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529B1 - 자동 띠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띠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529B1
KR102486529B1 KR1020210015604A KR20210015604A KR102486529B1 KR 102486529 B1 KR102486529 B1 KR 102486529B1 KR 1020210015604 A KR1020210015604 A KR 1020210015604A KR 20210015604 A KR20210015604 A KR 20210015604A KR 102486529 B1 KR102486529 B1 KR 102486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discharge
support plate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073A (ko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신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식 filed Critical 신은식
Priority to KR102021001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2Applying preformed bands of continuous-ring form, e.g. 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띠지를 자동으로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자동 띠지 결합장치는, 포장물품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있어서, 공급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 내부에 복수의 띠지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배출구가 공급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 배출구 반대편의 공급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받침판과, 받침판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입출되며 배출구에 접근하여 띠지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과, 받침판과 공급컨베이어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띠지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 및 구동유닛과,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공급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포장물품을 무빙삽입관을 통해 받침판 위의 띠지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가 포함된 가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띠지 결합장치{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물품 외면에 띠지를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포장물품 둘레에 자동으로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품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되고 유통되면서, 이들을 포장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되었다. 포장방식은 물품의 형상이나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용용기나, 박스, 포장지 등을 사용하여 1차적으로 포장하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통상 띠지(band paper)로 불리는 종이 띠를 둘러 2차로 포장하는 방식도 자주 사용된다.
띠지는 종래 대부분 책 표지를 장식하거나 타월과 같은 물품 둘레에 둘러 형상을 유지시키는 등의 한정된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띠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물품을 포장하고 있다. 특히 물품 외면에 제품명이나 관련사항 등을 직접 인쇄하기 어려운 경우 띠지를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중에서 유통되는 계란 등은 용기 겉면이 띠지로 2차 포장되어 산지를 알려주거나 다양한 광고문구를 통해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다.
그러나 띠지는 물품의 외면에 밀착하여 물품 둘레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비교적 섬세하게 포장되는 것이어서 기계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 대부분의 경우 수작업으로 띠지를 결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공정의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부 띠지 결합 공정을 부분적으로 기계화한 사례도 있으나(예, 대한민국 특허10-1420577등), 실질적으로 수작업과 동일하게 제품을 돌려가며 띠지를 감는 등의 방식이어서 공정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계란과 같이 깨지거나 변형되기 쉬운 제품을 포장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0577호, (2014. 07.1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포장물품 둘레에 자동으로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는, 포장물품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물품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 내부에 복수의 상기 띠지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상기 띠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 상기 배출구 반대편의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상기 배출구에 접근하여 상기 띠지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상기 받침판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공급컨베이어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상기 띠지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 및 상기 컨베이어모듈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해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가 포함된 가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흡착모듈은, 접혀있는 상기 띠지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여 비틀림을 발생시켜 상기 띠지를 펼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흡착노즐에 흡착된 상기 띠지에 접촉하여 상기 띠지가 움직이는 반대편으로 상기 띠지를 밀어 세우는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의 외측에서 상기 받침판 방향으로 왕복하며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의 측부를 눌러 상기 띠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측면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컨베이어모듈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무빙삽입관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밀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무빙삽입관을 빠져나오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감속될 수 있다.
상기 무빙삽입관은,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향하는 타단부보다 너비가 좁은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띠지 내측으로 안내하는 탄성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띠지배출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컨베이어 상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띠지배출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포장물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모듈은,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상기 포장물품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윙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물품(띠지로 포장되는 포장대상을 지칭함)을 띠지를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특히 미리 고리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띠지를 접은 상태로 저장하였다가, 신속하게 펼쳐 포장물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매우 빠르게 띠지를 포장물품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띠지 포장이 필요한 다양한 포장물품들을 포장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물품을 공급하며 연속적으로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동작으로 띠지를 정교하게 펼쳐 준비할 수 있고, 띠지가 결합된 포장물품은 결합 즉시 컨베이어로 배출할 수 있어 띠지 포장작업과 이송작업 전체가 유기적으로 진행되어 매우 효율적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테이블과 배출컨베이어를 제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내부구조 중 띠지배출모듈 부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b는 띠지배출모듈과 측면가압유닛으로 접힌띠지를 펼쳐 결합을 준비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띠지배출모듈과 가압밀대로 포장물품을 펼쳐진 띠지에 결합하고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장물품'은 띠지를 외면에 결합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대상을 의미하며 그러한 포장대상은 예를 들어,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계란포장용기 또는 그러한 용기로 포장된 계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띠지로 포장 가능한 다양한 포장물품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테이블과 배출컨베이어를 제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띠지저장박스(21, 22)에 접혀 저장된 띠지(A)를 배출구(도 4의 20a참조)측에 배치된 띠지배출모듈(도 2의 31, 32참조)로 꺼내 펼칠 수 있게 형성된다(도 7a~도 8b참조). 이러한 동작은 띠지배출모듈(31, 32) 특유의 입체적 배치(도 6등 참조)로 인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고리형상의 띠지(도 8b의 A참조)를 신속하게 포장물품에 결합할 수 있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 띠지(A) 포장이 완료됨과 동시에 물품을 컨베이어를 통해 다음공정으로 바로 제공할 수 있으며, 띠지(A)결합공정과 물품배출 공정이 가압모듈(51, 52)에 의해 한꺼번에 수행되므로 이러한 공정들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모듈화한 구조로 이러한 공정이 진행되는 라인을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에 병렬로 구성할 수 있고 분배모듈(60)로 포장물품을 이들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면서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포장물품(도 10 및 도 11의 B참조)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도 8b의 A참조)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1)에 있어서, 포장물품(B)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110)와, 포장물품(B)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20)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도 1의 10참조), 내부에 복수의 띠지(A)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띠지(A)가 배출되는 배출구(도 4의 20a참조)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21, 22), 배출구(20a) 반대편의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310)과,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배출구(20a)에 접근하여 띠지(A)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310)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320)과,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110)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띠지(A)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330)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31, 32), 및 컨베이어모듈(10)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도 2의 510참조) 및 구동유닛(510)에 연결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포장물품(B)을 무빙삽입관(330)을 통해 받침판(310) 위의 띠지(A)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520)가 포함된 가압모듈(51, 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받침판(310)의 외측에서 받침판(310) 방향으로 왕복하여 받침판(310) 위의 띠지(A)의 측부를 눌러 띠지(A)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측면가압유닛(도 1의 41, 42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모듈(51, 52)의 구동유닛(510)은, 컨베이어모듈(1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511, 512)와 구동기어(511, 512)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513)을 포함하고, 가압모듈(51, 52)의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띠지배출모듈(31, 32)의 무빙삽입관(330)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도 6의 330a참조)가 형성되어, 가압밀대(520)가 절개부(330a)를 통해 무빙삽입관(33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가압밀대(520)를 이용하여 포장물품(B)을 띠지(A)에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띠지(A)가 결합된 상태로 포장물품(B)을 배출컨베이어(120)까지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모듈(1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가 나누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는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는 각각 단일 컨베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컨베이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외에 포장물품을 공급컨베이어(110) 등으로 도입하는 또 다른 컨베이어 등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컨베이어모듈(10)은 포장물품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컨베이어(110)와 띠지가 결합된 포장물품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컨베이어(120)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는 각각 적절한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복수의 띠지배출모듈(31, 32)을 배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띠지저장박스(21, 22), 복수의 가압모듈(51, 52), 복수의 측면가압유닛(41, 42) 등을 배치하여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의 라인을 따라 공정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후술하는 띠지배출모듈(31, 32), 띠지저장박스(21, 22), 측면가압유닛(41, 42), 및 가압모듈(51, 52)에 대한 설명은 각각에 대해 복수로 형성된 양쪽 모두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띠지배출모듈(31, 32)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병렬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공급컨베이어(110) 상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띠지배출모듈(31, 32) 중 어느 하나로 포장물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배모듈(60)을 함께 형성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라인을 이용하여 포장물품에 띠지를 결합하는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분배모듈(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포장물품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윙관(6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윙관(610)을 지지하는 지지판(620)과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30)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630)는 특정한 방식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기어, 캠, 정역모터 등 스윙관(610)의 주기적인 왕복운동(도 11참조)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양한 기계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그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포장물품의 공급과 관련된 내용은 후술하는 전체적인 동작 설명 시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띠지저장박스(21, 22)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띠지(A)를 접힌상태로 중첩하여 저장한다. 띠지저장박스(21, 22)는 도 4와 같이 배출구(20a)를 가지며 배출구(20a)는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다. 즉 띠지저장박스(21, 22)는 후술하는 띠지배출모듈(31, 32)이 배치되는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으로 내부에 저장된 띠지(A)를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러한 한도 내에서 띠지저장박스(21, 22) 역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된 타워 형태의 띠지저장박스(21, 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박스의 상단부는 개방하여 띠지(A)를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단부의 배출구(20a)를 향해 띠지(A)를 눌러주는 질량체 등을 띠지저장박스(21, 22) 안에 배치할 수도 있다. 띠지저장박스(21, 22)의 내부공간은 띠지(A)를 수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내부공간에 띠지(A)를 접힌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띠지저장박스(21, 22) 안에 저장되는 띠지(A)들은 납작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띠지(A)들은 펼치면 고리형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도 8b등 참조). 띠지(A)는 예를 들어, 포장물품의 외주면 둘레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한 후 고리형태로 미리 연결시켜 준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포장물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쉽게 변형되도록 예를 들어, 포장물품의 모서리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접철선 등을 형성해 줄 수도 있다.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띠지저장박스(21, 22)가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다른 규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대응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띠지(A)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띠지(A)를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물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공정을 구성할 수도 있다. 띠지저장박스(21, 22)는 예를 들어, 테이블(200) 위에 얹힌 상태로 말단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받침판(310)과, 가동흡착노즐(320), 및 무빙삽입관(330)이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띠지저장박스(21, 22)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술한 띠지저장박스(21, 22)의 배출구(20a)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띠지배출모듈(31, 32) 역시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띠지배출모듈(31, 32)은 다음과 같은 세부구성을 포함한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띠지저장박스(21, 22)의 배출구(20a) 반대편의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310)과,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배출구(20a)에 접근하여 띠지(A)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310)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320), 및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110)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띠지(A)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330)을 포함한다. 받침판(31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높낮이를 맞추어 배치할 수 있다. 즉 받침판(31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공급컨베이어(110)로부터 전달된 포장물품을 저항없이 통과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받침판(310)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은, 받침판(310)의 길이방향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받침판(310)은 예를 들면, 상면이 공급컨베이어(110) 및 배출컨베이어(12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판(310)은 자동 띠지 결합장치(1)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70) 상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동흡착노즐(320)은 움직이며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노즐로서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받침판(310)의 배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가동구조가 복합되어 띠지배출모듈(31, 32)을 형성한다. 가동흡착노즐(320)은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띠지저장박스(21, 22)의 배출구(20a)에 접근하여 띠지(A)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310)까지 빼내게 된다. 또한, 무빙삽입관(330)은 받침판(310)과 인접하게 위치하되,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110)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받침판(310)으로 빼내진 띠지(A)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킨다. 이러한 받침판(310), 가동흡착노즐(320), 무빙삽입관(330)의 구조는 전술한 측면가압유닛(41, 42)과 함께 매우 입체적으로 띠지(A)를 가압하여 펼치는 배출구조를 형성한다. 이하, 띠지배출모듈(31, 32) 및 측면가압유닛(41, 42)의 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내부구조 중 띠지배출모듈 부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복수의 띠지배출모듈 중 도 1의 우측에 위치한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판(310) 상에는 복수 개의 통공(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받침판(310)은 공급컨베이어(도 3의 110참조)와 배출컨베이어(도 3의 120참조) 사이의 공간에 이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통공(310a)은 가동흡착노즐(32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동흡착노즐(320)은 통공(310a)을 통해 도 6과 같이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입출될 수 있다.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동흡착노즐(320)의 말단에는 흡입구 등의 역할을 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띠지에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흡착노즐(320)의 다른 측에는 펌프와 연결된 관로 등이 연결되어 가동흡착노즐(3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동흡착노즐(32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구동부(322)로부터 신축되는 승강부(321) 등에 하나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동부(322)는 예를 들면 유압 등으로 피스톤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승강부는 피스톤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신축되며 가동흡착노즐(3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받침판(310)은 평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굴절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굴절된 부분은 특히, 띠지를 흡입하여 배출시킬 때 띠지를 세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받침판(310)의 일 측에 연결되어 가동흡착노즐(320)에 흡착된 띠지(도 8a의 A참조)에 접촉하여 띠지(A)가 움직이는 반대편으로 띠지(A)를 밀어 세우는 가압판(3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311)은 받침판(310)의 측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받침판(310)의 끝단을 굴절시켜 받침판(31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띠지(A)에 접촉하여 이를 반대편으로 밀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그 밖의 또 다른 위치에 가압판(311)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가압판(311)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 형성된 구조를 받침판(31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무빙삽입관(330)은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도 3의 110참조) 사이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게 형성된다. 무빙삽입관(330)은 내부로 포장물품(도 10 및 도 11의 B참조)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받침판(310)으로 배출된 띠지(도 10의 A참조)를 향하는 말단과 반대편(즉, 공급컨베이어를 향하는 측) 말단이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삽입관(330)은 띠지(A)를 향하는 일단부가 공급컨베이어(110)를 향하는 타단부보다 너비가 좁은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띠지(A)를 향하는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포장물품(B)을 띠지(A) 내측으로 안내하는 탄성블레이드(330b)가 형성될 수 있다(도 10참조). 이러한 구조로 탄성블레이드(330b)가 형성된 끝단을 띠지(A)에 원활하게 삽입하여 띠지(A)를 고리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탄성블레이드(330b) 반대편에는 외측으로 넓게 확장된 확장블레이드(330c)가 형성되어 포장물품(B)을 무빙삽입관(330) 내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무빙삽입관(330)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330a)가 형성되어 있어 가압모듈(도 1 내지 도 5의 51, 52참조)의 가압밀대(520)가 절개부(330a)를 통해 무빙삽입관(33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에 결합되어 일직선 상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공급컨베이어(도 1의 110참조)와 배출컨베이어(도 1의 120참조)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포장물품(B)을 받침판(310) 위의 띠지(A)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절개부(330a)의 구조를 통해 무빙삽입관(330)을 완전히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무빙삽입관(330)을 지나 받침판(310)의 위를 통과하며 띠지(A)가 결합된 포장물품(B)을 배출컨베이어(120)로 밀어내는 역할도 함께할 수 있다. 따라서 띠지(A) 결합공정과 띠지(A)가 결합된 물품을 배출하는 공정이 실질적인 시간지연 없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으로써 매우 신속하게 포장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포장과 관련된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무빙삽입관(330)은 예를 들어, 신축되며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연결부(331) 등을 통해 구동부(3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332)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선형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 6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310)을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무빙삽입관(330)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므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받침판(310)과 컨베이어 사이에서 무빙삽입관(330)을 움직일 수 있는 또 다른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무빙삽입관(330)의 구동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측면가압유닛(42)은 도 6과 같이 받침판(310)의 외측에서 받침판(310) 방향으로 왕복하게 형성된다. 측면가압유닛(42)은 이를 통해 받침판(310) 위의 띠지(A)의 측부를 눌러 띠지(A)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도 8b참조). 구체적으로 측면가압유닛(42)은 띠지(A)의 측부를 가압하여 아직 완전히 고리형태로 펼쳐지지 않은 띠지(A)를 전체적으로 대칭형태가 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잠시 도 1을 참조하면, 측면가압유닛(41, 42)은 예를 들어, 테이블(20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받침판(31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하나의 배치형태에 불과하므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받침판(310)의 외측에서 받침판(310) 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한 적절한 위치에 또 다른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측면가압유닛(41, 42)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가압유닛(42)은 말단의 신축부(410)가 구동부(42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420)는 선형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410)가 도 6과 같이 받침판(310)을 향해 왕복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신축부(410)에는 받침판(310)위로 빼내진 띠지(A) 측부와 넓게 접촉하는 접촉날(4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날(411)을 이용하여 띠지(A) 측부 전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접촉날(411)은 특별한 형상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말단이 일직선 상으로 가공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가압모듈(51, 52)에 대해 설명한다. 가압모듈(51, 52)은 컨베이어모듈(10)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510) 및 구동유닛(510)에 연결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이는 가압밀대(520)를 포함한다. 가압밀대(520)는 이와 같이 움직이며 공급컨베이어(110)로 공급된 포장물품을 무빙삽입관(330)을 통해 받침판(310) 위의 띠지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말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포장물품과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밀대(520)의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가압밀대(520)는 전술한 무빙삽입관(330)의 내측으로 진입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510)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컨베이어모듈(1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511, 512)와, 구동기어(511, 512)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513)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즉,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관통하여 왕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기어(511, 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모터(514)를 직접 연결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체인(513)과 체인(513)에 연결된 가압밀대(520)의 이동속도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에 연결된 채 무빙삽입관(33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무빙삽입관(330)의 절개부(도 6의 330a참조)를 통해 원활하게 무빙삽입관(330)을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을 따라 왕복하면서, 무빙삽입관(330)의 내부와 무빙삽입관(330)의 전단에 배치된 받침판(310)의 위를 이동하며 포장물품을 띠지에 결합하고 띠지가 결합된 물품을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컨베이어모듈(10)의 상면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구동기어(511, 512)의 간격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인(513)이 직선 운동하는 구간을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과 중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띠지의 배출동작, 가압모듈(51, 52)을 이용하여 배출된 띠지와 포장물품을 결합하는 동작,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동작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8b는 띠지배출모듈과 측면가압유닛으로 접힌띠지를 펼쳐 결합을 준비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띠지배출모듈과 가압밀대로 포장물품을 펼쳐진 띠지에 결합하고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11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를 참조하면, 띠지(A)는 전술한 것처럼 접힌 상태로 띠지저장박스(21) 안에 저장되어 있다. 띠지저장박스(21)의 배출구(20a)는 띠지배출모듈(31)의 받침판(310)을 향하여 개방되며 받침판(310)은 이를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띠지(A)는 접힌 상태에서 받침판(31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받침판(310)에서 입출되는 가동흡착노즐(320)은 띠지(A)의 중앙이 아닌 일 측을 치우친 상태로 바라보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가동흡착노즐(320)이 배출구(20a)로 접근한다. 가동흡착노즐(320)은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승강부(321) 등의 구동구조에 의해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며 띠지(A)를 흡착할 수 있다. 가동흡착노즐(320)의 끝단은 배출구(20a)로 노출된 띠지(A)의 외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띠지(A)를 흡착한 가동흡착노즐(320)은 도 8a와 같이 바로 받침판(310)을 향해 원위치로 이동하며 띠지(A)를 띠지저장박스(21)에서 빼내게 된다. 이때, 가동흡착노즐(320)은 띠지(A)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게 되며 따라서 흡착력이 작용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사이의 불균형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되어 띠지(A)가 도시된 것처럼 펼쳐질 수 있다. 즉, 가동흡착노즐(320)은, 접혀있는 띠지(A)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여 비틀림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띠지(A)를 펼칠 수 있다. 배출구(20a) 역시 접혀있는 띠지(A) 전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동흡착노즐(320)에 흡착된 띠지(A)는 도 8a의 확대도와 같이 전술한 가압판(311)과 접촉하며 세워질 수 있다. 즉, 가동흡착노즐(320)에 흡착된 채 이동되면서 띠지(A)는 받침판(310)의 측부로 돌출된 가압판(311)에 지지되며 가압판(311)과 교차되는 부분은 가압판(311)을 따라 정렬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가동흡착노즐(320)의 동작만으로 접힌 상태로 저장된 띠지(A)를 펼치면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된 띠지(A)는 도 8b와 같이 측면가압유닛(41, 42)에 의해 측부가 가압되어 보다 완전한 대칭형상으로 정렬된다. 측면가압유닛(41, 42)은 받침판(310) 외측에서 말단의 신축부(410)를 신장시켜 띠지(A)를 가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부(410)에서 돌출된 접촉날(411) 등의 접촉구조를 통해 받침판(310)에 위치한 띠지(A)의 측부 전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볼 때 상하 및/또는 좌우 대칭된 고리형상으로 띠지(A)를 변형시킬 수 있다. 측면가압유닛(41, 42)의 위치는 적절히 바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위치를 원하는 대로 바꾸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띠지(A)를 빼내어 받침판(310) 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연속하여 후속과정이 진행된다. 무빙삽입관(330)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310)을 향해 이동하여 말단을 펼쳐진 띠지(A)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띠지(A)는 무빙삽입관(330)에 대응하는 관 형상 또는 고리형상으로 확장된다. 도 9에 평면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전술한 도 6 등의 구조를 참조하면 무빙삽입관(330)의 입체적인 구조와 그를 통해 띠지(A)를 무빙삽입관(3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빙삽입관(330)은 절개부(330a)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지만, 그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연결된 구조이며 따라서 띠지(A)에 삽입되어 띠지(A)를 고리형상으로 펼치고 확장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배출과정에서 띠지(A)가 일부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경우에도 무빙삽입관(330)이 삽입되면서 띠지(A)가 물품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다. 무빙삽입관(330)은 전술한 탄성블레이드(330b)의 일부만을 띠지(A) 내측에 삽입할 수 있고 탄성블레이드(330b)는 말단이 띠지(A) 내측면에 위치하여 띠지(A) 내부의 공간과 무빙삽입관(330)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무빙삽입관(330)이 삽입되면, 가압모듈(도 2의 51참조)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밀대(52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포장물품(B)을 띠지(A)에 결합한다.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도 10의 (a)와 같이 공급컨베이어(110)로 공급된 포장물품(B)의 말단을 밀어 도 10의 (b)와 같이 무빙삽입관(330)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포장물품(B)은 받침판(310)위의 띠지(A) 내측으로 삽입되어 띠지(A)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가압밀대(520)는 전술한 절개부(도 6 및 도 7a의 330a참조)를 통해 체인(513)과 연결된 상태에서도 무빙삽입관(33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압밀대(520)가 도 10의 (b)와 같이 무빙삽입관(330)의 말단까지 포장물품(B)을 밀어 받침판(310) 위의 띠지(A)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띠지(A)는 전술한 것처럼 포장물품(B)의 외주면 둘레길이 등으로 맞추어 재단된 후 고리형태로 연결시킨 것일 수 있으므로 포장물품(B)이 띠지(A) 내측에 삽입되면 마찰 등에 의해서 알맞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블레이드(330b)가 무빙삽입관(330)의 내부공간을 띠지(A) 내부의 공간과 연통시켜 띠지(A) 내측까지 포장물품(B)을 안내하므로 포장물품(B)은 띠지(A) 내측까지 매우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밀대(520)는 잠깐 동작을 멈출 수 있으며, 가동흡착노즐(320)은 제공하고 있던 흡입력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가압밀대(520)는 무빙삽입관(330)을 빠져나오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감속될 수 있다. 가압밀대(520)의 동작은 체인(513)의 동작에 의해 조절되므로 전술한 모터 등의 구동구조를 이용하여 가압밀대(520)의 이동속도를 가감시킬 수 있다. 가압밀대(520)를 무빙삽입관(330) 내측에서 띠지(A)와 포장물품(B)이 결합되는 지점에 일차적으로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띠지(A)와 포장물품(B)간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c)와 같이 가압밀대(520)는 다시 가속되어 이동하며 띠지(A)가 결합된 포장물품(B)을 밀어낼 수 있으며 띠지(A)로 포장된 포장물품(B)은 배출컨베이어(120)를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힌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고리형태의 띠지(A)를 포장물품(B)의 둘레에 신속하게 결합하여 포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포장물품(B)은 공급컨베이어(110)를 통해 반복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서 이러한 띠지(A)의 결합공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띠지(A)가 결합된 포장물품(B)은 배출컨베이어(120)를 따라 최종생산물로 배출되거나 다음공정으로 이송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띠지저장박스(21, 22), 가압모듈(51, 52), 측면가압유닛(41, 42), 및 그와 대응되는 띠지배출모듈(도 2의 31, 32참조)을 모두 복수로 형성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양측에 쌍을 이루는 복수의 공정라인을 형성하여 띠지(A) 결합을 양 측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공급컨베이어(110)에 형성된 분배모듈(60)을 이용하여 포장물품(B)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복수의 라인을 모두 가동하여 효율적으로 띠지(A) 포장을 진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양측 라인에서 서로 다른 규격의 띠지(A)를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배모듈(60)은 내부가 빈 스윙관(610)등을 이용하여 포장물품(B)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공급컨베이어(110) 위에 그에 대응하는 분배가이드(640)를 배치하여 포장물품(B)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윙관(610) 말단 등에 경로를 개폐하여 포장물품(B)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스톱퍼(611)등을 설치하여 공정이 시간오차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물품(B)을 반복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되는 포장물품(B)에 띠지(A)를 자동으로 결합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자동 띠지 결합장치 10: 컨베이어모듈
21, 22: 띠지저장박스 20a: 배출구
31, 32: 띠지배출모듈 41, 42: 측면가압유닛
51, 52: 가압모듈 60: 분배모듈
70: 프레임 110: 공급컨베이어
120: 배출컨베이어 200: 테이블
310: 받침판 310a: 통공
311: 가압판 320: 가동흡착노즐
321: 승강부 322, 332, 420, 630: 구동부
330: 무빙삽입관 330a: 절개부
330b: 탄성블레이드 330c: 확장블레이드
331: 연결부 410: 신축부
411: 접촉날 510: 구동유닛
511, 512: 구동기어 513: 체인
514: 모터 520: 가압밀대
610: 스윙관 611: 스톱퍼
620: 지지판 640: 분배가이드
A: 띠지 B: 포장물품

Claims (12)

  1. 포장물품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물품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
    내부에 복수의 상기 띠지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상기 띠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
    상기 배출구 반대편의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상기 배출구에 접근하여 상기 띠지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상기 받침판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공급컨베이어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상기 띠지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 및
    상기 컨베이어모듈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해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가 포함된 가압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흡착노즐은, 접혀있는 상기 띠지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여 비틀림을 발생시켜 상기 띠지를 펼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흡착노즐에 흡착된 상기 띠지에 접촉하여 상기 띠지가 움직이는 반대편으로 상기 띠지를 밀어 세우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외측에서 상기 받침판 방향으로 왕복하며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의 측부를 눌러 상기 띠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측면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컨베이어모듈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삽입관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밀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무빙삽입관을 빠져나오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감속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삽입관은,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향하는 타단부보다 너비가 좁은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띠지 내측으로 안내하는 탄성블레이드가 형성된 자동 띠지 결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지배출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병렬로 배치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컨베이어 상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띠지배출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포장물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배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모듈은,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상기 포장물품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윙관을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
KR1020210015604A 2021-02-03 2021-02-03 자동 띠지 결합장치 KR10248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04A KR102486529B1 (ko) 2021-02-03 2021-02-03 자동 띠지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04A KR102486529B1 (ko) 2021-02-03 2021-02-03 자동 띠지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73A KR20220112073A (ko) 2022-08-10
KR102486529B1 true KR102486529B1 (ko) 2023-01-10

Family

ID=8284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604A KR102486529B1 (ko) 2021-02-03 2021-02-03 자동 띠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50930B (zh) * 2024-05-28 2024-07-30 内蒙古科技大学 计算机主板生产加工用贴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117A (ja) * 2001-07-11 2003-01-21 Maki Mfg Co Ltd 農産物の配列制御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箱詰装置
KR101530542B1 (ko) * 2015-01-30 2015-06-22 김학서 용기를 복수로 포장하는 멀티 포장기
KR101802281B1 (ko) * 2017-03-15 2017-11-28 백경율 음료파우치 팩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577B1 (ko) 2013-11-01 2014-07-17 씨제이씨푸드 주식회사 자동 묶음 포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117A (ja) * 2001-07-11 2003-01-21 Maki Mfg Co Ltd 農産物の配列制御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箱詰装置
KR101530542B1 (ko) * 2015-01-30 2015-06-22 김학서 용기를 복수로 포장하는 멀티 포장기
KR101802281B1 (ko) * 2017-03-15 2017-11-28 백경율 음료파우치 팩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73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7353B (zh) 包装设备
ES2354127T3 (es) Método y sistema para el envasado con movimiento continuo.
CN109476383A (zh) 用于封闭围绕物品形成的纸板箱的封闭站和用于将物品包装在从纸板坯件获得的纸板箱内部的机器
JP2019520238A (ja) 段ボールブランクの折曲げステーション、及び段ボールブランクから得られる段ボール箱の中に物品を梱包するための機械
CN107848642B (zh) 包装机
KR101888723B1 (ko) 쏟을 수 있는 식품 생산 포장 머신을 위한 접는 유닛
US201101660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arton from a carton blank
JP2585336B2 (ja) 圧縮できる物品を梱包する装置
CN109476400A (zh) 纸板坯件的折叠站、用于包装搁置在纸板坯件上的物品的机器以及用于将物品封装在从纸板坯件获得的纸板箱内部的机器
CN107848641A (zh) 包装机
CN103702904B (zh) 用于生产硬质包装的包装机和方法
KR101821582B1 (ko) 내용물 자동 포장시스템
JPH03148409A (ja) 寸法の異なる物品の包装装置
CN109476384A (zh) 用于在纸板片材中制作横向切口的切割站以及用于将物品包装在从纸板片材获得的纸板箱内部的机器
JP2015506312A (ja) 収縮包装フィルムを備えたパ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486529B1 (ko) 자동 띠지 결합장치
JP2010521386A (ja) 移送路に沿うパッケージのグループ分けユニットおよび方法
CN108472910B (zh) 装盒机的操作组,装盒机以及形成纸盒的方法
US5564252A (en) Dual web intermittent motion packaging machine
KR20010023419A (ko)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및 장치
IT201800006936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EP1518787B1 (en) Device for closing the side ends of a package enclosing one roll or one row of rolls of material in a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KR20000005851A (ko) 포일백의제조및포장방법과장치
EP4051595A1 (en) Grouping unit and method to form a group consisting of two wraps, each containing a group of smoking articles
JP2006501081A (ja) 容器、特に食品用容器の成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