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761A - 다용도 텀블러 - Google Patents

다용도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761A
KR20190056761A KR1020170154042A KR20170154042A KR20190056761A KR 20190056761 A KR20190056761 A KR 20190056761A KR 1020170154042 A KR1020170154042 A KR 1020170154042A KR 20170154042 A KR20170154042 A KR 20170154042A KR 20190056761 A KR20190056761 A KR 20190056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outer body
tumbler
blowing uni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704B1 (ko
Inventor
김지원
김종우
이다주
박강덕
박규태
유정아
Original Assignee
김지원
유정아
박강덕
박규태
김종우
이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원, 유정아, 박강덕, 박규태, 김종우, 이다주 filed Critical 김지원
Priority to KR102017015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는, 음료가 담기는 내측 몸체; 상기 내측 몸체가 삽입되는 외측 몸체; 및 상기 내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내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텀블러{MULTI PURPOSE TUMBLER}
본 발명은 다용도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음료를 마시면서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는 다용도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우선, 텀블러(tumbler)는 굽이나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 다량의 음료수나 분말 형태의 커피 또는 차 등을 담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컵이다.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 머그컵 및 일회컵 또는 보온병 등에 비하여 청결성 및 휴대성 등이 매우 용이함에 따라 최근에는 뜨거운 커피나 기타 음료 또는 차가운 음료 등을 담아 오랜 시간 온도를 유지하면서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는 용기로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휴대용 선풍기는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 더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선풍기이다.
휴대용 선풍기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에 비해 효율이 좋기 때문에 최근에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날씨가 너무 덥거나 휴대용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휴대용 선풍기의 모터가 뜨거워져서 선풍기에서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덥거나 따뜻한 바람이 나오게 되므로 선풍기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냉수가 담긴 텀블러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텀블러를 사용하면서 휴대용 선풍기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런데,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데, 양손에 스마트폰, 텀블러, 휴대용 선풍기를 쥐거나 휴대하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텀블러에 휴대용 선풍기가 구비된 텀블러가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1720223호(발명의 명칭: 냉풍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어셈블리, 출원일: 2016. 07. 15.)에는 음료를 넣어 마실 수 있도록 고안된 텀블러 어셈블리에 냉풍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냉풍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720233호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보틀과, 보틀과 이격되어 얼음 등의 냉매를 넣을 수 있는 냉매수납부가 형성되고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팬을 포함하는 냉풍유닛을 구비하여 휴대 시에 냉풍유닛에 의한 찬바람을 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한국 등록특허 제10-1720233호는 냉풍유닛이 캡에 구비되어 있어서 보틀에 캡을 닫은 상태에서만 냉풍유닛에 의한 찬바람을 쐴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틀에 담긴 음료를 마시면서 찬바람을 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즉, 한국 등록특허 제10-1720233호는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는 텀블러와 차가운 바람을 쐴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를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한 꺼 번에 텀블러와 휴대용 선풍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휴대하여 마시면서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는 다용도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텀블러에 담긴 냉수의 냉기를 이용하여 시원한 바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냉풍팬이 일체로 구비된 다용도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료가 담기는 내측 몸체; 상기 내측 몸체가 삽입되는 외측 몸체; 및 상기 내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내측 몸체는 상기 외측 몸체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바람이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몸체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 몸체가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의 걸림홈에 상기 외측 몸체의 상단부가 맞물려서 상기 내측 몸체가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몸체는,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몸체에 삽입된 상기 내측 몸체를 상기 외측 몸체에 대해 고정 지지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된 상기 내측 몸체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트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관통되는 공기 관통공; 및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몸체에는 외부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포트를 통해 충전된 전력으로 상기 송풍유닛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몸체의 하단면에는 보호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내측 몸체의 내부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내측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캡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캡돌출부에는 상기 내측 몸체에 담긴 음료가 나오는 음료취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 몸체에 담긴 음료가 상기 음료취출구를 통해 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를 이용하여 음료를 휴대하여 마실 수 있고 동시에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어서 텀블러와 휴대용 선풍기를 각각 가지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는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내측 몸체와 바람을 발생시키는 외측 몸체가 분리 결합됨으로써 음료를 마시면서 동시에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는, 내측 몸체와 외측 몸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통해 내측 몸체에 담긴 음료를 더욱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는, 음료를 담아 마시는 내측 몸체와 바람이 발생되는 외측 몸체가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내측 몸체의 세척이 용이하고 외측 몸체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선풍기의 기능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외측 몸체에서 내측 몸체를 분리하여 내측 몸체만 독립적인 텀블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텀블러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용도 텀블러의 결합 단면도이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다용도 텀블러(100)는 음료를 마시면서 바람을 쐴 수 있는 텀블러(tumbler)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에 음료를 담아 휴대하면서 마실 수 있는 기능과 휴대하면서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의 기능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텀블러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면서 시원한 바람을 동시에 쐴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는 음료를 마시면서 바람을 쐴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음료가 담기는 내측 몸체(120) 및 내측 몸체(120)가 삽입되고,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116)이 마련되는 외측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몸체(120)는, 내부에 커피, 차, 탄산음료 등과 같은 음료가 담기는 부분이다.
이때, 내측 몸체(120)는 내부에 담긴 음료를 시원하게 하기 위하여 보냉성이 좋고, 외부의 시원한 공기의 냉기가 음료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몸체(12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내측 몸체(120)에는 아이스큐브(ice-cube)와 같은 냉각보조제(12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내측 몸체(120)의 내측 하부에 냉각보조제(125)를 수용하기 위한 커버부재(126)가 마련될 수 있는데, 커버부재(126)는 냉각보조제(125)의 상부를 덮는 부재이다. 커버부재(126)에는 음료가 통과하여 냉각보조제와(125) 닿을 수 있도록 하는 구멍(127)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127)의 크기는 냉각보조제(125)의 크기 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126)의 가장자리는 절곡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커버부재(126)가 내측 몸체(120)의 내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내측 몸체(120)의 내부에서 커버부재(126)를 쉽게 제거하고 끼울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측 몸체(120)는 담긴 음료가 외부로 빠져나 오지 못하도록, 내부가 속이 빈 중공의 형태이면서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로 마련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내측 몸체(120)는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완전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내측 몸체(120)의 상하 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몸체(120)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측 몸체(110)에 내측 몸체(120)를 끼우거나 빼내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내측 몸체(12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내측 몸체(120)의 상단 가장자리 일측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또는 도 2에는 돌출부(122)가 내측 몸체(120)의 상단 가장자리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몸체(120)의 일측 및 타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돌출부(122)에는 걸림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4)는 돌출부(122)의 하면에 형성되되, 하면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돌출부(122)의 하면에 음각의 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에 삽입될 때 걸림부(124)가 외측 몸체(110)이 상단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깊숙하게 삽입되어 위치되지 않도록 하거나 외측 몸체(110)와 내측 몸체(12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걸림부(124)에 형성된 결합홈(124a)에 외측 몸체(110)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걸림부(124)의 결합홈(124a)에 외측 몸체(110)의 상단부가 끼워짐에 따라 내측 몸체(120)는 더 이상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외측 몸체(110)의 상단부에 내측 몸체(120)가 얹혀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24)는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내측 몸체(120)에 담긴 음료를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걸림부(124)의 결합홈(124a)에 외측 몸체(110)의 상단부가 끼워져서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의 상단부에 얹혀진 상태가 되면, 돌출부(122) 및 걸림부(124)가 형성된 내측 몸체(120)의 일단부는 외측 몸체(110)와 접촉되고 돌출부(122) 및 걸림부(124)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 몸체(120)의 타단부는 외측 몸체(11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걸림부(124)가 형성된 좌측은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와 접촉한 상태이지만 걸림부(124)와 마주 보는 우측은 내측 몸체(120)와 외측 몸체(110)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 몸체(120)와 외측 몸체(110) 사이에는 소정 간격 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4)는 외측 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에 끼워지도록 "ㄷ"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몸체(120)의 직경이 외측 몸체(110)의 직경 보다 작기 때문에 내측 몸체(120)와 외측 몸체(110) 사이에 소정 간격 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측 몸체(110)도 내측 몸체(120)와 유사하게 원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외측 몸체(110)는 원추 형상 뿐만 아니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술할 송풍유닛(116)에 의해서 발생된 바람은 내측 몸체(120)와 외측 몸체(110) 사이에 형성된 소정 간격 또는 공간을 통과하여 다용도 텀블러(100)에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다용도 텀블러(100)에서 빠져나온 바람은 휴대용 선풍기에서 발생하는 바람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용도 텀블러(100)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면서도 바람도 쐴 수 있게 된다.
한편, 외측 몸체(110)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160)이 마련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 내측 몸체(1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외측 몸체(110)에 마련된 송풍유닛(160)에서 발생된 바람이 외측 몸체(110)와 내측 몸체(120) 사이의 간견 또는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측 몸체(110)와 내측 몸체(120) 사이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간격 또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 몸체(110)의 직경 또는 크기는 내측 몸체(120)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크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에 내측 몸체(120)가 삽입되는 외측 몸체(110)는 속이 빈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다용도 텀블러(10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외측 몸체(110)를 일반적인 원기둥 형태가 아니라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용도 텀블러(100)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측 몸체(110)의 외주면에 별도의 슬리브(sleeve, 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슬리브(미도시)는 종이(paper), 고무(rubber) 등 다양한 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외측 몸체(110)의 외면에 다수개의 요철 또는 엠보싱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에서 외측 몸체(1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는 삽입되는 내측 몸체(120)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112), 트레이(113) 및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유닛(116)이 형성될 수 있다.
우선, 홀더(112, holder)는 슬리브(sleeve)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112)는 외측 몸체(110)의 내주면에 결합 또는 형성되는데, 내측 몸체(120)가 홀더(112)에 끼워져서 외측 몸체(110)로 삽입되는 내측 몸체(12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홀더(112)는 내측 몸체(120)와 마찬가지로 원추 형상 또는 길이 방향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홀더(112)는, 홀더(112)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내측 몸체(120)의 직경에 따라 크기가 커지거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등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홀더(112)의 형태는 슬리브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슬리브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풍유닛(116)에 의해 발생한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홀더(112)는 외부 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트레이(113)는 외측 몸체(110)에 삽입된 내측 몸체(120)의 삽입 위치를 고정시키고 내측 몸체(120)를 지지하는 받침대이다. 즉, 트레이(113)는 외측 몸체(110)에 삽입된 내측 몸체(1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이다. 이러한 트레이(113)는 홀더(112)와 인접한 위치 즉, 홀더(112)의 아래 부분에 마련되며, 홀더(112)에 의해 지지된 내측 몸체(12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된 내측 몸체(120)가 홀더(112)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 지지되고, 홀더(112)에 의해 고정 지지된 내측 몸체(120)가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더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트레이(113)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서의 내측 몸체(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트레이(113)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공기 관통공(114)이 형성되고, 트레이(113)의 가운데 부분에 내측 몸체(12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관통공(114)이 형성된 트레이(113)의 가자장리는 안착홈(115)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유닛(116)은 휴대용 선풍기의 날개와 같은 팬(118)을 포함하는데, 팬(118)의 회전방향 또는 팬(118)의 형상에 따라서 위쪽으로 송풍할 수도 있고 아래쪽으로 송풍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의 사용자는 텀블러(100)의 상부 또는 하부를 나오는 시원한 바람을 이용해서 더위를 식힐 수 있다.
공기 관통공(114)은 송풍유닛(116)에 의해 형성된 바람이 트레이(113)를 통과하여 외측 몸체(110)와 내측 몸체(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 관통공(114)은 트레이(113)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13)의 외주면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홈(115)은 내측 몸체(12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트레이(113)의 가운데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측 몸체(120)의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안착홈(115)의 직경은 외측 몸체(110)로 삽입되는 내측 몸체(120)의 하단부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내측 몸체(120)가 원추 모양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 안착홈(115)도 내측 몸체(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유닛(116)은 외측 몸체(110)와 내측 몸체(120) 사이의 공간에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송풍유닛(116)은 트레이(113)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구동부(117) 및 구동부(117)에 결합되어 구동부(117)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118)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구동부(117)는 구동축(미도시)이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구동모터(motor) 일 수 있으며, 팬(118)은 일반적인 형태로 구동축(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팬(118)의 회전방향 또는 기울어진 모양 등에 따라서 팬(118)에 의해 발생한 바람은 위쪽으로 송풍될 수도 있고 아래쪽으로 송풍될 수도 있다.
또한, 송풍유닛(116)은 팬(118)이 없이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송풍유닛(116)은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여 바람을 송풍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송풍유닛(116)은 외부 전력에 의해 작동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몸체(110)에는 전원 포트(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포트(140)를 통해서 외부 전력이 공급되며, USB 커넥터 연결 방식을 통해 외부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에는 전원 포트(14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 배터리(미도시)가 형성되고, 배터리(미도시)는 송풍유닛(116)의 구동부(117)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외부 전력이 송풍유닛(116)의 구동부(117)에 직접 연결되거나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미도시)와 송풍유닛(116)의 구동부(117)가 연결되어 송풍유닛(116)이 작동됨으로써 외측 몸체(110)와 내측 몸체(120) 사이의 공간 내부에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는 음료를 마시면서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는 텀블러(tumbler)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다용도 텀블러(100)는 음료를 담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시원한 바람을 공급하는 휴대용 선풍기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측 몸체(110)에는 송풍유닛(116)을 필요에 따라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외측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면서 동시에 바람을 쐬거나, 바람을 쐬지 않고 음료만 마실 수도 있고 음료는 마시지 않고 바람만 쐴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 자체가 음료를 휴대하여 마실 수 있는 텀블러의 기능과 휴대하여 바람을 쐴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의 기능 중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외측 몸체(110)에는 보호커버(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111)는 외측 몸체(110)의 하측에 형성된 송풍유닛(116)의 팬(118)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거나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보호커버(111)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서 생성된 바람이 내측 몸체(120)와 외측 몸체(110)의 사이를 통해 외측 몸체(110)의 상부 쪽으로만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외측 몸체(110)의 하단부로도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보호커버(111)가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송풍유닛(116)이 작동함에 따라 보호커버(111)를 통과하여 외측 몸체(1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고,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바람이 보호커버(1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보호커버(111)는 휴대용 선풍기의 커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선풍기 커버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측 몸체(110)는 내부 보냉성이 뛰어나고, 열적 절연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외측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 몸체(120)에 담긴 음료를 더욱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송풍유닛(116)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내측 몸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는 캡(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130)은 내측 몸체(120)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함으로써 내측 몸체(120)의 내부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거나 음료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캡(130)은 내측 몸체(120)의 크기보다 조금 큰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내측 몸체(12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캡(130)에는 내측 몸체(120)에 형성된 돌출부(122)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캡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캡(130)에 형성되는 캡돌출부(132)는 캡(130)의 일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130)의 캡돌출부(132)에는 캡(130)이 결합된 내측 몸체(120)에 담긴 음료가 나오는 음료취출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몸체(120)의 내부에는 경사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경사면(123)은 내측 몸체(120)에 형성된 돌출부(122)의 내면 또는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내측 몸체(120)에 담긴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다용도 텀블러(100)를 기울이면, 내측 몸체(120)에 담긴 음료는 내측 몸체(120)의 경사면(123)을 따라 유동되어 캡(130)의 음료취출구(134)로 나오게 된다.
즉, 경사면(123)에 의해 내측 몸체(120)에 담긴 음료가 캡(130)의 음료취출구(134)로 더욱 잘 나오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용도 텀블러(100)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내측 몸체(120)의 내부에 담긴 음료를 모두다 마실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를 이용하여 음료를 휴대하여 마실 수 있고 동시에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어서 텀블러와 휴대용 선풍기를 각각 가지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텀블러(100)는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내측 몸체(120)와 바람을 발생시키는 외측 몸체(110)가 분리 결합됨으로써 음료를 마시면서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다용도 텀블러
110: 외측 몸체 111: 보호커버
112: 홀더 113: 트레이
114: 공기 관통공 115: 안착홈
116: 송풍유닛 117: 구동부
118: 팬 120: 내측 몸체
122: 돌출부 123: 경사면
124: 걸림턱 124a: 결합홈
125: 냉각보조제 126: 커버부재
127: 구멍 130: 캡
132: 캡돌출부 134: 음료취출구
140: 충전 포트

Claims (10)

  1. 음료가 담기는 내측 몸체;
    상기 내측 몸체가 삽입되는 외측 몸체; 및
    상기 내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내측 몸체와 상기 외측 몸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바람을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몸체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 몸체가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의 걸림홈에 상기 외측 몸체의 상단부가 맞물려서 상기 내측 몸체가 상기 외측 몸체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몸체에 삽입된 상기 내측 몸체를 상기 외측 몸체에 대해 고정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된 상기 내측 몸체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의 외주면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관통되는 공기 관통공; 및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에는 외부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포트를 통해 충전된 전력으로 상기 송풍유닛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몸체의 하단면에는 보호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내측 몸체의 내부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내측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캡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캡돌출부에는 상기 내측 몸체에 담긴 음료가 나오는 음료취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 몸체에 담긴 음료가 상기 음료취출구를 통해 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텀블러.
KR1020170154042A 2017-11-17 2017-11-17 다용도 텀블러 KR10200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42A KR102000704B1 (ko) 2017-11-17 2017-11-17 다용도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42A KR102000704B1 (ko) 2017-11-17 2017-11-17 다용도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61A true KR20190056761A (ko) 2019-05-27
KR102000704B1 KR102000704B1 (ko) 2019-10-01

Family

ID=6667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042A KR102000704B1 (ko) 2017-11-17 2017-11-17 다용도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45B1 (ko) * 2019-12-24 2021-06-1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냉풍 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411A (ko) 2021-05-13 2022-11-22 손승아 배변봉투 수납 휴대용 애견 물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990B1 (ko) * 2013-02-28 2014-08-2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휴대용 이중 컵
CN204218545U (zh) * 2014-11-28 2015-03-25 曾诗琦 一种水杯
CN105395000A (zh) * 2015-10-28 2016-03-16 青岛智享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送风水杯
CN106073399A (zh) * 2016-08-29 2016-11-09 韩玉彤 一种多功能水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990B1 (ko) * 2013-02-28 2014-08-2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휴대용 이중 컵
CN204218545U (zh) * 2014-11-28 2015-03-25 曾诗琦 一种水杯
CN105395000A (zh) * 2015-10-28 2016-03-16 青岛智享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送风水杯
CN106073399A (zh) * 2016-08-29 2016-11-09 韩玉彤 一种多功能水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45B1 (ko) * 2019-12-24 2021-06-1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냉풍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04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709A (en) Thermally insulated floating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US4974741A (en) Insulated carri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7712625B2 (en) Cooling coaster for beverage container
KR200482029Y1 (ko) 펠티어 텀블러
US20110056233A1 (en) Recreational Cooler
CA2275372C (en) Chair or sofa with refrigerated compartment
JPH04208379A (ja) 飲物クーラ
US10687644B1 (en) Cup holder adapter for mug
US20020089894A1 (en) Device for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liquids
KR20190056761A (ko) 다용도 텀블러
ES2330375T3 (es) Dispositvo con pajita.
US10443908B2 (en) Beverage cooler or warming apparatus
US20080283716A1 (en) Holder
US20160131421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7146826B1 (en) Beverage cooling apparatus
KR20160100625A (ko) 용기 냉각장치
JP2008080072A (ja) カップホルダー
US7231964B2 (en) Cooling appliance for hot beverages
KR20016534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KR200329717Y1 (ko) 주류용기의 보냉장치
JP3050055U (ja) 冷水ポット
US20130320027A1 (en) Cold drink cup
JP7287727B1 (ja) 冷却器用容器及び冷却器
KR200188022Y1 (ko) 휴대용 냉보온 물통
KR200383588Y1 (ko) 보냉 보온용 잔 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