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345B1 - 냉풍 텀블러 - Google Patents

냉풍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345B1
KR102265345B1 KR1020190174210A KR20190174210A KR102265345B1 KR 102265345 B1 KR102265345 B1 KR 102265345B1 KR 1020190174210 A KR1020190174210 A KR 1020190174210A KR 20190174210 A KR20190174210 A KR 20190174210A KR 102265345 B1 KR102265345 B1 KR 10226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bottle
beverage container
bever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아
김수정
김연정
김리원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풍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가운 음료의 냉기를 사용자에게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냉풍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풍 텀블러는 냉기를 제공하는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음료용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면에 음료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보틀부와; 상기 토출부로 냉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보틀부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음료용기방향으로 송풍하는 냉풍부와; 상기 보틀부의 상부에 상기 보틀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블루투스 스피커가 내장된 리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풍 텀블러{Tumbler to supply cold air}
본 발명은 냉풍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가운 음료의 냉기를 사용자에게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냉풍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름철 더위를 극복하기 위해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선풍기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26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251호에 각각 휴대용 선풍기, 휴대형 냉방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휴대용 선풍기는 중공 기둥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중공 내에 설치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도되도록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며, 일면이 개방되고 외주에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그 외주에 복수개의 완충부재가형성된 타원형 컵모양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팬의 회전시 신체 안전보호구로 작용하는 복수개의 가이더 및 몸체의 외주 일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고리부를 가진 보호부재 및 한 쌍의 고리부에 연결되며, 위치고정, 쿠션부재가 중앙에 설치된 줄부재를 구비한 휴대용선풍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단순히 바람을 생성하기 위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날씨가 매우 더운 경우에는 더운 바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텀블러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 휴대형 냉방장치는 는 내부에 액체가스가 수용되며, 상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캡과, 상기 용기의 내측에서부터 상기 캡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노즐과, 상기 캡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열교환된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유입구와 냉기배출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공기유로와, t아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의 상단부와 연통하여 노즐을 따라 상승한 액체가스가 팽창하면서 기화하게 되는 팽창부와, 상기 공기유로 내측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아기 팽창부와 접촉하게 형성된 열전도성 재질의 열교환부와, 상기 공기유로에 설치되어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유닛을 구비한 냉기발생기 및 일단이 상기 냉기발생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 내측의 액체가스에 잠겨져 용기 내부에 자연압을 발생시키는 열전도성 재질의 열전달샤프트를 포함하는 휴대형 냉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냉풍을 만들어 낼 수는 있으나, 음료 등을 담아 마실 수 있는 텀블러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2640호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25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텀블러의 주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저장되는 음료의 냉기를 이용하여 냉풍을 사용자에게 송풍할 수 있는 냉풍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풍 텀블러는 냉기를 제공하는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음료용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면에 음료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보틀부와; 상기 토출부로 냉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보틀부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음료용기방향으로 송풍하는 냉풍부와; 상기 보틀부의 상부에 상기 보틀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블루투스 스피커가 내장된 리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틀부는 바닥면을 형성하여 하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상기 리드부가 결합되는 상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본체의 가장자리측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분과, 상기 연장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보틀부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보틀부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음료용기가 놓이는 지지체가 형성된 안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측 일측면에 상기 상부본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토출구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부 상면에 도출되어 형성된 휴대폰거치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보틀부 내부에서 상기 음료용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보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냉기홀이 보틀부를 중심으로 동일궤도상에 복수개가 형성된 흔들림방지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내부에 축냉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음료용기와 접촉되는 상기 흔들림방지부 내주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된 인입홈에 장착되는 수분흡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냉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냉풍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블루트스 스피커가 내장되어 야외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풍 텀블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풍 텀블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풍 텀블러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풍 텀블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풍 텀블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풍 텀블러(1)는 음료용기(10)와, 보틀부(30)와, 냉풍부(50)와, 리드부(70), 휴대폰거치부(21)를 포함한다.
음료용기(10)는 냉기를 제공하는 음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뚜껑(11)이 구비되어 개폐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시중에 판매되는 음료캔, 음료수병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음료용기(10)는 냉장 또는 냉각된 음료가 저장된다.
보틀부(30)는 음료용기(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32)을 형성한다. 보틀부(30)는 바닥면을 형성하여 하부수용공간(34)을 형성하는 하부본체(33)와, 하부본체(33)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수용공간(36)을 형성하며 상부에 후술할 리드부(70)가 결합되는 상부본체(31)를 구비한다.
하부본체(33)는 바닥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 음료용기(1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하부에 지지부(37)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할 냉풍부(50)가 바닥면에 설치된다.
지지부(37)는 하부본체(33)의 가장자리측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분(37a)과, 연장부분(37b)의 단부에서 보틀부(30)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보틀부(30)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음료용기(10)가 놓이는 지지체(37c)가 형성된 안착부분(37b)을 구비한다.
상부본체(31)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부재로 상부에 후술할 리드부(70)가 설치되도록 결합부(31a)가 형성된다. 결합부(31)는 상부본체(31)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후술할 리드부(70)가 삽입되며 리드부(7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된다.
상부본체(31)의 일측면에는 수용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과 연통된 토출구(39a)를 형성하는 토출부(39)가 형성된다.
토출부(39)는 상부본체(31)의 상부측 일측면에 상부본체(31)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본체(31)에서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토출구(39a)의 좌우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냉풍부(50)는 토출부(39)로 냉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보틀부(3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음료용기(10) 방향으로 송풍한다. 냉풍부(50)는 보틀부(30) 내부 바닥면 중심에 설치되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51)와, 모터(5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시 회전되어 보틀부(30)의 바닥면에서 토출부(39)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기(53)와, 모터(5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5)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55)는 통상의 건전지,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55)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 모터는 송풍기(53)를 회전시키고, 송풍기(53)의 회전에 의해 보틀부(3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부는 바람이 발생한다. 이에, 바닥면에 위치하는 냉기를 상방의 토출부(39)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자에게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리드부(70)는 보틀부(3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틀부(3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리드부(70)는 블루투스스피커(71)가 내장되어 있다. 리드부(70)의 상면에 블루투스스피커(71)의 음향이 토출되는 음향부(71a)가 형성된다. 리드부(7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편리하도록 손잡이(73)가 형성된다. 리드부(70)는 상부본체(31)부의 상부와 결합되어 보틀부(30)를 개폐한다.
휴대폰거치부(21)는 토출부(39)의 상면에 도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부본체(31)와 토출부(39) 사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폰거치부(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39)의 상면의 좌우길이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개가 토출부(39)의 상면의 좌우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풍 텀블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방지부(40)와, 수분흡수부재(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흔들림방지부(40)는 보틀부(30) 내부에서 음료용기(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넛형의 원판부재이다. 흔들림방지부(40)는 상부본체(31)에 삽입되어 보틀부(3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음료용기(10)의 하부측을 감쌀 수 있도록 상부본체(31)의 하부측에 설치된다. 즉, 흔들림방지부(40)는 내주면이 음료용기(10)와 접촉되며 외주면이 상부본체(31)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흔들림방지부(40)는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냉기홀(43)이 보틀부(30)를 중심으로 동일궤도상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흔들림방지부(40)는 내부에 축냉제(41)가 구비되어 냉기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도록 한다.
축냉제(41)는 상변화에 의해 열에너지를 방출 또는 흡수하는 상변화물질로서, 유기계인 파라핀류 테트라데칸, 펜타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지방산류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망초 등 다양한 염수화물 및 공융 염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워지며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 고흡습성고분자, 셀룰로오스 유도체, 구아검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변화물질의 설정온도범위는 영하 20℃ 내지 영상70℃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축냉제(41)는 냉기를 방출하여 냉기홀(43)을 통해 냉기가 통과될 시 냉기의 온도를 낮추며, 음료용기(10)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지연시켜 냉기가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더욱 장시간 동안 냉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수분흡수부재(60)는 결로현상에 의해 음료용기(10)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음료용기(10)와 접촉되는 흔들림방지부(40) 내주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된 인입홈(40a)에 장착된다. 수분흡수부재(60)는 음료용기(10)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면상의 부직포 및 기타 흡수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냉풍 텀블러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냉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냉풍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풍 텀블러는 송풍기능을 하는 냉풍부가 보틀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비교적 낮은 곳에 위치하는 냉기를 효율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틀부의 바닥면에 위치한 냉기가 보틀부의 상부측에 위치한 토출부로 이동될 시 저온의 음료용기와 접촉되어 더욱 낮은 온도의 냉풍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블루트스 스피커가 내장되고, 핸드폰거치대가 구비되어 편리하게 영화 또는 음악등을 감상할 수 있다.
아울러, 축냉제가 내장된 흔들림방지부가 구비되어 음료용기가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냉기를 장시간 동안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 시원한 냉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분흡수부재가 구비되어 결로현상에 의한 음료용기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여 보틀부의 내부 오염을 방지하고, 냉풍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냉풍 텀블러 10 : 음료용기
30 : 보틀부 50 : 냉풍부
70 : 리드부

Claims (2)

  1. 냉기를 제공하는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음료용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면에 음료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보틀부와;
    상기 토출부로 냉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보틀부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음료용기방향으로 송풍하는 냉풍부와;
    상기 보틀부의 상부에 상기 보틀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블루투스 스피커가 내장된 리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틀부는 바닥면을 형성하여 하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상기 리드부가 결합되는 상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본체의 가장자리측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분과, 상기 연장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보틀부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보틀부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음료용기가 놓이는 지지체가 형성된 안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측 일측면에 상기 상부본체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에서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토출구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부 상면에 도출되어 형성된 휴대폰거치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보틀부 내부에서 상기 음료용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보틀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냉기홀이 보틀부를 중심으로 동일궤도상에 복수개가 형성된 흔들림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내부에 축냉제가 구비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음료용기와 접촉되는 상기 흔들림방지부 내주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된 인입홈에 장착되는 수분흡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텀블러
  2. 삭제
KR1020190174210A 2019-12-24 2019-12-24 냉풍 텀블러 KR10226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210A KR102265345B1 (ko) 2019-12-24 2019-12-24 냉풍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210A KR102265345B1 (ko) 2019-12-24 2019-12-24 냉풍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345B1 true KR102265345B1 (ko) 2021-06-14

Family

ID=7641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210A KR102265345B1 (ko) 2019-12-24 2019-12-24 냉풍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40Y1 (ko) 1998-04-09 2001-01-15 박배식 휴대용선풍기
KR101450251B1 (ko) 2013-07-23 2014-10-14 주식회사 정관 휴대형 냉방장치
KR20190056761A (ko) * 2017-11-17 2019-05-27 김지원 다용도 텀블러
KR20190120675A (ko) * 2018-04-16 2019-10-24 임현찬 방수와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를 겸비한 휴대용 목욕용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40Y1 (ko) 1998-04-09 2001-01-15 박배식 휴대용선풍기
KR101450251B1 (ko) 2013-07-23 2014-10-14 주식회사 정관 휴대형 냉방장치
KR20190056761A (ko) * 2017-11-17 2019-05-27 김지원 다용도 텀블러
KR20190120675A (ko) * 2018-04-16 2019-10-24 임현찬 방수와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를 겸비한 휴대용 목욕용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2842B1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US7343748B2 (en) Device for rapidly chilling articles in a refrigerator
JP2006500546A (ja) 冷却機能付き携帯断熱容器
KR102265345B1 (ko) 냉풍 텀블러
KR102195827B1 (ko) 기능성 휴대용 냉풍기
KR20180097399A (ko) 휴대용 냉풍기
KR102000704B1 (ko) 다용도 텀블러
JP3368394B2 (ja) 瓶入り飲物の宅配方法
JP2018136066A (ja) ポータブル空調装置
JP4065420B2 (ja) 直冷式冷蔵庫
JP6936260B2 (ja) 急冷携帯扇風機
JP7287727B1 (ja) 冷却器用容器及び冷却器
KR200306472Y1 (ko) 냉풍기
CN211418843U (zh) 一种量子芯片存储运输装置
KR20210000707U (ko) 포터블 선풍기
WO2020121953A1 (ja) 簡易冷暖房装置
JP3050055U (ja) 冷水ポット
JP2012255582A (ja) ポータブルクーラー
CN219160700U (zh) 冰箱
CN218787660U (zh) 冷柜
JP3643967B2 (ja) 送風式変色具
CN214183187U (zh) 一种环境监测用试剂放置盒
JP2023018937A (ja) 卓上冷風装置
KR100597652B1 (ko) 와인 냉장고
JPH07187250A (ja) 保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