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290B1 -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290B1
KR102261290B1 KR1020170035868A KR20170035868A KR102261290B1 KR 102261290 B1 KR102261290 B1 KR 102261290B1 KR 1020170035868 A KR1020170035868 A KR 1020170035868A KR 20170035868 A KR20170035868 A KR 20170035868A KR 102261290 B1 KR102261290 B1 KR 10226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ue
regenerative braking
vehicle
control
brake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501A (ko
Inventor
유진영
박상우
박정섭
차강주
이장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290B1/ko
Priority to US15/698,003 priority patent/US10525977B2/en
Priority to CN201710914265.6A priority patent/CN108621803B/zh
Publication of KR2018010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8Controlling the brak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83Setting, resetting, calibration
    • B60W2050/0088Adaptive re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60W2530/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10Historic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using tele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25Regenerative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을 자동 제어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생제동 제어 서버를 통해 차량의 운행정보 및 운행환경을 고려하여 회생제동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회생제동레벨을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차량 운전자가 회생제동레벨을 직접 설정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를 통해 회생제동 제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회생제동레벨을 수신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함으로써 운전 편의성과 안정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ECO-FRIENDLY VEHICLE}
본 발명은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을 자동 제어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생제동 시스템은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의 감속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차량 운전자의 악셀 페달 OFF 또는 브레이크 페달 ON 시점에 회생제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고 이후 주행시 충전된 에너지를 사용한다.
종래 친환경 차량에서는 악셀 페달 OFF시 회생제동레벨을 운전자가 직접 설정하나, 운전자가 차량이 통과하고 있는 도로의 특성과 주행속도를 바탕으로 회생제동레벨을 최적의 상태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회생제동력을 과하게 설정하는 경우 타력주행 활용이 불가능하며 운전자의 의도보다 더 감속되는 점에서 주행감이 저하된다. 또한,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회생제동에 의해 감속되는 경우 재가속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연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회생제동레벨을 약하게 설정하는 경우 운전자가 감속을 위해 여러번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해야 하므로 운전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의 운행정보 및 운행환경을 고려하여 회생제동 자동 제어를 위한 회생제동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회생제동 레벨을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차량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에 있어서,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정보 수신부, 수신된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별 최대 연비를 제공하는 회생제동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제1 제어값 산출부, 그리고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에 기초하여 제1 차량의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하고, 산출된 제1 제어값과 설정된 제동등급에 대응하는 제2 제어값을 산출하여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2 제어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를 제안한다.
여기서, 전송된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 중 악셀 페달 조작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는 제3 제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3 제어값을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3 제어값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정보는 차량의 위치, 속도, 연료량, 악셀 페달 조작 횟수, 브레이크 페달 조작 횟수, 브레이크 페달 조작 지속시간, 그리고 회생제동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제1 제어값 산출부는 수집된 환경정보와 수신된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차량별 연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량별 연비에 대응하는 회생제동레벨을 학습하여 제1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값 산출부는 제1 제어값에 도로구간별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제2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값 산출부는 악셀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증가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소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차량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를 이용하며, 운행정보 수신부에서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제어값 산출부에서 수신된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별 최대 연비를 제공하는 회생제동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에 기초하여 제1 차량의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제1 제어값과 설정된 제동등급에 대응하는 제2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제2 제어값을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운행정보 수신부에서 전송된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악셀 페달 조작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제3 제어값 산출부에서 수신된 악셀 페달 조작횟수 또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는 제3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제3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제3 제어값을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제1 제어값 산출부에서 수집된 환경정보와 수신된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차량별 연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량별 연비에 대응하는 회생제동레벨을 학습하여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제1 제어값에 도로구간별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제2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제3 제어값 산출부에서 악셀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증가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소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자동차의 연비 및 주행감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운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 서버의 구성이다.
도 2는 도 1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회생제동레벨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내연 엔진과 배터리 엔진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배터리 엔진만을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회생제동레벨"은 악셀 페달을 완전히 놓았을 때(OFF)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는 강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회생제동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경우 악셀 페달 OFF시 운전자는 차량의 제동력을 강하게 느끼나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효율은 향상된다. 반면, 회생제동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경우 악셀 페달 OFF시 운전자는 차량의 제동력을 약하게 느끼나 탄력 주행에 의해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효율은 저하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로구간"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도로를 구획한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거리, 도로의 종류, 또는 랜드마크 등을 기준으로 도로를 구획하여 도로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 서버의 구성이다.
도 1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대응하는 최적의 회생제동레벨을 산출하여 제공하며, 다수의 차량(200, 300, 400, …)에 각각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는 환경정보 수집부(110), 운행정보 수신부(120), 제1 데이터베이스(130), 제1 제어값 산출부(140), 제2 제어값 산출부(150), 제3 제어값 산출부(160), 그리고 제2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
환경정보 수집부(11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도로 구배, 교통량, 정체 시간 및 날씨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운행정보 수신부(120)는 다수의 차량(200, 300, 400, …)에 각각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제1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운행정보는 차량의 식별정보, 위치, 속도, 연료량, 악셀 페달/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 그리고 회생제동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회생제동 제어정보는 제어모드(수동 또는 자동), 수동모드시 운전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회생제동레벨을 포함한다.
제1 제어값 산출부(14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와 복수개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학습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서 연비가 최대인 회생제동레벨(이하 '제1 제어값'이라고 함)을 산출한다. 또한, 각 도로구간에 위치하는 차량 중 회생제동이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해당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운행정보 중 위치, 속도 및 연료량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차량별 평균속도, 연료소모량 및 연비를 산출한다. 또한, 환경정보와 산출된 연료소모량을 고려하여 도로구간별 연비가 최대인 제1 제어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환경정보는 운행정보가 수신된 시간의 교통량 또는 날씨일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값 산출부(140)는 차량의 운행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제동패턴을 학습하고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통계적 방법 중에서 아래 수학식 1의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7028215976-pat00001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횟수를 s, 평균지속시간을 t라고 할 때 운전자의 제동등급(Class)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조작횟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Class A : s > 기준 횟수 & t < 기준 시간
=>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빈도가 높고, 조작 지속시간이 짧음
Class B : s > 기준 횟수 & t > 기준 시간
=>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빈도가 높고, 조작 지속시간이 김
Class C : s < 기준 횟수
=>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빈도가 낮음
제2 제어값 산출부(150)는 제1 제어값에 운전자의 제동등급에 대응하는 표준편차를 반영하여 제2 제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제어값을 해당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표준편차(σ)는 해당 도로구간의 평균속도를 기준으로 해당 운전자 차량의 속도가 빠른지 또는 느린지를 나타내는 보정치 기준값이다.
예를 들어, 제1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이 50kph이며, 제1 차량(200)이 제1 도로구간에 위치하며, 제1 차량 운전자의 제동등급이 C인 경우 50kph에 표준편차 10kph를 반영한 60kph를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제어값 산출부(160)는 제2 제어값에 따라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차량 운전자의 악셀 페달/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따라 제2 제어값을 보정하여 제3 제어값을 생성하고 제3 제어값을 해당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차량(200)이 제2 제어값에 따라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중 제1 차량 운전자의 악셀 페달 조작횟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횟수 이상인 경우 제2 제어값에 반영되어 있는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증가율을 반영하여 제3 제어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3 제어값을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1 차량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횟수 이상인 경우 제2 제어값에 반영되어 있는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소율을 반영하여 제3 제어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3 제어값을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170)는 제1 제어값, 제2 제어값, 그리고 제3 제어값을 저장한다.
도 1의 다수의 차량(200, 300, 400, …)은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로 구현되며, 다수의 차량(200, 300, 400, …)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제1 차량(2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차량(200)은 회생제동레벨 스위치(210), 그리고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를 포함한다.
회생제동레벨 스위치(21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회생제동레벨을 이용하는 수동모드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수동버튼(Level 0, Level 1, Level 2, Level 3)과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값을 이용하는 자동모드에 대응하는 하나의 자동버튼(Auto)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evel 0은 악셀 페달에서 발을 떼면 타이어의 타력에 의해 주행하는 단계, Level 1은 제동력이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브레이크 수준인 단계, Level 2는 제동력이 엔진브레이크보다 좀 더 큰 단계, 그리고 Level 3(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배터리 충전을 위해 감속되면서 제동)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아도 차량 운행이 가능한 단계를 의미한다.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값, 제2 제어값, 또는 제3 제어값 중 하나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제동을 수행하며, 운행정보 전송부(221), 제어값 수신부(222), 그리고 회생제동 제어부(223)를 포함한다.
운행정보 전송부(221)는 운행 중인 제1 차량의 식별정보, 위치, 속도, 연료량, 악셀 페달/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 그리고 회생제동 제어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으로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로 전송한다.
제어값 수신부(222)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값, 제2 제어값, 또는 제3 제어값을 수신한다.
회생제동 제어부(223)는 수신된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며, 회생제동 제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값, 제2 제어값, 또는 제3 제어값에 따라 차량에 위치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부(223)는 제3 제어값, 제2 제어값, 제1 제어값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회생제동레벨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제1 도로구간에 위치하는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에 회생제동 제어값을 제공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도로 구배, 교통량, 정체 시간 및 날씨 정보를 수집하고, 제1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S10).
이후, 운행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다수의 차량에 각각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S12).
이후, 제1 제어값 산출부(1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산출한다(S14). S14 단계에서는 S10 단계에서 수집된 도로구간별 환경정보와 S12 단계에서 수신된 운행정보를 학습하여 제1 제어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1 제어값 산출부(140)를 통해 각 차량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한다(S16). S16 단계에서는 S12 단계에서 수신된 운행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 및 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운전자별 제동패턴을 학습하고 운전자별 제동등급을 설정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이후, 제1 차량의 회생제동이 자동제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18) 제2 제어값 산출부(150)를 통해 제1 차량이 위치하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제1 제어값에 제1 차량 운전자의 제동등급에 대응하는 표준편차를 반영한 제2 제어값을 산출하여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로 전송한다(S20).
이후, 운행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차량의 악셀 페달 조작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를 수신한다(S22). 이때, 제1 차량은 S20 단계에서 전송된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한다.
이후, 제3 제어값 산출부(160)는 S22 단계에서 수신된 악셀 페달 조작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기초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고 제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220)로 전송한다(S24). S24 단계에서는 S20 단계에서 산출된 제2 제어값에 포함되어 있는 표준편차를 보정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환경 및 운행정보를 학습하여 악셀 페달 OFF 시점의 회생제동 사용 정도를 최적화함으로써 주행감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악셀 페달/브레이크 페달의 조작횟수 및 지속시간에 따라 운전자의 감속 의도를 파악하고 회생제동레벨을 낮게 설정하여 타행 주행을 활용함으로써 재가속으로 인한 연료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로특성, 교통량 및 날씨의 영향으로 차량의 잦은 감속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회생제동레벨을 높게 설정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운전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회생제동레벨을 직접 설정하지 않더라도 회생제동 제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함으로써 운전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회생제동 제어 서버
110 : 환경정보 수집부
120 : 운행정보 수신부
130 : 제1 데이터베이스
140 : 제1 제어값 산출부
150 : 제2 제어값 산출부
160 : 제3 제어값 산출부
170 : 제2 데이터베이스
200, 300, 400 : 차량
210 : 회생제동레벨 스위치
220 : 회생제동 제어장치
221 : 운행정보 전송부
222 : 제어값 수신부
223 : 회생제동 제어부

Claims (12)

  1. 제1 차량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운행정보 수신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
    수신된 상기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별 최대 연비를 제공하는 회생제동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제1 제어값 산출부, 그리고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운행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량의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하고, 산출된 상기 제1 제어값과 설정된 상기 제동등급에 대응하는 제2 제어값을 산출하여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2 제어값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값 산출부는 차량의 위치, 속도, 연료량, 악셀 페달 조작 횟수, 브레이크 페달 조작 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 지속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운행정보와 상기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차량별 연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차량별 연비에 대응하는 회생제동레벨을 학습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
  2. 제1항에서,
    전송된 상기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 중 악셀 페달 조작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는 제3 제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3 제어값을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3 제어값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서,
    상기 제2 제어값 산출부는 상기 제1 제어값에 도로구간별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상기 제2 제어값을 산출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
  6. 제5항에서,
    상기 제3 제어값 산출부는 상기 악셀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증가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소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
  7. 제1항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을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
  8. 제1 차량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회생제동 제어 서버를 이용하는 회생제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운행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다수의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1 제어값 산출부에서 수신된 상기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별 최대 연비를 제공하는 회생제동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운행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량의 운전자의 제동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제어값과 설정된 상기 제동등급에 대응하는 제2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2 제어값을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정보와 수신된 상기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로구간에 대응하는 차량별 연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차량별 연비에 대응하는 회생제동레벨을 학습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운행정보 수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악셀 페달 조작횟수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제3 제어값 산출부에서 수신된 상기 악셀 페달 조작횟수 또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는 제3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3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3 제어값을 상기 제1 차량에 위치하는 회생제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서,
    상기 제2 제어값 산출부에서 상기 제1 제어값에 도로구간별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상기 제2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3 제어값 산출부에서 상기 악셀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증가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편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감소율을 적용하여 제3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패턴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 횟수 및 지속시간을 포함하는 회생제동 제어 방법.
KR1020170035868A 2017-03-22 2017-03-22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226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868A KR102261290B1 (ko) 2017-03-22 2017-03-22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5/698,003 US10525977B2 (en) 2017-03-22 2017-09-07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eco-friendly vehicle
CN201710914265.6A CN108621803B (zh) 2017-03-22 2017-09-30 用于控制环保车辆的再生制动的服务器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868A KR102261290B1 (ko) 2017-03-22 2017-03-22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01A KR20180107501A (ko) 2018-10-02
KR102261290B1 true KR102261290B1 (ko) 2021-06-04

Family

ID=6358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868A KR102261290B1 (ko) 2017-03-22 2017-03-22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5977B2 (ko)
KR (1) KR102261290B1 (ko)
CN (1) CN1086218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0126B2 (ja) * 2018-06-01 2022-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走行制御装置
CN111483444B (zh) * 2019-01-29 2021-07-16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制动控制方法及装置
JP7322826B2 (ja) * 2020-07-03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進行方向推定装置
US11958383B2 (en) 2021-03-14 2024-04-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system
KR102493524B1 (ko) * 2021-04-13 2023-02-01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610A (ja) 2008-05-15 2009-11-26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11115002A (ja) 2009-11-30 2011-06-09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3034339A (ja) 2011-08-03 2013-02-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制御装置
WO2013183764A1 (ja) * 2012-06-07 2013-12-1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エネルギー推定装置、車両用情報システム、サーバ装置
JP2015193329A (ja) 2014-03-31 2015-11-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の運動制御システム、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917A (en) * 1997-08-04 1999-06-22 Trimble Navigation Limited Fuel consumption estimation
KR100588560B1 (ko) * 2003-10-10 2006-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회생 제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00057280A1 (en) * 2008-08-29 2010-03-04 Paccar Inc Informatio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vehicles
KR101209609B1 (ko) 2010-11-12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전거의 주행모드 제어 방법
CN105034817B (zh) * 2015-07-23 2017-03-15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多约束条件下的电动汽车再生制动控制方法
CN106218421B (zh) * 2016-09-07 2019-09-1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控制车辆再生制动的方法和系统
CN106394259B (zh) * 2016-11-10 2018-06-26 长春工业大学 一种电动汽车制动力再分配的实现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610A (ja) 2008-05-15 2009-11-26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11115002A (ja) 2009-11-30 2011-06-09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3034339A (ja) 2011-08-03 2013-02-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制御装置
WO2013183764A1 (ja) * 2012-06-07 2013-12-1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エネルギー推定装置、車両用情報システム、サーバ装置
JP2015193329A (ja) 2014-03-31 2015-11-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の運動制御システム、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73039A1 (en) 2018-09-27
CN108621803B (zh) 2022-07-15
CN108621803A (zh) 2018-10-09
KR20180107501A (ko) 2018-10-02
US10525977B2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290B1 (ko)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0632985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predicting driving pattern in the same
CN107368069B (zh) 基于车联网的自动驾驶控制策略的生成方法与生成装置
CN107839684B9 (zh) 车辆行驶控制装置
US8410957B2 (en) Traffic light passing support system, in-vehicle apparatus for the same, and method for the same
JP5231900B2 (ja) 車両の動力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0343672B2 (en) Operation schemes for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JP6760331B2 (ja) 車両制御装置
CN104044462A (zh) 基于日历事件的用户接口系统和方法
KR20180051342A (ko) 차량-대-차량(v2v) 통신에 기반한 파워트레인 시스템의 예측 제어
CN106915277B (zh) 电动汽车动力总成控制系统
KR102518656B1 (ko) 친환경 차량의 토크 분담식 관성주행제어방법
JP6105439B2 (ja) 減速度設定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47353B (zh) 车辆滑行转矩控制系统和使用该系统的方法
JP6332234B2 (ja) 車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194156A (zh) 智能网联混合动力汽车主动避撞增强学习控制系统和方法
US2018012697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using driving information of forward vehicle
CN116142185A (zh) 自适应巡航控制激活
DE102015226647A1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ntriebsstrangs eines Fahrzeugs
CN115140046A (zh) 一种车辆控制方法、系统、车辆控制器及云服务器
US20220250621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Following Running System
CN114132181A (zh) 车辆控制方法和装置、介质、设备
CN114954475A (zh) 动力传动系统情境校准
US1154186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of hybrid electric vehicle
CN116252758A (zh) 车辆的控制装置及车辆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