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164B1 -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164B1
KR102264164B1 KR1020190156422A KR20190156422A KR102264164B1 KR 102264164 B1 KR102264164 B1 KR 102264164B1 KR 1020190156422 A KR1020190156422 A KR 1020190156422A KR 20190156422 A KR20190156422 A KR 20190156422A KR 102264164 B1 KR102264164 B1 KR 10226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ixing bar
slot hole
digital overdentu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123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15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64B1/ko
Priority to US16/705,411 priority patent/US11273016B2/en
Priority to PCT/KR2019/017337 priority patent/WO2021107246A1/ko
Publication of KR2021006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4Repairing or adjusting dentures; Location of irritating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or leng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에 포함된 고정바를 절곡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를 설치하기 위하여 대상악궁을 따라 고정된 복수개의 홀더 어버트먼트를 경유하여 결합되는 고정바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 가공되도록, 소정의 두께 및 넓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조절 슬롯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바의 중앙부가 평탄 지지되도록 스토퍼부가 상향 돌설된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고정바의 양단측이 상기 스토퍼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절곡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와 대면되는 각 일면측 모서리에 절곡지지단이 형성된 절곡블록과,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테두리가 상기 절곡블록의 하면부와의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이동 위치가 고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절곡가이더; 및 상기 고정바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일단측 취부삽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취부스틱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fix bar bending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holder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에 포함된 고정바를 절곡하기 위한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denture) 또는 보철(dental prosthesis)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치아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지므로 인해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어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보철이 실질적으로 영구 고정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가 개시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과 같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면서도, 상기 틀니와 같이 구강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이때, 종래의 결합수단는 상기 치조골에 복수개로 식립 및 고정되는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개별 매칭되는 볼타입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경유하는 바타입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볼타입의 결합수단은 각각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개별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어태치먼트의 위치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수단 중 어느 하나라도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면 오버덴쳐가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바타입의 결합수단에는 복수개의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라운드지게 경유하는 고정바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볼타입의 결합수단에 비해 체결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고정바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대상악궁에 기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경유되도록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절곡되어 구비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고정바의 양단을 손으로 쥐고 구부려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정바가 강성이므로 손으로 휘어서는 환자의 치열궁에 맞게 절곡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손으로 쥐고 구부리면서 중앙부가 과도하게 절곡되어 실질적으로 포물선 형상으로 완만하게 절곡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바가 실제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기 어려우며, 이를 정교하게 조절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번거로운 절곡교정작업이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고정바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지 못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에 설치되면, 상기 고정바의 복원가압력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된 치조골에 복원가압력이 전달되면서 피로파괴로 인하여 뼈가 녹거나 파절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47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에 포함된 고정바를 절곡하기 위한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를 설치하기 위하여 대상악궁을 따라 고정된 복수개의 홀더 어버트먼트를 경유하여 결합되는 고정바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 가공되도록, 소정의 두께 및 넓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조절 슬롯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바의 중앙부가 평탄 지지되도록 스토퍼부가 상향 돌설된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고정바의 양단측이 상기 스토퍼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절곡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와 대면되는 각 일면측 모서리에 절곡지지단이 형성된 절곡블록과,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테두리가 상기 절곡블록의 하면부와의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이동 위치가 고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절곡가이더; 및 상기 고정바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일단측 취부삽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취부스틱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지지단은 기설정된 반경으로 라운드진 만곡모서리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타측으로 상기 절곡블록의 이격간격을 안내하는 간격표식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블록의 타면에는 상기 간격표식부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정렬엣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과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부의 하단부에는 단턱지지부가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외면이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절곡블록의 대향면 및 상기 단턱지지부 사이에 3점 지지되도록 상기 절곡블록의 일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스토퍼부와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절곡블록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볼트부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테두리가 상기 절곡블록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클램핑되도록 상기 연장볼트부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하면측에는 상기 가압너트가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가압너트의 외면측에 형성된 디컷부가 면접촉 지지되는 슬라이드정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바의 양단측이 삽입된 상태가 마찰 구속되도록 상기 취부삽입공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바의 외면에 끼움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블록의 각 외측으로 상기 취부스틱의 절곡각도를 안내하는 각도표식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정바의 중앙부가 한쌍의 절곡블록 및 스토퍼부 사이에 맞물리되 양단부가 삽입된 취부스틱을 쥐고 굽힘력를 가하면 절곡블록의 각 일면 모서리측에 고정바의 외면이 지지되면서 홀더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경유삽입부에 간섭없이 정확하게 삽입 가능한 절곡각도로 정밀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다.
둘째, 취부스틱의 일단이 절곡블록의 일면 모서리에 인접 배치되어 굽힘력을 받치는 지점이 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핸들부측이 굽힘력을 가하는 지점이 됨에 따라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은 힘으로도 고정바를 명확히 절곡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절곡된 상태가 소성 변형되어 복원력이 최소화되므로 종래에 발생하던 고정바의 복원가압력으로 인한 치조골의 피로파괴를 방지하여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
셋째, 스토퍼부 및 그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지지부와 절곡블록의 경사진 대향면이 삼각 형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사이에 고정바의 외면이 3점 지지되어 견고하게 물림 고정되므로 고정바의 위치가 굽힘력에 의해 틀어짐으로 인한 가공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넷째, 베이스부에 형성된 간격조절 슬롯홀을 따라 한쌍의 절곡블록이 이동되면서 이격간격이 기설정된 절곡정보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간격조절 슬롯홀의 타측에 간격표식부가 형성됨에 따라 절곡블록 간의 이격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정바를 환자의 치열궁에 맞게 정확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와 디지털 오버덴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가 대상악궁에 설치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부분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와 디지털 오버덴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가 대상악궁에 설치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부분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90)는 베이스부(91), 절곡가이더(91) 및 취부스틱(98)을 포함한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90)와 고정바 벤딩장치(9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디지털 오버덴쳐는 구강에 설치되어 사용하기 위한 치아 수복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지털 오버덴쳐는 보철처럼 픽스츄어를 통해 치조골에 고정되되 틀니처럼 구강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설치되는 대상악궁(2)은 무치악(edentulous jaw)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대상악궁(2)의 잔존치아를 발치한 후 후술되는 홀더장치(1400)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홀더장치(1400)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를 구강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대상악궁(2)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장치(1400)는 상기 픽스츄어(f)에 식립되는 홀더 어버트먼트(1410)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경유하여 고정되는 고정바(143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에 체결스크류(1420)를 통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단부에 상기 고정바(1430)가 삽입되어 가압스크류 등의 가압수단(1440)을 통해 고정되도록 경유삽입부(1414)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유삽입부(1414)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함몰된 슬롯홈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삽입되되 상기 가압수단(1440)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가압수단(1440)과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내측단 사이에 상기 고정바(1430)가 가압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홀더커버부(145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의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가 양측으로 분할되더라도 상기 가압수단(1440)이 결합되면서 그 부피로 인해 반경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67)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바(14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기 대상악궁(2)에 설치되면 그 내측에 함몰된 상기 홀더삽입부(65)에 상기 홀더장치(1400)의 상측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67)이 상기 고정바(1430)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구강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는 복수개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경유함에 따라 기설정된 절곡각도(d)에 대응하여 절곡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픽스츄어(f)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중심 및 상기 절곡각도(d)를 포함하는 절곡정보(bb)가 설정된다. 상세히, 상기 절곡정보(bb)는 상기 절곡각도(d) 및 상기 고정바(1430)의 중앙부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는 상기 절곡중심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바(143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절곡중심을 기준으로 각 양단부가 상기 절곡각도(d)에 대응하여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중심 및 절곡각도(d)는 환자의 치열궁 및 치조골 크기에 따라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430)가 기설정된 상기 절곡중심 및 상기 절곡각도(d)에 따라 절곡되도록 상기 고정바 벤딩장치(9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바 벤딩장치(90)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내측에 고정된 클립(67)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대상악궁(2)에 고정되는 홀더장치(1400)에 포함되는 고정바(1430)를 절곡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바 벤딩장치(90)는 베이스부(91), 절곡가이더(91) 및 취부스틱(98)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91)는 소정의 두께 및 넓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조절 슬롯홀(93)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바(1430)의 중앙부가 평탄 지지되도록 스토퍼부(94)가 상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가이더(9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따라 이동되며, 절곡블록(95)과 가압고정부(96)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절곡블록(95)은 일면이 상기 스토퍼부(94)의 타면과 대향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상측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측이 상기 스토퍼부(9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절곡되도록 상기 스토퍼부(94)와 대면되는 상기 절곡블록(95)의 각 일면측 모서리에 절곡지지단(95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부(96)는 상기 절곡블록(95)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따라 이동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가압고정부(96)의 가압력을 통해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가압고정부(96)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테두리가 클램핑되어 이동된 위치가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취부스틱(98)은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며, 일단측에 취부삽입공(98a)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부(98a)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바(1430)는 상기 스토퍼부(94)와 한쌍의 상기 절곡블록(95) 사이에 그 중앙부가 배치된다. 또한, 각 상기 절곡블록(95)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가 각 상기 취부스틱(98)의 취부삽입공(98a)에 삽입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취부스틱(98)을 양손으로 쥐고 구부리면서 가해지는 굽힘력을 통해 상기 절곡정보(bb)에 대응하여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취부삽입공(98a)을 통해 상기 고정바(1430)의 각 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취부스틱(98)의 일단이 상기 절곡지지단(95a)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절곡지지단(95a)에 인접한 상기 취부스틱(98)의 일단은 굽힘력을 받치는 지점이 되고 상기 핸들부(98a)측은 굽힘력을 가하는 지점이 된다. 따라서,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은 힘으로도 상기 고정바(1430)를 손쉽게 절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의 중앙부가 상기 스토퍼부(94)를 통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측에 굽힘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바(1430)의 중앙부가 일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지지단(95a)은 라운드진 만곡모서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절곡지지단(95a)은 소정의 반경값을 가지도록 라운드지되 상기 절곡지지단(95a)의 라운드진 외면 중심측이 상기 절곡중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취부스틱(98)을 쥐고 굽힘력을 가하면 상기 고정바(1430)의 외면이 상기 절곡지지단(95a)에 접촉 지지되면서 상기 절곡각도(d)에 대응하여 절곡 가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절곡지지단(95a)에 지지되어 절곡 가공되더라도 상기 절곡지지단(95a)에 접촉되는 부분이 부드럽게 라운드진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블록(95)의 일면측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고정바(1430)가 절곡 지지되면서 과도하게 꺾여 파단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절곡블록(95)의 일면측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가압되면서 변형 또는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부스틱(98)의 일단이 상기 절곡지지단(95a)과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고정바(1430)가 절곡되는 상기 절곡중심이 상기 절곡지지단(95a)의 외면 중심측으로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1430)를 상기 절곡정보(bb)에 대응하도록 정밀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바(1430)가 절곡된 형상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형성된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개구된 방향과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절곡 가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f)에 결합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경유삽입부(1414)에 상기 고정바(1430)가 간섭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를 손으로 쥐고 단순히 구부림으로 인해 완만한 곡선형으로 절곡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스토퍼부(94) 사이에 맞물린 상태로 절곡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중심이 상기 절곡지지단(95a)에 접촉되면서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만한 곡선형으로 절곡되어 복원력이 크게 작용하던 종래에 비하여, 상기 고정바 벤딩장치(90)를 이용하면 상기 절곡정보(bb)에 대응하여 명확히 절곡된 상태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1430)가 절곡 가공되더라도 복원가압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치조골에 상기 홀더장치(1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1430)의 복원가압력으로 인한 치조골의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중심이 상기 절곡정보(b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절곡블록(95)의 이격간격을 안내하는 간격표식부(97)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타측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블록(95)의 타면에는 상기 간격표식부(97)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정렬엣지(9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곡블록(95)은 상기 스토퍼부(94)와 대면하는 일면측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타면측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설정된 표준간격에 대응하여 길이간격이 눈금으로 표시되는 상기 간격표식부(97)와 상기 절곡블록(95)의 타면측 정렬엣지(95b)를 일치시키기만 하면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중심을 상기 절곡정보(bb)에 설정된 간격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과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부(94)의 하단부에는 단턱지지부(94a)가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94)와 대면하는 상기 절곡블록(95)의 일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스토퍼부(94)와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토퍼부(94)와 상기 절곡블록(95)의 경사진 대향면, 그리고 상기 단턱지지부(94a)의 상면이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스토퍼부(94)와 한쌍의 절곡블록(95)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스토퍼부(94)와 상기 절곡블록(95)의 경사진 대향면 및 상기 단턱지지부(94a)의 상면 사이에 그 외면이 3점 지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1430)를 절곡 가공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바(143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상기 절곡블록(95)와 상기 스토퍼부(94) 사이의 상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고정부(92)는 연장볼트부(96a)와 가압너트(96b)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장볼트부(96a)는 상기 절곡블록(95)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너트(96b)는 상기 연장볼트부(96a)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된다. 즉, 상기 가압너트(96b)가 상기 연장볼트부(96a)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가해지는 회전 체결력을 통해 상기 가압너트(96b)와 상기 절곡블록(9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가압너트(96b)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테두리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절곡가이더(92)의 이동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하면측에는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보다 넓은 내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슬라이드정렬면(9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정렬면(93a)은상기 가압너트(96b)의 수평간격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슬라이드정렬면(93a)은 상기 가압너트(96b)의 외면측에 형성된 디컷부(96c)가 면접촉 지지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너트(96b)는 상기 연장볼트부(96a)의 하단부에 단순히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정렬면(93a)의 내측으로 배치방향이 정렬되어 양측으로의 이동만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볼트부(96a)의 상단부에 형성된 회전조작부를 쥐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장볼트부(96a)의 하단부가 상기 가압너트(96b)에 나사 체결되어 조여지거나 풀려지면서 승강되면서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가압너트(96b) 사이 간격이 조절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 벤딩장치(9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바(1430)를 상기 절곡정보(bb)에 대응하도록 정밀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절곡가이더(92)의 라운드진 만곡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절곡중심이 정확한 위치에 명확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1430)가 기설정된 치아수복 계획에 따라 정확하게 절곡 가공되며,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손쉬우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각도표식부(95c)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곡블록(95)의 각 외측으로 상기 취부스틱의 절곡각도를 안내하는 각도표식부(95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표식부(95c)는 기설정된 표준간격에 대응하여 각도간격이 눈금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취부스틱의 일단에 상기 고정바의 각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취부스틱의 연장방향을 상기 각도표식부(95c)의 각 눈금과 대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를 기설정된 절곡정보에 대응하여 손쉬우면서도 정밀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표식부(95c)는 상기 절곡블록(95)의 하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절곡블록(95)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을 따라 이동되면 함께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절곡블록(95)이 상기 절곡중심간의 간격에 맞게 조절되어 이동되더라도 상기 고정바가 상기 절곡지지단(95a)을 기준으로 상기 절곡각도에 맞게 절곡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부삽입공은 내측에 상기 고정바의 외면이 마찰력을 통해 끼움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의 양단측이 각 상기 취부삽입공에 삽입된 상태가 마찰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취부스틱을 취고 절곡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바가 상기 취부스틱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부스틱이 상기 고정바의 외주를 따라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상기 절곡블록(95)과 멀어지면서 굽힘력을 받치는 지점이 변경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가 상기 절곡정보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정밀하게 절곡 가공되며,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와의 결합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1430)의 중앙부가 한쌍의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스토퍼부(94) 사이에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가 취부되는 상기 취부스틱(98)을 쥐고 굽힘력을 가하면 상기 절곡블록(95)의 각 일면 모서리측에 상기 고정바(1430)의 외면이 지지되면서 절곡되어 소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1430)의 복원력으로 인한 치조골의 파절 또는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취부스틱(98)의 일단이 상기 절곡블록(95)의 일면 모서리에 인접 배치되어 굽힘력을 받치는 지점이 된다. 그리고, 상기 취부스틱(98)의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핸들부(98b)측이 굽힘력을 가하는 지점이 된다. 이에 따라.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은 힘으로도 상기 고정바(1430)를 명확히 절곡 가공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91)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따라 한쌍의 상기 절곡블록(95)이 이동되면서 이격간격이 상기 절곡정보(bb)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타측에 상기 간격표식부(97)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곡블록(95) 간의 이격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1430)를 환자의 치열궁에 맞게 정확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토퍼부(94) 및 그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상기 단턱지지부(94a)와 상기 절곡블록(95)의 경사진 대향면이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그 사이에 상기 고정바(1430)의 외면이 3점 지지되어 견고하게 물림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1430)의 물림 고정된 위치가 굽힘력에 의해 틀어짐으로 인한 가공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90: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91: 베이스부 92: 절곡가이더
93: 간격조절 슬롯홀 94: 스토퍼부
95: 절곡블록 96: 가압고정부
97: 간격표시부 98: 취부스틱
60: 디지털 오버덴쳐 65: 홀더삽입부
66: 고정홀 67: 클립
1400: 홀더장치 1410: 홀더 어버트먼트
1420: 체결스크류 1430: 고정바

Claims (5)

  1. 디지털 오버덴쳐를 설치하기 위하여 대상악궁을 따라 고정된 복수개의 홀더 어버트먼트를 경유하여 결합되는 고정바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 가공되도록,
    소정의 두께 및 넓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조절 슬롯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바의 중앙부가 평탄 지지되도록 스토퍼부가 상향 돌설된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고정바의 양단측이 상기 스토퍼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절곡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와 대면되는 각 일면측 모서리에 절곡지지단이 형성된 절곡블록과,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테두리가 상기 절곡블록의 하면부와의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이동 위치가 고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절곡가이더; 및
    상기 고정바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일단측 취부삽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취부스틱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지지단은 기설정된 반경으로 라운드진 만곡모서리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타측으로 상기 절곡블록의 이격간격을 안내하는 간격표식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블록의 타면에는 상기 간격표식부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정렬엣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과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부의 하단부에는 단턱지지부가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외면이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절곡블록의 대향면 및 상기 단턱지지부 사이에 3점 지지되도록 상기 절곡블록의 일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스토퍼부와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절곡블록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볼트부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테두리가 상기 절곡블록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클램핑되도록 상기 연장볼트부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의 하면측에는 상기 가압너트가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가압너트의 외면측에 형성된 디컷부가 면접촉 지지되는 슬라이드정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양단측이 삽입된 상태가 마찰 구속되도록 상기 취부삽입공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바의 외면에 끼움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블록의 각 외측으로 상기 취부스틱의 절곡각도를 안내하는 각도표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KR1020190156422A 2019-11-29 2019-11-29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KR10226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422A KR102264164B1 (ko) 2019-11-29 2019-11-29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US16/705,411 US11273016B2 (en) 2019-11-29 2019-12-06 Method of manufacturing digital overdenture and 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 and fixing bar bending apparatus for holder device applied thereto
PCT/KR2019/017337 WO2021107246A1 (ko) 2019-11-29 2019-12-10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와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422A KR102264164B1 (ko) 2019-11-29 2019-11-29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23A KR20210067123A (ko) 2021-06-08
KR102264164B1 true KR102264164B1 (ko) 2021-06-11

Family

ID=7637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422A KR102264164B1 (ko) 2019-11-29 2019-11-29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1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02B1 (ko) 2011-01-10 2011-06-20 박승호 착탈식 틀니
KR101585971B1 (ko) 2014-06-03 2016-01-15 김용협 틀니용 에어덴쳐
KR101662026B1 (ko) 2015-02-23 2016-10-05 이아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KR101861165B1 (ko) 2018-02-09 2018-05-25 윤장훈 틀니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75B1 (ko)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CA2983442A1 (en) * 2015-06-19 2016-12-22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02B1 (ko) 2011-01-10 2011-06-20 박승호 착탈식 틀니
KR101585971B1 (ko) 2014-06-03 2016-01-15 김용협 틀니용 에어덴쳐
KR101662026B1 (ko) 2015-02-23 2016-10-05 이아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KR101861165B1 (ko) 2018-02-09 2018-05-25 윤장훈 틀니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23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693A (en) Drill guide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EP3348226B1 (en) Jigs for placing dental implant analogs
US4812118A (en) Placement apparatus for lingual and buccal brackets
US20110250556A1 (en) Mounting Arrangement with Mounting Aid and Orthodontic Bracket
KR20180019643A (ko)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US4455137A (en)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lingual orthodontic bracket
JP3488694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取付装置
KR101790839B1 (ko)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264164B1 (ko)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DE69018937D1 (de) Orthodontische Zahnklammer.
Calderini et al. A simplified method to assess precision of fit between framework and supporting implants: a preliminary study.
KR101712788B1 (ko)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US20190336251A1 (en) Supra Structure Abutment Holder As Well As Process For Providing A Bonding Gap
JPH0795990A (ja) 咬交器
KR102325301B1 (ko)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CA2040574A1 (en) Sliding cap for placement in archwire of orthodontic bracket
KR20210106751A (ko)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버트먼트의 정렬 고정방법
KR102519986B1 (ko)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KR10233297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KR102459371B1 (ko) 지그장치를 이용한 홀더 어버트먼트의 정렬 고정방법
KR20010067443A (ko) 치열 교정용 설측브라켓 부착장치
KR20200022119A (ko)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ITTV20120089A1 (it) Dispositivo medico chirurgico per montaggio di fixture dentale monofasico e bifasico.
WO1998043528A2 (en) Drill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