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547B1 -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547B1
KR102261547B1 KR1020190032259A KR20190032259A KR102261547B1 KR 102261547 B1 KR102261547 B1 KR 102261547B1 KR 1020190032259 A KR1020190032259 A KR 1020190032259A KR 20190032259 A KR20190032259 A KR 20190032259A KR 102261547 B1 KR102261547 B1 KR 10226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composition
barley spr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188A (ko
Inventor
임지환
여형민
류병주
이명은
최철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
Priority to KR102019003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6Function of food ingredients pH modificatio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보리싹 추출물은 특히 마이크로 버블로 추출하는데, 이러한 추출법은 유효성분 이외의 불필요한 성분 용출이 적어 별도의 후처리 없이 식품 또는 의약에 바로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하며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해 유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음료 및 첨가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EXTRACT OF BARLEY SPROU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헛개 추출액 및 마이크로 버블로 추출한 보리싹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신체에서 두 번째로 큰 장기로서, 대표적으로 해독작용을 하며 물질대사에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 혈관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 알콜은 알콜탈수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전환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전환된 후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숙취현상은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된 에탄올(ethanol) 및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에 의해 구토, 설사, 어지러움,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 불량, 비타민 결핍 등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일 때부터 작용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어야 작용을 하는 Ⅰ형이 있다. 동양인은 타인종과 비교하여 Ⅱ형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가 결핍되어 있거나 부족하므로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가 느리다. 따라서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된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각종 숙취현상을 더 많이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알콜성 간질환에는 간 세포내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축적에 의한 지방간 (fatty liver), 알콜에 의한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알콜성 간염 (hepatitis), 이러한 간의 만성염증으로 간조직이 섬유화조직으로 변형되는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등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과도한 음주에 따른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제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간 건강에 도움'으로 효능을 개별 인정한 원료에는 밀크씨슬 추출물, 브로콜리스프라우트 분말, 표고버섯균사체,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 복분자 추출분말 등이 있고 '알콜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으로 효능을 개별 인정한 원료에는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유산균발효다시마 추출물 등이 있다. 최근 상기 예시의 원료를 사용한 각종 제제 형태의 식품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대다수는 드링크제이고 간혹 환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데 있어 일부의 생리적 개선효과만 있거나 임상적으로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주로 인한 숙취증상을 해소하고 알콜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이 더욱 향상된 식품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보리싹 추출액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 100 중량부,
보리싹 추출액 4.5 내지 8.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7.7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8 내지 7.0 중량부,
헛개 추출액 0.9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중량부,
비타민C 0.27 내지 0.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1 내지 0.46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2 중량부,
설탕 13.5 내지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4 내지 2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7.3 내지 21.1 중량부, 및
pH 조절제 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47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 내지 0.43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2 내지 0.39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 당,
홍차가루 0.018 내지 0.03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03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3 내지 0.028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 당,
녹차가루 0.04 내지 0.0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07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 당,
레몬향 0.18 내지 0.3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3 내지 0.28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리싹 추출액은
(A) 물 1000 중량부에 보리싹 분말 70 내지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 중량부를 침지하는 단계;
(B) 마이크로 버블을 가하여 상온에서 7 내지 15 시간,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여액을 2 내지 7 brix,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brix,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 추출액은 40 내지 80 brix,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 brix,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brix로 농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헛개 추출액은 헛개나무열매 추출액, 헛개나무뿌리 추출액, 헛개나무잎 추출액, 헛개나무줄기 추출액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 추출액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수반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추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사과산, 젖산, 탄산, 인산, 주석산, 그 염류, 또는 그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구연산암모늄, 사과산나트륨, 젖산나트륨, 젖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0.21 내지 0.3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4 내지 0.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6 내지 0.32 중량부, 및
구연산나트륨 0.04 내지 0.0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07 중량부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유화제, 바람직하게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계 유화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 디올레에이트, 수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디팔미테이트, 수크로오스 디미리스테이트, 수크로오스 디라우레이트, 수크로오스 모노올레에이트, 수크로오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모노팔미테이트, 수크로오스 모노미리스테이트, 수크로오스 모노라우레이트 및 그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보존제, 바람직하게는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데히드로초산, 데히드로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벤조산나트륨, 아질산나트륨, 에르소르빈산 및 그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가) 청구항 1의 성분들을 준비하여 칭량하는 단계;
(나) 상기 칭량된 성분들을 용기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20 내지 60 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다) 상기 단계 (나)에서 교반된 조성물을 여과하는 단계;
(라) 상기 단계 (다)에서 여과된 여액을 멸균된 용기에 수용하는 단계; 및
(마) 상기 단계 (라)의 여액을 수용한 용기를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보간지수(保肝指數)는 3.0 내지 5.6,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5.1, 보다 바람직하게는 3.9 내지 4.7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사포나린을 함유한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사포나린은 생체내 알콜 분해를 촉진하여 혈중 알콜 농도를 신속히 저하시킴으로써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리싹 추출액은 특히 마이크로 버블로 추출함으로써, 기존 열수 추출에 비하여 사포나린 함량이 높다. 그리고, 열수 추출에 비해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든다. 또한, 사포나린 외의 성분은 추출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후처리 없이 식품 또는 의약에 바로 적용할 수 있고 안전하며 복용이 용이하다. 또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음료 및 첨가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 등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보간지수(保肝指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9029069910-pat00001
.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
보리싹 추출액 4.5 내지 8.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7.7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8 내지 7.0 중량부,
헛개 추출액 0.9 내지 1.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중량부,
비타민C 0.27 내지 0.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1 내지 0.46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2 중량부,
설탕 13.5 내지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4 내지 2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7.3 내지 21.1 중량부, 및
pH 조절제 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47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 내지 0.43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2 내지 0.39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리는 구하기 쉽고 재배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장점이 있다. 이 중 보리싹은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식이섬유,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항산화기능 등 다양한 생리활성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담을 위해 민간에서 주로 쓰인 흰 무궁화의 유효성분 중의 하나인 사포나린이 보리싹에서 발견되었는데, 본 발명자들은 사포나린이 간기능 개선효과까지 보유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상기 보리싹 추출액은
(A) 물 1000 중량부에 보리싹 분말 70 내지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 중량부를 침지하는 단계;
(B) 마이크로 버블을 가하여 상온에서 7 내지 15 시간,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여액을 2 내지 7 brix,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brix,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보리싹 분말의 양과 단계 (B)의 추출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보리싹으로부터 사포나린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추출효율이 낮아져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D)에서 농축 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목적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본 발명 조성물의 보관기간이 짧아지고 혼합 및 음용이 다소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보리싹 추출을 위해 마이크로 버블을 도입한 것이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건조된 보리싹 분말을 저온의 물에 침지 후 마이크로 버블을 가함으로써, 보리싹의 유용성분 중 사포나린의 추출효율을 높이고, 기타 다른 불순물의 추출을 하지 않음으로써 사포나린의 함량이 우수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마이크로 버블은 일반기포와 달리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멸한다. 이와 달리 일반기포는, 물속에서 상승해 표면에서 파열한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은 초 극미한 거품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즉 그 사용분야가 온천욕부터 암진단까지 광범위하며 피부도 재생해주는 데다가 살균효과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공급수가 미세기포로 전환되는 과정은 기포가 함유된 공급수가 미세관로가 구비된 발생수단의 미세 관로를 통과하는 중에 분리 및 압축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직경이 1 내지 수십 ㎛ 형 초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용존 산소가 증가한 마이크로 형 입자 처리공법은, 용질의 깊숙한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용수(容手)의 산소포화농도를 증가시켜 수질을 개선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보리싹의 추출은 물, 발효주정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선택되는 것을 추출용매로 하고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온의 상태에서 추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포나린 외의 다른 성분들도 같이 추출되어서 영양학적으로는 우수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으나, 전체 중량 대비 사포나린의 함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헛개나무 (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경기, 강원 이남의 표고 50 내지 800 m에 분포하고 있으며 호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蜜), 현포리(玄圃梨) 등으로도 불린다. 수피는 검은 빛을 띤 회색으로 세로로 갈라지고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으며, 잎의 앞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없거나 있다. 열매는 9~10 월에 익으며 둥근 모양이고 갈색을 띤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헛개나무는 가을이 되면 열매 대궁이 비대해지면서 산호 모양으로 되는데, 이것을 약으로 쓰며 맛이 달아서 사람들이 먹는다. 열매에는 숙취를 덜게 하고 간을 보호해 주는 약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림청 산하 임업연구원에서 이루어진 과학적인 조사에 따르면 헛개나무는 열매와 잎, 목재 중에 열매를 포함한 열매자루에 약효성분이 가장 많다고 한다. 열매 자루에서 추출한 물질을 분석해본 결과, 고분자의 친수성(親水性)이며, 산 분해에도 강한 분자량 114,500 정도이고 물에 잘 녹는 구조를 갖는 다당류(polysaccharide)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물질에 간 독성 해소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헛개나무는 사염화타탄소로 유도한 간 소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Hase K et al., Biol Pharm Bull 20(4):381-385, 1997), 헛개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디하이드로플라보논(dihydroflavonols), 호베니틴(hovenitins) I, II 및 III가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Yoshikawa M et al., Yakugaku Zasshi 117(2):108-118, 1997). 헛개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석탄산 화합물 (phenolic compound)에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로 유도한 뇌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Li G et al., Arch Pharm Res 28(7):804-809, 2005), 헛개나무 열매는 급성 알코올 투여시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Ji Y et al., Zhong Yao Cai 24(2):126-128, 2001)
상기 헛개 추출액은 헛개나무열매 추출액, 헛개나무뿌리 추출액, 헛개나무잎 추출액, 헛개나무줄기 추출액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헛개 추출액은 40 내지 80 brix,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 brix,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brix로 농축될 수 있다.
상기 헛개 추출액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수반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고,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추출일 수 있다.
비타민C는 Ascorbic Acid로 중추신경계, 간, 호르몬 활성조직의 반산화 (anti-oxidant)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부신피질의 anti-stress 호르몬 생산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타민C는 스트레스 해소 및 피부건강 유지에 좋은데, 특히 음주 후 숙취해소 시 스트레스성 피로감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신맛을 첨가함으로써 갈증 해소와 피로회복, 청량감 등의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 pH 조절제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사과산, 젖산, 탄산, 인산, 주석산, 그 염류, 또는 그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구연산암모늄, 사과산나트륨, 젖산나트륨, 젖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0.21 내지 0.3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4 내지 0.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6 내지 0.32 중량부, 및 구연산나트륨 0.04 내지 0.0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07 중량부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 당, 홍차가루 0.018 내지 0.03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03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3 내지 0.028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홍차는 폴리페놀 성분과 카테킨 등 다양한 식물성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찻잎을 발효시켜서 마시는 대표적인 차로 유명하다. 또한, 홍차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줄 뿐 아니라 이뇨를 촉진시켜 젖산과 체내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시켜 피로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홍차에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이 중금속을 흡착하여 침전 및 분해시켜 주고, 특히 폴리페놀은 숙취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한다. 또한, 카테킨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 이하 "EGCG"라 칭함)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epicatechin gallate, 이하 "ECG"라 칭함) 등의 카테킨 갈레이트 (catechin gallate, 이하 "CG"라 칭함)과 그 외 에피카테킨 (epicatechin. 이하 "EC"라 칭함) 및 에피갈로카테킨 (epigallocatechin, 이하 "EGC"라 칭함) 등의 여러 종류의 카테킨을 포함하며, 카테킨은 장에서 알코올의 흡수를 저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 당, 녹차가루 0.04 내지 0.0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07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녹차는 상기 홍차와 마찬가지로 폴리페놀 성분과 카테킨이 풍부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 당, 레몬향 0.18 내지 0.3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3 내지 0.28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유화제, 바람직하게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계 유화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 디올레에이트, 수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디팔미테이트, 수크로오스 디미리스테이트, 수크로오스 디라우레이트, 수크로오스 모노올레에이트, 수크로오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모노팔미테이트, 수크로오스 모노미리스테이트, 수크로오스 모노라우레이트 및 그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보존제, 바람직하게는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데히드로초산, 데히드로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벤조산나트륨, 아질산나트륨, 에르소르빈산 및 그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가) 전술한 성분들을 준비하여 칭량하는 단계;
(나) 상기 칭량된 성분들을 용기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20 내지 60 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다) 상기 단계 (나)에서 교반된 조성물을 여과하는 단계;
(라) 상기 단계 (다)에서 여과된 여액을 멸균된 용기에 수용하는 단계; 및
(마) 상기 단계 (라)의 여액을 수용한 용기를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보간지수(保肝指數)는 3.0 내지 5.6,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5.1, 보다 바람직하게는 3.9 내지 4.7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보간지수(保肝指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9029069910-pat00002
.
상기 보간지수는 숙취해소와 간기능개선의 보조성분인 홍차가루 및 녹차가루의 양에 대한 주성분인 보리싹 추출액 및 헛개 추출액의 양과 보리싹의 마이크로 버블 추출시간에 대한 조성물 전체의 교반시간을 곱한 지수이다. 보간지수가 상기 범위 이내일 때 경제성을 유지하면서도 숙취해소와 간기능개선의 효과를 충분히 누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제조예: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보리싹 추출물의 제조
보리싹 (드림스, 한국) 건조 분말 100 g을 상온의 1 ℓ 정제수에 침지하고, 마이크로 버블 공급장치를 용기하단에 설치한 후 상온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 후, 상기 수득된 여액을 4 brix가 되도록 농축 후 보리싹 추출물을 수득했다.
실시예: 보리싹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상기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보리싹를 주원료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대로 각 재료들을 준비하여 칭량한 후 조제탱크에 투입한 후 30분 간 상온 교반하여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한후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구분 중량 %
정제수 78.15
보리싹 추출액 (4 brix) 5
헛개 추출액 (55 brix, 엔투제이바이오, 한국) 1
비타민C 0.3
설탕 15
구연산 0.23
구연산나트륨 0.05
홍차가루 (Martin Bauer Group, 독일) 0.02
녹차가루 (엔바이오텍, 한국) 0.05
레몬향 (1000 ppm, 삼정향료, 한국) 0.2
시험예 1: 관능평가
1) 시험대상
남자 20 명과 여자 2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령분포는 20 대 5 명, 30 대 8 명, 40 대 15 명, 50 대 6 명, 60 대 이상 6 명이었다. 시험기간 평균 소주 섭취량은 1.3 병이었으며, 피험자들의 평소 주량은 평균 1.3 병이었다.
2) 복용시간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시기는 음주 전 19 명, 음주 후 14 명, 음주 간 7 명, 총 3 군으로 구성하였다.
3) 설문조사
관능평가는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 숙취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시험군으로 본 발명 복용 후의 숙취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숙취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19029069910-pat00003
음주 후의 숙취의 증상으로는 불쾌감, 울렁거림, 식욕부진, 발열, 속쓰림, 구역질, 구토, 두통 등으로 나타났고 심한 사람은 이틀 이상 지속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위의 증상에 대해서 평소 있었던 증상으로 4 개 이상이라는 사람은 15 명, 3개라는 사람은 14 명, 2 개라는 사람은 9 명, 1 개라는 사람은 2 명으로 숙취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40 명이었다. 구체적으로 두통 15 명, 울렁거림 9 명, 구역질 및 구토 경험이 23 명, 식욕부진 13 명, 발열 13 명, 속쓰림 27 명, 불면증 22 명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설문조사 대조군으로 하였다.
숙취 증상 예방 및 개선 효과의 경험자는 40 명, 비 경험자는 0 명으로 나타났다. 경험한 효능은 두통 개선 14 명, 울렁거림 개선 8 명, 구역질 및 구토 개선 31 명, 식욕 부진 개선 5 명, 발열 개선 9 명, 속쓰림 개선 22 명, 불면증 개선 16 명으로 나타났다. 그 외 숙취개선효과는 술이 늦게 취함이 27 명, 술이 금방 깸이 18 명이 나타났다. 구매의향은 40 명 중 38 명이었다. 이러한 관능평가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숙취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물 100 중량부,
    보리싹 추출액 6.4 중량부,
    헛개 추출액 1.3 중량부,
    비타민C 0.38 중량부,
    설탕 19.2 중량부,
    pH 조절제 0.36 중량부,
    홍차가루 0.03 중량부, 및
    녹차가루 0.06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리싹 추출액은
    (A) 물 1000 중량부에 보리싹 분말 100 중량부를 침지하는 단계;
    (B) 마이크로 버블을 가하여 상온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여액을 4 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헛개 추출액은 55 brix로 농축된 것이고,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및 그 나트륨염의 혼합물이고,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보간지수(保肝指數)는 4.3인,
    Figure 112021032843759-pat00004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32259A 2019-03-21 2019-03-21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59A KR102261547B1 (ko) 2019-03-21 2019-03-21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59A KR102261547B1 (ko) 2019-03-21 2019-03-21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88A KR20200112188A (ko) 2020-10-05
KR102261547B1 true KR102261547B1 (ko) 2021-06-07

Family

ID=7280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259A KR102261547B1 (ko) 2019-03-21 2019-03-21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570B1 (ko) * 2014-12-17 2015-08-1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1817282B1 (ko) 2016-10-31 2018-01-10 (주)참선진녹즙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212A (ko) * 2000-12-16 2002-06-22 김용기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2960A (ko) * 2003-04-30 2004-11-04 (주)광개토바이오텍 간기능개선효과와 숙취개선효과가 우수한 헛개나무열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0771524B1 (ko) *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410791B1 (ko) * 2012-08-28 2014-06-24 김영욱 발효 한약재 추출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570B1 (ko) * 2014-12-17 2015-08-1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1817282B1 (ko) 2016-10-31 2018-01-10 (주)참선진녹즙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88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5316B (zh) 一种藤茶菊花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10201067B (zh) 一种藤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KR101544570B1 (ko)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32443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01361B1 (ko) 오디즙을 이용한 천연탄산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07557204B (zh) 一种混酿荔枝玫瑰酒及其制备方法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228463B1 (ko) 상황버섯을 함유하는 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1547B1 (ko)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5728B1 (ko) 천식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4309B1 (ko) 어성초를 비롯한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청량음료의 제조 방법
KR102395717B1 (ko) 흑마늘홍삼 음료 베이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혼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140219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개똥쑥 어린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170133554A (ko)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099B1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380267B (zh)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