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221B1 - 고정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221B1
KR101211221B1 KR1020110061110A KR20110061110A KR101211221B1 KR 101211221 B1 KR101211221 B1 KR 101211221B1 KR 1020110061110 A KR1020110061110 A KR 1020110061110A KR 20110061110 A KR20110061110 A KR 20110061110A KR 101211221 B1 KR101211221 B1 KR 10121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wire
circle
sta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정규림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원 지지체에 고정원이 탑재된 타입의 고정원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는: 식립못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치열교정용 고정원(Anchorage); 그리고 상기 고정원을 지지하며 구강 내부에 탈착 가능한 고정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원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탑재되어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원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쉽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술의 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고 피시술자가 받는 부담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원 지지장치{Anchorage Supporting Device Having Anchorage}
본 발명은 치과교정시술에 사용되는 치과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부에 고정원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원에 고정원 지지체가 결합된 고정원 지지장치, 즉 고정원 결합형 고정원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치아와 치열은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치과교정술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 치과교정술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 예를 들면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협의의 치열교정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얼굴 라인을 수려하게 하여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치과교정술은 치열의 점진적 이동을 통해 부정교합 등의 부정치열을 개선하는 치열교정시술(Orthodontic Treatment)과 악골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여 골격적 개선을 부여하는 악교정 수술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순측 교정이란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입술 측의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고, 상기 설측 교정이란 상기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혀측(Lingual Side)의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다.
상기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기구, 즉 치과교정기구의 예로는 치열을 바르게 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일반적으로 '호선 와이어'라 칭함)와 상기 교정 와이어의 지지를 위한 와이어 지지구(일반적으로 '브라켓'이라 칭함) 등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치아의 순측 및/또는 설측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은 치열의 배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교정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교정 와이어로부터 가해지는 교정력을 상기 치열에 전달한다.
그리고 구강 내부에는 상기 교정 와이어나 브라켓에 교정력을 가할 때 힘의 지지구의 역할을 하는 고정원, 즉 앵커가 정착되며, 상기 고정원 역시 상기 교정기구의 일 예이다. 상기 고정원은 구개(입천장, Palate)나 잇몸 등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열교정시술을 위해서 시술자는 치열교정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고정원을 구강 내부의 고정원 설치위치(고정위치), 즉 시술목적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협소한 구강 내에서 이와 같은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더 나아가 시술자가 미리 계획한 위치에 상기 고정원을 정확하게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교정력을 부가할 때 앵커로서 작용하는 고정원을 정확한 위치에 쉽게 배치하고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정원 지지장치, 즉 고정원과 고정원 지지체가 결합된 구조의 고정원 탑재형 고정원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열의 교합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치아의 수직 이동을 구현하는 치열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립못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치열교정용 고정원(Anchorage); 그리고 상기 고정원을 지지하며 구강 내부에 탈착 가능한 고정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원 지지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고정원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탑재되어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고정원 지지체는 치아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원이 전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전치부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고정원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치열 교정을 위한 교정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 그리고 상기 지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식립홀이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교정 와이어의 지지를 위한 와이어 걸이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와이어 걸이는, 상기 교정 와이어가 끼워지며 개폐 가능한 개폐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편은 상기 지지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앵커 고리를 가지며;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앵커 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립못(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원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술의 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며 피시술자가 받는 부담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치열의 교합면을 고르게 교정할 수 있고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원 지지장치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원 지지장치에 적용 가능한 지지 와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원 지지장치의 고정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열교정장치가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원 지지장치가 피시술자의 전치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100)는, 식립못에 의해 구강 내부에 고정되어서 치열교정 시술시에 앵커로서 기능하는 고정원(110)과 고정원 지지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원(110)은 치아 및/또는 악골에 교정력을 가하여 부정치열을 교정하거나 악골을 교정할 때 교정력을 지지하는 버팀부재, 즉 앵커로서, 예를 들면 치열교정시술을 위해 구강 내부, 예를 들면 구개(입천장)나 잇몸이나 치조골 또는 치아(특히 구치부)에 고정되어 치아나 악골에 가해지는 교정력, 예를 들면 견인력을 지탱하는 앵커를 말하며, 상기 고정원 중에서 상기 구개에 정착되어 교정력, 특히 견인력을 지탱하는 앵커를 구개 고정원이라 칭한다.
상기 고정원(110)은 시술 목적에 맞는 위치에 식립못, 예를 들면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데, 시술자가 상기 고정원(110)을 구강 내부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원(110)을 정해진 고정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협소한 구강 내부공간에서 고정작업(식립못의 체결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구강 내부 점막, 즉 잇몸이나 입천장 점막 및 치아의 표면이 미끄러워서 시술자가 원하는 고정위치에 상기 고정원(110)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상기 고정원(110)을 시술 목적에 맞는 고정위치에 정렬, 즉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원(110)을 지지하고, 시술자가 상기 고정원(110)을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고정원(11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치열교정 시술의 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고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고정원(110)은 하악의 순측, 특히 하악 치조골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앵커의 일 예로서, 상기 고정원(110)의 시술위치, 즉 고정위치에 상기 고정원(110)을 배치하고 식립못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이 상기 고정원(110)을 지지하고 그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탑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식립못)를 이용하여 하악 치조골, 특히 치조골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예가 개시되나, 상기 고정원(110)의 구조나 고정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식립못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11a)이 형성된 고정편(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111)은 앵커 고리(111b)를 가지며, 상기 앵커 고리(111b)는 견인부재나 와이어 등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상기 고정편(111)의 일단을 둥글게 말아서 구부린 형상으로서 둘레의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상(튜브 형상)이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견인부재로는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고정편(111)을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립못의 체결 전에는 상기 지지 와이어(112)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식립못의 체결 후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와이어(112)가 상기 고정편(11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 와이어(112)는 치열 교정을 위한 교정 와이어(도 5의 도면부호 130 참조), 예를 들면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매개로 치열을 따라 설치되는 호선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교정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 걸이(112a)를 갖는다.
상기 와이어 걸이(112a)는 상기 교정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리 형상, 예를 들면 둘레와 완전히 폐쇄된 폐고리(Closed Ring) 형상 등이 있으며, 상기 식립못의 체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지지 와이어(112)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편(111)을 지지한다. 상기 와이어 걸이는 상기 고정편(111)이 식립못에 의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고정된 후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시술의 편의성을 위해 미리 성형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와이어(112)는 황동 재질로 제조되어서 시술자에 의해 적당한 형상으로 벤딩(Bending) 가능한 것을 개시하나 그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탑재된 상태로 구강 내부에 투입된다. 즉, 상기 고정원(110)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실려서 구강 내부에 적용되는데,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는 상기 고정원(110)을 구강 내부로 운반하는 운반체, 즉 캐리어(Carrier)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는, 시술자가 상기 식립못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원을 구강 내부의 고정위치에 체결할 수 있도록, 구강 내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고정원(110)을 상술한 고정위치, 예를 들면 하악 치조골 전면부에 정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원(110)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의해 구개의 소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식립못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원(110)을 구개에 고정한 후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상기 고정원(110)에서 분리하여 구강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는 구강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상기 고정원(110)을 지지하는 지그(Jig)가 되며, 상기 지지 와이어(112)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111)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원(110)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매달려서 구강 내부의 고정위치에 정렬(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는 구강 내부의 정렬 기준부(A), 예를 들면 치아에 장착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원(110)이 전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는 전치부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는 상기 정렬 기준부(A)에 결합되는 치아 결합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치아 결합부(121)는 상기 정렬 기준부(A)가 전사된 형상을 갖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피시술자의 치아, 특히 전치부가 정렬 기준부(A)로 제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치아 결합부(121)는 상기 전치부가 전사된 형상을 가진다. 결론적으로, 상기 전치부의 치아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결합 기준, 즉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 및 고정원(110)의 정렬 기준이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구강 내부의 미리 계획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원(110)을 상기 고정위치에 정렬시키고 지지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치아 결합부(121)에 상기 정렬 기준부(A), 즉 전치부의 치아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구강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치아 결합부(121)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결합 기준으로 설정된 치아가 전사된 형상이므로 다른 치아에는 매칭(Matching)이 이루어지지 어렵고, 상기 정렬 기준부(A)로 설정된 치아에는 정확한 매칭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는 수지(Resin) 재질을 가지며, 예를 들면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실리콘 이외에 다양한 치과용 레진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치과분야에서 공지된 투명 교정(Clear Align) 시술법의 일 예인 인비절라인(Invisalign) 교정기구에 적용되는 레진이나 Derve사(독일)의 제품 Drufoplast나 Forestadent사(독일)의 Forestacryl 계열 제품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성형할 수 있다. 물론 치과용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인상재 고무)를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재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원(110)이 상기 고정위치에 나사 등의 식립못에 의해 고정된 후에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상기 고정원(110)에서 분리되어서 구강 외부로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와이어(112)의 일부, 특히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매설된 구조, 예를 들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일측에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끼워지는 매설홈이 형성되고 상기 매설홈에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끼워져서 고정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연질의 실리콘으로 제조되고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매립되는 부분을 미리 절개하여 상기 와이어 걸이의 배출(Ejection)을 위한 이젝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원(110)을 식립못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정위치에 고정한 후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상기 이젝트부를 통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물론, 상기 식립못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원(1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절개하여서 상기 고정원(110), 특히 상기 와이어 걸이(112a)와 상기 고정원 지지체(110)의 분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와이어(112)가 별도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고정원 지지체의 일부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와이어나 합성 수지 재질의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상기 지지 와이어(112)의 와이어 걸이(112a)가 연결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편(111)을 구강 내부의 고정위치에 고정한 후에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 특히 상기 지지 와이어(112)가 연결되는 부분을 절단하여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구강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110)의 앵커 고리(111b)에 상기 지지 와이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편(110)이 상기 지지 와이어(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앵커 고리(111b)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상기 고정위치(치조골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113)로서, 상기 지지 와이어(113)의 와이어 걸이(113a)는 상기 교정 와이어가 끼워지는 고리 부분이 개폐 가능한 구조, 즉 개폐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 걸이(113a)의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개폐되는 힌지 구조, 즉 힌지부(113b)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원 지지장치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장착된 후에 상기 고정편(111)이 배치되는 부분, 즉 고정원의 고정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의 잇몸 점막을 절개하고, 점막 내부의 치조골에 상기 고정편(111)이 식립못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11)이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에, 시술자는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상기 고정원, 특히 상기 지지 와이어(112)에서 분리한 후 구강 외부로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원 지지장치의 제조를 위하여 피시술자의 구강모형 상에 상기 고정원(110)을 배치한다.
상기 구강모형은 상기 고정원(110)이 설치될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를 그대로 본 뜬 형상으로서, 구강모형의 제조방법 그 자체는 치과 기공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먼저, 피시술자의 구강모형이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구강모형상의 소정 위치, 즉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기 고정원(110)이 고정될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성형된다. 피시술자의 구강모형은 도 2에 도시된 구강 구조(하악의 구조이다)와 동일하며, 이러한 형상의 구강 모형에 고정원을 도 2와 같이 배치한 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원 지지체 성형재료를 도 2의 도면부호 120(고정원 지지체)과 같은 모양으로 도포하고 굳히는 방식으로 고정원 지지장치를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원(110), 특히 상기 지지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피시술자의 구강 모형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성형 재료를 도포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구강 모형의 치아, 특히 전치부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성형 재료가 도포되는데, 상기 성형 재료는 상기 고정원의 일부, 예를 들면 지지 와이어의 와이어 걸이(112a)를 덮도록 상기 구강 모형상에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 재료가 굳으면 상기 고정원(110)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장착된 구조의 고정원 지지장치가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는 구강 모형의 일부, 즉 전치부의 치아가 전사된 형상의 치아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성된 고정원 지지장치를 구강모형에서 분리하면 도 2와 같은 고정원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정렬기준, 즉 상기 정렬 기준부(A)가 되는 치아로는 전치부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가급적이면 고정원이 위치되는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가 상기 정렬 기준부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고정원 지지체/고정원 복합체를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적용하면, 고정원 지지체의 결합기준, 즉 정렬 기준으로 설정된 피시술자의 전치부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정확하게 매칭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원(110)이 기설정된 위치, 즉 미리 계획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원(110)과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전술한 이젝트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원(110)이 매립된 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이젝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원(110)이 상기 이젝트부를 통해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매립된 부분을 미리 절개하여 이젝트부를 성형하면 상기 와이어 걸이(112a)가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는 경우, 상기 이젝트부의 절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구강 모형상에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상기 고정원(110)과 별도로 성형한 후에, 상기 고정원(110)을 구강 모형에 배치해서 상기 고정원(110)이 연결될 부분을 판단하고, 상기 구강 모형에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를 분리한 후에 상기 고정원(110)이 연결될 부분을 절개하여 이젝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원(110)의 일측(와이어 걸이)을 상기 이젝트부에 삽입으로써, 상기 고정원(110)을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에 탑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젝트부가 상술한 매설홈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 지지체(120)가 구강 모형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구강 모형의 표면에 이형제가 먼저 도포되고 그 위에 상기 고정원 지지체 형성을 위한 재료, 즉 실리콘 등의 수지가 도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고정원과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원 지지장치의 고정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열교정장치가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치열교정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원(110)과 상기 고정원(110)에 연결되는 교정 와이어(130)와 상기 교정 와이어(130)의 설치를 위해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14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치열교정장치는, 치열의 교합면이 고르게 되도록 치아의 수직 이동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높이가 다른 치아의 수직 이동을 구현하여 치면의 높이를 고르게 교정한다. 특히 구치부의 높이가 다른 치아에 비해 높거나 낮은 경우 이를 교정하기 위해 구치부의 근방에 고정원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고정원의 설치작업이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원거리, 특히 전치부의 근방에 설치되는 고정원을 이용하여 구치부, 특히 제2대구치의 수직위치를 교정하는 치열교정장치가 개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원(110)이 식립못(110a)에 의해 하악 전치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하악 구치부의 수직위치를 교정하는 앵커로서 작용하는 예가 설명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원(110)은 하악 치조골의 전면(순측) 중앙부에 고정되는 고정편(111)과 상기 고정편(111)에 연결되는 지지 와이어(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편(111)과 상기 지지 와이어(112)의 결합관계 및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브라켓(140)은 수직 위치의 교정이 필요한 구치, 예를 들면 제2대구치(1a)와 상기 제2대구치(1a)보다 앞쪽(근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대구치(1a)와 제1대구치(1b)와 제2소구치(1c)와 제1소구치(1d)에 각각 브라켓(140)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40)에 상기 교정 와이어(130)가 장착되어 하악의 치열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교정 와이어(130)는 상기 지지 와이어의 와이어 걸이(112a)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11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교정 와이어(130)가 상기 지지 와이어(112)에 의해 상방으로 들여서 상측 방향의 힘을 받으면, 상기 교정 와이어(130)의 탄성력(형상 복원력)에 의해 점선을 따른 형상을 유지하려 하므로, 지렛대 작용과 유사하게 상기 제2대구치(1a)에 고정된 브라켓(141)이 소구치의 브라켓(143, 144)을 기준으로 화살표와 같이 하측 방향의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대구치(1a)가 함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소구치(1d)는 상방의 힘을 받아서 정출될 수 있다. 상기 교정 와이어(130)는 형성 기억 소재의 와이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NiTi 와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42는 제1대구치에 고정되는 브라켓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고정원 지지장치가 피시술자의 전치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원 지지장치는 고정원(110)과 상기 고정원(110)이 탑재되는 고정원 지지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220)는 내부에 인상재(210)가 충진되는 서포터 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 몸체(220)에는 상기 인상재(210)의 충진을 위한 충진홈(2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 몸체(220)는 충진홈(221)이 형성된 대략 채널(Channel) 형상으로서, 상기 서포터 몸체(220)의 충진홈에 상기 인상재(210)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 몸체(210)의 충진홈에 치아를 끼우면, 상기 인상재(210)가 치아에 의해 눌리고, 해당 부위의 치아 형상이 상기 인상재(210)에 인가(전사)되면서 상기 치아, 예를 들면 전치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110)은 상기 서포터 몸체(220)나 상기 인상재(21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서포터 몸체(220)에 상기 고정원(110)의 설치를 위한 매설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110)의 일측, 예를 들면 상기 지지 와이어의 와이어 걸이(112a)가 상기 매설홈(222)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인상재(210)에 끼워져서 임시로 고정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원 지지장치의 제조를 위한 피시술자의 구강 모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서포터 몸체(220)의 반복적 사용이 가능하고, 정렬 기준부를 미리 설정할 필요가 없고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원 지지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200: 고정원 지지장치 110: 고정원
111: 고정편` 112: 지지 와이어
120, 220: 고정원 지지체 210: 인상재
220: 서포터 몸체

Claims (5)

  1. 식립못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치열교정용 고정원(Anchorage); 그리고 상기 고정원을 구강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원의 정렬 기준이 되는 치아에 장착되어서 상기 고정원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원이 상기 식립못에 의해 상기 구강 내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후에 상기 고정원으로부터 분리되어서 구강 외부로 제거되도록 상기 치아에 탈착 가능한 고정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원 지지장치로서:
    상기 고정원은;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고정원 지지체가 구강 외부로 제거된 후에 치열 교정을 위한 교정 와이어와 연결되는 지지 와이어; 그리고
    상기 지지 와이어에 연결되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고정원 지지체에 탑재되고, 상기 식립못에 의해 상기 구강 내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홀을 갖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원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교정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 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원 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 지지체는, 상기 고정편이 전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치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원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고정편의 회전축을 이루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지지 와이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 와이어를 기준으로 회전하여서 상기 구강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원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지지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앵커 고리를 가지며;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앵커 고리에 연결되어서 상기 고정편의 회전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원 지지장치.
KR1020110061110A 2011-06-23 2011-06-23 고정원 지지장치 KR10121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110A KR101211221B1 (ko) 2011-06-23 2011-06-23 고정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110A KR101211221B1 (ko) 2011-06-23 2011-06-23 고정원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221B1 true KR101211221B1 (ko) 2012-12-11

Family

ID=4790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110A KR101211221B1 (ko) 2011-06-23 2011-06-23 고정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762A (zh) * 2013-07-23 2013-11-13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的口腔正畸高位牵引钩
CN114081646A (zh)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0856A1 (en) 2001-04-12 2002-10-17 Payton Kevin L.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JP2006314419A (ja) 2005-05-11 2006-11-24 Univ Nihon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0856A1 (en) 2001-04-12 2002-10-17 Payton Kevin L.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JP2006314419A (ja) 2005-05-11 2006-11-24 Univ Nihon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762A (zh) * 2013-07-23 2013-11-13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的口腔正畸高位牵引钩
CN114081646A (zh)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CN114081646B (zh) * 2021-11-24 2023-11-28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317B2 (en) Class II malocclusion correction appliance for removable aligners
JP6539294B2 (ja) 着脱可能な歯列矯正装置
US39227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fitting orthodontic appliances
KR101565802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US4988292A (en) Abutment for orthodontic anchorage to a dental implant fixture
RU2602678C2 (ru) Постоянный и гибкий протезный абатмент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гловой регулировки
JP2010519984A (ja) 歯科矯正学上不正咬合の修正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200352682A1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KR101343129B1 (ko) 치아 교정장치
US20140342300A1 (en) Class ii/iii corrector accomodating bite plates
US20150366640A1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KR101211221B1 (ko) 고정원 지지장치
CN112512458B (zh) 正畸锚固组件
US8403663B2 (en) Direct placement system for tooth extrusion
US10433933B2 (en) Orthodontic bracket for use on deciduous teeth
KR20150024149A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JP2021122545A (ja) 歯移動器具
KR101347258B1 (ko) 고정원 시술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62806A1 (en) Replacement tooth
KR101210706B1 (ko) 지그/교정기구 복합체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701122B1 (ko)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