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363B1 -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 Google Patents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363B1
KR102031363B1 KR1020180062037A KR20180062037A KR102031363B1 KR 102031363 B1 KR102031363 B1 KR 102031363B1 KR 1020180062037 A KR1020180062037 A KR 1020180062037A KR 20180062037 A KR20180062037 A KR 20180062037A KR 102031363 B1 KR102031363 B1 KR 10203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ondensed water
beverage container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영
최창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비
Priority to KR102018006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는,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놓여 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부, 상기 수용부의 벽 내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며,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는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었던 응축수가 상기 유입부로 이동하여, 상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Cooling cup holder using condensate}
본 발명은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모듈 등과 같은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하는 냉장 컵홀더에서, 컵홀더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활용하여 음료 용기의 표면(외주면)에 공급(또는 분사), 수분을 이용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주로 차량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컵홀더는 예전에는 단순히 컵이나 병, 캔 등의 음료 용기의 파지 기능만 있었으나,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음료 용기의 냉장 혹은 온장이 가능한 냉온 컵홀더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 및 제백효과(Seebeck Effect)의 흡열 및 발열을 이용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각 또는 발열을 수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음료 용기의 냉각(냉장)과 가열(온장)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는,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계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온풍 혹은 냉풍의 일부를 컵홀더로 유도하여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의 냉각 또는 가열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특히 음료 용기의 냉각을 수행할 때에는, 열전모듈 등과 같은 냉각수단이나, 차가운 음료가 담긴 음료 용기의 외주면으로부터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처럼 발생하는 응축수는 별도의 이송로를 마련하여 컵홀더 외부로 버려지게 하거나, 소정의 흡습소재 등을 통해 응축수를 흡수시켜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음료가 담긴 음료 용기의 냉각시, 음료 용기의 외주면(표면)에 일정 수준의 수분을 유지하면, 수분의 증발로 인해 냉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지근해진 맥주나 콜라 등의 음료수가 담긴 음료 용기의 외주면에 젖은 키친타올 등을 감싸 수분을 유지시킨 채 냉장고(혹은 냉동고)에 넣어두게 되면,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음료가 충분히 차가워지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는 사실이 생활상식화 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원리를 차량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는 컵홀더에 적용하여, 생성되는 응축수를 간편하게 음료 용기에 재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냉장 컵홀더의 냉각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534964, "차량용 컵홀더")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하여 음료의 냉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냉장 컵홀더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활용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응축수의 활용이 간단한 구조와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는,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놓여 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부, 상기 수용부의 벽 내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며,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는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었던 응축수가 상기 유입부로 이동하여, 상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하부에 탄성을 지닌 탄성체가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를 향해 이동하기 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해 응축수를 분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으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공간부로 용이하게 지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는,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놓여 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와 연결되며, 상기 펌핑부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벽면에 형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바닥이 상기 펌핑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하여 음료의 시원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냉장 컵홀더에서, 음료 용기의 냉각에 응축수를 추가로 활용하여 냉각 효율이 향상되면서 에너지지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응축수의 활용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구동 역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컵홀더의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c)가 수용되는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의 하단에 상기 음료 용기(c)가 놓여지는 받침부(120), 상기 받침부(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음료 용기(c)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부(130), 상기 수용부(110)의 벽 내측에 상기 공간부(13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140), 및 상기 유입부(140)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수용부(110)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컵홀더의 수용부(110)에 수용된 음료 용기(c)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전도 또는 대류 방식으로 상기 음료 용기(c)를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냉온장 컵홀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은 일반적으로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 및 제백효과(Seebeck Effect)의 흡열 및 발열을 이용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각 또는 발열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널리 알려진 기술적 사상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차량의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상기 수용부(110)로 공급, 상기 음료 용기(c)의 가열 또는 냉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음료 용기(c)의 냉장 및 온장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거나, 냉장 기능만 가능한 컵홀더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음료 용기(c)의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의 작동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의 수용부(110) 내부에 응축수(1)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1)는 상기 수용부(110) 내부가 냉각되면서 상기 수용부(110)의 벽면 등에서 발생하거나, 상기 수용부(110)의 냉각을 수행하는 소정의 장치(예컨대, 열전모듈 등)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고, 차가운 음료수가 담긴 음료 용기(c)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처럼 발생한 응축수(1)는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받침부(120)를 지나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부(130)로 모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음료 용기(c)가 놓여질 수 있으며, 응축수(1)가 상기 공간부(130)로 원활하게 흘러모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받침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메쉬(mesh)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받침부(120) 자체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받침부(120) 및 상기 수용부(110)의 벽면 사이로 응축수(1)가 지날 수 있을 정도의 틈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20)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13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받침부(120)가 상기 공간부(130)로 이동하면서, 상기 받침부(120)에 의해 상기 공간부(130)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10)의 벽 내측에 상기 공간부(130)와 연통하여 유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입부(140)는 상기 수용부(110)를 둘러싸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벽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상기 유입부(140)와 연결되어, 수용부(1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부(150)는 상기 유입부(140)로부터 상기 수용부(110)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통공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소정의 위치에 하나 또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공급부(150)는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응축수(1)가 상기 수용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즐은 상기 통공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c)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음료 용기(c)를 내리누르면서 상기 받침부(120)에 압력(P)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P)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0)가 상기 공간부(130)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간부(130)의 부피가 상기 받침부(120)에 의해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공간부(130)에 저장되었던 응축수(1)가 연통된 상기 유입부(140)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유입부(140)에 형성된 상기 공급부(150)를 통해 밀려 올라간 상기 응축수(1)가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유입된 상기 응축수(1)가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을 적시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50)에 노즐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1)가 상기 수용부(1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분사될 수 있어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을 적시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공급부(150)에 상기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40)로 밀려 올라간 응축수(1)가 상기 공급부(150)를 통해 분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노즐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음료 용기(c)의 표면에 분사된 응축수(1)로 인해, 상기 음료 용기(c)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 용기(c)가 알루미늄 캔이나 스테인리스 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냉각 효율이 보다 좋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받침부(120)의 하부에는 탄성부(160)가 형성되어, 상기 압력(P)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130)를 향해 이동해 있던 상기 받침부(120)가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0)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이중 구조 사이에 상기 탄성부(16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압력(P)을 가할 수 있으면서, 상기 공간부(130)에 저장된 응축수(1)를 눌러 상기 유입부(140)로 이동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응축수(1)를 음료 용기(c)로 분사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0)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받침부(120)의 이동 없이 간편하게 응축수(1)를 분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음료 용기(c)가 수용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하단에 상기 음료 용기(c)가 놓여 지는 받침부(120), 및 상기 받침부(120)의 하부에 상기 응축수(1)가 고여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상기 공간부(130)에 저장된 응축수(1)를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170)가 상기 수용부(11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펌핑부(170)와 연결되어 펌핑된 응축수(1)를 상기 수용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핑부(170)는 상기 공간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응축수(1)와 직접 접촉하여, 음료 용기(c)가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후 사용자가 스위치부(171)를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응축수(1)를 펌핑, 상기 공급부(150)를 통해 응축수(1)를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을 향해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50)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상기 응축수(1)가 분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펌핑부(17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130)의 바닥 부분은 상기 펌핑부(170)가 위치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응축수(1)가 상기 펌핑부(170)를 향해 용이하게 모여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술한 도 1의 경우든 도 5의 경우든, 상기 공간부(130)에는 저장되어 있는 응축수(1)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출구(미도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응축수(1)의 분사를 원하지 않을 때, 또는 컵홀더의 사용이 완료되어 더 이상 응축수(1)의 분사가 필요없을 때 상기 공간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응축수(1)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출구(미도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처럼 배출된 응축수(1)는 별도로 마련된 이송로를 따라 버려지거나, 소정의 흡습소재에 의해 흡수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등의 공간에서 이처럼 배출된 응축수(1)의 처리에 관한 기술적 사상은 다양하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100)는 어떠한 경우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분무기 등과 유사한 구조와 원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나 전원이 필요없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으로 응축수(1)의 공급 또는 분사가 가능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음료 용기(c)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놓여 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부;
    상기 수용부의 벽 내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며,
    상기 공간부로 이동하는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었던 응축수가 상기 유입부로 이동하여, 상기 공급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하부에 탄성을 지닌 탄성체가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를 향해 이동하기 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해 응축수를 분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으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공간부로 용이하게 지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6.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놓여 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홀더 또는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와 연결되며, 상기 펌핑부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방향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벽면에 형성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바닥이 상기 펌핑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KR1020180062037A 2018-05-30 2018-05-30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KR10203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37A KR102031363B1 (ko) 2018-05-30 2018-05-30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37A KR102031363B1 (ko) 2018-05-30 2018-05-30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363B1 true KR102031363B1 (ko) 2019-10-11

Family

ID=6821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037A KR102031363B1 (ko) 2018-05-30 2018-05-30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301A (zh) * 2020-12-04 2021-03-09 佛吉亚(南京)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扶手杯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277A (ja) * 1994-07-22 1996-02-06 Nissan Shatai Co Ltd カップホルダ装置
KR20140100181A (ko) * 2013-02-06 2014-08-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20150071189A (ko) * 2013-12-18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277A (ja) * 1994-07-22 1996-02-06 Nissan Shatai Co Ltd カップホルダ装置
KR20140100181A (ko) * 2013-02-06 2014-08-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20150071189A (ko) * 2013-12-18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KR101534964B1 (ko) 2013-12-18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301A (zh) * 2020-12-04 2021-03-09 佛吉亚(南京)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扶手杯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0397A1 (en) Chilled beverage storage device
US20120042679A1 (en) Refrigerator
US9096969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moisture supply units
JP2006500546A (ja) 冷却機能付き携帯断熱容器
EP2321805A2 (en) On demand consumable product heating and/or cooling dispenser
WO2008094323A1 (en) Beverage dispense font incorporating portable cooling device
KR102031363B1 (ko) 응축수를 활용한 냉장 컵홀더
KR101721870B1 (ko) 냉장고
US3243965A (en) Cooling cabinet
US20160153709A1 (en) Beverage Container Cool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00157A (ko) 화장품 용기 냉각장치
KR100805084B1 (ko) 액체포장용기용 급냉각장치
US7174723B2 (en) Portable liquid cooler
US20180266749A1 (en) Container with Dual Cooling refrigeration system
US20090266101A1 (en) Domesti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dsorbent cooling device
KR20080022470A (ko) 냉장고
US202103817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 cooling a beverage
US20180339894A1 (en) Chilled alcoholic beverage dispenser
KR20110032609A (ko) 냉장고
US20220242294A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59388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쿨링 펌프용기
CN206496548U (zh) 具有蒸发器的制冷器具
KR200167097Y1 (ko) 냉장실을 구비한 냉온수기
KR200264514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1254128B1 (ko) 음료수 보관용 냉각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