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643A -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643A
KR20180019643A KR1020187000243A KR20187000243A KR20180019643A KR 20180019643 A KR20180019643 A KR 20180019643A KR 1020187000243 A KR1020187000243 A KR 1020187000243A KR 20187000243 A KR20187000243 A KR 20187000243A KR 20180019643 A KR20180019643 A KR 20180019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plant
component
connection assembly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카우프
외르크 베이트젤
로베르토 칼레타
피에르 크리스티안센
라켈 촙
Original Assignee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1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61C8/0071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with a self-locking taper, e.g. morse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 연결 어셈블리에 대한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와,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가능하고, 치아 컴포넌트는 미리 고정된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로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가능하다. 미리 고정된 상태로, 연결 어셈블리가 상기 치아 임플란트에 부착될 때,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임플란트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된 상태에서,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이 고정되는 한편, 연결 어셈블리는 특히 고정된 상태로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치아 컴포넌트와 치아 임플란트에서 분리가능하다.

Description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치과용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 연결 어셈블리를 위한 치과용 컴포넌트 및 치아 수복의 워크플로우에서 연결 어셈블리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들에 의해 지지되는 치아 수복들이 흔한 치료법이 되었지만, 남은 과제들 중 하나는 수복의 효율적인 그리고 정확한 위치결정이다. 이상적으로, 상기 치아 수복을 빠르게 하기 위해 임플란트 및 치아 수복의 관통홀의 길이방향 축들은 일치한다. 그러나, 실제, 임플란트 및 치아 수복물 간 부-최적의 정렬을 야기하는 몇몇 오차원이 있다. 그러한 부-최적의 정렬은 뼈 조직, 임플란트 또는 치아 수복물 내 보다 높은 팽창력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는 수복물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식 및 환자의 입에 계획대로 그리고 실제로 주입되는 임플란트의 위치 차가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유도 시스템들에 의해 보조될 수 있지만, 이식 자체는 기본적으로 배치 정밀과 관련된 그것의 알려진 결점을 갖는 손일이 남는다. 처치, 작동하는 치아 수복의 즉각적인 결과에 상당한 효과는 없을 수 있지만, 이식 이후 이루어져야 하는 임의의 교정들은 환자에 추가 비용 및 체어 타임(chair time)을 발생시킨다. 덧붙여, 처치에 사용되는 나사에 대한 어떠한 패시브 핏(passive fit)도 달성될 수 없는 경우, 나사 내로 팽창력이 도입되어 나사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 추가 비용 및 체어 타임을 발생시키는 추가 처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용가능한 뼈 및/또는 하악골 및/또는 상악골의 뼈의 견고함의 정도와 같은 환자의 치아 상황은 임플란트 위에 그것이 나머지 치아에 혼화되도록 치아 수복물을 맞추기 위해 임플란트가 추가 수단을 필요로 하는 깊이 및/또는 방향으로 이식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치아 수복물을 제공하는 것은 꽤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필요로 하며, 이는 특히 치아 또는 치아들의 보철물을 설계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취해져야 하는 다수의 인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워크플로우는 또한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 및 치과 랩과 같은 몇몇 시설의 수반을 필요로 한다.
하나보다 많은 임플란트 상에 지지되는 의치의 경우, 이러한 임플란트들의 각도 및 삽입 깊이 차가 또한 치아 수복물에 최적의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치아 수복물에 작용하는 하중이 임플란트들 및 하지의 뼈 조직 내로 동등한 효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이러한 임플란트들 간 임의의 높이 또는 각도 차를 대등하게 만드는데 필요한 작업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법은 고도의 맞춤화이다. 예를 들어, 이식 이후, 치아 수복물이 환자의 치아의 스캔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조각으로부터 밀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일반적으로 값비싼 CAD/CAM 기계류를 필요로 한다.
다른 접근법은 임의의 높이 및/또는 배향 차들을 대등하게 만들기 위해 임플란트 및 치아 수복물 간에 배치될 수 있는 몇몇 유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모듈식 시스템들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한 결점들로 인해 환자의 존재 하에 여전히 손에 의해 조정되어야 할 수 있는 이용가능해야 할 많은 수의 상이한 부분을 필요로 한다.
이 점에 있어서, 생산 오차로 인한 가벼운 오정렬(misalignment) 및 오배치(misplacement)를 보상하는 것이 US 2008/0241790 A1의 목적이었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나사를 조임으로써, 분절된 부재가 압축되도록 그리고 밖으로 변형되도록 임플란트 나사의 헤드 및 임플란트 간에 배치되는 볼과 같은 분절된 부재를 사용한다. 이는 부재가 슬리브 내부에로 밀어붙이게 하며, 이는 차례로 치아 수복물을 캐리한다. 그러나, 이는 치아 수복물이 장기간 변위 및 이러한 수복물의 풀릴 위험을 부담하는 마찰 핏에 의해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변형은 이러한 기술이 환자의 뼈 조직 내 치아 임플란트의 임의의 오배치를 해결하지 않도록 분절된 볼의 원주 방향으로 동등하게 적용된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들은 몇몇 목적을 기반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접근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들 중 하나는 치아 임플란트 및 치아 수복물 간 임의의 오정렬 및 오배치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수복물의 맞춤화된, 즉 패시브 핏을 가능하게 하나 치아 수복물을 형성하고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 대단히 개별화된 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수복물을 생성하기 위한 워크플로우를 간단하게 하는 것, 특히 처치 동안 환자에 체어 타임 및 임의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것이었다.
앞서 언급한 목적들을 다루고 기저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해결책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고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부가적인 특징들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용어 오정렬(misalignment)은 주로 두 개의 구성요소 간 배향 차에 관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구성요소가 그것들을 맞추기 위해 서로에 관해 회전되어야 할 경우, 그것들은 어긋난 것으로 고려된다. 대조적으로, 용어 오배치(misplacement)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구성요소 간 위치 차에 관해 사용된다, 즉 두 개의 구성요소가 그것들을 맞추기 위해 병진되어야 한다.
치아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오정렬 또는 오배치에 관한 용어 조절, 보상 또는 오프셋은 일반적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표준 구성요소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보상될 수 없는 조절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여기서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치아 컴포넌트와 착탈가능하게 부착가능하다. 나아가, 치아 컴포넌트는 연결 어셈블리에 미리 고정된 상태(pre-fastened state) 또는 고정된 상태(fastened state)로 부착가능하되, 미리 고정된 상태로, 연결 어셈블리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되는 동안,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고정된 상태에서,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은 고정되는 한편, 연결 어셈블리는 특히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치아 컴포넌트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서 분리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 간 고정된 상태 외에 미리 고정된 상태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은 미리 조립되어 치아 컴포넌트를 그리고 임의로 환자에 살균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다요소 시스템들의 주요 결점들 중 하나, 즉 환자의 존재 하에 조립 단계들을 필요로 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다.
미리 고정된 상태의 하나의 추가 바람직한 효과는 연결 어셈블리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되는 동안 그것의 존재이다. 이에 기인하여, 미리 고정된 상태는 치아 컴포넌트를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 간에 연결 어셈블리와 부착함으로써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위치 및/또는 배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부착되면,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로의 전환이 조절을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향 및/또는 위치의 조절이 일어난 후, 연결 어셈블리를 고정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조절을 "레코딩"한다.
연결 어셈블리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가능하기 때문에, 치아 컴포넌트에 고정된 연결 어셈블리는 앞서 언급한 제 위치에서의 조절을 유지하면서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치아 임플란트 및 치아 보철물 간 정밀한 핏이 처치 마지막에 달성되도록 치아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 간에 요구되는 임의의 조절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에 의한 치아 컴포넌트의 조절을 수행하는 것과 별도로, 환자의 치아 상황의 치아 인상들을 생성할 필요는 없다.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경우, 환자의 입 내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은 전달 지주대에 의해 레코딩될 수 있다. 그 후,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는 각 전달 지주대에 부착되고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들은 몰딩가능한 재료에 삽입된다. 몰딩가능한 재료가 굳거나 중합된 후, 전달 지주대는 제거된다. 그 결과, 작용 모델의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는 환자의 입 내 임플란트들의 위치들 및/또는 배향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연결 어셈블리를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에 기능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기 위한 두 단계의 고정 기술을 제공한다. 나아가, 치아 컴포넌트를 임플란트에 부착하는 것은 치아 컴포넌트 및 임플란트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는 것과 독립적이다.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의 조절은 기본적으로 치아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조절가능한 관통 홀"을 치아 컴포넌트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상기 조절가능한 관통 홀은 예를 들어 특정 치수들 및 관통 홀에 관한 베어링면들을 갖는 와셔들 및 치아 컴포넌트의 베어링면들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조합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의 조절가능한 홀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의 배치를 조정하기 위해 치아 컴포넌트,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에 관해 위치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의 관통 홀이 조절가능하게 되기 위해, 즉 기울어지고 병진될 수 있기 위해,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은 치아 컴포넌트를 임플란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단지 임플란트 나사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큰 치수들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으로 배치되는 치근측 베어링 수단을 더 포함하되, 치근측 베어링 수단은 특히 제2 와셔에 의해 형성되고/거나,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으로 배치되는 치관측 베어링 수단을 더 포함하되, 치관측 베어링 수단은 특히 제1 와셔 및/또는 제3 와셔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베어링 수단은 연결 어셈블리 또는 연결 어셈블리의 관통 홀의 위치결정 및 배향을 지지하는 베어링면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면은 한편으로는 연결 어셈블리, 치아 컴포넌트 또는 임플란트의 다른 부분들에 접촉을 수립하고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절가능한 어셈블리의 관통 홀의 이동가능한 입구를 구성한다. 따라서, 베어링 수단은 이전엔 단지 대단히 맞춤화된 치아 컴포넌트의 개별적인 설계로만 가능했던 방식으로 입구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베어링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쉽고 바람직한 방법은 와셔 형태이다. 와셔는 그것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에 따라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에 관해 이동가능하다. 또한, 와셔는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이 치과용 나사를 삽입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큰 단면적을 갖게 하며, 이는 충분한 조절 범위에 요구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 결과, 조절 범위는 치아 컴포넌트와 의도된 용도로 체결 시 단지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부품의 치수들에만 따르고, 단지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이 나사의 충분한 지지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정한 크기를 갖게 하는 크기를 갖는 나사 헤드와 같은 다른 물품들의 치수들에는 따르지 않는다.
단 하나의 베어링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베어링 수단은 주로 치아 컴포넌트 및 임플란트 간 임의의 오정렬을 오프셋하기 위해 연결 어셈블리의 관통 홀의 각을 이룬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위치결정은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의 단면 및/또는 베어링면의 기하학적 구조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고정 부재는 치근측 및/또는 치관측 베어링면, 관통 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연결은 또한 고정 부재에 치아 컴포넌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체결 부재는 특히 다음: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관통 홀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1 임시 나사; 접착제; 열경화성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고정 및 체결 부재들은 본 발명에 따라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 간에 작용하는 미리 고정된 상태 및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 및 체결 부재 간 체결은 스레드 체결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된 상태를 수립하기 위해, 체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고정 부재를 체결하나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어떠한 부분도 체결하지 않는다. 이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와 접촉하게 되지 않도록 체결 부재의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가 베어링면을 갖기 때문에, 그것은 또한 이전 실시예의 와셔와 같이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그것은 두 개의 기능, 즉 착탈가능한 베어링 수단의 기능 및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 간 미리 고정된 상태 및 고정된 상태의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 부재의 베어링면은 치아 컴포넌트에 대한 병진 및/또는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고정 부재의 베어링면 및 면과 대면하는 다른 베어링면 간 접촉은 다수의 점 접촉, 선 접촉 또는 면 접촉일 수 있다.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어셈블리의 일시적 부착을 제공하는 부착 메커니즘의 제공은 연결 어셈블리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상에 부착되지 않고 단지 배치될 경우 그렇지 않으면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행위의 존재 없이 치아 컴포넌트 및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임의의 상대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다 양호한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부착 메커니즘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연결 어셈블리 간에 정의된 연결을 제공하며, 이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다 양호한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컴포넌트 및 제1 임시 나사의 나사 헤드 또는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간에 개재될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포함하되, 고정 부재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임의의 오정렬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와셔는 특히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의 길이방향 축 또는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의 고정 수단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게 조절가능한 연결 어셈블리의 관통 홀을 제공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스레드 홀에 의해 구성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오정렬 또는 오배치의 보상은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 간 베어링면들의 상응하는 디자인으로 향상될 수 있다.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이 치아 컴포넌트와 대면하는 경우,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 배향 차들을 오프셋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 어셈블리의 홀은 부분 주위에 기울어지며, 여기서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및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면이 접촉한다. 이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상의 어셈블리의 홀의 입구의 변위를 야기한다. 와셔를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상에 배치함으로써, 그리고 그에 따라 어셈블의 홀의 입구가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변위가 오프셋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와셔는 와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한 두 개의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베어링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편평한 베어링면이다.
편평한 베어링면은 특히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및/또는 치근측 면에 대해 어셈블리의 홀의 입구를 병진시키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편평한 베어링면 반대되는 베어링면은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임의의 오정렬을 처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곡선형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치근측 베어링면, 치관측 면, 나사, 특히 치과용 나사 또는 임시 나사에 대한 관통 홀을 갖는, 나사 헤드의 치근측으로 배치될 제3 와셔를 포함하며, 관통 홀은 치관측 면으로부터 치근측 베어링면을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3 와셔가 나사 헤드에 최적의 지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용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의 설계에 어떠한 변형도 없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나사 헤드의 치근측 지지면이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오정렬이 존재하는 경우, 제3 와셔는 곡선형, 바람직하게는 구형 치근측 베어링면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불일치를 오프셋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와셔의 관통 홀은 치과용 나사가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따라서, 제3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및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또는 제1 와셔의 치관측 간 임의의 조절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3 와셔의 관통 홀은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보다 직경이 작다. 후자의 경우, 제1 와셔는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관통 홀을 갖는다. 그것은 또한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3 와셔의 관통 홀보다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컴포넌트 및 제3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간에 개재될 제1 와셔 및/또는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컴포넌트 및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간에 개재될 제2 와셔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제1 와셔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상의 병진 오프셋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3 와셔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에 관한 임플란트 나사의 지지면 간 오정렬을 오프셋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제2 와셔는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오배치를 오프셋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간 오정렬을 보상한다.
조합하면, 제1 와셔 및 제2 와셔는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오정렬 및 오배치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상의 제2 와셔 및 고정 부재의 조합은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상의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오프셋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상의 제1 와셔 및 제3 와셔의 조합은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상의, 즉 나사 헤드의 치근측 지지면 및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면 간의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를 오프셋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와셔 또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및 제3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간 접촉은 면 접촉이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구형 베어링면들에 의해 수립된다.
면 접촉은 베어링면들 간 이를테면 제3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및 제1 와셔의 치관측 베어링면 또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간 최적의 지지의 이점을 갖는다. 구형 베어링면들은 특히 치아 컴포넌트 및 제3 와셔 간에 존재하는 임의의 오정렬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지지를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와셔 또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및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간 접촉은 면 접촉이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구형 베어링면들에 의해 수립된다.
이러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에 대해 나열된 것들과 베어링면의 접촉에 관한 동일한 이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임플란트 나사를 포함하되, 임플란트 나사는 연결 어셈블리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다.
임플란트 나사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의 고정 부재를 체결하지 않고,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하기 위해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한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 나사는 그것이 고정 부재를 체결하지 않도록 연결 어셈블리의 고정 부재를 우회한다. 그러나, 임플란트 나사에 의해 발휘되는 압축에 기인하여, 연결 어셈블리는 제 위치에 고정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서, 부착 메커니즘은 스냅-메커니즘으로서 형성되되, 고정 부재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때 특히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길이방향 축에 관해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스냅 메커니즘은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 및 연결 어셈블리 간 분리가능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은 고정 부재 및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 간 회전 위치와 독립적으로 수립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각 결합을 방해할 수 있는 어떠한 회전 제한도 없다. 이는 특히 치아 컴포넌트에 연결되어야 하는 하나보다 많은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의 경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나사, 제1 임시 나사 및/또는 제2 임시 나사는 부착 메커니즘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치아 컴포넌트 및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 간 조절 및 고정의 독립성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 배향의 레코딩이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가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에서 분리될 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착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치아 컴포넌트는 치과용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되면, 제1 임시 나사는 연결 어셈블리의 상태를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임시 나사는 임플란트 나사와 비교하여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즉 그것은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나 치아 컴포넌트를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체결하지 않는다.
특히, 제2 임시 나사는 치아 수복물 내 나사 채널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치아 컴포넌트 상에 생성될 치아 보철물의 치관측을 너머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나사 축의 길이(L1)는 제1 임시-나사 축의 길이(L2)보다 길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나사 축, 예를 들어 임플란트-나사 축 또는 제1 임시-나사 축은 의도된 용도로 각각의 나사 헤드의 치근측으로 배치되는 나사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되, 나사 헤드의 치근측은 제1 와셔의 치관측 베어링면, 제3 와셔의 치관측 상에 또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상에 놓이도록 의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임시 나사 및 고정 부재 간 체결은 스레드들에 의해 수립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베어링 부재을 포함하며, 베어링 부재는 체결 부재, 이를테면 임플란트 나사 또는 제1 임시 나사의 삽입을 위한 관통 홀, 및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베어링면을 포함하되, 베어링 부재의 적어도 부분은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및 치관측 간에 위치된다.
베어링 부재는 와셔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것은 베어링 부재의 치관측으로부터 치근측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베어링면을 포함하거나 두 개 보다 많은 베어링면, 이를테면 편평한 베어링면 및 치근측 방향을 대면하는 곡선형,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베어링면 및 치관측 방향을 대면하는 편평한 베어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의 적어도 부분이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및 치근측 간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것은 연결 어셈블리의 보다 콤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으로부터 치관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기 위한 치아 컴포넌트를 제공하며, 관통 홀은 임플란트 나사, 제1 임시 나사 또는 제2 임시 나사의, 바람직하게는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삽입을 위해 조정된다.
본 발명의 치아 컴포넌트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에 존재할 수 있는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상을 가능하게 하는 홀들을 갖는다. 따라서, 치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의 조절가능한 관통 홀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치근-치관 방향으로 치아 컴포넌트를 관통하는 관통 홀의 직경은 임플란트 나사를 삽입시킬 수 있는데 필요한 것보다 큰 단면 또는 직경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컴포넌트의 나사 홀의 단면 또는 직경의 가장 큰 치수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되는 동안 관통 홀에 위치되는 임플란트 나사의 부분의 직경보다 2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25% 크다.
치아 컴포넌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근측 및 치관측 중 하나는 구형 베어링면이고 치근측 및 치관측 중 다른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베어링면이다.
치아 컴포넌트의 이러한 구성은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상을 위해 요구되는 연결 어셈블리의 부분들을 감소시킨다. 그것은 특히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오정렬의 조절 또는 교정을 가능하게 하고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향상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는두 개의 관통 홀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관통 홀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치아 연결 어셈블리에 대한 치아 컴포넌트에서의 정확히 세 개의 치아 컴포넌트의 배치는 치아 보철물이 세 개의 치아 임플란트에 또는 보철물의 생성 동안 세 개의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되는 세 개의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아 컴포넌트를 연결 어셈블리에 조립하기 이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갖는 치아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단계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 치아 컴포넌트를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의 관통 홀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임시 나사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임시 나사는 그것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특히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체결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법은 임의로 관통 홀의 치근측 또는 치관측 상의 제1 와셔의 배치, 관통 홀의 치관측 상에 배치될 때 치아 컴포넌트 또는 제1 와셔 상의 제3 와셔의 배치, 및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의 치근측 또는 치관측의 다른 측 상의 제2 와셔의 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고정 부재 및 제1 임시 나사가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에 관해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부재를 상기 제1 임시 나사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의 위에서 언급된 이점들을 적용한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방법의 적용은 연결 어셈블리를 실현하며, 이는 연결 어셈블리에 미리 조립된다. 미리 고정된 상태 덕분에, 다음 단계는 연결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배향 및/또는 위치가 이미 보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획정되는 관통 홀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배향 및/또는 위치결정 차에 따라 위치되고/거나 기울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에 베어링 부재의 배치를 포함한다. 이는 그 치관측 또는 치근측 상에 대신 치아 컴포넌트 내부에서 상호작용하는 베어링면들을 제공한다. 그 결과, 연결 어셈블리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전 조립에 기인하여, 다음 단계는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의 위치 및 배향이 이미 레코딩될 수 있다. 치과 병원에서 사전 조립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환자가 존재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고정 부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의 부착 메커니즘은 특정한 고정량을 제공하기 위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한다. 이러한 고정은 폼-핏 및/또는 마찰 핏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부착 메커니즘은 고정 부재의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의 획정된 부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방법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상에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연결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 및 제1 임시 나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는 이전에 정의된 상기 방법을 적용하여 조립되었다. 이러한 방법의 추가 단계들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으로 고정 부재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는 단계, 연결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는 단계, 및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제1 임시 나사 및 고정 부재 간 체결을 조이는 단계이다.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위치 및 배향의 레코딩은 치아 수복물을 맞추는데 필요한 치아 인상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실제로, 치아 인상에서 얻어진 환자의 치아 모델 대신 연결 어셈블리 또는 전달 지주대를 포함하는 치아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입 내에서 레코딩이 수행되는 경우 이식 이후 임의의 치아 인상들이 회피될 수 있다. 랩에서, 치아 상황은 또한 레코딩? 위치 및 배향에 기초하여, 즉 고정된 상태에 있는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도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지주대에 의해 용이하게 재현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이러한 수복들에 필요한 치아 인상들의 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대단히 맞춤화된 치아 수복들과 동일한 맞춤 정확성을 제공한다.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가 사용되는 경우, 방법의 단계들은 치과 병원에서 또는 치과 랩에서 환자의 부재 시에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입에서 직접 치아 연결 어셈블리로 레코딩이 수행되는 경우,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에서 일어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고정 부재를 분리함으로써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서 분리하는 한편 제1 임시 나사 및/또는 부착 수단,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왁스, 아크릴,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치아 컴포넌트의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은 치아 컴포넌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필요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부착 수단이 치아 연결 어셈블리 상에 사용되는 한편 제1 임시 나사가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조여지는 경우, 제1 임시 나사는 제거될 수 있는 반면,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은 유지된다. 그 결과,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치아 컴포넌트가 이러한 배치의 정밀한 핏을 확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임플란트 나사를 사용하여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바람직하게는 두 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전달 지주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작용 모델은 임플란트 유사체를 각 전달 지주대에 부착하고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몰딩가능한 재료에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모델에 고정함으로써 생성된다.
상기 방법의 이러한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환자의 치아 상황의 모델을 제공한다. 이는 그것이 환자의 입 내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정밀한 핏이 여전히 유지되는 경우 환자를 귀찮게 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보철물의 생성 동안 제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모델에 고정시키기 위해, 임플란트 유사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재료가 계속해서 액체 상태로 있는 동안 몰딩가능한 재료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 유사체는 재료가 굳거나 중합되기 전,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고체 상태로 전환되기 전 이러한 재료에 액침된다. 몰딩가능한 재료로서, 레진 또는 석고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전달 지주대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전달 지주대들은 환자의 각각의 치아 임플란트들 상에 장비되면서 서로에 관해 고정된다. 단 하나의 전달 지주대가 사용되는 경우, 전달 지주대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레코딩하기 위해 다른 기준점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준점은 전달 지주대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치아를 포함하는 부분 치아 인상일 수 있다.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치아 인상이 필요할 수 있지만, 치아 인상은 단지 환자의 입의 작은 영역, 즉 인접한 치아들 또는 치아에만 영향을 미친다. 물론, 인상 대신 환자의 치아 상황의 스캔을 사용하여 기준점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것은 제2 임시 나사로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치아 컴포넌트 및 부착된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치아 컴포넌트를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기 위한 제2 임시 나사의 사용은 치아 보철물의 생성 동안 배치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수동 핸들링 뿐만 아니라 기계류에 의한 핸들링에 적용된다. 따라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것에 있어서의 효율이 향상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합 및 중심위의 수직 고경에 대한 구내 하악 관계 레코드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뿐만 아니라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레코드들을 교합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악의 교합 이후 환자의 체어 타임을 더 증가시키지 않고 치아 보철물의 생성을 향상하고 특히 그것을 환자의 입에 배치시킨 후 치아 보철물의 임의의 조절이 최소한으로 감소되도록 치아 보철물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만 사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고정된 상태 및 조절된 상태로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치아 컴포넌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후자는 이전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달성되었을 수 있다. 나아가, 연결 어셈블리의 고정 부재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 또는 부착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레코딩되는 위치 및 배향은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치과 랩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고정 부재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고, 그 후 임플란트 유사체들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레코딩된 위치 및 배향이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임시 나사는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한 통상적 워크플로우를 계속하기 위해 제2 임시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로 대체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부착 수단,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왁스, 아크릴,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폴리머로,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 간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단계는 제1 임시 나사를 제거하고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2 임시 나사로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로 상기 방법은 또한 치아 컴포넌트 및 부착된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착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이전 실시예의 임플란트 유사체들에 연결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레코딩되는 위치 및 배향은 앞서 언급한 부착 수단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유사체들의 고정 및 부착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및 배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대신, 제1 임시 나사는 부착 수단의 도포 이후 제거될 수 있고 제2 임시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로 대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임시 나사를 제거하는 임의적 단계 및 임플란트 나사를 사용하여 환자의 하악골 또는 상악골 내로 이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에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는 주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의 지지로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임플란트의 배향 및 위치의 정밀한 레코딩에 기인하여, 보다 적은 체어 시간을 사용하여 환자의 처치를 마무리하고 치아 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포함하는 환자의 치아 상황의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임시 나사에 의해 미리 고정된 상태로, 치아 컴포넌트, 특히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치아 컴포넌트, 및 특히 위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상에 장착하는 단계로서, 특히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상기 방법으로 조립된,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 연결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는 단계, 및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제1 임시 나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고정 부재를 분리함으로써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서 분리하는 한편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유지하는 단계, 및 제1 임시 나사의 제거 이후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이 유지되도록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부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왁스, 아크릴,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폴리머인, 부착 수단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임시 나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2 임시 나사로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치아 컴포넌트 및 부착된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교합 및 중심위의 수직 고경에 대한 구내 하악 관계 레코드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러한 레코드들을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치아 상황의 모델, 치아 컴포넌트, 및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교합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 및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들 중 어떠한 단계도 환자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치과 랩에서 적용가능하며, 치아 보철물은 이를 위한 것이다. 그것은 또한 위에서 이미 설명된 이점들을 조합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그것들이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기존 워크플로우들로 쉽게 통합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치아 컴포넌트는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치아 컴포넌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는 상부 구조 이를테면 개별적인 치아들에 대한 지주대 또는 둘 내지 세 개의 임플란트로 고정되는 세 개 이상의 치아에 대한 브리지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는 이가 전혀 없는 상황들의 처치를 위한 바로서 형성되며, 여기서 바는 세 개,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임플란트로 고정될 수 있다. 치아 컴포넌트는 기성 제품, 특히 미리 제조되고 개별화되지 않은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 설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고려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의 도해들 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특징부들에 대해 사용된다. 다음에서 간단한 설명은 이러한 도해들의 내용을 개괄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연결 어셈블리 및 임플란트 나사로 임플란트에 부착된 치아 컴포넌트를 도시하며, 여기에는 치아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정렬이 오정렬 또는 오배치가 없다.
도 2b는 연결 어셈블리 및 임플란트 나사로 임플란트에 부착된 치아 컴포넌트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연결 어셈블리가 치아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오정렬을 보상한다.
도 3은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를 미리 고정된 상태의 제1 임시 나사와 도시한다.
도 4는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컴포넌트를 고정된 상태의 제1 임시 나사와 도시한다.
도 5a는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된 연결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치아 보철물이 제2 임시 나사를 사용하여 치아 컴포넌트의 위에 생성된다.
도 5b는 연결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임시 나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에 치아 보철물을 부착하기 위해 치과용 나사가 사용된다.
도 6은 전체 의치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생성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치아 컴포넌트 및 연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동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달 지주대를 도시한다.
도 8은 고정 부재의 상이한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플란트,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치과용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된 고정 상태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아 컴포넌트,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 임시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된 고정 상태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아 컴포넌트,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들의 추가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치아 컴포넌트(20), 치아 임플란트들(10) 및 연결 어셈블리들(100)을 도시한다. 도 1은 또한 치과용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30)를 도시한다. 치아 임플란트(10), 연결 어셈블리(100) 및 치과용 나사(30)의 구성은 또한 구성 및 앞서 언급한 구성요소들 간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을 위한 분해 조립도로서 도시된다.
도 1의 우측 하단에, 연결 어셈블리(100)와 사용하기 위한 두 개의 부가적인 나사(31, 33)가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부가적으로 길이(L2)를 갖는 제1 임시-나사 축(35)을 갖는 제1 임시 나사(31) 및 치과용 나사(30)의 임플란트-나사 축(37)의 길이(L1)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 제2 임시-나사 축(36)을 갖는 제2 임시 나사(33)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시 나사(31)의 제1 임시-나사 축(35)의 길이(L2)는 제2 임시 나사(33)의 제2 임시-나사 축(36)의 길이(L1)보다 작다. 길이 차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이러한 나사들이 체결하도록 의도되는 구성요소들을 기반으로 선택되었다, 즉 제1 임시 나사(31)는 연결 어셈블리의 고정 부재(140)와의 체결을 위해 구성되는 반면, 제2 임시 나사(33)는 치아 임플란트(30)와의 체결을 위해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30)는 방법 및 방법의 단계를 따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존재를 필연적으로 수반하지 않는 단계가 수행될 때는 언제든지, 임플란트 대신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해 처치 단계 동안 환자의 치아 상황을 반영하는 모델이 사용되는 경우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치아 컴포넌트(20)는 하악골 또는 상악골의 치아의 대체를 위한 전체 의치의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치아 보철물에 효율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치아 컴포넌트(20)는 세 개의 임플란트(10)에 부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치아 컴포넌트(20)는 한편으로는, 또한 세 개보다 많은 임플란트, 이를테면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임플란트와의 연결을 위해 의도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치아 브리지를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임플란트(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치아 컴포넌트의 크기 및 관통 홀들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간단히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는 치아 컴포넌트(20) 이를테면 지주대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치아의 대체를 위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임플란트(1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뷰의 분해 조립도 부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치근측 베어링면(121) 및 치관측 베어링면(122)을 갖는 제1 와셔(120)는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22)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치근측 베어링면(121)은 기본적으로 평면으로 형성되며, 이는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 또는 치관측 베어링면(22)에 평행한 병진을 용이하게 한다.
편평한 베어링면(121) 반대편 상에 위치되는 베어링면(122)은 곡선형이거나 구형이다. 이러한 구형 베어링면은 제1 와셔(120)의 치관측으로 배치되는 제3 와셔(110)의 치근측 베어링면(111)과 상호작용한다. 상기 베어링면(111)은 바람직하게는 제1 와셔(120)의 베어링면(122)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시된 예에서, 베어링면(122)은 제3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111)과 같은 구형이다. 그것들은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면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상응한다.
치근측 베어링면(111) 및 치관측 베어링면(122) 간 상호작용은 임플란트 나사의 헤드(30a) 및 제3 와셔(110)의 치관측 베어링면(112) 간 오정렬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치과용 나사(30)가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22)에 대한 직교 방향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임플란트(10)로 삽입되어 조여지는 경우, 제1 와셔(120) 및 제2 와셔(110) 간 상호작용은 제3 와셔(110)를 제1 와셔(110)에 관해 기울임으로써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22) 및 나사 헤드(30)의 치근측 지지면 간 정렬 차를 오프셋한다. 제1 임시 나사(31) 또는 제2 임시 나사(33) 중 어느 하나가 치과용 나사(30) 대신 사용되는 경우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와셔(110)를 통과하는 관통 홀(114)은 임플란트 나사(30)의 축(34)이 통과하기에 충분하나 나사 헤드(30a)의 치근측 지지면에 충분한 지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에 반해, 제1 와셔(120)의 관통 홀(122)은 그것이 치과용 나사(30) 및 제3 와셔(110)가 그 안에서 기울여지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제3 와셔(110)의 관통 홀(114)보다 직경이 크다.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22)으로부터 치근측(21)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23)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치아 임플란트(10) 및 상기 컴포넌트(20) 간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에 의해 야기되는 치과용 나사의 헤드(30)의 치근측 지지면 및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 면(22)의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와셔(110)의 관통 홀(114)보다 직경이 크다.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근측(21) 상에,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의 베어링면(22)과 비교해 반대 반향으로 면하는 편평한 베어링면(21)이 제공된다.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근측(21)은 제1 와셔(130)의 편평한 베어링면(131)과 접촉해 있다. 도 1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와셔(130)는 기본적으로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22)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 와셔(1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물론, 예를 들어 치근측 베어링면(132)에 대해 상이한 곡률 또는 반경을 사용함으로써 구성이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셔(130)는 제1 와셔(120)에 거울-반전으로 배열된다.
제2 와셔(130)의 치근측 상의 곡선형 그리고 특히 구형 베어링면(132)은 고정 부재(140)의 치관측 베어링면(141)과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그에 따라, 고정 부재(140)는 제2 와셔(130)의 치근측 상에 제공된다. 제3 와셔(110)와 제1 와셔(130)의 접촉에 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치관측 베어링면(141) 및 치근측 베어링면(132)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면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상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베어링면들은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임플란트(10)의 임의의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제3 와셔(110)의 관통 홀과 유사한 관통 홀(143)을 갖는다. 그러나, 관통 홀(143)은 고정 수단, 바람직하게는 내측 스레드를 구비하며, 이는 제1 임시 나사(31)의 외측 스레드(34)와 상호작용한다. 제1 임시 나사(31)의 외측 스레드(34) 및 고정 부재(140)의 내측 스레드(143) 간 상호작용은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3 와셔(110), 제1 와셔(120), 치아 컴포넌트(20), 제2 와셔(130) 및 고정 부재(140)가 미리 고정된 상태 및 고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제1 임시 나사(31)는 고정 부재(140)에 대한 체결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으로, 제1 임시 나사(31)가 조여지지 않고 앞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을 단지 홀딩하며 그에 따라 그것들이 서로에 관해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연결 어셈블리(100)는 미리 조립된 상태(cf. 도 3)의 치아 컴포넌트(20)에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임시 나사(31)가 조여지는 경우, 연결 어셈블리(100)는 앞서 언급한 고정된 상태(cf. 도 4)의 치아 컴포넌트(20)에 제공된다.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어셈블리(100)는 나사들(30, 32, 33) 중 임의의 나사가 치아 컴포넌트(20)에 위치되는 관통 홀(23)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 방향으로 병진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나사의 길이방향 축이 관통 홀(23)의 길이방향 축에 비스듬하게 배열되도록 기울여지게 한다. 이는 임의의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균형을 맞추고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 간 최적의 지지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연결 어셈블리(100)는 임플란트(10) 및 치아 컴포넌트(20) 간 배향 및 위치 차를 보상하기 위해 기울여지고 병진될 수 있는 치아 컴포넌트(20)의 관통 홀(23) 내에 조절가능한 관통 홀을 획정한다. 도 1에서의 대표적인 연결 어셈블리(100)의 관통 홀은 제3 와셔(110)의 관통 홀(114)에 의해 치관측 상에 그리고 고정 부재(140)의 관통 홀(143)에 의해 치근측 상에 획정된다.
나사들(30, 31 및 33) 중 하나가 치아 컴포넌트(20)의 관통 홀(23) 내에 기울여지면서, 그에 따라 제3 와셔(110)의 베어링면(111)이 제1 와셔(120)의 베어링면(122)에 맞서 회전하고 치관측 베어링면(141)이 제2 와셔(130)의 치근측 베어링면(132)에 맞서 회전한다.
임플란트(10) 및 치아 컴포넌트(20) 간 오정렬을 보상하는 경사 움직임은 또한 치관측(22) 및 치근측(21)의 와셔들(120, 130) 중 적어도 하나의 병진 또는 변위를 필요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점이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근측 면(21) 내에 놓여 있는 경우 경사는 적어도 제1 와셔(120)의 병진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사(30, 31 또는 33)의 경사는 연결 어셈블리의 디자인으로 인해 제1 와셔(120) 및 제2 와셔(130) 양자의 병진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 와셔들(120 및 130) 및 치관측(22) 및 치근측(21) 간 병진 움직임이 각각, 베어링면들(121 및 22) 간 뿐만 아니라 베어링면들(131 및 21) 간에서 일어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경사 및 병진에 의한 오정렬의 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배치의 보상이 요구될 수 있다. 오정렬의 보상이 수행되는 경우, 병진은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나사들의 경사도에 의해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해 야기되는 병진을 중첩한다.
도 1에 도시된 고정 부재(140)는 또한 그 치근측 말단에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부착 메커니즘은 고정 부재(140)가 임플란트(10)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메커니즘(148)은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 부재(140)의 분리가능한 부착을 제공하는 스냅-메커니즘으로 설계된다. 치아 임플란트(10)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140)의 부착 메커니즘(148)에 상응하는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스냅-메커니즘(148)의 경우, 치아 임플란트(10)는 스냅-메커니즘이 체결하는 내측 둘레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메커니즘(148)은 치아 컴포넌트(20) 및 임플란트(10) 간 부착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어떠한 나사도 수반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연결 어셈블리(100)에 의한 부착은 어떠한 나사에도 독립적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40)는 폼 핏(form fit)을 사용하여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스냅-메커니즘과 대조하여, 도 8에서의 부착은 폼-핏을 야기하는 고정 부재(140)의 부분의 탄성 휨 및 해제에 종속되지 않는다. 대신, 도 8에 도시된 고정 부재(140)는 임플란트(10)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 내로 밀어 맞춤으로써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한다. 물론, 고정 부재(140)는 그 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의 계면에 따라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 내로 그리고/또는 상으로 밀어 맞출 수 있다.
도 8에서, 고정 부재(140)는 체결면(146)을 포함한다. 체결면(146)은 그 치관측 말단으로부터 그 치근측 말단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뿔면이다. 그것은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상응하는 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한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서의 단면도들에 특히 보인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고정 부재(140)의 체결면(146)은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상응하는 면과 접촉한다. 스냅-메커니즘(148)을 갖는 고정 부재(140)와 같이, 도 8 내지 도 10의 고정 부재(140)는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치관측 대향면과 접촉하는 치근측 대향 멈춤면(149)을 포함한다. 이러한 멈춤면(149)은 치근-치관-방향으로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해 고정 부재(140)의 획정된 위치에 대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결 어셈블리(100)는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20)의 배향 및/또는 배치 차를 기록하기 위해 위에서 상세하게 열거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에 의해 치아 컴포넌트(2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 차는 연결 어셈블리(100)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 간 상대 위치 및 배향 뿐만 아니라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그것들의 배향에 의해 레코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는 앞서 언급한 제1 임시 나사(31)이나 또한 위에서 나열된 다른 수단 중 임의의 수단일 수도 있다. 나아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는 또한 치과용 나사(30) 또는 제2 임시 나사(33)를 조임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그것들이 고정 부재(140)와 체결하지 않고 단지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와 체결하기 때문에 연결 어셈블리의 배향 및 위치의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도 2a는 연결 어셈블리(100)에 의해 치아 컴포넌트(20)를 치아 임플란트(10)에 장착하는 임플란트 나사(30)를 갖는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구성에는,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 간 오정렬 또는 오배치가 없다, 즉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가 중립에 있다. 따라서, 와셔들(110, 120 및 130)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140)도 치아 임플란트(10)의 길이방향 축(A10) 및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23)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다.
도 2b로 돌아가면,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A10) 및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23)의 길이방향 축(A20)이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임플란트 및 치아 컴포넌트(20) 간 오정렬이 도시된다. 연결 어셈블리(100)의 보상 효과 없이, 이러한 오정렬은 임플란트(10) 및 치아 컴포넌트(20) 간 약한 지지 또는 접촉을 야기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팽창력이 치아 임플란트(10), 치아 컴포넌트(20) 또는 연결 어셈블리(100)로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어셈블리(100)가 제3 와셔(110) 및 제1 와셔(120) 간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140) 및 제2 와셔(130) 간 회전 움직임에 의해 그러한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용 나사 헤드(30a)의 치근측 지지면이 제3 와셔(110)의 베어링 면(112) 상에 편평하게 놓인다. 그것들 사이에 개재 및 조절되는 연결 어셈블리(100)의 부품들에 기인한 치아 임플란트(10)의 치관측 및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근측 간 연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 간 오정렬의 보상은 또한 병진을 필요로 한다. 병진은 한편으로는 제1 와셔(120) 의 치근측 평면 및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22) 간에 그리고 간 제2 와셔(130)의 베어링면(131)의 평면들 및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근측(21) 간에 병진이 일어난다. 임플란트(10)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면(146)을 갖는 고정 부재(140)에 대해 도 9에 동일하게 도시된다.
도 2는 연결 어셈블리(100)가 치아 컴포넌트(20)의 관통 홀(23)에 위치하는 조절가능한 관통 홀을 어떻게 획정하는지를 도시한다. 위에서 보다 상세하게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치아 컴포넌트(20)의 홀(23)은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 간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다. 물론, 도 2의 치아 임플란트(10)는 대신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일 수 있다.
도 3은 치아 컴포넌트(20)에 부착되고 제1 임시 나사(31)의 형태로 된 체결 부재에 의해 미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연결 어셈블리(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임시 나사(31)의 길이방향 축은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 간 임의의 오정렬 또는 오배치를 보상하기 위해 관통 홀(23)의 치수에 의해 제공되는 범위에서 병진 및 기울여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시 나사(31)를 조이면 연결 어셈블리(100)에 의해 획정되는 조절가능한 관통 홀의 배향 및 위치가 고정된다. 도 3 및 도 4 양자에서, 연결 어셈블리(100)는 앞서 언급한 부착 메커니즘(148)을 사용하여 치아 임플란트에 부착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임시 나사(31)는 단지 고정 부재(140)를 체결한다. 치아 임플란트(10)와는 어떠한 상호작용도 없다.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의 임플란트들은 환자의 치아 상황을 나타내는 모델의 부분인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도 5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임시 나사(31) 대신 제2 임시 나사(31)를 사용하여 치아 컴포넌트(10)에 부착된 연결 어셈블리(100)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취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임시 나사(33)의 긴 헤드는 예를 들어 왁스-업 기술들을 적용함으로써, 치아 보철물(24) 재료 내에 나사 채널(25)을 생성하기 위해(cf. 도 5b) 주형(negative form)으로 쓰인다. 랩에서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동안, 치아 컴포넌트(20) 및 연결 어셈블리(100)는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유사체(12)에 부착된다. 물론, 실제 임플란트가 임플란트 유사체(12)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b는 치과용 나사(30)를 제외하고는, 도 5a와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며, 이는 치아 임플란트(10)와 체결함으로써 치아 컴포넌트(20) 및 연결 어셈블리(100)를 조립한다. 현 시점에서, 치아 컴포넌트(20)를 둘러싸는 재료에 의해 레코딩된 위치가 유지된다.
도 5의 치아 보철물(24)은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도시된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치아 보철물의 보다 실제적인 시각화는 도 6에 도시되며, 여기서는 치아 보철물을 단지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게 시각화함으로써 치아 컴포넌트(20) 뿐만 아니라 연결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근저의 상부 구조가 도시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실제로 보이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앞서 언급한 도면들에 도시된 연결 어셈블리(100)의 구성이 단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해 위에서 상세하게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시된 연결 어셈블리의 이점은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 및 치근측 상의 베어링면들의 상호작용이 각 측 상에서 병진 뿐만 아니라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그 결과, 치아 컴포넌트(20) 및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의 보상은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23)의 전체 볼륨을 조정을 위한 범위로서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발명의 내용에 상세하게 열거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제3 와셔(110)는 베어링면(111)에 상응하는 치근측 베어링면을 갖는 나사 헤드로 대체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와셔(120)에 의해 제공되는 병진 움직임은 또한 특히 관통 홀(23)이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슬롯형 홀로서 설계되는 경우, 치아 컴포넌트(20)의 관통 홀(23)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100)의 보다 단순한 구성 또는 보다 적은 부품을 사용하여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나사의 병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른 옵션은 수반되는 베어링면들의 조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베어링면들 간 접촉은 선 접촉 또는 적어도 두 지점 접촉으로 감소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두 가지 변형, 즉 나사 헤드 및 관통 홀(23)의 조정을 조합하면 나사가 관통 홀(23)의 입구와 직접 접촉하도록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관측 상에 와셔들 중 임의의 와셔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나사 헤드의 베어링면은 와셔의 베어링면의 기능을 취한다. 유사한 효과가 고정 부재(140)의 치관측 베어링면(141) 및 치아 컴포넌트(20)의 치근측(21) 간 상호작용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컴포넌트(20)의 관통 홀(23)로부터 와셔들(120, 130) 중 어느 하나로의 전이는 챔퍼를 사용하여 또는 서로 접촉하는 관통 홀의 입구의 치수들이 기본적으로 맞도록 관통 홀의 치수를 조정하여 설계될 수 있다.
나아가 그리고 위에서 이미 개괄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로서 사용되는, 나사는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위치 및 배향을 레코딩하기 위한 접착제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고정 부재(140)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40)의 치관측 베어링면(141)이 또한 임플란트(10)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의 치관측 상에 직접 위치되는 상응하는 베어링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100)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20)에 미리 조립된다. 이는 생산 공장에서 뿐만 아니라 치과 랩 또는 치과 병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연결 어셈블리(100)의 사전-어셈블리는 환자의 어떠한 체어 타임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배향 및 위치의 레코딩을 수행하기 전, 적절한 수의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이식된다. 임플란트들의 수는 환자의 개별적인 치아 상황에 필요한 처치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기간 이후, 미리 조립된 그리고 미리 고정된 연결 어셈블리(100)는 치아 컴포넌트의 부-최적의 지지를 야기할 수 있는 임의의 불일치를 처리하기 위해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임의의 임플란트(10)의 위치 및 배향을 레코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치과 병원에서 수행되나 단지 연결 어셈블리(100)가 바람직하게는 앞서 언급한 스냅-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환자의 입의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에 부착되는 동안 매우 제한된 체어 타임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연결 어셈블리(100)는 치아 임플란트(10) 및 치아 컴포넌트(20) 간 임의의 배향 및 위치 차들을 보상하기 위해 그 자체를 정렬 및 위치시킨다. 그 다음, 연결 어셈블리의 부품들의 위치 및 배향이 바람직하게는 제1 임시 나사(31)를 사용하여 연결 어셈블리(100)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또는 레코딩된다.
직접적으로 치아 컴포넌트(20)에 관한 임플란트(10)의 위치 및 배향을 레코딩하는 대신, 전달 지주대(40)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한 전달 지주대(40)가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의 전달 지주대(40)는 세 개의 지주대를 도시하지만, 지주대들의 수는 환자의 구강에 이식되는 치아 임플란트들(10)의 수에 따른다. 따라서, 지주대들의 수는 1 내지 6 사이 임의의 수일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 하나의 지주대를 포함하는 전달 지주대는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에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주문된 치아 임플란트 주위를 충분히 맵핑하는 치과 인상, 바람직하게는 부분 치과 인상과 조합될 수 있다.
전달 지주대(40)의 경우, 각 임플란트(10)가 바람직하게는 관통 홀(41)을 그리고 치아 임플란트(10)의 스레드와 체결되는 나사를 사용하여 조여지는 지주대(43)를 수용한다. 지주대(43)를 각 임플란트(10)에 부착시킨 후, 지주대들은 도 7에 도시된 전달 지주대 연결 수단(42) 이를테면 바들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서로 접촉하게 되면, 전달 지주대(40)의 부품들은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폴리머 이를테면 왁스, 아크릴 또는 레진을 사용하여, 서로에 관해 고정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강 내 사용에 적합한 콜드 또는 광 중합 레진이 적용된다. 열경화성 폴리머가 중합된 후, 전달 지주대(40)는 환자의 구강 내 치아 임플란트들(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달 지주대(40)는 적어도 다른 임플란트(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치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10)의 레코딩? 위치 및 배향을 유지한다.
이러한 레코딩은 그 후 임플란트 유사체를 연결 어셈블리(100)에 연결함으로써 모델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임플란트 유사체의 위치 및 배향은 그 다음 유사체들을 서로에 관해 앵커링시키기 위한 통상의 캐스트 기술들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유사체들은 이러한 재료가 굳거나 중합된 후 몰딩가능한 재료에 통합된다.
전달 지주대(40)가 사용되는 경우, 연결 어셈블리(100)는 치아 임플란트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치아 컴포넌트(20)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임시 나사(31)를 사용하여 조절된다.
연결 어셈블리(100) 및 임플란트 유사체 간 연결은 고정 부재(140)의 부착 메커니즘(148) 또는 체결면(146) 및/또는 부착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부착 수단은 제1 임시 나사(31)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된 상태에 추가적으로 레코딩된 위치 및 배향의 부가적인 고정을 제공한다. 따라서, 고정 부재(140)에서 제1 임시 나사(31)의 제거에도 불구하고 레코딩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제2 임시 나사(33) 또는 치과용 나사(30)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 연결 어셈블리(100) 및 치아 컴포넌트(20) 간 연결에 보다 고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수단은 제1 임시 나사(31)를 제거한 후, 레코딩된 위치 및 배향이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그리고 치아 컴포넌트(20)와 함께 연결 메커니즘(100)이 그것에 도포되는 모델링 왁스로 또는 없이 제거될 수 있도록 단지 치아 연결 어셈블리(100) 및 치아 컴포넌트(20)에 적용된다. 이는 환자의 입 내 임플란트들(10) 상에 이러한 배열체를 배치시킴으로써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배열체를 임플란트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레코딩된 위치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10)의 상대 위치의 레코딩 동안 전달 지주대(40)를 고정 및 제거한 후 발생되었을 수 있는 임의의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 전달 지주대(40)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테스트 동안, 교합 수직 고경(VDO;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및 중심위(CR; centric relation)에 대한 구내 하악 관계 레코드들이 치아 컴포넌트(20) 및 이미 적용된 경우, 모델링 왁스 반대편 치열궁의 교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획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고정하기 위해 모델을 캐스팅한 후, 치아 컴포넌트(20) 위의 치아 보철물(24)의 생성이 통상의 기술들 이를테면 왁스-업 기술들을 사용하여 시작 또는 계속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제2 임시 나사(33)는 바람직하게는 나사 채널(25)의 주형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치과용 나사(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연장된 헤드를 갖는다. 나아가, 이전에 설명된 구내 하악 관계 레코드들이 이용가능한 경우 교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보철물(24)이 완성되면, 레코딩된 위치는 치아 컴포넌트(20) 및 연결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치아 보철물(24)이 환자의 구강 내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에 부착될 수 있도록 주위 치아 보철물(24)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치아 보철물은 제자리에 체결 또는 스냅되고 치과용 나사(30)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단지 환자에 요구되는 체어 타임은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10)에 완성된 치아 보철물(24)의 부착에만 걸린다.
도 11은 부착에 부착되는 연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결 어셈블리(1100)는 고정 부재(1140) 및 베어링 부재(1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1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적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의 구성이다.
도 11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치아 컴포넌트(1020)는 치근측(1021) 상의 관통 홀(1023)의 직경과 비교하여 치아 컴포넌트(1020)의 치관측(1022) 상에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 홀(1023)을 포함한다. 나아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 홀(1023)의 부분은 치관측(1022)에서 시작하여 관통 홀(1023)의 보다 넓은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 연장되는 내측 스레드(1027)를 포함한다. 치아 컴포넌트(1020)의 치근측(1021) 상의 관통 홀(1023)의 보다 좁은 부분은 베어링 부재(1150)의 베어링면(1151)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치관측 베어링면(1026)을 형성하기 위해 치근-치관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진다. 베어링면(1026)은 곡선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고정 부재(1140)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홀(1023)의 보다 넓은 부분의 내측 직경에 대체로 상응하는 외측 직경을 갖는 디스크형이다. 고정 부재(1140)는 치아 컴포넌트(1020)의 내측 스레드(1027)와 체결하게 될 수 있는 외측 스레드(1144)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140)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1140)를 나사로 고정시키고 나사를 풀기 위해 고정 부재(1140)의 치관측 상에 툴 체결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1140)는 그 내측면에 베어링 부재(1150)의 베어링면(1151)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치근측 베어링면을 포함하는 관통 홀(1143)을 포함한다. 베어링면(1142)은 곡선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고정 부재의 관통 홀(1143)의 길이방향 축은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1023)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된다.
베어링 부재(1150)는 곡선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을 가지며, 여기서 베어링 부재(1150)의 외측면이 베어링면(1151)을 형성한다. 연결 어셈블리(1100)의 조립된 상태에서, 즉 미리 고정된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베어링면(1151)의 치관측은 고정 부재(1140)의 치근측 베어링면(1142)과 상호작용한다. 베어링면(1151)의 치근측은 치아 컴포넌트(1020)의 치관측 베어링면(1026)과 상호작용한다.
베어링 부재(1150)는 그 치근측 상에 베어링 부재(1150)를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1150)를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그것은 관통 홀(1152)을 포함한다. 관통 홀(1152)은 위에서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체결 부재 이를테면 임플란트 나사(1030) 또는 제2 임시 나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치수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홀(1152)은 치근-치관 방향으로 치아 컴포넌트를 관통하는 그리고 임플란트 나사를 삽입시킬 수 있는데 필요한 것보다 큰 단면 또는 직경을 갖는 관통 홀의 실시예에 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치수로 만들어지고 구성된다. 그러한 오버사이즈 관통 홀(1152)은 치아 컴포넌트(1020) 및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오배치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사전 조립 동안, 베어링 부재(1150)는 관통 홀(1152)이 치근-치관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치아 컴포넌트(1020)의 관통 홀(1023) 내로 삽입된다. 다음 단계에서, 고정 부재(1140)의 외측 스레드(1144)는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1023)의 내측 스레드(1027)와 체결하게 되고 베어링 부재가 베어링면들(1026 및 1142) 간에 고정될 때 베어링 부재(1150)의 베어링면(1151) 및 치아 컴포넌트(1020)의 치관측 베어링면(1026)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1140)의 치근측 베어링면(1142) 간 상대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에 대하여 계속해서 가능하도록 미리 고정된다.
치아 컴포넌트(1020) 및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오정렬 및/또는 오배치를 보상하기 위해, 미리 조립된 연결 어셈블리(1100)는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설명된 미리 고정된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상에 배치된다. 체결 부재는 베어링 부재(1150)의 관통 홀(1152) 내로 삽입되고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와 스레드 체결하게 된다.
베어링 부재(1050)의 관통 홀(1152)이 치아 컴포넌트(1020) 및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오배치를 보상하게 하기 위해 오버사이징되는 경우, 위에서 언급된 베어링 부재(1150)의 체결면은 존재하는 경우, 치아 임플란트(1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 방향으로 베어링 부재(1150)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조절 이후, 연결 어셈블리(1100)는 베어링 부재(1150)가 제 위치에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고정 부재(1140)를 조임으로써 고정된 상태로 전환된다.
치아 임플란트들(1010) 간 상대 위치 및 배향의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와셔(미도시)가 체결 부재의 헤드 및 베어링 부재(1150)의 치관측 베어링면(1153) 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와셔는 편평한 치관측 및 치근측 베어링면들 및 이러한 면 간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관통 홀을 갖는다. 홀의 직경은 체결면의 샤프트가 편안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조절 동안, 와셔는 치아 임플란트들(1010)의 길이방향 축에 관해 가로 방향으로 체결 부재와 함께 이동될 것이다. 치아 어셈블리(1100)의 상대 배향은 고정 부재(1140)를 조임으로써 레코딩된다. 상대 위치를 레코딩하기 위해, 와셔는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부착 수단 중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베어링 부재(1150)에 관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 어셈블리(1100)는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된 워크플로우들 중 임의의 워크플로우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2에 도시된다. 여기서, 연결 어셈블리(2100)는 치아 컴포넌트(2020)에 장착된다. 치아 컴포넌트는 치근-치관 방향으로 치아 컴포넌트(2020)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관통 홀(2023)을 포함한다. 관통 홀(2023)은 단차 구성을 갖는다. 이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2022) 상에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분 및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2021) 상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을 야기한다. 치아 컴포넌트(2020)의 치관측(2022)에 개방되는 홀의 부분은 그 내측 둘레 상에 그리고 이전 실시예에 관해 설명된 스레드(1027)와 같은 내측 스레드(2027)를 포함한다. 관통 홀(2023) 내 단차는 관통 홀(2023)의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평면으로 놓이는 치관측 베어링면(2026)을 형성한다.
나아가, 연결 어셈블리(2100)는 베어링면을 형성하지 않는 제1 고정 부재(2140a)의 관통 홀(2143a)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의 고정 부재(1140)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제1 고정 부재(2140a)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140)와 같이, 제1 고정 부재(2140a)는 치관측으로부터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2023)의 스레드 부분과 체결하게 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2100)는 또한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두 개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40)에 상응하는 제2 고정 부재(2140b)를 포함한다. 제2 고정 부재(2140b)의 치근측(2147b)은 치아 임플란트(2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부재(2140b)는 연결 어셈블리(2100)의 치근측 상에 위치된다.
제2 고정 부재(2140b)의 최외측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컴포넌트(2020)에 관한 제2 고정 부재(2140b)의 회전 및 병진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 홀(2023)의 부분의 내측 직경보다 작다. 보다 작은 직경은 또한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 홀(2023)의 부분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고정 부재(2140b)를 가리게 한다.
이전 실시예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2100)는 베어링 부재(2150)를 포함한다. 그러나, 임플란트(1010)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1020) 간 오정렬을 보상하는, 베어링 부재(1150)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의 베어링 부재(2150)는 또한 치아 임플란트(2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2020) 간 오배치를 보상하는 역할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부재(2150)는 오배치를 보상하기 위한 편평한 치관측 베어링면(2153) 및 편평한 제1 치근측 베어링면(2154)을 포함한다. 치관측 베어링면(2153) 및 치근측 베어링면(2154)은 관통 홀(215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다.
베어링 부재는 또한 치아 임플란트(2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및 치아 컴포넌트(2020) 간 오정렬을 보상하기 위해 제2 치근측 베어링면(2155)을 포함한다. 베어링면(2150)의 치근측 베어링면(2155)은 곡선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그것은 제2 고정 부재(2140b)의 상응하는 치관측 베어링면(2141b)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치근측 베어링면(2155)은 바람직하게는 제1 치근측 베어링면(2154) 내부에 위치된다. 그 결과, 제1 치근측 베어링면(2154)은 링 형상이다.
베어링 부재(2150)는 또한 치근-치관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2152)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이다. 베어링 부재(2150)의 최외측 직경은 관통 홀(2023)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 방향으로 베어링 부재(2150) 및 치아 컴포넌트(2020) 간 상대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 홀(2023)의 부분의 내측 직경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2100)는 또한 편평한 치근측 베어링면 또는 지지면을 갖는 나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와셔(2120) 및 제3 와셔(2110)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단지 제1 와셔(2120)가 상응하는 곡선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 치근측 지지면을 갖는 나사와 사용된다.
회전 조절 범위의 증가에 대해, 제1 고정 부재(2140a)의 관통 홀(2143)은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재(2150)의 관통 홀(2152)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2100)는 미리 고정된 상태로 미리 조립된다. 제1 단계에서, 베어링 부재(2150)는 치근측 베어링면(2154)이 치관측 베어링면(2026)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치관측(2022)으로부터 치아 컴포넌트(2020)의 관통 홀(2023)로 삽입된다. 그 후, 제1 고정 부재(2140a)의 외측 스레드(2144a)는 치아 컴포넌트(2020)의 내측 스레드(2027)와 체결하게 된다.
조립된 그리고 고정된 상태에서, 치근측 베어링면(2154)은 치관측 베어링면(2026)과 접촉한다. 베어링 부재(2150)의 치관측 상에서, 치관측 베어링면(2153)은 고정 부재(2140a)의 치근측 베어링면(2142a)과 접촉한다. 그러나,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제1 고정 부재(2140a)는 단지 베어링 부재(2150) 및 치아 컴포넌트(2020) 간 오배치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치아 컴포넌트(2022)로 나사로 조여진다.
오정렬의 보상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어셈블리(2100)의 부품은 제1 고정 부재(2140a)의 치관측 베어링면(2141a) 상에 제1 와셔(2120)를 배치함으로써 미리 조립된다. 편평한 치근측 지지면을 갖는 나사가 사용되는 경우, 제3 와셔(2110)는 제1 두 개의 실시예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차례로 제1 와셔의 치관측 베어링면 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제2 고정 부재(2140b)의 치관측 베어링면(2141b)은 제2 치근측 치관측(2155)과 접촉하게 된다. 제 위치에 제2 고정 부재(2140b), 제1 와셔(2120) 그리고 임의로 제3 와셔(2110)를 이용하여, 체결 부재, 이를테면 제1 임시 나사(2031)가 홀들(2143 및 2152)을 통해 삽입되고 제2 고정 부재의 관통 홀(2143b)의 스레드 부분과 체결하게 된다.
미리 조립된 상태를 위해, 즉 제2 치근측 베어링면(2155) 및 치관측 베어링면(2141b) 간 뿐만 아니라 제1 와셔(2120)의 치관측 면 및 제3 와셔(2110)의 치근측 베어링면 또는 나사(2031)의 치근측 지지면 중 어느 하나 간 상대 회전 움직임, 및 제1 와셔의 편평한 치근측 면 및 제1 고정 부재(2140a)의 편평한 치관측 베어링면(2141a) 간 상대 병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임시 나사(2031)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는다. 제1 임시 나사(2031) 대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2 임시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가 연결 어셈블리(2100)를 미리 조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스레드(2144b)를 갖는 제2 고정 부재(2140b)의 관통 홀(2143b) 대신, 부착 수단이 연결 어셈블리(2100)를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특히 베어링면들 간에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들(2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상대 회전을 레코딩할 수 있기 위해, 제1 임시 나사 또는 부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관한 치아 임플란트들의 상대 위치 및 배향의 레코딩이 이전에 설명된 전달 지주대(80)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연결 어셈블리(2100)는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나사를 사용하여 미리 조립된다.
위에서 설명된 치아 수복물을 생성하기 위한 워크플로우들의 나머지 단계들에 관해, 연결 어셈블리(2100)의 적용은 기본적으로 이전 실시예들에 설명된 연결 어셈블리의 적용에 상응한다.
도 13은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멸한다. 연결 어셈블리(3100)는 연결 어셈블리(1100)와 유사하게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어셈블리(3100)는 제1 와셔(3120), 고정 부재(3140) 및 체결 부재 이를테면 제1 임시 나사(3031), 제2 임시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를 포함한다.
도 13의 치아 컴포넌트(3020)는 관통 홀(3023)을 포함한다. 관통 홀은 치아 컴포넌트(3020)의 치관측(3022) 및 치근측(3021) 양자 상에서 밖으로 점점 가늘어진다. 관통 홀의 점점 가늘어지는 부분들은 치관측 베어링면(3026) 및 치근측 베어링면(3028)을 형성한다. 치관측 베어링면(3026) 및 치근측 베어링면(3028) 양자는 곡선형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제1 와셔(3120)는 편평한 치관측 베어링면(3122), 치아 컴포넌트(3020)의 치관측 베어링면(3026)에 상응하는 치근측 베어링면(3121) 및 체결 부재의 삽입을 위한 치근-치관 방향의 관통 홀(3124)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3140)는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실시예에 관해 설명된 고정 부재(140)에 상응한다.
연결 어셈블리(3100)를 미리 조립하기 위해, 제1 와셔(3120)의 치근측 베어링면(3121)은 치아 컴포넌트(3020)의 치관측 베어링면(3026)에 대고 배치된다. 고정 부재(3140)의 치관측 베어링면(3141)은 치아 컴포넌트(3020)의 치근측 베어링면(3028)에 대고 배치된다. 체결 부재는 제1 와셔(3120)의 관통 홀(3124) 및 치아 컴포넌트(3020)의 관통 홀(3023)을 통해 삽입되고 고정 부재(3140)의 관통 홀(3143)에 제공되는 스레드와 체결하게 된다. 환자의 입 내 치아 임플란트들(3010) 간 상대 배향을 전환하기 위한 어떠한 레코딩도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제1 임시 나사(3031)는 임플란트 나사 또는 제2 임시 나사로 대치될 수 있다.
치아 컴포넌트(3020) 및 치아 임플란트(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최대 상대 회전, 그리고 그에 따라, 조절의 이용가능한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와셔(3120)의 관통 홀(3124)의 직경은 관통 홀(3023)의 점점 가늘어지는 부분들 간에 치아 컴포넌트(3020)의 관통 홀(3023)의 직경보다 크다. 나아가, 관통 홀(3023)의 이러한 직경은 고정 부재(3140)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홀(3143)의 직경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관통 홀들(3023 및 3124)의 직경들이 클수록, 조절의 회전 범위가 커진다.
회전 및 병진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고정 부재(3140)는 치아 임플란트(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의 길이방향 축에 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 어셈블리(3100)는 치아 컴포넌트(3020)와 함께 치아 임플란트(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플란트 나사 축에 관한 고정 부재(3140)의 관통 홀(3143)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조절 범위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크다.
치관측 베어링면(3122) 및 치관측 베어링면(3122)과 접촉하는 나사 헤드(3031)의 면 간 각 모양을 보상하기 위해, 나사 헤드(3031)는 힌지 또는 볼 조인트(3500)를 포함한다.
환자의 입 내 치아 임플란트들(3010) 간 상대 회전 위치를 레코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체결 부재, 특히 제1 임시 나사가 조여진다. 임플란트 나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레코딩은 고정 부재(3140)의 치관측 베어링면(3141) 및 치아 컴넌트(3020)의 치근측 베어링면(3028) 간에 부착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수립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들(3010)의 상대 위치를 레코딩하기 위해, 부착 수단과 함께 와셔는 도 11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오버사이즈 홀들을 사용하여 병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어셈블리(3100)는 치아 컴포넌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전 실시예들 중 하나의 연결 어셈블리와 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치아 임플란트(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와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적어도 임플란트들 또는 임플란트 유사체들 및 치아 컴포넌트 간 오배치 및/또는 오정렬을 보상하기 위한 조절 범위를 최대화하기 위해 병진 및 회전 조절하기 위한 상이한 실시예들의 능력을 조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또한 연결 어셈블리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고 이전에 설명된 워크플로우들로 통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추가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연결 어셈블리(4100)는 치아 컴포넌트(4020)에 장착된다.
치아 임플란트(4010)는 베어링 부재(4150)를 지지하기 위해 치관측 베어링면(4141b)을 포함한다. 효과적으로, 치관측 베어링면(4141b)을 갖는 치아 임플란트(4010)는 도 12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2010) 및 제2 베어링 부재(2140b)의 한 부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물론, 치관측 베어링면(4141b)을 갖는 치아 임플란트(4010)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분의 실시예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치관측 베어링면(4141b)은 곡선형, 특히 구형이다.
치아 컴포넌트(4020)는 치근-치관 방향으로 치아 컴포넌트(4020)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관통 홀(4023)을 포함한다. 관통 홀(4023)은 단차 구성을 갖는다. 이는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4022) 상에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분 및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상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을 야기한다. 치아 컴포넌트(4020)의 치관측(4022)에 개방되는 홀의 부분은 그 내측 둘레 상에 내측 스레드(4027)를 포함한다. 관통 홀(4023) 내 단차는 관통 홀(4023)의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평면으로 놓이는 치관측 베어링면(4026)을 형성한다.
나아가, 연결 어셈블리(4100)는 제1 고정 부재(4140a)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4140a)는 치관측으로부터 외측 스레드(4144)를 통해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4023)의 내측 스레드(4027)와 체결하게 될 수 있다.
치관측 베어링면(4141b)은 곡선형, 특히 구형이다. 베어링 부재(4150)는 치관측 베어링면(4141b)의 곡률에 맞는 치근측 베어링면(4155)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베어링 부재(4150)는 제1 치관측 베어링면(4160)을 가지며, 이는 또한 곡선형, 특히 구형이다. 추가적으로, 베어링 부재(4150)는 제1 치관측 베어링면(4140a)의 치근측 베어링면을 체결하기 위한 제2 치관측 베어링면(4160b)을 갖는다.
치과용 나사(4030)는 나사 헤드(4032)를 포함한다. 나사 헤드(4032)는 베어링 부재(4150)의 치관측 베어링면(4160)에 맞는 치근측 베어링면(4161)을 갖는다. 치과용 나사(4030)는 스레드 체결을 통해 치아 임플란트(401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 부재(4150)는 치과용 나사(4030)에 대한 관통 홀(4152)을 갖는다.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고정 부재(4140a)는 치관측 베어링면(4026) 및 제1 고정 부재(4140a)의 치근측 베어링면 간 베어링 부재(4150)를 포획하여 내측 스레드 내측 스레드(4027)를 체결한다. 치과용 나사(4030)는 커버(미도시)를 갖는 관통 홀(4023)에 예를 들어, 포획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치아 수복물을 생성하기 위한 워크플로우들의 나머지 단계들에 관해, 연결 어셈블리(4100)의 적용은 기본적으로 이전 실시예들에 설명된 연결 어셈블리의 적용에 상응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다른 기술들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할 때에는 임플란트들의 이식 후 임의의 치아 인상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24)을 생성 또는 제조하기 위한 그리고 최소한의 체어 타임, 저 비용으로 그리고 환자에 불편함을 거의 야기하지 않고 치아 보철물을 장치하기 위한 수단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10 :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11 : 홈
12 :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20 : 치아 컴포넌트
21 :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22 :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23 : 치아 컴포넌트의 관통 홀
24 : 치아 보철물
25 : 치아 보철물의 나사 채널
30 : 치과용 나사 또는 임플란트 나사
30a : 치과용 나사의 헤드
31 : 제1 임시 나사
32 : 제1 임시 나사의 나사 헤드
33 : 제2 임시 나사
34 : 제1 임시 나사의 스레드들
35 : 제1 임시-나사 축
36 : 제2 임시-나사 축
37 : 임플란트-나사 축
40 : 전달 지주대
41 : 관통 홀
42 : 전달 지주대 연결 수단
43 : 지주대
100 : 연결 어셈블리
110 : 제3 와셔
111 : 제3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112 : 제3 와셔의 치관측 (베어링)면
114 : 제3 와셔의 관통 홀
120 : 제1 와셔
121 : 제1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122 : 제1 와셔의 치관측 베어링면
124 : 제1 와셔의 관통 홀
130 : 제2 와셔
131 : 제2 와셔의 치관측 베어링면
132 : 제2 와셔의 치근측 베어링면
134 : 제2 와셔의 관통 홀
140 : 고정 부재
141 :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143 : 고정 부재의 관통 홀
146 : 체결면
148 : 스냅-메커니즘
149 : 멈춤면
1000 :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1026 :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 베어링면
1027: 치아 컴포넌트의 내측 스레드
1142 : 고정 부재의 치근측 베어링면
1144 : 고정 부재의 외측 스레드
1150 : 베어링 부재
1151 : 베어링 부재의 베어링면
1152 : 베어링 부재의 관통 홀
1153 : 베어링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2000 :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2140a : 제1 고정 부재
2140b : 제2 고정 부재
2141a : 제1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2141b : 제2 고정 부재의 치관측 베어링면
2143a : 제1 고정 부재의 관통 홀
2143b : 제2 고정 부재의 관통 홀
2144a : 제1 고정 부재의 외측 스레드
2144b : 제2 고정 부재의 내측 스레드
2147a : 제1 고정 부재의 치근측
2147b : 제2 고정 부재의 치근측
2150 : 베어링 부재
2151 : 베어링 부재의 베어링면
2152 : 베어링 부재의 관통 홀
2153 : 치관측 베어링면
2154 : 베어링 부재의 제1 치근측 베어링면
2155 : 베어링 부재의 제2 치근측 베어링면
3000 :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3028 :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 베어링면
4000 :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

Claims (28)

  1.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를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로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와 착탈가능하게 부착가능하고, 상기 치아 컴포넌트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미리 고정된 상태(pre-fastened state) 또는 고정된 상태(fastened state)로 부착가능하고,
    상기 미리 고정된 상태로, 상기 연결 어셈블리가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때,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 간 상대 위치 및/또는 배향은 고정되는 한편,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특히 상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와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서 분리가능한,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으로 배치되는 치근측 베어링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치근측 베어링 수단은 특히 제2 와셔(130; 2030)에 의해 형성되고/거나,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치관측으로 배치되는 치관측 베어링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치관측 베어링 수단은 특히 제1 와셔(120; 2120) 및/또는 제3 와셔(110; 2110)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치근측(1142; 2142) 및/또는 치관측(141; 2141; 3141) 베어링면, 관통 홀(143; 2143; 3143),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를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부재는 특히 다음: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체결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 접착제; 열경화성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및 상기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의 나사 헤드(32) 또는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의 상기 치관측 베어링면(141; 2141; 3141) 간에 개재될 적어도 하나의 와셔(110, 120, 130; 2110, 2120; 312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상기 치근측 상에 배치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셔(110; 120, 130; 2110, 2120; 3120)는 상기 와셔의 대향 측들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어링면(121, 122, 131, 132; 3122, 3122)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편평한 베어링면(121, 131; 3122)인,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근측 베어링면(111), 치관측 면(112), 나사, 특히 치과용 나사(30; 1030) 또는 상기 임시 나사(31; 2031; 3031)에 대한 관통 홀(114)을 갖는, 상기 나사 헤드(32)의 치근측으로 배치될 청구항 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제3 와셔(110; 2110)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치관측 면으로부터 상기 치근측 베어링면을 연장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및 상기 제3 와셔(110; 2110)의 상기 치근측 베어링면(111) 간에 개재될 청구항 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제1 와셔(120; 2120) 및/또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의 상기 치관측 베어링면(141; 2141; 3141) 간에 개재될 제2 와셔(130; 2030)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셔(120; 2120) 또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의 치관측(22; 1022; 2022; 3022) 및 상기 제3 와셔(110; 2110)의 상기 치근측 베어링면(111) 간 접촉이 면 접촉이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구형 베어링면들(22, 111, 122)에 의해 수립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2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제2 와셔(130; 2030) 또는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의 치근측(21) 및 청구항 3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의 상기 치관측 베어링면(141; 2141; 3141) 간 접촉이 면 접촉이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구형 베어링면들(21, 132, 141; 2155; 3028)에 의해 수립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나사(30; 1030)를 포함하되, 상기 임플란트 나사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속 청구항 3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부착 메커니즘은 스냅-메커니즘(148)으로서 형성되되,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부착될 때 특히 상기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의 길이방향 축에 관해 회전가능한,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0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임플란트 나사(30; 1030), 청구항 3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 및/또는 제2 임시 나사(33)는 상기 부착 메커니즘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13. 임플란트 나사(30; 1030),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 또는 제2 임시 나사(33)의,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아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의 삽입을 위해 치아 컴포넌트의 치근측(21; 1021; 2021; 3021)으로부터 치관측(22; 1022; 2022; 302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23; 1023; 2023; 3023)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부착하기 위한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치근측(21; 1021; 2021; 3021) 및 상기 치관측(22; 1022; 2022; 3022) 중 하나는 구형 베어링면이고 상기 치근측 및 치관측 중 다른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베어링면인,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15.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를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에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23; 1023; 2023; 3023)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3 또는 14에 따른, 치아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단계;
    -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 상기 치아 컴포넌트를 상기 고정 부재(14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부재(140)의 관통 홀(143)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임시 나사는 그것이 상기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 및 특히 적어도 하나의 와셔(110; 120, 130; 2110, 2120; 3120)를 체결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 임의로 상기 관통 홀의 치근측(21; 1021; 2021; 3021) 또는 치관측(22; 1022; 2022; 3022) 상에 제1 와셔(120; 2120)를 배치하는 단계;
    - 임의로 상기 관통 홀의 상기 치관측 상에 배치될 때 상기 치아 컴포넌트 또는 상기 제1 와셔(120) 상에 제3 와셔(110; 2110)를 배치하는 단계;
    - 임의로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상기 관통 홀의 상기 치근측 또는 치관측의 다른 측 상에 제2 와셔(130; 2030)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임시 나사가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상기 관통 홀에 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제1 임시 나사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를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를 이용하여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관한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 상에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 및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를 포함하되, 특히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청구항 15 또는 16에 따른 방법으로 조립된,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
    - 특히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으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부착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관한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는 단계;
    - 상기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임시 나사 및 상기 고정 부재 간 상기 체결을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및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서 분리하는 한편 상기 제1 임시 나사 및/또는 부착 수단,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왁스, 아크릴,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상기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지주대(transfer abutment), 바람직하게는 두 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전달 지주대를 획득하는 단계,
    - 임플란트 유사체를 각 전달 지주대에 부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모델에 고정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를 몰딩가능한 재료에 삽입함으로써, 작업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7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2 임시 나사(33)로 상기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및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고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부착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상기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 교합 및 중심위의 수직 고경에 대한 구내 하악 관계 레코드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레코드들을 교합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7에 따른 방법으로, 고정된 그리고 조절된 상태로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에 부착되는 치아 컴포넌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연결 어셈블리(110; 2110)의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를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 부착 수단,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왁스, 아크릴,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폴리머로,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간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를 제거하고 상기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 또는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2 임시 나사(33)로 상기 연결 어셈블리 및 상기 치아 컴포넌트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고정하는 단계; 및
    - 임의로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부착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상기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청구항 22 또는 23에 있어서,
    - 임의로 상기 제2 임시 나사(33)를 제거하는 단계, 및
    - 임플란트 나사(30; 1030)를 사용하여 환자의 하악골 또는 상악골 내로 이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10; 1010; 2010; 3010)에 상기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를 포함하는 환자의 치아 상황의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
    - 특히 청구항 13 또는 14에 따른,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및 특히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를, 제1 임시 나사에 의해 미리 고정된 상태로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 상에 장착하는 단계로서, 특히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청구항 15 또는 16에 따른 방법으로 조립된,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관한 상기 치아 컴포넌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절하는 단계;
    - 상기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임시 나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 상기 고정 부재(140; 1140; 2140; 314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 및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서 분리하는 한편 상기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를 사용하여 상기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유지하는 단계;
    - 상기 제1 임시 나사의 제거 이후 상기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이 유지되도록 상기 치아 컴포넌트에 관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왁스, 아크릴, 레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폴리머인, 상기 부착 수단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청구항 25 또는 26에 있어서,
    - 상기 제1 임시 나사(31; 2031; 3031)를 제거하고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2 임시 나사(33)로 상기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 및 상기 치아 컴포넌트(20; 1020; 2020; 3020)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유사체(12)에 고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부착된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상기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청구항 25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교합 및 중심위의 수직 고경에 대한 구내 하악 관계 레코드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이러한 레코드들을 상기 치아 보철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치아 상황의 상기 모델, 상기 치아 컴포넌트, 및 상기 치아 연결 어셈블리(100; 1100; 2100; 3100)를 포함하는 교합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00243A 2015-06-19 2016-06-17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KR20180019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2921 2015-06-19
EP15172921.7 2015-06-19
EP16166121.0 2016-04-20
EP16166121 2016-04-20
PCT/EP2016/064102 WO2016203030A1 (en) 2015-06-19 2016-06-17 Dental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643A true KR20180019643A (ko) 2018-02-26

Family

ID=5623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243A KR20180019643A (ko) 2015-06-19 2016-06-17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46685B2 (ko)
EP (1) EP3310293A1 (ko)
JP (1) JP7065615B2 (ko)
KR (1) KR20180019643A (ko)
CN (1) CN107690320B (ko)
AU (1) AU2016277870B2 (ko)
BR (1) BR112017025451B1 (ko)
CA (1) CA2983442A1 (ko)
WO (1) WO2016203030A1 (ko)
ZA (1) ZA20170706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63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20210063558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20210063556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20210067123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KR20210067119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클립 취부용 홀더
KR20210067118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00913A1 (en) 2015-11-20 2017-05-26 Nobel Biocare Services Ag Healing cap with scannable features
GB201616389D0 (en) * 2016-09-27 2016-11-09 Tim Doswell Dental Implants Limited Dental prosthesis
IT201800000967A1 (it) * 2018-01-15 2018-04-15 Marco Santamaria Kit modulare universale di precisione con barra da fissare su impianti endooessei per la installazione di protesi dentarie multiple
CN109276332B (zh) * 2018-09-12 2020-12-18 深圳市康泰健牙科器材有限公司 一种口腔模型制作方法和系统
US11311354B2 (en) 2018-10-09 2022-04-26 Smart Denture Conversions, Llc Screw-attached pick-up dental coping system and methods
CN109717970B (zh) * 2018-12-26 2021-06-04 成都登特牙科技术开发有限公司 口腔种植加强杆及其数字化加工方法
DE102019100175A1 (de) * 2019-01-07 2020-07-09 Curd Gadau Abutmentsystem
CN111134878A (zh) * 2019-01-28 2020-05-12 刘友烈 一体式植体杆、固定义齿和成型方法
US11833009B2 (en) * 2019-03-04 2023-12-05 Jeffrey L. Leadingham Adjustable system for magnetic denture retention
CN110811881A (zh) * 2019-05-25 2020-02-21 魏成越 牙种植体和基台
CN111297503A (zh) * 2020-02-23 2020-06-19 上海欧叶齿科技术有限公司 一种口内焊接义齿及其制备工艺
CN111513878B (zh) * 2020-04-09 2022-01-28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全口种植整体桥修复支架及其安装方法
WO2023064459A1 (en) * 2021-10-13 2023-04-20 Garwood Medical Devices, Llc Integrated electrochemical treatment system for removal of biofilm from implanted devices
WO2023081956A1 (en) * 2021-11-09 2023-05-19 Tektonic4d Pty Ltd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dental implant
CN114274543B (zh) * 2021-12-15 2023-01-10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筋蒙皮定位成型方法
US11957538B2 (en) 2021-12-23 2024-04-16 Smart Denture Conversions, Llc Screw-attached pick-up dental coping system, methods and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28961B (ko) * 1970-03-25 1970-09-28 Aga Ab
US4832601A (en) * 1987-12-04 1989-05-23 Hall Surgical Adjustable support for a prosthetic tooth and method
SE8803984D0 (sv) * 1988-11-03 1988-11-03 Wilje Oscar Fixtur
DE9316043U1 (de) * 1993-10-21 1994-01-13 Brammann, Dierk, 22305 Hamburg Vorrichtung zur Verankerung einer Zahnprothese im menschlichen Kiefer
DE29514042U1 (de) 1995-09-01 1997-01-09 Unger, Heinz-Dieter, Dr.med.dent., 49080 Osnabrück Anker für Implantatkörper und Richtvorrichtung zu deren Ausrichtung
SE506850C2 (sv) 1996-06-27 1998-02-16 Medevelop Ab Tandprotessystem, komponenter för tandprotessystem jämte förfaranden vid dylika tandprotessystem
US6217331B1 (en) 1997-10-03 2001-04-17 Implant Innovations, Inc. Single-stage implant system
EP1100395B1 (de) 1998-07-29 2005-04-06 Franz Sutter Vorrichtung zum halten und/oder bilden eines zahnersatzes
WO2001047429A1 (de) * 1999-12-24 2001-07-05 Unger Heinz Dieter Implantatkörper
US6843653B2 (en) 2002-06-04 2005-01-18 Joseph Carlton Dental implant
CN101522130B (zh) 2006-10-02 2012-08-22 西德勒斯+莫他伍斯股份有限公司 用于紧固牙齿替换件的锚固件
US20080261174A1 (en) * 2007-04-23 2008-10-23 Gittleman Neal B Expanding Ball Lock Oral Prosthesis Alignment Apparatus
CA2737745A1 (en) 2008-09-25 2010-04-01 Simply Dental Ab Dental implant, and superstructure therefore
CA2834659C (en) * 2011-05-16 2017-03-21 Heraeus Dental Ab Super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88935A1 (en) * 2012-06-18 2013-12-27 Dentscare Ltda Bendable prosthetic abutment applied to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SE539272C2 (sv) * 2012-07-11 2017-06-07 Heraeus Kulzer Gmbh Superstruktur och metoder för tillverkning av densamma
SE538150C2 (sv) 2012-07-11 2016-03-22 Heraeus Kulzer Nordic Ab En skruvkanalsriktande anordning för en dental superstrukturoch metoder för att tillverka en dental superstruktur
US8905757B2 (en) 2012-12-03 2014-12-09 E. Kats Enterpris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location and orientation of a plurality of implants
BR112017001456A2 (pt) 2014-07-25 2017-12-05 Nobel Biocare Services Ag sistemas de prótese provisória e métodos de utilização dos mesmo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63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20210063558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20210063556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20210067123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KR20210067119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클립 취부용 홀더
KR20210067118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83442A1 (en) 2016-12-22
JP7065615B2 (ja) 2022-05-12
AU2016277870B2 (en) 2021-04-08
US11246685B2 (en) 2022-02-15
CN107690320A (zh) 2018-02-13
US20180185123A1 (en) 2018-07-05
ZA201707061B (en) 2021-03-31
EP3310293A1 (en) 2018-04-25
CN107690320B (zh) 2021-08-20
BR112017025451A2 (pt) 2018-08-07
JP2018517474A (ja) 2018-07-05
WO2016203030A1 (en) 2016-12-22
AU2016277870A1 (en) 2017-11-23
BR112017025451B1 (pt)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9643A (ko)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US7632095B2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US4986753A (en) Direct assembly framework for an osseointegrated implant
IL268492A (en) Fixation unit for a dental device
US20030108845A1 (en) Framework assembly for providing a passive fit with divergent implants
US20020039718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additional methods of attachment
US5755574A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099549A1 (en) Prosthesis
JP2010508099A (ja) インプラントに歯科アタッチメント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20140134571A1 (en) Dental Prosthesis And Fabrication
US20030044749A1 (en) Stable dental analog systems
JP200952658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と歯科印象採得器具の組立体
US20190247150A1 (en) Dental component for a dental restora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ntal component
US10603139B2 (en) Angulated transfers for dental implants
US5564928A (en) Retrievable cemented prosthodontic apparatus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09323B1 (ko) 치아 임플란트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Kempler The effect of impression technique, connection type and implant angulation on impression accuracy
US20230240813A1 (en) Convex Interface for Dental Prosthetic Applications
EP4252702A1 (en) Support system for temporary dental prosthesis in case of immediate loading of multiple implants
KR102226751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EP3471654A1 (en) Dental component for a dental restora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ntal component
US20210361394A1 (en) Apparatus for dental prosthetic procedure
WO2016176767A1 (en) Dental prosthesis adapt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