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835A -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8835A KR20070078835A KR1020070070113A KR20070070113A KR20070078835A KR 20070078835 A KR20070078835 A KR 20070078835A KR 1020070070113 A KR1020070070113 A KR 1020070070113A KR 20070070113 A KR20070070113 A KR 20070070113A KR 20070078835 A KR20070078835 A KR 200700788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material
- predetermined
- prefabricated
- block set
- material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재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지형 조건 또는 설계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일행 또는 일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 상기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된다.
조립식,포장재,돌기부,줄눈부,측면 격벽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서 줄눈부의 밑면의 다른 실시 예를 변형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잘라낸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n: 단위 포장재 조립부 11a-11d : 측면 격벽
12a-12d : 돌기부 14a-14d : 틈새
13 ; 밑면부 15 : 배출공
16a-16n : 절단 안내홈 20a-20n : 줄눈부
30 : 간격 유지부 31,32 : 밑변
31a,31n : 가로측 지지부 32a,32n : 세로측 지지부
100 : 포장재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28363호(1995.11.07):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본 발명은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이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곡선 형상의 지형에 포석작업을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주차장 진입로, 차량이동 및 동선, 보행로, 광장, 산책로 등에 소포석(판석, 사괴석, 사고석 등으로 불림)을 포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소포석은 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지며, 가로*세로*두께의 규격이 100*100*100cm로 규격화화여 양산할 수 있기 때문에 포석의 설계와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소포석이 화강암 재질이므로 소포석의 상부 표면이 균일한 평면을 제공하고, 소포석의 상부 표면에 걸리는 하중을 고르게 받아주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창기에 소포석을 지면에 포석할 때는 소포석 밑면에 시멘트, 물, 모래를 혼합하여 반죽한 모르타르를 밑면에 깔고, 그 위에 소포석을 고정 및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창기의 방식은 소포석의 밑면에 모르타르를 깔기 때문 에 일정지형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소포석의 좌우정렬 및 다수개의 소포석의 상부 표면의 높이를 일치하기가 어려웠고, 또한 모르타르가 깔린 지면의 생태 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28363호(1995.11.07):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가 개시되었다.
이와 같은 참증은 다수의 포장재(소포석)를 상부 표면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를 사용하였으며, 본체의 상부 표면에 삽입되는 포장재 사이에 통수가 가능하도록 통수용 공간부를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다수의 포장재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를 합성수지 재질의 일체형 본체를 통하여 다수의 포장재의 높이를 일괄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었다. 또한, 포장재 사이에 형성된 통수용 공간부를 통하여 포장재 위에 떨어지는 빗물이나 물을 지면에 용이하게 흡수시킬 수 있었으며, 날씨가 좋은 경우 통수용 공간부를 통하여 지면에 미세하나마 공기를 통하게 하거나 햇빛을 비추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에서는, 포장재 상부에 차량의 바퀴 등의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걸리는 경우, 포장재 사이에 형성된 통수용 공간부의 격벽을 구성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포장재와 블록 세트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으며, 이렇게 생긴 틈으로 인해 포장재의 모서리 부분이 깨지거나 심한 경우 포장재가 이탈될 수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도심 보도의 미관을 크게 훼손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는 거의 대부분이 그 형상을 변형하거나 잘라서 쓸 수 없는 일체형 사각형 프레임이기 때문에 "사각형" , "ㄱ" 자, "ㄴ"자, " + "자, " T"자 등의 직각형상으로만 시공하였으며, 경사가 심한 지형, 곡선형 처리를 요구하는 지형에 포석을 시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의 상부면에 삽입하는 포장재의 두께는 가로*세로*두께가 100*100*100cm 인데, 포장재의 두께를 100cm로 하는 이유는 포장재가 블록 세트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포장재 상부에 걸리는 하중을 충분히 받을 수 있으면서,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다면 전체 공사비와 전체 공기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상부면에 삽입하는 각각의 포장재가 세월이 지나도 잘 빠지지 않도록 포장재의 결합력이 향상된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포장재가 삽입된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서 지형 조건 또는 설계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상부면에 삽입하는 포장재의 두께가 종래보다도 얇은 두께의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는, 소정 형상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일행 또는 일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 상기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여기서, 포장재(100)의 두께는 50-70 cm의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2a-12d)는 상기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의 격벽에 상단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하단 중앙부의 소정 부분까지 연장 될수록 커지는 소정 두께의 이등변 삼각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의 밑면(13)이 상기 밑면(13)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띠(18a,18b)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이웃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간 줄눈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된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와; 상기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a,11b)의 외부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다수개의 가로측 지지부(31a-31n) 및 세로측 지지부(32a,32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는, 소정 형상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의 행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복수개의 행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줄눈부(20a-20n)의 밑면부와 각각의 이웃한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내부 격벽간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두께와 깊이로 절단 안내홈(16a-16n)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는, 포장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각각의 격벽 내부에 소정 형상의 돌기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포장재와 블록 세트간의 결합력이 크게 강화되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포장재를 특정 지역에 포석한 후, 일정 세월이 지나서 포장재에 지속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포장재와 블록 세트 사이에 틈의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포장재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도심 보도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포장재를 도로나 특정 지형에 포석하는 경우, 지형 조건 또는 설계의 의도에 따라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줄눈부의 밑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단결을 형성시켜서, 작업자가 필요시 절단결을 잘라내서 원하는 형상의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경사가 있는 지형이나 곡선 처리를 요구하는 지형에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상부면에 삽입하는 포장재의 두께가 종래보다도 얇은 두께의 포장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에 전체 공사비와 전체 공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서 줄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는, 사각면체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일행 또는 일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포장재(100)는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서, 화강암 소포석이 바람직하며, 세라믹 블럭, 점토 블럭, 콘크리트 블록, 합성수지 블록, 목재 블록 등의 다양한 재질도 가능하다.
또한, 포장재(1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로*세로*두께가 100*100*50-70cm의 정사각형 면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면체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내부 격벽에 형성된 돌기부(12a-12d)가 포장재(1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향상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포장재의 두께보다 약 50 내지 30% 정도 더 얇게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인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모래를 수용하기 위한 줄눈부(20a-20n),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간 줄눈부를 제공하는 간격 유지부(30)는 일체형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재나 금속재 등의 재질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격벽(11a-11d)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12a-12d)는 4개의 측면 격벽(11a-11d)에 모두 형성시켰지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 보인 각각의 돌기부(12a-12d)의 형상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체 형상이지만, 설계자의 의도와 포장재의 형상에 따라 사각체, 원체 등의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 보인 각각의 돌기부(12a-12b)는 각각의 측면 격벽(11a-11d)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지만, 각각의 돌기부(12a-12d)와 각각의 측면 격벽(11a-11d) 사이에 절단하기가 용이하도록 절단 안내홈(미도시)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에 삽입되는 포장재(100)의 측면 가공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작업자가 해당 돌기부를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 도시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밑면부(13)의 두께는 삽입되는 포장재(100)의 두께와 무게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지면과 맞닿는 밑면부(13)의 하부 표면의 형상은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공지 기술의 다양한 형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밑면부(13)에는 다수개의 배출공(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에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된 경우, 측면 격벽(11b,11d)에 형성된 돌기부(12b,12d)로 인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b,11d)이 포장재(100)의 사방 측면에 압박을 가하면서 지지해주는데, 이때 포장재(100)와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b,11d) 사이에 돌기부(12b,12d)의 두께로 인한 미세한 틈새(14)가 생기게 되는데, 이 틈새(14)를 통하여 포장재(100)의 상부에 떨어지는 물이나 빗물이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모래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의 밑면(13)에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래에 스며드는 물이나 빗물을 지면으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서 줄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 1a 내지 도 1c에 보인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의 밑면(13)이 이웃한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b)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밑면(13)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띠(18a,18b)로 연결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와 같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위치한 각각의 줄 눈부(20a-20n)의 밑면(13)이 연결띠(18a,18b)로 연결된 경우에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시공하는 지면이 위아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경사가 있어도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가 연결띠(18a,18b)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지형 조건에 맞게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위치를 변형시키면서 시공할 수 가 있다.
도 1a에 도시된 간격 유지부(30)는 이웃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간 줄눈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된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와,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a,11b)의 외부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다수개의 가로측 지지부(31a-31n) 및 세로측 지지부(32a,32b)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로측 지지부(31a-31n) 및 세로측 지지부(32a,32b)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내부 격벽(11c)의 양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밑면부(31)와 직각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소정 높이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a,11b)의 외부면을 따라 다수개의 가로측 및 세로측 지지부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부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a에서는 간격 유지부(30)는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우측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보였다.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간격 유지부(3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 소정 지역을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시작위치를 좌측 최상단으로 설정하는 경우, 포장 지역의 상하좌우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인접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간격 유지부가 위치할 것이다.
그러나, 도 1b에서는 간격 유지부(30)는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좌우측방향과 상하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보였다.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간격 유지부(3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 소정 지역을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경우, 시작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를 시공하여도 이웃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간 모래를 채울 수 있는 줄눈부가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도 1b와 같이 간격 유지부(30)는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좌우측방향과 상하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간격 유지부(30)의 폭(width) 길이는 도 1a에서 도시된 간격 유지부(30)의 폭 길이의 1/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세트의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 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인 조립식 포장재 블록세트는 도 1a 내지 도 1c에 보인 한 행의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세트가 복수개의 행렬로 조립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세트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 장재 블록 세트는, 사각면체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의 행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복수개의 행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포장재(100)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와 같이 화강암 소포석이 바람직하며, 포장재(100)의 형상도 가로*세로*두께가 100*100*50-70cm의 정사각형 면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 보인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모래를 수용하기 위한 줄눈부(20a-20n),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간 줄눈부를 제공하는 간격 유지부(30)는 일체형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격벽(11a-11d)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12a-12d)는 4개의 측면 격벽(11a-11d)에 모두 형성시켰지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인 각각의 돌기부(12a-12d)의 형상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인 각각의 돌기부(12a-12b)는 각각의 측면 격벽(11a-11d)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지만, 각각의 돌기부(12a-12d)와 각각의 측면 격벽(11a-11d) 사이에 절단하기가 용이하도록 절단 안내홈(미도시)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c 도시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밑면부(13)의 두께는 삽입되는 포장재(100)의 두께와 무게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면과 맞닿는 밑면부(13)의 하부 표면의 형상은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공지 기술의 다양한 형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의 밑면부(13)에는 다수개의 배출공(15)이 형성되어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세트의 상부에 떨어지는 물이나 빗물을 지면으로 내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 도시된 간격 유지부(30)는 이웃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간 줄눈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된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와,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a,11b)의 외부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다수 개의 가로측 지지부(31a-31n) 및 세로측 지지부(32a-32n)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로측 지지부(31a-31n) 및 세로측 지지부(32a-32n)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내부 격벽(11c)의 양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밑면부(31)와 직각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소정 높이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a,11b)의 외부면을 따라 다수개의 가로측 및 세로측 지지부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부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a에서는 간격 유지부(30)는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우측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보였다.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간격 유지부(3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 소정 지역을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시작위치를 좌측 최상단으로 설정하는 경우, 포장 지역의 상하좌우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인접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간격 유지부가 위치할 것이다.
그러나, 도 3b에서는 간격 유지부(30)는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좌우측방향과 상하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보였다.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의 간격 유지부(3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 소정 지역을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경우, 시작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를 시공하여도 이웃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간 모래 를 채울 수 있는 줄눈부가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도 3b와 같이 간격 유지부(30)는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좌우측방향과 상하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간격 유지부(30)의 폭(width) 길이는 도 3a에서 도시된 간격 유지부(30)의 폭 길이의 1/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줄눈부(20a-20n)의 밑면부와 각각의 이웃한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내부 격벽간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두께와 깊이로 절단 안내홈(16a-16n)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단 안내홈(16a-16n)은 직선 실선, 직선 점선, 직선 쇄선 방식 중에서 어떤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일반적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는 가로*세로 규격이 500*500cm이므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적용시키는 경우, 가로 및 세로로 5개 행렬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가 형성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서 절단 안내홈(16a-16n)을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잘라낸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숫자 5, 도 4b는 숫자 4, 도 4c는 숫자 0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작업자가 잘라낸 부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사지형이나 곡선 처리를 요구하는 특정 지형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를 적용시킬 뿐만 아니라,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 등의 표 현도 가능하여 여러 목적으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당업자에 의한 기술적인 구성상의 변용이 가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에 따르면, 포장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각각의 격벽 내부에 소정 형상의 돌기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포장재와 블록 세트간의 결합력을 크게 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포장재를 노면에 포석한 후에 일정 세월이 지나도 포장재와 블록 세트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포장재나 블록 세트간 틈의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포장재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도심 보도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형 조건 또는 설계의 의도에 따라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줄눈부의 밑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도로나 소정 지역을 포장재로 포석하는 경우, 지형 조건을 수용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의 상부면에 삽입하는 포장재의 두께가 종래보다도 얇은 두께의 포장재를 사용하여도 포장재가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전체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시공 기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7)
- 소정 형상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일행 또는 일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상기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두께는 50-70 cm의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의 격벽에 상단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하단 중앙부의 소정 부분까지 연장 될수록 커지는 소정 두께의 이등변 삼각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의 밑면(13)이 상기 밑면(13)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띠(18a,18b)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30)는,이웃한 조립식 포장재의 블록 세트간 줄눈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된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와;상기 가로측 및 세로측 밑면부(31,32)에서 시작되어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측면 격벽(11a,11b)의 외부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된 다수개의 가로측 지지부(31a-31n) 및 세로측 지지부(32a,3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소정 형상의 포장재(100)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소정 두께의 밑면(13)과 복수개의 측면 격벽(11a,11b)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면 격벽(11a,11b)의 내부면의 상단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12a-12d)가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의 행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와;서로 이웃한 각각의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 사이에 일정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밑면(13)이 일체형으로 복수개의 행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줄눈부(20a-20n)와;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적어도 한 개의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이 일정한 소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고, 각각 가로 및 세로변의 밑면(31,32)에서 전체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외부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전체 포장재 조립부(10a-10n)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줄눈부(20a-20n)의 밑면부와 각각의 이웃한 단위 포장재 조립부(10a-10n)의 내부 격벽간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두께와 깊이로 절단 안내홈(16a-16n)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113A KR20070078835A (ko) | 2007-07-12 | 2007-07-12 |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113A KR20070078835A (ko) | 2007-07-12 | 2007-07-12 |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8835A true KR20070078835A (ko) | 2007-08-02 |
Family
ID=3859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0113A KR20070078835A (ko) | 2007-07-12 | 2007-07-12 |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78835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641B1 (ko) * | 2008-03-25 | 2010-01-19 | 주식회사 한설그린 | 포장부재(鋪裝部材) 설치용 케이스 |
KR200449175Y1 (ko) * | 2007-12-26 | 2010-06-22 | 김진완 | 체스블럭용 격자틀 및 이를 구비한 보도블럭 세트 |
KR101045327B1 (ko) * | 2008-08-27 | 2011-06-30 | 이종목 | 잔디 점토블록 |
KR101690038B1 (ko) * | 2015-12-30 | 2016-12-27 | 김선국 | 도로블럭의 틈새 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블럭 시공방법 |
CN107059525A (zh) * | 2017-04-25 | 2017-08-18 | 浙江华鼎市政建设有限公司 | 一种市政透水道路结构及其施工工艺 |
FR3086955A1 (fr) * | 2018-10-09 | 2020-04-10 | Christophe Desire | Dispositif de realisation d'un revetement par encastrement de paves |
-
2007
- 2007-07-12 KR KR1020070070113A patent/KR200700788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9175Y1 (ko) * | 2007-12-26 | 2010-06-22 | 김진완 | 체스블럭용 격자틀 및 이를 구비한 보도블럭 세트 |
KR100937641B1 (ko) * | 2008-03-25 | 2010-01-19 | 주식회사 한설그린 | 포장부재(鋪裝部材) 설치용 케이스 |
KR101045327B1 (ko) * | 2008-08-27 | 2011-06-30 | 이종목 | 잔디 점토블록 |
KR101690038B1 (ko) * | 2015-12-30 | 2016-12-27 | 김선국 | 도로블럭의 틈새 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블럭 시공방법 |
CN107059525A (zh) * | 2017-04-25 | 2017-08-18 | 浙江华鼎市政建设有限公司 | 一种市政透水道路结构及其施工工艺 |
FR3086955A1 (fr) * | 2018-10-09 | 2020-04-10 | Christophe Desire | Dispositif de realisation d'un revetement par encastrement de paves |
WO2020074589A1 (fr) * | 2018-10-09 | 2020-04-16 | Desire Christophe | Dispositif de réalisation d'un revêtement de sol par encastrement de pavé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25106B2 (en) | Concrete pavers positioned in a herringbone pattern | |
KR20070078835A (ko) | 조립식 포장재 블록 세트 | |
US5006011A (en) | Frames for installing wooden bricks | |
CA2389952A1 (en) | Interlocking paving stone | |
US20140020320A1 (en) | Leave-in-Place Concrete Formwork Combining Plate Dowels, Divider Plates, and/or Finishing, Armoring and/or Sealing Molding | |
KR101972320B1 (ko) |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 |
KR20160050226A (ko) | 절토 사면 보강공법 | |
US20200378071A1 (en) | Drainage blocks for dikes or urban settings | |
KR102195092B1 (ko) | 줄눈밴드 일체형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 | |
KR101333467B1 (ko) | 조립식 보도 블럭 케이스 | |
KR20170030170A (ko) | 블록 포장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블록 포장 방법 | |
JP6474626B2 (ja) | 縁石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 |
EP2578747A1 (en) | Module for constructing road markings and/or anti-skid crossings | |
KR20100005687U (ko) | 투수홈이 형성된 보도블럭용 포석 케이스 | |
KR100708438B1 (ko) | 목재 보도 블럭용 패드와, 이를 이용한 목재 보도 블럭의조립방법 | |
KR101425709B1 (ko) | 바닥 돌기를 구비한 보도 블럭 케이스 | |
KR20040017262A (ko) | 도로포장용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 |
JPH1068101A (ja) | 舗装ブロック用合成樹脂製函型フレームとそれを使用したブロック舗装の施工法 | |
US20120213582A1 (en) | Permeable paving system | |
KR100462902B1 (ko) | 조립식 콘크리이트 블럭을 이용한 중앙분리대 | |
EP2894257B1 (en) | Protection system for avoiding obstacles in roadside trenches | |
KR101264601B1 (ko) | 보차도 구조 및 보차도 시공방법 | |
KR100605636B1 (ko) | 콘크리트 포장용 마감 거푸집 | |
NL1031863C2 (nl) | Elementsysteem voorzien van een flexibele verbinding. | |
KR100636630B1 (ko) | 건축단지 내 보도침하 방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