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087B1 - 경계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경계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087B1
KR102264087B1 KR1020190130579A KR20190130579A KR102264087B1 KR 102264087 B1 KR102264087 B1 KR 102264087B1 KR 1020190130579 A KR1020190130579 A KR 1020190130579A KR 20190130579 A KR20190130579 A KR 20190130579A KR 102264087 B1 KR102264087 B1 KR 10226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convex
convex extension
extension por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398A (ko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riority to KR102019013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0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로 중앙선 또는 차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서,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 요철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측면 요철 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이고, 측면 요철 연장부 중 나머지 하나는 저면에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의 상면 요철 구조에 대응되는 대응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이며, 제2측면 요철 연장부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몸체가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의 접합으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됨으로써, 블록간 결합 부재가 없더라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모듈식으로 제작되어 제조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는 경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경계석 어셈블리{Boundary stone assembly}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용 또는 인도 구분용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경계석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으로 만들어지는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어 양 측 차량의 간섭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시키거나, 또는 도로의 양단 노면 또는 그 인접 사면의 물을 집수하여 배수할 목적으로 도로의 종단 방향에 배수 구조물인 측구 형태로 설치된다.
통상의 경계석은 동일한 형상의 모듈식 블록을 나란하게 배열함으로써 반대차로를 구분짓거나 또는 찻길과 인도를 구분시킨다. 이처럼 모듈식으로 제작될 경우 충격이 가해져서 파손되면 파손된 부위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어느 하나의 블록이 집중호우 또는 충격으로 조금씩 각도가 어긋날 수 있어, 일렬로 배열된 구조물의 경우 어느 하나만 비틀어져도 미관상 어지럽게 보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렬로 배열되는 블록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별도의 부재가 필요할 수있고 만약 블록 간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없다면 약간의 충격으로도 쉽게 어긋나버려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중앙분리대의 경우 작은 사고가 큰 사고로 번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블록간 결합 부재가 없더라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모듈식으로 제작되어 제조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경계석에 대한 기술이 요청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9207호(공고일자: 2014. 01. 10)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블록간 결합 부재가 없더라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모듈식으로 제작되어 제조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경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 요철 연장부와, 몸체의 배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면 요철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 단의 측면 요철 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이고, 상기 측면 요철 연장부 중 나머지 하나는 하면에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의 상면 요철 구조에 대응되는 대응 요철 구조로 형성되는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이며, 제2측면 요철 연장부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몸체가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의 접합으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면 요철 연장부는 요철 구조가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배면 요철 연장부 또는 요철 구조가 저면에 형성되는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이고, 제2배면 요철 연장부가 제1배면 요철 연장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1배면 요철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와 제2배면 요철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는 배면 간에 제1 및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주행로의 중앙선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와 제1 및 제2배면 요철 연장부에 형성된 요철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곡면 형태의 돌출 면과 오목 면이 반복되는 형상이며, 상기 곡면 형태는 반원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의 상면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몸체 상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제1배면 요철 연장부를 가진 몸체와 제2배면 요철 연장부를 가진 몸체가 서로 배면끼리 결합될 경우, 두 몸체의 배면 사이에는 중앙 분리대용 가로수가 식재될 수 있는 화분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측면 요철 연장부와 제1배면 요철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몸체에서부터 오목면이 먼저 형성된 다음 돌출 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와 몸체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될 때 어느 하나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의 단부 면은 바람직하게는 인접된 몸체의 측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별도의 블록간 결합 부재가 없더라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면서도, 모듈식으로 제작되어 제조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실시예는 차도와 인도를 구분시키는 경계석을 내용으로 하는 제1실시예와, 역 방향 차량 간의 충돌을 방지시키기 위한 중앙분리대용 경계석을 내용으로 하는 제2실시예로 구분된다.
<제1실시예>
먼저 차도와 인도를 구분시키는 경계석인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은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 및,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일정한 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된 형태가 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110)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는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된 형태가 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몸체(110)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와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경계석은 경계석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통상의 경계석은 경계석 간을 결합시키는 매개물이 없으므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조금씩 비뚤어질 수 있고, 빗물이 하부 토양으로 스며들면서 토양이 침하 또는 팽창됨으로써 경계석 간의 간격이 벌어지고 방향이 비뚤어질 수 있다.
특히 경계석 간의 간격 발생과 방향의 틀어짐은 경계석의 모서리를 노출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 노출된 경계석의 모서리는 경계석 간의 충돌 또는 다른 물체와 경계석 간의 충돌로 깨지거나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이처럼 서로 측면이 나란하게 딱 들어맞으면 반영구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경계석이 정렬의 흐트러짐으로 인한 손상으로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점은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첫째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경계석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요철 구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벌어짐 또는 틀어짐이 완전히 해결됨으로써 경계석의 수명이 비로소 반영구적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는 상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는 저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 보다 높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몸체가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1,122)의 접합으로 나란하게 연결됨으로써, 경계석은 서로 견고하게 나란히 결합된다. 즉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의 두께 만큼 더 높게 형성되어 제1측면 연장부(121)의 상면과 제2측면 연장부(122)의 저면이 서로 접합되는 것이다.
특히 이 경우 경계석은 단 한 종류, 즉 일단에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가 형성되는 한 가지 형상만 제작되어도,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경우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와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가 만남으로써, 경계석 간의 결합이 두 종류의 경계석이 아닌 한 종류의 경계석 간에 이루어지므로 제작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의 요철 형상은 몸체로부터 오목 면(1211)이 먼저 연장 형성되고 오목 면(1211)에 이어서 볼록 면(1212)이 연장 형성된다. 왜냐하면 오목 면(1211)이 아닌 볼록 면(1212)이 몸체로부터 바로 연장 형성되면, 볼록 면(1212)과 몸체(110) 사이에는 일종의 크랙과 유사한 틈이 형성되어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가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틈으로부터 균열이 진행되어 몸체(110)로부터 떨어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1,122)의 요철 형상을 구성하는 볼록 면(1212,1222)과 오목 면(1211,1221)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철 형상이 사각 요철 등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어느 한 면의 중심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으나, 요철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면, 아치 구조물에 작용되는 하중이 중심과 주변에 동일하게 분산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1,122)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한편, 몸체(110) 중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휘어진 형태로 제작된 코너 모듈(510)이 포함된다.
코너 모듈(510)은 인도가 곡선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곡선에 맞게 변형된 몸체이다. 다만 직선구간을 이루는 몸체(110)에 비해 길이는 짧게 형성된다. 또한 코너 모듈(5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가지 곡률 반경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두 종류가 마련된다.
왜냐하면, 곡선구간은 형태 및 방향 전환의 급격함이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우에 대응되기 위해서는 직선구간의 몸체(110)보다 코너 모듈이 짧아야 상황에 맞게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두 가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코너 모듈(510)이 서로 조합되면서 보다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코너 형상에 대응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두 가지 코너 모듈(510)과, 직선구간을 이루는 몸체(110)의 일부 길이를 절단시킨 부위가 서로 조합되면 보다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선 구간에 대부분 대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모듈(510) 중 직선구간의 끝과 연결되는 코너 모듈(510)에는 일 측에 제1측면 요철 연장부(121)가 형성되어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곡선 구간이 끝나고 다시 직선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코너 모듈(510)에는 코너 모듈(510)의 타 측에 제2측면 요철 연장부(122)가 형성된다.
한편, 몸체(1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횡 방향 돌기(1101)가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경계석 설치 구간의 총 길이에 따라 가장 마지막에 남는 부위에는 몸체(110) 하나의 전체 길이가 온전하게 딱 들어맞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때 몸체(110)는 남는 부위에 맞춰 절단되어야 하는데, 일일이 길이를 측정하여 재단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눈대중으로도 적절한 길이로 재단이 가능할 수 있도록 몸체(110)를 일정한 간격 마다 표시될 수 있게 돌기(1101)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양 방향 차로를 구분시키는 중앙분리대용 경계석에 대해 설명한다.
중앙분리대용 경계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이 나란하게 두 줄로 연결 설치되며, 각 줄을 이루는 경계석은 나머지 줄을 이루는 경계석과 서로 배면이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때 배면과 배면 간에는 배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배면 요철 연장부 끼리 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중앙분리대용 경계석은 몸체(210)와, 몸체(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221)와, 타단에 형성되는 제2측면 요철 연장부(222)와, 배면에 형성되는 제1 또는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1,232)로 이루어진다.
몸체(210)는 일정한 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제1측면 요철 연장부(221)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몸체(210)의 일 측에서부터 차례로 연장되는 오목면(2211)과 볼록면(2212)이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제2측면 요철 연장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몸체(210)의 타단이 연장되는 형태가 아니라 오히려 타단의 일부가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몸체(210) 타단의 저면이 단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차례로 볼록면(2222)과 오목면(2221)이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제1측면 요철 연장부(221)와 용어의 통일을 기하기 위해 제2측면 요철 연장부(222)라는 명칭은 유지하기로 한다. 제2측면 요철 연장부(222)는 저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점은 제1측면 연장부(221)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배면 요철 연장부(231,232)가 형성된다.
배면 요철 연장부는 제1배면 요철 연장부(231)와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2)로 구분된다.
제1배면 요철 연장부(231)는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 가까운 앞 열에 도시된 경계석의 몸체(210) 배면에 형성된 것이고,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2)는 도 5에서 멀리 도시된 뒷 열 경계석의 배면에 형성된 것이다.
제1 및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1,232) 간의 결합 원리는 측면 요철 연장부와 동일하게 요철구조 간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원리이다.
몸체(210)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두 면은 각각 정면과 배면으로 분류될 수 있으므로 배면은 몸체(210)에 하나 밖에 없고, 따라서 제1 및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1,232)의 형상이 다른 점에서 제2실시예의 경계석은 배면 요철 연장부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제1배면 요철 연장부(231) 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2)는 몸체(210)의 상단 보다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배면끼리 대향되는 두 경계석이 결합될 경우 몸체(210)와 몸체(210) 사이에는 가로수(P)를 식재할 공간이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 배수를 위해 제1배면 요철 연장부(231)와 제2배면 요철 연장부(232)를 동시에 관통하는 배수공(미도시) 일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공에서 배수되는 물은 도로 하부의 지반 토양까지 바로 배수될 수 있게 상기 배수공(미도시)과 연통되는 노면 배수공(미도시)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모든 블록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생산성은 뛰어나면서도 또한 서로 조립될 수 있어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P : 가로수 G : 복귀력
R : 반발력 S : 흙
110,210 : 몸체 121,221 : 제1측면 요철 연장부
122,222 : 제2측면 요철 연장부 231 : 제1배면 요철 연장부
232 : 제2배면 요철 연장부 1211,1221,2211,2221,2311,2321 : 오목면
1212,1222,2212,2222,2312,2322 : 볼록면
510,510-1,510-2 : 코너 모듈 1101 : 돌기

Claims (10)

  1. 삭제
  2.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 요철 연장부와;
    몸체의 배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면 요철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요철 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상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이고,
    상기 측면 요철 연장부 중 나머지 하나는 하면에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의 상면 요철 구조에 대응되는 대응 요철 구조로 형성되는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이며,
    제2측면 요철 연장부는 제1측면 요철 연장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 둘 이상의 몸체가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의 접합으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면 요철 연장부는 요철 구조가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배면 요철 연장부또는 요철 구조가 저면에 형성되는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이고,
    제2배면 요철 연장부가 제1배면 요철 연장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1배면 요철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와 제2배면 요철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는 배면 간에 제1 및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주행로의 중앙선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측면 요철 연장부와 제1 및 제2배면 요철 연장부에 형성된 요철 형상은 곡면 형태의 돌출 면과 오목 면이 반복되는 형상이며, 상기 곡면 형태는 반원 형상이며,
    상기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의 상면 높이는 몸체 상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제1배면 요철 연장부를 가진 몸체와 제2배면 요철 연장부를 가진 몸체가 서로 배면끼리 결합될 경우, 두 몸체의 배면 사이에는 중앙 분리대용 가로수가 식재될 수 있는 화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요철 연장부와 제1배면 요철 연장부는 몸체에서부터 오목 면이 먼저 형성된 다음 돌출 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의 단부면과 제2측면 요철 연장부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몸체의 하부로 형성되는 면은 모두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 요철 연장부의 단부면과 제1측면 요철 연장부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몸체의 상부로 형성되는 면은 모두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배면 요철 연장부의 단부면과 제2배면 요철 연장부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몸체의 하부로 형성되는 면은 모두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배면 요철 연장부의 단부면과 제1배면 요철 연장부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몸체의 상부로 형성되는 면은 모두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몸체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될 때 어느 하나의 몸체에서 돌출된 제1측면 요철 연장부의 단부 면은 인접된 몸체의 측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몸체 중에는 길이 방향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휘어진 형태로 제작된 코너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코너 모듈 중에는 일 측에 제1측면 요철 연장부가 형성된 코너 모듈과, 타 측에 제2측면 요철 연장부가 형성된 코너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곡률 반경은 두 가지 이며,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횡 방향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30579A 2019-10-21 2019-10-21 경계석 어셈블리 KR10226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79A KR102264087B1 (ko) 2019-10-21 2019-10-21 경계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79A KR102264087B1 (ko) 2019-10-21 2019-10-21 경계석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398A KR20210047398A (ko) 2021-04-30
KR102264087B1 true KR102264087B1 (ko) 2021-06-14

Family

ID=7574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79A KR102264087B1 (ko) 2019-10-21 2019-10-21 경계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0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10Y1 (ko) * 2001-09-25 2002-01-04 (주)청호종합기술단 시공성을 개선한 고압블럭
KR100666586B1 (ko) * 2005-12-26 2007-01-10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도로의 유지관리용 친환경 중앙분리대 제작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76Y1 (ko) * 1995-03-14 1998-10-15 조정연 차선경계블럭
KR101349207B1 (ko) 2011-04-29 2014-01-1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 경계석
KR101258476B1 (ko) * 2011-09-15 2013-04-26 한경수 가변식 집 배수관
KR20170018863A (ko) * 2017-01-31 2017-02-20 주식회사 에코탑 입상체 및 분상체 협잡물의 배출 효율 향상을 통하여 빗물 투수 지속능력을 향상시킨 도로용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10Y1 (ko) * 2001-09-25 2002-01-04 (주)청호종합기술단 시공성을 개선한 고압블럭
KR100666586B1 (ko) * 2005-12-26 2007-01-10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도로의 유지관리용 친환경 중앙분리대 제작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398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332B2 (en) Ground-reinforcing grid
KR102264087B1 (ko) 경계석 어셈블리
KR101160490B1 (ko) 방음 패널용 연결 프레임
KR20070078835A (ko)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KR101231146B1 (ko) 방초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JP5762065B2 (ja) 自転車レーンと歩行者レーンとの分離構造
JP3182345U (ja) 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
KR102035821B1 (ko) 무단횡단 방지용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06105A (ko) 친환경 잔디블록
KR20100070214A (ko) 방초 블록
US10724184B2 (en) Curb block
KR100872038B1 (ko) 화분형 중앙분리대
KR200385871Y1 (ko) 조립형 횡단보도 블럭
KR200465793Y1 (ko) 고안전성·고내구성 그레이팅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KR102268141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200167358Y1 (ko) 보도블록
KR200167359Y1 (ko) 보도블록
CN212279124U (zh) 保护盘
KR200432236Y1 (ko) 보도블록
JP3181986U (ja) 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
KR101230360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200305604Y1 (ko) 도로의 분리형 중앙 분리대 구조
CN210085960U (zh) 一种新型仿石砖
KR200255777Y1 (ko) 조립식 과속방지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