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19A -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19A
KR20200022119A KR1020180097848A KR20180097848A KR20200022119A KR 20200022119 A KR20200022119 A KR 20200022119A KR 1020180097848 A KR1020180097848 A KR 1020180097848A KR 20180097848 A KR20180097848 A KR 20180097848A KR 20200022119 A KR20200022119 A KR 2020002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elastic member
body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택
Original Assignee
송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호택 filed Critical 송호택
Priority to KR102018009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119A/ko
Publication of KR2020002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위치를 올바르게 잡아주도록 교정해줄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본체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에 결합될 수 있는 픽스쳐결합부와, 상기 픽스쳐가 식립된 잇몸 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픽스쳐결합부에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치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인접한 상기 치아를 모두 가압할 수 있게 양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에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를 장착함으로 인하여 픽스쳐의 양 옆에 위치한 치아를 가압할 수 있다. 그래서 간단히 본 발명을 픽스쳐에 장착함으로 인하여 픽스쳐 옆에 위치한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Abutment and implan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위치를 올바르게 잡아주도록 교정해줄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치아 교정은 구강 또는 얼굴의 조화를 꾀하기 위하여 치아에 힘을 가해 치조골 내에서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치아 교정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브라켓과 와이어로 구성되어 와이어의 탄성을 이용하여 치아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공개특허 특2003-0097757호(공개일자 2003년 12월 31일) 공개특허 제10-2014-0115520호(공개일자 2014년 10월 01일)
종래의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과, 각각의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므로 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교정장치를 설치하는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스쳐에 장착하거나 또는 치조골에 식립하여 인접한 치아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인접한 치아를 교정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본체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에 결합될 수 있는 픽스쳐결합부와, 상기 픽스쳐가 식립된 잇몸 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픽스쳐결합부에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픽스쳐에 인접한 치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제1홈 또는 제1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홈 또는 제1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인접한 치아 옆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마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탈착할 수 있게 씌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상기 탄성부재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지지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제거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교정용 와이어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제2홈 또는 제2홀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픽스쳐결합부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이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중심선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거나 경사진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임플란트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쳐에 결합된 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픽스쳐에 인접한 치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제1홈 또는 제1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홈 또는 제1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인접한 치아 옆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마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탈착할 수 있게 씌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상기 탄성부재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가 지지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제거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교정용 와이어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제2홈 또는 제2홀이 더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픽스쳐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교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이 상기 픽스쳐의 중심선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거나 경사진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를 장착함으로 인하여 인접한 치아를 가압할 수 있다. 그래서 인접한 치아의 잘못된 위치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용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홈이 형성된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적용되는 마개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적용되는 마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적용되는 마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사용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본체(10) 및 탄성부재(20)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본체(10)는 픽스쳐(5)에 삽입되어 픽스쳐(5)에 결합될 수 있는 픽스쳐결합부(11)와, 잇몸(3)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픽스쳐결합부(11)에서 연장된 몸체부(13)를 구비한다. 이때 몸체부(13)의 상부에는 탄성부재(2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제1홈(13a)이 형성된다. 제1홈(13a)은 탄성부재(20)가 삽입될 수 있게 한 방향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양방향으로 형성되어 교차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20)는 픽스쳐(5)에 인접한 치아(1)를 가압할 수 있게 몸체부(13)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몸체부(13)에 장착된다. 즉 몸체부(13)의 제1홈(13a)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13a)이 양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탄성부재(20)는 어느 하나의 제1홈(13a)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13)에 탄성부재(20)가 장착되도록 제1홈(13a)이 형성되었지만 홈 대신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0)는 압축되어 인접한 치아(1)를 밀도록 가압하거나 또는 인장되어 인접한 치아(1)를 땡기도록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20)의 단부로 고리처럼 치아(1)를 걸면 땡기도록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20)는 양측에 위치한 치아(1)를 가압하도록 몸체부(13)의 양측으로 돌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한 측으로만 돌출되어 어느 하나의 치아(1)만을 가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5)에 장착되면 탄성부재(20)가 픽스쳐(5)에 인접한 치아(1)를 가압하여 치아(1)를 올바른 위치로 교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교정용 어버트먼트는 마개부재(15)를 더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20)가 어버트먼트본체(10)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픽스쳐에 체결시 탄성부재(20)가 치아(1)에 걸려 어버트먼트본체(10)의 체결이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마개부재(15)는 탄성부재(20)가 양측의 인접한 치아(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12)의 내부로 탄성부재(20)를 수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게 몸체부(13)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마개부재(15)는 몸체부(13)의 상부를 탈착할 수 있게 씌우도록 캡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마개부재(15)이 씌워지면 탄성부재(20)가 몸체부(13)의 내부로 수축되므로 어버트먼트본체(10)를 픽스쳐(5)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본체(10)가 픽스쳐(5)에 장착되면 마개부재(15)을 벗긴다. 그러면 탄성부재(20)가 복원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치아(1)를 가압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20)가 양측의 인접한 치아(1)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이지만, 인접한 하나의 치아 옆에 위치되도록 어버트먼트본체(10)를 픽스쳐(5)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마개부재(20)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마개부재(15)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마개부재(15)는 탄성부재(2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5a)이 형성되며, 관통공(15a)을 탄성부재(20)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3)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 경우 마개부재(15)에 의해 탄성부재(20)는 수축되어 있다가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결합시킨 후 관통공(15a)이 탄성부재(20)에 위치하도록 마개부재(15)를 회전시키면 탄성부재(20)가 어버트먼트본체(10)에서 돌출되어 인접한 치아를 가압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마개부재(15)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경우 마개부재(15)는 탄성부재(20)를 지지하도록 몸체부(13)에 결합되지만 마개부재(15)가 어느 정도 이상의 외력을 받으면 몸체부(13)에서 부러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가 장착된 후 핀셋 등을 몸체부(13)와 마개부재(15) 사이에 삽입하면 마개부재(15)가 벌어지면서 부러진다. 그러면 마개부재(15)가 제거되어 탄성부재(20)가 돌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마개부재(15)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경우 몸체부(13)에는 홈이 형성되고 마개부재(15)는 탄성부재(20)를 지지할 수 있게 몸체부(13)의 홈에 삽입된다. 즉 마개부재(15)는 몸체부(13)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되어 탄성부재(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마개부재(15)를 몸체부(13)의 홈에서 슬라이딩시켜 빼면 탄성부재(20)가 돌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의 경우 어버트먼트본체(10)는 픽스쳐결합부(11) 및 몸체부(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픽스쳐결합부(11) 및 몸체부(13)가 탈착할 수 있게 분리된다. 이 경우 픽스쳐(5)에 몸체부(13)를 먼저 결합시킨 후 픽스쳐결합부(11)를 몸체부(13)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마개부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어버트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인공치아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위치하므로 일반적으로 픽스쳐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중앙에 식립된다. 그런데 치조골이 손상된 경우 픽스쳐를 중앙에 식립할 수 없고 가장자리에 식립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어버트먼트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중앙에 위치해야한다. 이때 도 9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픽스쳐(5)가 가장자리에 식립되어 픽스쳐 중심선과 어버트먼트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 도 9의 실시예가 적용된다.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어버트먼트본체(10)는 몸체부(13)의 중심선과 픽스쳐결합부(11)의 중심선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몸체부(13)가 픽스쳐결합부(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물론 이때 몸체부(13)는 픽스쳐결합부(11)가 픽스쳐(5)에 결합되었을 때 픽스쳐(5)의 양 측에 위치한 치아(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몸체부(13)의 중심선이 픽스쳐결합부(11)의 중심선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연장된다. 그러면 탄성부재(10)가 어버트먼트본체(10)의 양 측에 위치한 치아(1)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하여 그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개부재(15)가 적용되거나 또는 픽스쳐결합부(11) 및 몸체부(13)가 탈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어버트먼트본체(10)는 몸체부(13)의 중심선과 픽스쳐결합부(11)의 중심선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었지만, 픽스쳐결합부(11)가 몸체부(13)에서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픽스쳐에 간단히 장착함으로써 치아(1)를 가압을 하여 치아(1)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이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경우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에 장착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부에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끼울 수 있는 제2홈(13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홈(13b)은 제1홈(13a)의 하부에 형성되었지만, 제1홈(13a)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 대신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탄성부재(20)를 장착하여 인접한 치아를 가압하거나 또는 교정용 와이어를 장착하여 치아를 교정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0) 및 교정용 와이어를 모두 장착하여 치아를 교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교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이지만, 탄성부재(20)가 임플란트에도 적용되어 교정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탄성부재(20)가 임플란트에 적용된 교정용 임플란트에 대한 실시예이다. 임플란트는 픽스쳐(30) 및 어버트먼트(40)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탄성부재(20)는 어버트먼트(40)에 적용된다. 그래서 픽스쳐(30)는 임플란트의 종래의 픽스쳐와 동일하며 어버트먼트(40)는 도 1 내지 도 11 같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1 : 치아 3 : 잇몸
5 : 픽스쳐 10 : 어버트먼트본체
11 : 픽스쳐결합부 13 : 몸체부
15 : 마개부재 20 : 탄성부재

Claims (8)

  1. 픽스쳐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에 결합될 수 있는 픽스쳐결합부와, 상기 픽스쳐가 식립된 잇몸 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픽스쳐결합부에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본체와,
    상기 픽스쳐에 인접한 치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홈 또는 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어버트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인접한 치아 옆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마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어버트먼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픽스쳐결합부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본체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이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중심선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거나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6.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된 몸체부를 구비한 어버트먼트와,
    상기 픽스쳐에 인접한 치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홈 또는 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임플란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인접한 치아 옆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마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임플란트.
KR1020180097848A 2018-08-22 2018-08-22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KR20200022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48A KR20200022119A (ko) 2018-08-22 2018-08-22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48A KR20200022119A (ko) 2018-08-22 2018-08-22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19A true KR20200022119A (ko) 2020-03-03

Family

ID=6993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48A KR20200022119A (ko) 2018-08-22 2018-08-22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3996A1 (en) * 2020-05-07 2021-11-11 Mamoon Rashid A dental device, a tooth engagement mean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ing of a toot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757A (ko) 2003-12-03 2003-12-31 정관수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및그 방법
KR20140115520A (ko) 2013-03-21 2014-10-01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아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757A (ko) 2003-12-03 2003-12-31 정관수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및그 방법
KR20140115520A (ko) 2013-03-21 2014-10-01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아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3996A1 (en) * 2020-05-07 2021-11-11 Mamoon Rashid A dental device, a tooth engagement mean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ing of a tooth
GB2594745B (en) * 2020-05-07 2023-12-06 Rashid Mamoon A dent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177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DK0808608T3 (da) Protetisk monteringsstift til tandimplantater
KR101539755B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TWI697323B (zh) 牙齒矯正裝置
US8029281B2 (en) Separating ring
EP3443930A3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KR100618556B1 (ko) 치열교정용 지지체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20100077765A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20200022119A (ko)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US9084649B2 (en) Orthodontic separator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US20120202164A1 (en) Orthodontic Maxillary Micro Implant
KR100372258B1 (ko)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KR1015971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US6890174B2 (en) Anchor implanting device for orthodontics
KR100562581B1 (ko)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 교정장치
KR102091050B1 (ko) 악안면 수술용 악간 고정 장치
KR101379618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링
KR101211221B1 (ko) 고정원 지지장치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EP3784166A4 (en) SUBPERIOSTEAL DENTAL IMPLANT DEVICE, SUBPERIOSTEAL ATTACHMENT KIT, AND METHOD FOR ATTACHING A SUBPERIOSTEAL DENTAL IMPLANT DEVICE TO AN EXPOSED J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