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524B1 -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3524B1 KR102493524B1 KR1020210047862A KR20210047862A KR102493524B1 KR 102493524 B1 KR102493524 B1 KR 102493524B1 KR 1020210047862 A KR1020210047862 A KR 1020210047862A KR 20210047862 A KR20210047862 A KR 20210047862A KR 102493524 B1 KR102493524 B1 KR 102493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justing
- force
- regenerative
- brake pedal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2 mechanical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25—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페달 위치와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여 상기 검출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로부터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하며, 총 제동 토크에 따라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조절하는 주행 제어부; 및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별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가변을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VCU 단독으로 VCU, MCU 통합 제어기, 및 자율주행 플랫폼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플랫폼 구성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제동 및 타력주행시 회생제동을 통해 에너지 회수율을 증대시켜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VCU 단독으로 VCU, MCU 통합 제어기, 및 자율주행 플랫폼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플랫폼 구성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제동 및 타력주행시 회생제동을 통해 에너지 회수율을 증대시켜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전 안전성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VCU단독 기능에서 VCU와 MCU를 통합할 수 있는 제어기를 구성하고, 자율주행에서 주행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기 구성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019년 국토부 시험결과 초소형전기차는 최하 수준 안전도 등급으로 평가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안전 규제 강화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중소 차량제조사들의 경우 경험과 역량 부족으로 인해 차량 통합 제어기술이 부재한바, 글로벌 전기차 제작사가 차량 성능, 안전성 확보 및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해 채택중인 통합제어기(VCU)가 적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합제어기(VCU: Vehicle Control Unit)는 차량 내 단위 시스템(MCU, BMS, LDC, OBC 등)의 제어정보를 통합해 차량레벨의 통합 제어를 수행하는 최상위 제어기이다.
e-모빌리티 산업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글로벌 e-모빌리티(electric-mobility, 전기구동차량) 수요 및 보급 가속화되고 있고, 고속 전기차 외에도 초소형전기차, 전기 이륜차, 농업용 운반차, 스쿠터, 킥보드,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등 다양한 종류의 e-모빌리티 수요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초소형전기차, 전기이륜차 등에 적용중인 파워트레인(모터, 감속기, 인버터 등)을 포함한 많은 부분에 중국산 부품 다수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19년 우정사업본부는 초소형전기차 입찰에서 국내산 부품 적용 비중을 60% 이상으로 요구는 등 국산화를 꾀하고 있으나, 시장에서는 100만원대의 저가형 중국산 전기 이륜차의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의 e-모빌리티 시장은 모빌리티 차량을 위한 전용 VCU가 부재하여 주행성능이 낮고, 기능 안전 및 고장 진단기능이 없으며, 제어기 구성 로직이 플랫폼화 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모빌리티 차량을 위한 전용 VCU가 부재로 인해, 모터 컨트롤러에서 종 방향 제어에 대한 신호처리 형태로 구동함에 따라 가속이나 감속 등에 대한 주행 안정감 저하되고, 상대적으로 시내 주행이 많은 차량 운행의 특성상 회생 제동을 통하여 발생 될 수 있는 에너지 절감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없기 때문에 회생 제동 효율 저하하며, 제동력을 제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제어하기 때문에 제동 시 제동 안전감 저하 및 운전자의 제동 운전 감 불안 요인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능 안전 및 고장진단 기능의 부재로 인해, 모터제어기에서 주행에 관련한 기능을 전담하고 있고 차량 제원과는 무관한 제어로 차량 운행의 효율 저하되고, 이로 인해 기능 안전 저하되는바, 차량 제원 및 운영 특성에 따른 제어기의 운영 차량 특성을 반영 기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진단 파라메터 기능이 구연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생 발생 시 진단이 불가하며 대처할 수 없고, 고장 요인을 모니터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어기 구성 로직이 플랫폼화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주로 모터제어기를 기본으로 구성된 제어기이기 때문에 모터 운영에 대부분의 역할을 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제어기 로직 구성이 자동차 제어기 개발 사양에 부합한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운영 로직의 구성이 기능 위주의 구성에 국한되어 있어 확장성 및 플렛폼 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VCU단독 기능에서 VCU와 MCU를 통합할 수 있는 제어기를 구성하고, 자율주행에서 주행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기 구성을 포함하는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생제동 최적화를 통해 연비(주행거리) 향상, 시스템 열관리 및 Low Voltage DC-DC 변환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제동시 기계식 제독을 유지하면서 차량속도 및 감속도를 고려하여 토크를 결정함으로써, 제동 및 타력주행시 회생제동을 통해 에너지 회수율을 증대시켜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VCU(Vehicle Control Unit) 단독으로 VCU, MCU(Main Control Unit) 통합 제어기, 및 자율주행 플랫폼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플랫폼 구성을 구성하여 VCU와 MCU를 통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제어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 위치와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여 상기 검출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로부터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하며, 총 제동 토크에 따라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조절하는 주행 제어부; 및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별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가변을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주행 제어부는 차량의 MCU로부터 브레이크 페달 위치 값 및 각종 부품의 구동신호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상태 값을 검출하는 운전정보 검출모듈;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 값들과 대응하는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고, 총 제동 토크에서 차량 주행 상태 값별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하는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 및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인가받고, 상기 회생제동 제어부로부터 답력별로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를 인가받으며, 총 제동 토크 대비 회생한계 토크를 고려한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답력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행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차량 주행 상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값을 벗어난 값, 이와 대응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검출하는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장 진단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한 우선순위별로 검출된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정렬하는 우선순위 분류모듈; 및 정렬된 우선순위별로 기준값을 벗어난 값,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생제동 최적화를 통해 연비(주행거리) 향상, 시스템 열관리 및 Low Voltage DC-DC 변환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제동시 기계식 제독을 유지하면서 차량속도 및 감속도를 고려하여 토크를 결정함으로써, 제동 및 타력주행시 회생제동을 통해 에너지 회수율을 증대시켜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VCU 단독으로 VCU, MCU 통합 제어기, 및 자율주행 플랫폼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플랫폼 구성을 구성하여 VCU와 MCU를 통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제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VCU 및 MCU를 결합한 e-모빌리티용 통합 차량 제어기 플랫폼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장진단 및 상태정보(에너지 흐름, 주행가능 거리, 차량/시스템 고장내역)를 표시하고, 안전대응(ISO-26262)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주행 제어부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회생제동 제어부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고장 진단부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방법의 제S502단계 이전 또는 제S512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주행 제어부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회생제동 제어부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고장 진단부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방법의 제S502단계 이전 또는 제S512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S)은, 차량 주행 상태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100), 회생한계 토크를 고려하여 회생제동을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부(200), 및 차량의 상태정보와 고장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고장 진단부(300)를 포함하는 VCU(10)로 구성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주행 제어부(100)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와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정보 검출모듈(110)과,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로부터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하는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120), 상기 총 제동 토크에 따라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답력 제어모듈(130), 및 상기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운전정보 검출모듈(110)은 차량의 MCU로부터 브레이크 페달 위치 값 및 각종 부품의 구동신호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상태 값을 검출한다.
또한,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120)은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 값들과 대응하는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고, 총 제동 토크에서 차량 주행 상태 값별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한다. 이러한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120)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실시간으로 가변되는 차량 주행 상태 값에 따라 정확한 회생한계 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답력 제어모듈(130)은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120)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인가받고, 회생제동 제어부(200)로부터 답력별로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를 인가받으며, 총 제동 토크 대비 회생한계 토크를 고려한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답력 조절 장치(140)는 페달의 답력과 답력 제어모듈(130)로부터 인가받은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동기화시키고, 이를 통해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와 부합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가변시킨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회생제동 제어부(200)는 답력별로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를 상기 답력 제어부(130)로 인가하여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회생제동 연동모듈(210), 회생제동 연동모듈(210)로부터 인가받은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따라, 회생한계 토크를 고려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가변을 모니터링하면서 답력 조절 장치(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모듈(220), 및 회생제동 유도 기능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고, 입력받은 회생제동 유도 온 상태신호를 답력 제어모듈(130)로 인가하여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운전자 조작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S)은 주행 제어부(100) 및 회생제동 제어부(200)가 일체로 구성하여 VCU와 MCU를 통합함으로써, 회생제동 최적화를 통해 연비(주행거리) 향상, 시스템 열관리 및 Low Voltage DC-DC 변환 관리 기능을 제공는바, 원가를 절감하고 제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고장 진단부(300)는 주행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받은 차량 주행 상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값을 벗어난 값, 이와 대응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검출하는 고장 검출모듈(310),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한 우선순위별로 검출된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정렬하는 우선순위 분류모듈(320), 및 정렬된 우선순위별로 기준값을 벗어난 값,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장 검출모듈(310)은 주행 제어부(100)로부터 차량 주행 상태 값을 실시간으로 인가받고, 설정된 기준값과 차량 주행 상태 값 각각을 비교한다. 이때, 특정 차량 주행 상태 값이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검출하게 된다.
또한, 우선순위 분류모듈(320)은 고장 검출모듈(310)로부터 인가받은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한 부품별 위험도 등급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위험도 등급에 따라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가 표시되는 우선순위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위험도 등급이 '심각', '경고', '점검' 또는 '정상'으로 분류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분류코드가 '1', '2', '3' 또는 '4'인 경우, 위험도 등급이 '심각'인 부품은 분류코드가 '1'로 설정되고, '경고'인 부품은 분류코드가 '2'로 설정되며, '점검'인 부품은 분류코드가 '3'으로 설정되고, '정상'인 부품은 분류코드가 '4'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우선순위 분류모듈(320)은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위험도가 높은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가 상위에 노출되도록 정렬하게 된다.
이처럼, 우선순위 분류모듈(320)은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위험도가 높은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가 상위에 노출되도록 정렬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장치(330)는 우선순위별로 기준값을 벗어난 값,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포함하는 고장내역을 화면에 출력하고, 차량 주행 상태에 포함된 에너지 흐름, 및 주행가능 거리를 화면에 출력하며, 그밖에 부가적인 차량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장 검출모듈(310)이 차량 주행 상태 값을 실시간으로 인가받고, 설정된 기준값과 차량 주행 상태 값 각각을 비교할 때,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증가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시간에 따른 증가 정도가 큰 경우(증가율이 큰 경우), 증가율을 고려하지 않은 차량 주행 상태 값에 비해 위험도가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고장 검출모듈(310)이 차량 주행 상태 값을 실시간으로 인가받고, 설정된 기준값과 차량 주행 상태 값 각각을 비교할 때,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증가 정도가 소정 기준치보다 큰 경우 위험도 등급을 상향시켜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차량 주행 상태 값이 ‘50’인 상태에서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시간에 따른 증가 정도를 반영하지 않았을 때의 소정 부품에 대한 위험도 등급이 ‘정상’인 경우,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시간에 따른 증가 정도를 반영하여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증가 정도가 소정 기준치보다 큰 경우 위험도 등급을 상승시켜, 소정 부품에 대한 위험도 등급을 ‘정상’에서 ’경고‘, ’점검‘ 또는 ’심각‘으로 변경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고장 진단부(300)는 부품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는 잔존수명 판단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장 검출모듈(310)이 차량 주행 상태 값을 실시간으로 인가받고, 설정된 기준값과 차량 주행 상태 값 각각을 비교한 다음, 우선순위 분류모듈(320)이 고장 검출모듈(310)로부터 인가받은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한 부품별 위험도 등급을 매칭시킬 때, 부품의 잔존수명을 참고하여 부품의 잔존수명이 적게 남은 경우 위험도 등급을 상향시키고, 부품의 잔존수명이 많이 남은 경우 위험도 등급을 하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부품의 잔존수명에 따라 위험도 등급을 매칭시킴으로써 운전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잔존수명 판단모듈이 부품의 잔존수명을 판단할 때,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증가 정도가 소정 기준치보다 큰 경우가 발생하여 위험도 등급이 상향된 횟수를 반영하여 부품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격한 차량 주행 상태 값의 변화는 부품의 잔존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잔존수명이 적게 남은 부품은 차량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잔존수명 판단모듈이 부품의 잔존수명을 판단할 때,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증가 정도가 소정 기준치보다 큰 경우가 발생하여 위험도 등급이 상향된 횟수를 반영하여 부품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잔존수명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는 점을 반영하여 정확한 잔존수명 판단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잔존수명을 위험도 등급 매칭에 반영함으로써 운전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주행 제어부(100)가 브레이크 페달 위치와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한다(S502).
이어서, 주행 제어부(100)가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로부터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한다(S504).
뒤이어, 회생제동 제어부(200)가 회생제동 유도 온 상태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제S506 단계의 판단결과, 회생제동 유도 온 상태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회생제동 제어부(200)가 회생한계 토크를 고려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가변을 모니터링하면서 주행 제어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S508).
이어서, 주행 제어부(100)가 총 제동 토크에 따라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510).
그리고, 주행 제어부(100)가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조절한다(S512).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방법의 제S502단계 이전 또는 제S512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2단계 이전 또는 제S512단계 이후, 고장 진단부(300)가 차량 주행 상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2).
제S602단계의 판단결과, 차량 주행 상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고장 진단부(300)가 기준값을 벗어난 값, 이와 대응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검출한다(S604).
이어서, 고장 진단부(300)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한 우선순위별로 검출된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정렬한다(S606).
그리고, 고장 진단부(300)가 정렬된 우선순위별로 기준값을 벗어난 값,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화면에 출력한다(S608).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VCU 단독으로 VCU, MCU 통합 제어기, 및 자율주행 플랫폼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플랫폼 구성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제동 및 타력주행시 회생제동을 통해 에너지 회수율을 증대시켜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10: VCU
100: 주행 제어부
110: 운전정보 검출모듈
120: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
130: 답력 제어모듈
140: 답력 조절 장치
200: 회생제동 제어부
210: 회생제동 연동모듈
220: 회생제동 제어모듈
230: 운전자 조작모듈
300: 고장 진단부
310: 고장 검출모듈
320: 우선순위 분류모듈
330: 표시장치
10: VCU
100: 주행 제어부
110: 운전정보 검출모듈
120: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
130: 답력 제어모듈
140: 답력 조절 장치
200: 회생제동 제어부
210: 회생제동 연동모듈
220: 회생제동 제어모듈
230: 운전자 조작모듈
300: 고장 진단부
310: 고장 검출모듈
320: 우선순위 분류모듈
330: 표시장치
Claims (4)
- 브레이크 페달 위치와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여, 상기 총 제동 토크에 따라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조절하는 주행 제어부;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별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가변을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부; 및
상기 주행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차량 주행 상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값을 벗어난 값, 이와 대응하는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검출하는 고장 진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장 진단부는,
차량 주행 상태 값을 실시간으로 인가받고,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할 때, 차량 주행 상태 값의 증가 정도에 따라 위험도를 정하여 매칭시키는 고장 검출모듈;
부품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는 잔존수명 판단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한 우선순위별로 검출된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정렬하되, 상기 잔존수명 판단모듈의 부품의 잔존수명 판단 결과에 따라 위험도 등급을 조정하는 우선순위 분류모듈; 및
정렬된 우선순위별로 기준값을 벗어난 값, 부품의 식별ID, 및 분류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제어부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와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정보 검출모듈;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 위치로부터 총 제동 토크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로부터 회생한계 토크를 결정하는 총 제동 토크 결정모듈;
상기 총 제동 토크에 따라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답력 제어모듈; 및
상기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대응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생제동 제어부는,
답력별로 기 설정된 회생한계 토크를 상기 주행 제어부의 답력 제어부로 인가하여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회생제동 연동모듈;
회생제동 연동모듈로부터 인가받은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에 따라, 회생한계 토크를 고려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가변을 모니터링하면서 답력 조절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모듈; 및
회생제동 유도 기능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고, 입력받은 회생제동 유도 온 상태신호를 상기 답력 제어모듈로 인가하여 답력 조절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운전자 조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7862A KR102493524B1 (ko) | 2021-04-13 | 2021-04-13 |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7862A KR102493524B1 (ko) | 2021-04-13 | 2021-04-13 |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1951A KR20220141951A (ko) | 2022-10-21 |
KR102493524B1 true KR102493524B1 (ko) | 2023-02-01 |
Family
ID=8380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7862A KR102493524B1 (ko) | 2021-04-13 | 2021-04-13 |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352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46909B (zh) * | 2024-02-29 | 2024-08-02 | 重庆赛力斯凤凰智创科技有限公司 | 整车质量自适应估算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83133U (ko) * | 1989-12-15 | 1991-08-23 | ||
US10769622B2 (en) | 2015-03-25 | 2020-09-08 | Facebook, Inc. | User communications with a merchant through a social networking system |
KR101757075B1 (ko) * | 2015-12-24 | 2017-07-11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차량 고장 진단 분석을 위한 주행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101750875B1 (ko) * | 2017-03-16 | 2017-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진단 장치 |
KR102261290B1 (ko) * | 2017-03-22 | 2021-06-0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
KR102563598B1 (ko) * | 2018-10-31 | 2023-08-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친환경자동차의 제동 제어 장치 |
KR102518735B1 (ko) * | 2018-11-30 | 2023-04-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친환경자동차의 회생제동 유도 장치 및 방법 |
-
2021
- 2021-04-13 KR KR1020210047862A patent/KR10249352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1951A (ko) | 2022-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9047B1 (ko) |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모드 전환 제어 방법 | |
CN104176060B (zh) | 一种电动汽车整车故障分级处理方法 | |
RU253362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действия замене несертифицированной батареей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US2014006717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rging of battery for hybrid electric vehicle | |
US8956266B2 (en) | Vehicle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 |
US1076644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o electronic control unit of vehicle | |
CN101977806A (zh) | 监控至少一个影响汽车或列车运行性能的系统参数的方法 | |
CN103108770A (zh) | 电动汽车及其应急控制方法 | |
US952263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failure in virtual engine sound system unit for vehicle | |
CN101992740A (zh) | 防碰撞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 |
KR20160090524A (ko) |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제어 방법 | |
US20120290186A1 (en) | Multiplex control system, transport device having multiplex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295581B1 (ko) |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 |
CN103402839A (zh) | 车辆以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 |
KR101151123B1 (ko) | 차량용 제어 장치 | |
KR102493524B1 (ko) |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
KR102300211B1 (ko) |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안전성능향상을 위한 주행제어장치 및 방법 | |
Sabbella et al. | Functional safety development of motor control unit for electric vehicles | |
CN105599676A (zh) | 一种电动汽车停车指示报警系统及工作方法 | |
US201602572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point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CN106740788A (zh) | 一种低成本无人车紧急制动的方法 | |
CN112009459B (zh) | 车辆控制系统和车辆控制接口 | |
KR20230073458A (ko) | 에너지 효율과 운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 |
KR102403353B1 (ko) |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 |
CN103358914A (zh) | 用于车辆的直流转换器诊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