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946B1 -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946B1
KR102262946B1 KR1020210010178A KR20210010178A KR102262946B1 KR 102262946 B1 KR102262946 B1 KR 102262946B1 KR 1020210010178 A KR1020210010178 A KR 1020210010178A KR 20210010178 A KR20210010178 A KR 20210010178A KR 102262946 B1 KR102262946 B1 KR 10226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amera
directions
way traffic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이앤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이앤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이앤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네 방향 각각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네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 후 네 방향으로 각각 정보를 출력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로 특정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의 위험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raffic Sign for Pedestrian Safe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을 넘어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자동차 보유 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제 규모 확대와 소득 증가로 인하여 교통량 증가, 차량 성능 향상에 따른 도로 상에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교통 사고 형태도 대형화되어 사회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의 교통사고는 어린이들은 물론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역에 비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의 빈번한 사고는 어린이들의 주의력이 산만과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한다.
도로상에는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등, 위험 표지판, 안내 표지판, 이정표, 가로등 등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전술한 구조물 중 특히, 학교 앞의 도로변 상에 차량의 제한속도, 경적소리 금지, 차량 속도제한 표시 등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교통표지판이 설치된다.
학교 근처의 도로변 상에 설치된 교통표지판의 경우 고정된 차량의 속도제한 표시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교통상황을 정확하게 알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네 방향 각각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네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 후 네 방향으로 각각 정보를 출력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로 특정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의 위험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네 방향 각각을 촬영한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객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객체 존재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네 방향 중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존재 방향을 선별하고,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객체에 대한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부; 및 폴대 형상의 지지대로서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 획득부를 지지하는 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 획득부에서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네 방향을 각각 촬영한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제어부에서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객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서 객체 존재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네 방향 중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존재 방향을 선별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객체에 대한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 전광판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 및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네 방향 각각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네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 후 네 방향으로 각각 정보를 출력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로 특정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의 위험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에서 교통상황을 출력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에서 네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에서 객체를 인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거리에 설치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삼거리에 설치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교차로에 설치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바람직하게 사거리 교차로, 삼거리 교차로, 원형 교차로, 학교앞 횡단보도, 어린이보호구역 및 교통사고 예방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설치장소의 온도, 미세먼지 농도 실시간 측정하여 출력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키패드(버튼), 스피커,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주변을 네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교통정보를 판단하여 네 방향 중 해당 정보를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네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분석하여 인지된 객체를 기반으로 교통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 지주(130)를 포함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상면에 4면을 각각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제1 카메라(210), 제2 카메라(220), 제3 카메라(230), 제4 카메라(240))를 구비한다.
제1 카메라(210)는 제1 디스플레이(212)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방향(제1면)을 촬영한다. 제1 카메라(210)는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1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를 촬영한다.
제2 카메라(220)는 제2 디스플레이(2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방향(제2면)을 촬영한다. 제2 카메라(220)는 제1 카메라(210)와 90˚의 촬영각도를 갖도록 고정형으로 설치된다. 제2 카메라(220)는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2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를 촬영한다.
제3 카메라(230)는 제3 디스플레이(232)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3 방향(제3면)을 촬영한다. 제3 카메라(230)는 제2 카메라(220)와 90˚의 촬영각도를 갖도록 고정형으로 설치된다. 제3 카메라(230)는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3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를 촬영한다.
제4 카메라(240)는 제4 디스플레이(242)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4 방향(제4면)을 촬영한다. 제4 카메라(240)는 제3 카메라(230)와 90˚의 촬영각도를 갖도록 고정형으로 설치된다. 제4 카메라(240)는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4 방향으로 다가오는 객체를 촬영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제1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제1면(도로방향)으로 다가오는 차량을 촬영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제2면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222)로 건널목을 건너는 사람에게 전방에 차량이 다가오고 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다가오고 있는 차량의 개수, 차량의 속도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제3면 또는 제4면 방향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230) 또는 제4 카메라(240)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이 객체로 검출된 경우, 차량이 다가오는 방향의 제1면에 설치된 제1 디스플레이(212)로 존재하는 사람이 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차량의 직진 방향에 위치한 사람수, 좌회전시 위치한 사람 수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4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4면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사람 또는 차량을 인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4면 중 보행자가 이동하는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보행에 필요한 주변 차량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4면 중 차량이 이동하는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차량 주행에 필요한 주변 사람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교차로, 건널목, 삼거리, 사거리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므로, 설치된 위치에서 시간 및 계절 변화에 따라 태양의 위치에 따라 빛이 반사되더라도 화면이 변별력을 갖도록 색깔을 변경하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4면으로 출력하는 제1,2,3,4 디스플레이(212,222,232,242)별로 시간 및 계절 변화에 따라 상이한 배경색과 글자색으로 변경하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제1,2,3,4 디스플레이(212,222,232,242)별로 시간 및 계절 변화에 따라 배경색과 글자색으로 변경 기능을 시간대별로 온/오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학교앞에 설치된 경우, 제1,2,3,4 디스플레이(212,222,232,242) 중 학교에서 등하교시간에 맞춰서 학교 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배경색과 글자색으로 변경하거나 밝기를 조절하여 해당 정보가 강조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독립적인 4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네 방향 각각을 촬영한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독립적인 4면으로 이루어져서 네 방향으로 정보를 출력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방향, 각도로 설치 가능하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기반으로 판단한 교통 정보를 보행자, 운전자에게 주의, 알림으로 출력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4G/5G 통신으로 외부로부터 수신된 날씨, 미세먼지, 주의사항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로 보행자 안전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지주(130)는 폴대 형상의 지지대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지주(130)는 폴대 형상의 지지대로서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와 영상 획득부(1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에서 교통상황을 출력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10)는 제1 카메라(210), 제2 카메라(220), 제3 카메라(230), 제4 카메라(240)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카메라(210)는 제1 디스플레이(212)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1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한 제1 방향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제2 카메라(220)는 제2 디스플레이(222)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2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한 제2 방향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제3 카메라(230)는 제3 디스플레이(232)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3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한 제3 방향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제4 카메라(240)는 제4 디스플레이(242)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제4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한 제4 방향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제1 카메라(210), 제2 카메라(220), 제3 카메라(230), 제4 카메라(240)는 90˚의 촬영각도를 갖도록 고정형으로 설치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4면 전광판 디스플레이(제1 디스플레이(212), 제2 디스플레이(222), 제3 디스플레이(232), 제4 디스플레이(242))를 포함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신호등 없는 건널목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보이는 관점을 위주로 주의/경고내용을 표시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차량접근시 어린이와 차량쪽에 동시에 주의내용을 전달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경고음과 글자, 그림등 표시에 의한 주의, 알림을 네 방향에 개별적으로 표시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보는 방향에 따라 해당되는 관점에서 필요한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네 방향으로 개별적인 교통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212), 제2 디스플레이(222), 제3 디스플레이(232), 제4 디스플레이(242)를 포함한다.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디스플레이(212)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1면에 형성된다. 제2 디스플레이(222)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2면에 형성된다. 제3 디스플레이(232)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3면에 형성된다. 제4 디스플레이(242)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4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4면에 형성된다.
자동차 진행 방향인 제1면에 설치된 제1 디스플레이(21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 감속운행’을 출력한다. 건널목 방향인 제2면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22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보행중 차량주의’를 출력한다. 도보 방향인 제3면에 설치된 제3 디스플레이(23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을 출력한다. 학교 방향인 제4면에 설치된 제4 디스플레이(24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무단횡단주의’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네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분석하여 인지된 객체를 기반으로 교통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객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310)는 객체 존재 여부가 확인되면, 네 방향 중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존재 방향을 선별한다. 제어부(310)는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객체에 대한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객체 대한 개수, 속도를 보행자 안전 정보로서 생성한다. 제어부(310)는 보행자 안전 정보를 객체가 존재하는 면의 반대면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보행자 안전 정보를 객체가 존재하는 방향의 반대면 이외의 측면에 차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갖는 도로가 연결된 삼거리를 촬영한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310)는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화각을 산출한다. 제어부(310)는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화각을 기반으로 중첩 영역을 확인한다. 제어부(310)는 중첩 영역을 기반으로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서 인식하는 영역 및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중 나머지의 카메라에서 인식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부(310)는 중첩 영역 상에 동일한 타임 스템프를 갖는 객체가 동시에 인지되면, 동일한 한 방향을 내에 존재하는 동일한 객체로 인지한다. 제어부(310)는 중첩 영역을 기반으로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나는 영역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지한다.
제어부(310)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간 변화 및 계절 변화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빛이 반사되더라도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하는 배경색, 글자색 및 밝기를 조절한다. 제어부(310)는 설치 위치가 학교 앞인 경우 등하교시간에 맞춰서 학교 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정보의 배경색, 글자색을 변경하거나 밝기를 조절하여 해당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정보가 강조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하는 배경색, 글자색 및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시간대별로 온오프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310)는 설치 위치가 어린이 보호 구역인 경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인지된 객체에 대한 속도, 등하교 시간, 보행자 높이를 기반으로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결정한다.
제어부(310)는 객체 중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객체를 어린이로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어린이로 판단된 객체와 차도와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310)는 어린이로 판단된 객체와 차도와의 거리에 따라 위험도 산출한다. 제어부(310)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부 중 차도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위험도를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차도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다른 방향에 위치한 어린이의 명수, 위험도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에서 네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에서 객체를 인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를 이용하여 네 방향으로 영상을 획득한 후 전방, 측방에 위치한 보행자 수를 표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 중 차량이 다가오는 면( 운전자 쪽에서 보이는 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보행자 정보를 표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를 이용하여 네 방향으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전면에 보이는 인원수가 몇 명인지 판단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사면에 설치된 제1,2,3,4 디스플레이(212,222,232,242) 중 운전자 전방 또는 측방 진행방향 상에 보행자 수를 표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네 방향으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카메라가 향하고 있는 방향 상에 위치한 현재 보행자의 수를 카운트한다. 여기서, 카메라가 향하는 면은 인도 위에 있는 보행자뿐만 아니라 인근 인접한 지역도 포함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이나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 진행할 방향에 보이는 디스플레이 상에 인원수를 표출(표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전방이나 인근에 있는 학교나 건물 등에서 나오고 있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우회전 방향: 3명>, <직진방향 4명> 등의 문구로 운전자 관점에서 진행 방향 상에 위치하는 인원을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거리에 설치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사거리에 설치된 경우, 네 방향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필요 영역만 추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필요 영역을 분석하여 보행자를 인식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객체(보행자)를 인식하여 전방, 측방에 존재하는 보행자, 보행자인원수, 차량 존재 여부, 차량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90˚ 각도로 설치된 4개의 카메라를 동작하여 네 방향 영상을 획득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4개의 카메라(210,220,230,24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이미지를 분석하여 보행자를 감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네 방향으로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객체(보행자, 사람, 동물, 객체)를 감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카메라 설치 각도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 설치된 경우, 속도, 등하교 시간, 보행자 높이를 기반으로 네 방향에 설치된 제1,2,3,4 디스플레이(212,222,232,242)로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학교 방향으로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객체를 어린이로 판단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판별된 어린이가 차도와 떨어져 있는 거리를 산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어린이와 차도와의 거리에 따라 위험도 산출한 후 차도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차도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다른 방향(예컨대, 좌측방향, 우측방향, 전방방향)에 위치한 어린이의 명수, 위험도(예컨대, 어린이 4명 차도 근접)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삼거리에 설치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삼거리에 설치된 경우, C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각과 B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각은 일부 중첩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A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획득하는 영상으로부터는 교통에 필요한 객체를 인지할 필요가 없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A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획득하는 영상으로부터 직선보다는 45˚ 정도 방향으로 보행자를 감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C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획득하는 영상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45˚ 정도 방향으로 보행자를 감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이미지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행자를 감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E 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전광판 디스플레이부(120) 상에 (가) 와 (나) 방향에 존재하는 보행자 정보를 표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가 기 설정된 각도(예컨대, 120˚ 각도)를 갖는 도로가 연결된 삼거리에 설치된 경우, B방향에 설치된 카메라와 C방향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할 때 중첩되는 카메라 화각을 확인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중첩되는 카메라 화각을 기반으로 B 방향 촬영 영상 중 C 방향 촬영 영상과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인식하거나 B 방향 촬영 영상 중 C 방향 촬영 영상과 중첩되는 부분의 일부만을 포함하여 인식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중첩되는 카메라 화각을 기반으로 C 방향 촬영 영상 중 B 방향 촬영 영상과 중첩되는 부분을 삭제하여 인식하거나 C 방향 촬영 영상 중 B 방향 촬영 영상과 중첩되는 부분의 일부만을 포함하여 인식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B 방향 촬영 영상과 C 방향 촬영 영상의 중첩 영역에 동일한 타임 스템프를 갖는 객체가 동시에 인지되면, B 방향 촬영 영상과 C 방향 촬영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동일한 객체로 인지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B 방향과 C 방향 카메라를 조합하여 비정형적인 각도의 대응하는 각도를 산출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제1,2,3,4 카메라(210,220,230,240)가 고정형으로 서로 90˚각도로 거치되어 있으나, 제1,2,3,4 카메라(210,220,230,240)의 촬영각도와 화각이 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역 중 중첩 영역을 확인한다.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나는 경우라도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네 방향으로만 제1,2,3,4 카메라(210,220,230,240)가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중첩영역을 이용하여 사각지대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360˚ 영역을 인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교차로에 설치된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100)는 원형 교차로에 설치된 경우, 원형 교차로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10: 영상 획득부
120: 전광판 디스플레이부
130: 지주
210: 제1 카메라 220: 제2 카메라
230: 제3 카메라 240: 제4 카메라
212: 제1 디스플레이 222: 제2 디스플레이
232: 제3 디스플레이 242: 제4 디스플레이
310: 제어부

Claims (15)

  1.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네 방향 각각을 촬영한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객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객체 존재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네 방향 중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존재 방향을 선별하고,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객체에 대한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부; 및
    폴대 형상의 지지대로서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 획득부를 지지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갖는 도로가 연결된 삼거리를 촬영한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화각을 산출하고, 상기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화각을 기반으로 중첩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중첩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서 인식하는 영역 및 상기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중 나머지의 카메라에서 인식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부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1면에 형성되는 제1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2면에 형성되는 제2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3면에 형성되는 제3 디스플레이; 및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4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제4면에 형성되는 제4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상기 제1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상기 제2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상기 제3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상기 제3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화각으로 상기 제4 방향 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4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상기 제2 카메라, 상기 제3 카메라, 상기 제4 카메라는 90˚의 촬영각도를 갖도록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에 대한 개수, 속도를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로서 생성하며,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면의 반대면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방향의 반대면 이외의 측면에 차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 영역 상에 동일한 타임 스템프를 갖는 객체가 동시에 인지되면, 상기 동일한 한 방향 내에 존재하는 동일한 객체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 영역을 기반으로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나는 영역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간 변화 및 계절 변화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빛이 반사되더라도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하는 배경색, 글자색 및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치 위치가 학교 앞인 경우 등하교시간에 맞춰서 학교 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정보의 상기 배경색, 상기 글자색을 변경하거나 상기 밝기를 조절하여 해당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정보가 강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하는 배경색, 글자색 및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시간대별로 온오프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 위치가 어린이 보호 구역인 경우,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인지된 상기 객체에 대한 속도, 등하교 시간, 보행자 높이를 기반으로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중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객체를 어린이로 판단하고, 상기 어린이로 판단된 객체와 차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어린이로 판단된 객체와 차도와의 거리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한 후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부 중 차도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도방향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다른 방향에 위치한 어린이의 명수, 위험도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장치.
  15. 영상 획득부에서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네 방향을 각각 촬영한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제어부에서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객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서 객체 존재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네 방향 중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존재 방향을 선별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객체에 대한 보행자 안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 및
    전광판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네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면 중 상기 객체 존재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보행자 안전 정보를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갖는 도로가 연결된 삼거리를 촬영한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객체 존재 방향을 선별하는 과정은,
    상기 네 방향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화각을 산출하고, 상기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화각을 기반으로 중첩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중첩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서 인식하는 영역 및 상기 동일한 한 방향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중 나머지의 카메라에서 인식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 교통 안내 제공 방법.
KR1020210010178A 2021-01-25 2021-01-25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KR10226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78A KR102262946B1 (ko) 2021-01-25 2021-01-25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78A KR102262946B1 (ko) 2021-01-25 2021-01-25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946B1 true KR102262946B1 (ko) 2021-06-09

Family

ID=7641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178A KR102262946B1 (ko) 2021-01-25 2021-01-25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9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880B1 (ko) * 2021-08-13 2022-04-01 가천씨앤텍 주식회사 전광판 일체형 다기능 cctv 함체
KR102517813B1 (ko) * 2022-05-16 2023-04-04 렉스젠(주)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0197B1 (ko) * 2022-12-08 2023-06-07 전병법 차량 우회전 안전 보조장치
KR102585032B1 (ko) * 2023-02-22 2023-10-06 (주) 세종보안시스템 도로 통행 객체 인식 안전 시스템
KR102605101B1 (ko) * 2023-04-05 2023-1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신호 교차로용 스마트 신호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30264B1 (ko) * 2022-11-21 2024-01-29 렉스젠(주) 교차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878A (ko) * 2007-09-17 2009-03-20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KR20140014986A (ko) * 2012-07-27 2014-02-06 휴앤에스(주) 스쿨존 횡단보도 안내 장치
KR101794310B1 (ko) * 2017-08-28 2017-11-07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 이동 객체 충돌 방지시스템
KR102137678B1 (ko) * 2020-02-26 2020-07-27 유한회사 비츠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KR102189569B1 (ko) * 2020-06-24 2020-12-11 주식회사 문창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878A (ko) * 2007-09-17 2009-03-20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KR20140014986A (ko) * 2012-07-27 2014-02-06 휴앤에스(주) 스쿨존 횡단보도 안내 장치
KR101794310B1 (ko) * 2017-08-28 2017-11-07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 이동 객체 충돌 방지시스템
KR102137678B1 (ko) * 2020-02-26 2020-07-27 유한회사 비츠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KR102189569B1 (ko) * 2020-06-24 2020-12-11 주식회사 문창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880B1 (ko) * 2021-08-13 2022-04-01 가천씨앤텍 주식회사 전광판 일체형 다기능 cctv 함체
KR102517813B1 (ko) * 2022-05-16 2023-04-04 렉스젠(주)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9508B1 (ko) * 2022-05-16 2023-06-30 렉스젠(주)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0264B1 (ko) * 2022-11-21 2024-01-29 렉스젠(주) 교차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0197B1 (ko) * 2022-12-08 2023-06-07 전병법 차량 우회전 안전 보조장치
KR102585032B1 (ko) * 2023-02-22 2023-10-06 (주) 세종보안시스템 도로 통행 객체 인식 안전 시스템
KR102605101B1 (ko) * 2023-04-05 2023-1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신호 교차로용 스마트 신호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946B1 (ko) 보행자 안전용 네 방향 교통 표지 시스템
KR102280338B1 (ko) 상황 예측 기반 교차로 위험 경보 시스템
JP6861375B2 (ja) 表示システム、情報提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CN109906166B (zh) 直观被遮挡对象指示器
JP4783430B2 (ja) 駆動制御装置、駆動制御方法、駆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24973B1 (ko)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 이동객체 충돌 방지 시스템
US9679196B2 (en) Object sensing device
KR102296105B1 (ko) 스마트 센서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안전지원 시스템
BR112018009138B1 (pt) Aparelho de operação de veículo autônomo e método de operação de veículo autônomo
KR102211552B1 (ko) 역주행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062589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스마트 통합안내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감시시스템
KR101744282B1 (ko) 보행 안전용 사각지대 투영 안내시스템
JP2011108175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100692109B1 (ko) 스쿨존 안전 시스템
KR101655730B1 (ko) 빔프로젝터를 구비한 스마트형 교통안전시스템
KR20210095350A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4667643U (zh) 一种用于弯道会车预警的预警系统
KR102526583B1 (ko) 딥러닝 기반 교차로 객체검지 및 자동 알람 시스템
KR20160092963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89501B1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KR20230120954A (ko) 딥러닝 기술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자 우회전차량 간 교통사고 예방 스마트 동영상 제공 전광판
KR20200111936A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5453B1 (ko)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
KR20220132367A (ko) 사각지대 감시를 위한 스마트 스쿨존 시스템
KR102366042B1 (ko) 인공 지능 기반 교통 안전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