개방 바아(106,107)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함 완성 박스(12A)의 저부를 형성하는 상하의 플랩을 각기 안쪽으로 접어개도록 구성되어 있어, 각 확대 개방 바아(106,107)의 선단을 맺는 상하 간격은 상하의 플랩 간격보다도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방향(B)으로 박스(12A)가 반송됨에 따라서, 상하의 플랩은 각 확대 개방 바아(106,107)에 맞물려 안내되면서 안쪽으로 접어개어지고, 가이드 바아(101)의 만곡가이드부(101A)에 의하여 안쪽으로 접어개어지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직진가이드부(101B)에 안내되면서 반송된다.
저부를 형성하는 각 플랩의 접어개임 완료후는, 가이드 레일(9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터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레스장치(20)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레스장치(20)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부 프레임(22)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95)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기판(112)과 이 기판(112)의 하면측에 밑으로 들이원진 지지판(113)과, 기판(112)의 상면측에 설치된 신축체(114)와, 이 신축체(114)를 신축시키기 위한 실린더(115)와, 신축체(114)의 선단에 장착된 가압블록(117)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판(112)은, 하부 프레임(22)의 일부에 적당한 체결구를 개재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박스제조의 여러가지 사이즈를 구비한 박스소재(12)의 저부 가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신축체(114)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개의 각 기둥블록(120)을 사용하여 구성되었고, 이것들 각 기둥블록(120)을 각기 상하위치가 번갈음 관계로 되도록 하여 연결축(121)을 개재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신축부재(114A,114B)를, 각 블록(120)의 대략 중간위치에서 교차하도록 조합함에 따라서 구성되어 있다.
가압블륵(117)은, 제6도∼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블록부재(117A)및 제2블록부재(117B)로 구성되었고, 제1블록부재(117A는, 제1신축부재(114a)의 선단에 제1블록부재(117A)의 선단에 축받침되어 있는 한편, 제2블록부재(117B)는 제2신축부재(114B)의 선단에 축받침되어 있다. 각 블록부재(117A,117B)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의 연결판(123,124)을 구비하고 있어, 연결판(123)의 하단면 및 연결판(124)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게 되는 위치관계에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축체(114)가 전체로서 신장한 상태에서는 각 블록부재(117A,117B)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확대 개방하는 한편, 신축체(114)가 후퇴한 상태에서는 각 블록부재(117A,117B)의 상호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판(123,124)에 있어서의 단부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관(126,127)이 각기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연결관(126)의 한단에는 제1신축부재(114a)의 일부를 구성하는 최선단의 각 기둥블록(120)이 배치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연결축(121)이 헐겁게 끼워졌고, 이 연결축(121)의 양단은, 상하 2개소의 멈춤링(130)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연결판(127)의 상단에는, 제2신축부재(114B)의 일부를 구성하는 최선단의 각 기둥블록(120)이 배치되었고, 마찬가지로 연결축(121)을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 그 양단이 멈춤링(130)으로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각 신축부재(114A,114B)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각 기둥블록(120)은, 그것들의 중간에 교차하는 부분에 연결축(121)이 헐겁게 끼워졌고, 그 양단에 멈춤링(130)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하의 멈춤링(130)의 영역에는 스프링걸이핀(132,133)이 각기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이러한 스프링걸이핀(132,133)에는 코일스프링(135,136)의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이것들 코일스프링(135,136)의 타단은, 연결판(123,124)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핀(137,138)에 각기 고정되어, 제1및 제2블록부재(117A,117B)의 선단면이 가이드 레일(95)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신축체(114)를 신축시키기 위한 실린더(115)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실린더 본체(115A)와, 이 실린더 본체(115A)의 축방항에 잇따라서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피스톤로드(115B)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피스톤로드(115B)에는 진퇴블록(140)이 연결되어 있다. 이 진퇴블록(140)은, 기판(112)에 형성된 가이드(141)에 잇따라서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이 진퇴블록(140)에 신축체(114)의 일부가 맞물려져서 신축체(114)가 신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실린더(115)는, 그 실린더 본체(115A)의 기단부에 공기공급구(1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공기공급구(142)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2)의 저부측에 배치된 공기압력우너(145)에 적당한 호오스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프레스장치(20)의 가압블록(117)과 상대하는 위치에 설치된 보울스터(105)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압블록(117)의 선단면과 평행한 면을 지닌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보울스터(105)는, 진퇴수단(150)에 의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더우기, 제2도에 있어서는, 도면의 착잡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보울스터(105)는,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실린더(151,152,153)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151∼153)는, 각기 실린더 본체(151A,152A,153A)와, 이것들 실린더 본체(151A,152A,153A)에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피스톤 로드(151B,152B,153B)등을 구비하고 있어, 중앙부의 실린더 본체(152A)는, 하부 프레임(22)의 저부측에 배치된 공기 압력원(155)(제3도참조)에 적당한 호오스를 개재하여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보울스터(105)의 진퇴를 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제1도∼제3도에 있엇, 부호(160)는, 하부 프레임(22)의 한쪽에 고정된 제어부를 뜻하며, 이 제어부(160)에는, 각종의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또 부호(165)는, 박스(12A)의 부상 방지 가이드이고, 반송시의 박스 (12A)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킥커(97)와 협동하여 개함 상태를 유지한 반송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부상 방지 가이드(165)는 제2문형 프레임(25)에 대하여 그 다리 사이방향 및 상하방향 부착 위치가 적당히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제9도∼제14도 까지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매거지인(13)내에, 편평하게 접어개어진 박스소재(12)가 다스 적층형상으로 하여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 상태에서 제어부(160)로부터 일정한 조작 버튼을 눌러서 모우터(50)를 회전구동시킨다.
모우터(50)가 회전하면, 전술한 구동전달수단(14)을 개재하여 제1문형프레임(24)에 지지된 회전축(27)이 회전하고, 이 회전은 구동축(30)을 개재하여, 제2문형 프레임(25)에 지지된 회전축(28)에 전달된다. 이것들 회전축(27,28)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7,28)에 고정된 각 기어(35∼38)에 맞무는 기어(70)가 각기 회전하게 된다.
기어(70)의 회전은, 각 소재이송수단(15)의 회정축(72)을, 제4도중의 화살표(c)방향으로 각기 회전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매거지인(13)내에 수납된 박스소재(12)의 초기위치를 제9도에 나타낸 상태이라 가정하면, 이 상태에서는 제2날개(75)가 공급방향쪽으로 위치하는 가장 바깥 부분, 즉 최하부의 박스소재(12)의 하면측에 맞물리고 있기 때문에, 이 박스소재(12)의 공급 그렇지 않으면 낙하는 저지된다.
각 회전축(72)이 소정각도 회전하여,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날개(75)가 맞물리는 위치에서 벗어났을 때에는, 제1날개(74)가 맞물리는 위치에 도달하여, 그때까지 제2날개(75)로 지지되었던 최하부의 박스소재(12)는, 제1날개(74)위에 낙하하게 된다.
또한 회전축(72)이 회전하면,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이송수단(15)에만 설치된 압출회전체(76)가 박스소재(12)측으로 점차 이동하여 제11도중의 화살표(D)방향으로 바스소재(12)를 일정거리를 밀어 내게 된다. 이때, 각 문형 프레임(24,25)의 다리사이에 지지된 정역회전로드(79,80)에 각기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요동 아암(77,78)도,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시에 요동하고, 동도면중의 좌측의 요동 아암(77)은, 다음 박스소재(12)의 공급방향측의 면에 대하여 맞닿는 위치에 이동하는 한편, 우측의 요동아암(78)은, 압출회전체(76)에 의하여 밀려나온 바스소재(12)의 상면측에 맞닿아서 이 영역을 약간 하방으로 밀어 내리도록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축(72)이 일정각도를 회전함에 따라,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수단(16)을 구성하는 흡착패드(85)가 하방으로 부터 점차로 접근하고, 또한 회전축(72)이 회전하면,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날개(74)가 최하부의 박스소재(12)에의 맞물림을 해제한 순간에 다음의 박스소재(12)는 제2날개(75)에 의하여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하부의 박스소재(12)가 흡착패드(85)에 흡착되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끌어내게 된다.
흡착패드(85)에 의하여 끌어내어진 박스소재(12)에는, 전술한 플랩을 접어개는 용도의 슬릿(12D)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2d)은, 그 이동궤적상에 미리 위치 결정된 맞물림 수단으로서의 한쌍의 개함용 바아(86,86)를 통과하하지만, 슬릿(12D)의 형성위치에 대응한 반송반대측의 플랩(12B)의 안쪽면에는 개함용 바아(86,86)가 맞물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흡착패드(85)가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면, 박스소재(12)는 반송반측의 플랩(12B)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맞물게 되므로, 제14도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차로 개함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95)상에 낙하된 개함 완성 박스(12A)는, 반송체인(95)에 고정된 킥커(97)의 이동에 따라서 제1도중의 화살표(B)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경우, 전술한 부상방지 가이드(165)에 의하여 개함상태가 안정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반송과정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형성이 실행된다. 즉, 가이드 레일(95)위를 이동하는 개함 완성 박스(12A)는, 저부를 형성하는 좌우의 플랩중에서 반송측에 위치하는 플랩이 만곡가이드부(101A)에 의하여, 안쪽으로 접어개어지면서 직진가이드부(101B)에서 완전히 안쪽으로 접어개어 지게 된다. 이러는 한편 반송반대측에 위치하는 슬랩, 즉, 제6도중에서 우측의 플랩은 요동 바아(10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를 통과한 직후에 요동 바아(100)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요동하므로서, 안쪽으로 접어개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이드 바아(101)로 완전히 접어개어지게 된다.
좌우의 플랩을 접어개인 직후에는, 상하 플랩의 접어개임도 실행된다. 이러한 접어개임은 보울스터(105)의 일단에서 돌출 설치된 상하 한쌍의 확대 개방 바아(106,107)에 의하여 실행된다. 즉, 상하 플랩이 각 확대 개방 바아(106,107)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 점차로 안쪽으로 접어개어지게 된다. 그리고, 접어개어졌을 때에 가이드 바아(101)의 만곡가이드부(101A)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직진가이드부(101B)에 의하여 완전히 접어개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송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이 생략되고 있으나, 개함 완성 박스(12A)의 저부 형성과정에서 좌우의 플랩이 안쪽으로 접어개어지는 순간에, 접착제 사출장치를 개재하여 좌우의 플랩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사출되도록 되어 있어, 이에 상하의 플랩이 겹쳐지도록 접어개었을 때에 고정적인 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저부 형성이 실행된 직후에 있어서, 프레스 장치(20)의 진출방향 선상에 박스(12)가 반송되어 왔을때에는 전술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완전히 하기 위한 프레스를 실행하게 된다.
즉, 초기상태에서는 프레스장치(2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95)에 대하여 후퇴한 위치를 유지하지만 박스(12)가 소정위치애 도달하였을 때에 프레스장치(20)에 있어서의 실린더(115)의 피스톤 로드(115B)가 전진하는 한편, 상대한 보울스터(105)도 각 피스톤 로드(151B,152B,153B)의 신장에 의하여 전진하며, 이에 따라 신축체(114)의 선단에 설치된 가압블록(117)이 박스(12A)의 저부 내면측에 도달한다. 이와 동시에 보울스터(105)도 저부 바깥면측에 도달하고, 이것들 양자에 의한 가압으로 전술한 접착체에 의한 접착이 완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신축체(114)는, 여러개의 각 기둥블록(120)을 교차하도록 조합된 제1및 제2신축부재(114A,114B)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신장한 상태에서는 가압블록(117)을 구성하는 제1및 제2블록부재(117A)및 (117B)사이의 상대간격이 넓혀져서 가압영역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동작부의 타이밍은, 도해에 없는 제한스위치 혹은 각 링크기구의 회전각도 조정 등에 의하여, 일련의 동작이 서로 간섭함이 없이 원활하게 동기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저부 형성을 완료한 다음의 박스(12A)는, 가이드 레일(95)위를 더욱 운송하여 각종의 라인에 운송되고, 예컨대 공업제품 등의 수납 및 뚜껑 패쇄를 한 다음, 자동창고 등에 순차 운송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매거지인(13)에 적층 상태로 수납된 다수의 박스소재(12)의 양단근방에 소재이송수단(15)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소재이송수단(15)을 구성하는 회전축(72)의 축방향에 잇따라서 제1날개(74)와 제2날개(75)를 설치하고, 또한 공급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하부의 박스소재(12)에 대하여 제1날개 (74)에 의한 맞물림이 해제될 때에, 다음의 박스소재(12)를 제2날개에 의하여 맞물릴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간헐적인 한장씩의 소재 공급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최하부의 박스소재(12)의 공급은, 맞물림 해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외적인 강제력이 전혀 이용되고 있지 않으므로 소재공급에 있어 박스소재(12)에 손상을 갖게 하는 요인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완성품으로서의 박스(12A)그 자체의 상품가치를 저감한다고 하는 종래의 불합리도 확실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쪽의 소재이송수단(15)에 있어서의 제1날개(74)위에 압출회전체(76)를 설치하고, 이 압출회전체(76)로 최하부의 박스소재(12)를 일정거리 수평방향으로 밀어내었을 때에, 한쪽의 요동 아암(78)이 최하부의 박스소재(12)의 상면에 맞닿게 하여, 하방으로 약간 가압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이 동작시에 제2날개(75)가 다음의 박스소재(12)의 하면에 지극히 원활하게 들어가는 것을 원조할 수 있고, 1장의 이송동작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착수단(16)은, 흡착패드(85)및 감압펌프(92)등으로 구성하였고, 흡착패드(85)가 박스소재(12)를 흡착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개함용바아(86)가 박스소재(12)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플랩(12B)의 내측면에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결국 박스소재(12)의 공급방향에 잇따른 개함방식이므로 확실한 개함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각 박스소재(12)의 공급속도를 빠르게 하여도 개함함에 있어 어떤 지장도 발생시키는 일이 없이 기계적인 작업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기대된다. 더우기, 개함용 바아(86)에는 플랩(12B)이 일시적으로 맞물게 되지만, 플랩(12B)자체는 박스소재(12)의 동체 부분과의 연결부에서 용이하게 절곡되어서 맞물린 상태에서 탈출되는 것이므로, 흡착에 의한 이출시에 이 박스소재를 손상할 염려는 고려할 필요도 없다.
또한, 개함용 바아(86)는, 제1문형 프레임(24)에 위치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소 각종의 사이즈를 구비한 박스소재를 개함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함기 전체로서의 범용성을 유효하게 확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프레스장치(20)는, 여러개의 각 기둥블록(120)를 사용하여 구성된 제1및 제2신축부재(114A,114B)를 채용함과 동시에, 이것들 신축부재(114A,114B)가 상대하는 보울스터(105)로 향하여 전진하였을 때에 선단에 설치된 제1및 제2블록부재(117A,117B)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보울스터(105)와의 협동에 의하여, 가압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교적 대형의 바스소재 까지도 대상으로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스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신축체(114A,114B) 를 구성하는 각 기둥블록(120)이, 그것들의 상대측면이 겹쳐지는 형태에서 접어 개어짐과 동시에, 선단에 설치된 제1및 제2블록부재(117A,117B)도 서로 접근하는 구성이므로, 전체로서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스페이스가 좁더라도 하등의 문제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더우기, 소형화에 따라, 다른 구성부재와의 기계적 간섭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것들의 배치등에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효과도 있다.
더우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매거지인(13)내에 박스소재(12)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수납하고, 그 바로 밑을 공급방향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도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수의 박스소재(12)를 경사방향으로 다수 적층할 수 있는 매거지인을 설치하여, 이 적층방향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매거지인의 하방을 공급방향으로서 구성하는 것으로도 지장없다. 이 경우에는, 흡착패드(85)및 개함용 바아(86)의 설치 위치를 약간 변경하면 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착수단(16)은 1개의 흡착패드(85)를 채용한 예에 대하여 도해 설명하였으나, 이 흡착패드(16)의 설치수는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비교적 대형 사이즈의 박스소재를 개함대상으로 할때에는 2개 그렇지 않으면 그 이상의 흡착패드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각 흡착패드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감압펌프(92)는 1개로 충분함과 동시에 단순히 박스소재(12)의 낙하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흡착력으로 좋기 때문에, 이 감압펌프(92)를 대형화할 염려도 없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축체(114)는 진퇴블록(140)을 개재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실린더(115)의 피스톤로드(115B)와 신축체(114)를 직결한다고 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 가압블록(117)을 구성하는 제1및 제2블록부재(117A,117B)는, 도해의 구성예에 한정하지 않고, 판상체 등에 의하여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신축체(114)의 신장에 추종하여 서로 확대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압블록으로 할 수 있는 한,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할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소재에 외부적인 부가를 가하는 일이 없이 원활한 공급을 실현함과 동시에, 종래 사용되었던 강제 공급전용의 흡착패들를 불필요로 하여 간이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 박스소재의 공급을 하는 방향으로 잇따라서 박스소재를 확실 또한 산속하게 개함할 수 있고, 또한, 개함한 다음의 저부 형성을 함에 있어, 비교적 저부 면적이 큰 박스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에 없던 뛰어난 효과를 성취한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소재 공급, 개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여러개의 박스소재(12)를 적층상태로 하여 매거지인(13)내에 배치하고, 이들 박스소재(12)를 순차소정의 공급방향쪽으로 공급할 수 있게 설치한 박스소재(12)의 공급장치를 구비한 제함기에 있어서, 공급을 지지하면서 장치는 공급방향쪽에 위치하는 박스소재(12)의 양단 근방에 이 박스소재(12)를 지지하면서 1장씩의 송출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소재이송수단(15,15)이 각각 배치되었으며, 이들 소재이송수단(15,15)은 소정의 구동수단을 개재하며 회전하는 회전축(72)상에 일정간격을 떼어서 배치됨과 동시에, 박스소재(12)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또한 대략 번갈아 맞물리는 제1및 제2날개(74,75)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방향측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12)에 대하여 제1날개(74)의 맞물림이 해제되었을 때에 이 박스소재(12)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다음의 박스소재(12)가 제2날개(75)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재이송수단(15)은 소정의 간격을 떼어서 배치된 2개를 1조로 하여 한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재이송수단(15)은 일정한 간격을 떼어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아랫방향이 공급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한쌍의 소재이송수단(15,15)중 한쪽의 소재이송수단(15)에는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12)를 다음의 박스소재(12)에 대하여 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회전체(76)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5. 4항에 있어서, 압출회전체(76)는 제1및 제2날개(74,7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및 제2날개(74,57)의 상호간격은 박스소재(12)의 두께가 상당히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재이송수단(15)의 근방에는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12)공급시에 제2날개(75)가 다음의 박스소재(12)의 하면측에 들어가는 것을 지원하는 한쌍의 요동아암(77,78)이 병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8. 적층상태로 수납된 박스소재(12)에 대하여 간헐적 또한 대략 번갈아 맞물릴 수 있는 제1및 제2날개(74,57)를 구비한 소재이송수단(15)을 사용하여, 박스소재 (12)를 일정한 공급방향으로 1장씩 공급하는 제함기의 소재공급방법에 있어서, 이 소재공급방법은 공급방향측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12)에 제1날개 (74)를 맞물리게 하여 두고, 이어서 제1날개(74)에 의한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제2날개(75)를 다음의 박스소재(12)에 맞물리게 하여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12)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 다음, 제2날개(75)에 의한 박스소재(12)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제1날개(74)에 맞물게 하고, 이 일련의 동작을 반복 계속함에 따라서, 1장씩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소재공급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가장 바깥부분의 박스소재(12)공급에 있어, 이 박스소재(12)를 다음의 박스소재(12)에 대하여 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소재공급방법.
  10. 여러개의 박스소재(12)를 적층형태로 수납한 매거지인(13)내에서 공급되는 박스소재(12)를 순차 개함할 수 있는 제함기에 있어서, 박스소재(12)에 대한 맞물림을 간헐적으로 해제하여 1장씩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소재이송수단(15)과, 이 소재이송수단(15)에 의한 박스소재(12)의 공급위치와 소정의 반송수단(17)의 사이를 요동하는 흡착수단(16)과, 박스소재(12)의 이동궤적상에 배치된 맞물림수단(86)을 설치하여, 흡착수단(16)이 박스소재(12)를 흡착하면서 반송수단으로 향하여 요동할 때에 맞물림수단(86)이 반송수단(17)반대측에 위치하는 박스소재(12)의 플랩(12B)내면측에 맞물리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흡착수단(16)은 박스소재(12)의 면에 맞닿으면서 흡착력을 부여하는 1개이상의 흡착패드(85)와, 이 흡착패드(85)에 연결되는 감압펌프(9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맞물림수단(86)은 상대 배치된 한쌍의 개함용 바아(86,86)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개함용 바아(86)는 상호 간격이 격리 접근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맞물림수단(86)은 박스소재(12)의 반송방향측 플랩(12C)에 형성된 슬릿을 통과할 수 있는 한쌍의 개함용 바아(86,86)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4. 여러개의 박스소재(12)를 적층형태로 수납한 매거지인(13)내에서 공급되는 박스소재(12)를 개함하는 제함기의 개함방법에 있어서, 박스소재(12)를 순차 간헐적으로 1장씩 개방하여 공급하는 공정과,이 개방의 직전에 이 공급되는 박스소재(12)를 흡착수단으로 흡착하는 공정과, 이 흡착수단(16)으로 흡착된 박스소재(12)를 일정한 반송수단(17)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공정과, 이 이동의 경우에 반송수단(17) 반대측에 위치하는 박스소재(12)의 플랩(12B)안쪽면에 소정의 맞물림수단(86)을 맞물게 하는공정으로 된 제함기에 있어서의 개함방법.
  15. 청구항14에 있어서, 박스소재(12)의 이동은 이 박스소재(12)의 공급위치와 반송수단(17)사이에 흡착수단(16)에 의한 흡착을 계속한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에 있어서의 개함방법.
  16. 반송로에 따라서 순차운동되는 박스(12A)의 접어서 완성된 저부를 향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레스장치(20)를 구비한 제함기에 있어서, 프레스장치(20)는 실린더(115)에 의하여 진퇴할 수있는 신축체(114)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신축체(114)의 선단에 가압블록(117)을 설치하고, 신축체(114)의 신장에 추종하여 가압블록(117)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확대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신축체(114)는 축방향으로 뻗은 여러개의 각기둥블록(120)을 각각 상하위치가 교대하는 관계가 되도록 연결된 제1및 제 2 신축부재 (114A,114B)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가압블록(117)은 신축체(114)의 후퇴 위치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프레스장치(20)는 박스(12A)의 안쪽에서 저부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프레스장치(200의 상대하는 위치에 보올스터(105)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것을 프레스장치(20)와 보올스터(105)에 의하여 박스 (12A)의 저부가 안팎으로부터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보올스터(105)는 프레스장치(20)에 대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1019930030195A 1993-04-23 1993-12-28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KR0127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20592A JPH06305053A (ja) 1993-04-23 1993-04-23 製函機のプレス装置
JP93-120592 1993-04-23
JP93-120590 1993-04-23
JP5120590A JPH06305590A (ja) 1993-04-23 1993-04-23 板状素材の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7861B1 true KR0127861B1 (ko) 1998-04-04

Family

ID=2645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195A KR0127861B1 (ko) 1993-04-23 1993-12-28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27861B1 (ko)
IT (1) IT1267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285A (ko)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102267337B1 (ko) * 2020-03-17 2021-06-18 노태환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285A (ko)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102267337B1 (ko) * 2020-03-17 2021-06-18 노태환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자동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67427B1 (it) 1997-02-05
ITTO940195A1 (it) 1995-09-18
ITTO940195A0 (it) 199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4568B2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US9409367B2 (en) Machine for forming multiple types of containers
EP0669874B1 (en) Multi-panel refolding transfer system
US2013009022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lding paper boxes
US20100173765A1 (en) Apparatus for folding cardboard boxes
JPH03216440A (ja) 連続的・断続的送りインターフェイス
US11279506B2 (en) Wrapping machine and method
US4685275A (en) Carton opening apparatus
US76477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ecting tote containers
EP3625131B1 (en) Wrapping machine
US2904789A (en) Folding machine
KR0127861B1 (ko) 제함기 및 제함기에 있어서의 박스 소재 공급 개함방법
USRE30921E (en) Apparatus for setting up folded cartons
CN1072155C (zh) 围绕预成型的折叠线折叠包装坯料的方法和装置
US6306070B1 (en) Apparatus for erecting and sealing flat containers and associated methods
JPH06305590A (ja) 板状素材の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EP2888186A1 (en) Conveyor and method for rotating a product
CN216547013U (zh) 一种冷拉伸套膜包装机
KR102486529B1 (ko) 자동 띠지 결합장치
US11548254B2 (en) Carton blank erector and feeding and shuttle machine
JPH06305055A (ja) 開函装置及び開函方法
JP3604420B2 (ja) ケース分離装置
JPH06305053A (ja) 製函機のプレス装置
CA1093363A (en) Apparatus for setting up folded cartons
EP1008517A1 (en) Machine for packaging articles inside boxes made from bl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