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124B1 -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124B1
KR102261124B1 KR1020200139652A KR20200139652A KR102261124B1 KR 102261124 B1 KR102261124 B1 KR 102261124B1 KR 1020200139652 A KR1020200139652 A KR 1020200139652A KR 20200139652 A KR20200139652 A KR 20200139652A KR 102261124 B1 KR102261124 B1 KR 10226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foam
water tank
ski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식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식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식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풀의 수조 후방에서 배출되는 물을 스키머로 유입시켜 1차로 포말을 제거한 후 초음파 수조에서 초음파로 2차로 포말을 제거한 다음 순환 펌프를 통해 수조로 순환시키고, 순환 펌프와 수조 사이에 설치된 통합형 수질 관리기에 구비된 오존 발생기와 자외선 램프에서 오존과 자외선을 발생하여 순환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의 살균을 수행하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WATER TREATMENT SYSTEM FOR ENDLESS POOL FOR BUBBLE REMOVAL USING ULTRASONIC WAVE AND STERRILIZATION WITH OZONE AND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은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풀의 수조 후방에서 배출되는 물을 스키머로 유입시켜 1차로 포말을 제거한 후 초음파 수조에서 초음파로 2차로 포말을 제거한 다음 순환 펌프를 통해 수조로 순환시키고, 순환 펌프와 수조 사이에 설치된 통합형 수질 관리기에 구비된 오존 발생기와 자외선 램프에서 오존과 자외선을 발생하여 순환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의 살균을 수행하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영장을 이용하여 수영 및 물놀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수영장은 많은 비용이 투자됨 동시에 많은 공사기간이 필요로 함으로 일반인들이 설립(設立)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특히, 유아원이나 초등학교 등과 같이 유아들이나 어린아이들이 많은 교육기관에서는 수영장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지만, 많은 비용과 공사기관 등에 따른 제약 때문에 설립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순환식 풀(엔드리스 풀(Endless Pool))이 개발되었다.
순환식 풀은 수영의 러닝머신 격으로서, 1인용 수조에 끊임없이 물이 흐르는 구조로서, 물살은 수조에 장착된 프로펠러가 회전되면 만들고, 흘러간 물은 양쪽 벽의 수로를 타고 순환해 물살이 무한 반복된다.
이러한 순환식 풀의 일례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714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06631호, 제10-0858368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순환식 풀은 사용자가 풀 내부에서 수영을 시작하게 되면, 사용자의 발과 손이 물과 접촉하면서 포말이 발생하게 되고, 포말이 포함된 물이 연속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포말에 의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해지고, 사람이 활동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오염되지 않아야 하며, 주기적으로 불순물을 여과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화 장치와 관련되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5-033514호인 수영장 물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영장 물 정화장치는 여과 수단, 그 하류로 배치되는 살균 수단 및 그 하류로 배치되는 흡착 정화 수단을 가진 수영장 물 정화장치로서, 상기 살균 수단에 의하는 수영장 물이 살균되는 데, 자외선 조사, 그 다음에 행해지는 오존 살균에 의해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영장 물 정화장치는 포말 제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8714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06631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583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5-0335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풀의 수조 후방에서 배출되는 물을 스키머로 유입시켜 1차로 포말을 제거한 후 초음파 수조에서 초음파로 2차로 포말을 제거한 다음 순환 펌프를 통해 수조로 순환시키고, 순환 펌프와 수조 사이에 설치된 통합형 수질 관리기에 구비된 오존 발생기와 자외선 램프에서 오존과 자외선을 발생하여 순환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의 살균을 수행하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형 수질 관리기에 구비된 샌드 필터와 카본 필터로 순환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히터에서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순환식 풀의 수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고주파를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트 스파로 수조 내에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관을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풀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포말을 1차로 제거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스키머와; 상기 스키머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임시 저장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스키머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미세 포말을 2차로 제거한 다음 상기 순환관을 통해 배출하는 초음파 수조; 및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고, 상기 초음파 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순환시키면서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및 수온을 상승시키는 통합형 수질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조는 배면에 기준 수위보다 높게 복수의 배출구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스키머는 각각의 상기 수조의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단에 상기 배출구와 동일 크기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스키머는 포말을 1차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유입구의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포말 제거용 메쉬망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스키머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포말 제거용 메쉬망의 하부에 섬유 필터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통합형 수질 관리기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 펌프를 통해 배출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제거하여 배출하는 샌드 카본 필터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샌드 카본 필터와 연결되어 상기 샌드 카본 필터에서 배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에서 배출되는 물에 오존을 투입하여 물을 1차 살균하는 오존 발생기; 및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물을 2차 살균하여 배출하는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에 따르면,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풀의 수조 후방에서 배출되는 물을 스키머로 유입시켜 1차로 포말을 제거한 후 초음파 수조에서 초음파로 2차로 포말을 제거한 다음 순환 펌프를 통해 수조로 순환시키고, 순환 펌프와 수조 사이에 설치된 통합형 수질 관리기에 구비된 오존 발생기와 자외선 램프에서 오존과 자외선을 발생하여 순환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형 수질 관리기에 구비된 샌드 필터와 카본 필터로 순환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히터에서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순환식 풀의 수질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중 스키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중 스키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1)은 수조(10)와, 스키머(20)와, 초음파 수조(30) 및 통합형 수질 관리기(40)로 구성된다.
먼저, 수조(10)는 제트 스파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내부의 물을 순환관(L)을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시킨다. 이때, 수조(10)는 배면에 기준 수위보다 높게 복수의 배출구(11)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키머(20)는 각각의 수조(10)의 배출구(11)와 연통되도록 상단에 배출구(11)와 동일 크기의 유입구(2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S)가 구비되며, 저면에 배출관(23)이 구비되고, 포말과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도록 공간부(S)에서 유입구(21)의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포말 제거용 메쉬망(25)이 구비된다. 이때, 스키머(20)는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공간부(S)에서 포말 제거용 메쉬망(25)의 하부에 부직포, 화이버 등의 섬유 필터(27)가 구비된다.
또한, 초음파 수조(30)는 스키머(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임시 저장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를 발생하여 스키머(20)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미세 포말을 2차로 제거한 다음 순환관(L)을 통해 배출한다. 이때, 초음파 수조(30)는 저면에 초음파 진동자(31)가 설치되어 내부의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의 진동으로 미세 포말을 터트려 제거한다.
한편, 통합형 수질 관리기(40)는 함체(41)와, 순환 펌프(42)와, 샌드 카본 필터(43)와, 히터(44)와, 오존 발생기(45) 및 자외선 살균기(46)로 구성된다.
함체(41)는 박스 형태의 구조로서 수조(10)의 외측면에 설치되거나 이격되어 별도의 공간에 설치된다.
순환 펌프(42)는 함체(41) 내에 설치되고, 순환관(L)을 통해 초음파 수조(30)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조(10)로 순환시킨다.
샌드 카본 필터(43)는 함체(41) 내에 설치되고, 순환 펌프(42)와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연결되어 순환 펌프(42)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제거하여 배출한다. 이때, 샌드 카본 필터(43)는 역세척을 수행하는 역세척 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세정 주기와,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44)는 함체(41) 내에 설치되고, 샌드 카본 필터(43)와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샌드 카본 필터(43)에서 배출되는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가열시켜 배출한다.
오존 발생기(45)는 함체(41) 내에 설치되고, 히터(44)에서 배출되는 물에 오존을 투입하여 물을 1차 살균한다.
자외선 살균기(46)는 함체(41) 내에 설치되고, 히터(44)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물을 2차 살균하여 배출한다. 이때, 자외선 살균기(46)는 물의 살균 속도와 살균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복수의 채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10) 내부에서 사용자가 수영을 시작하면, 기포와 물결이 발생되면서 물의 흐름에 의해 기포가 포함된 물이 기준 수위를 넘으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통해 스키머(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다.
스키머(20)로 유입된 물은 포말 제거용 메쉬망(25)을 통과하면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포말이 1차로 제거되고, 부피가 큰 이물질(물안경 등)이 걸러진 후 공간부(S)에 채워진 후 배출관(23)을 통해 초음파 수조(30)로 낙차에 의해 자연 유하 방식으로 낙하된다. 이때, 스키머(20)의 포말 제거용 메쉬망(25) 하부에 설치된 섬유 필터(27)에 의해 미세 이물질이 2차로 제거된다.
초음파 수조(30)로 유입된 물은 임시 저장되면서 초음파 진동자()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물에 포함된 미세 포말이 터트려지면서 제거된다.
미세 포말이 제거된 물은 순환관(L)을 통해 통합형 수질 관리기(40)의 함체(41)에 설치된 순환 펌프(42)로 유입된 후 가압되어 배출된다.
순환 펌프(42)에서 가압 배출된 물은 샌드 카본 필터(43)로 공급되고, 샌드 카본 필터(43)에서 내부 모래와 카본에 의해 이물질이 흡착되면서 여과(3차)된 다음 히터(44)로 배출된다.
히터(44)로 공급된 물은 히터(4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자외선 살균기(46)로 유입된다. 이때, 오존 발생기(45)가 동작되어 발생된 오존이 히터(44)를 통과한 물에 투입되어 1차로 살균을 수행한다.
오존에 의해 1차로 살균되어 자외선 살균기(46)로 유입된 물은 복수의 채널을 통과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2차로 살균된 후 순환관(L)을 통해 수조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수조 11 : 배출구
20 : 스키머 21 : 유입구
23 : 배출관 25 : 포말 제거용 메쉬망
27 : 섬유 필터 30 : 초음파 수조
31 : 초음파 진동자 40 : 통합형 수질 관리기
41 : 함체 42 : 순환 펌프
43 : 샌드 카본 필터 44 : 히터
45 : 오존 발생기 46 : 자외선 살균기
L : 순환관

Claims (6)

  1. 제트 스파로 수조 내에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관을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풀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포말을 1차로 제거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스키머와;
    상기 스키머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임시 저장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스키머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미세 포말을 2차로 제거한 다음 상기 순환관을 통해 배출하는 초음파 수조; 및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고, 상기 초음파 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순환시키면서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및 수온을 상승시키는 통합형 수질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배면에 기준 수위보다 높게 복수의 배출구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머는,
    각각의 상기 수조의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단에 상기 배출구와 동일 크기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머는,
    포말을 1차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유입구의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포말 제거용 메쉬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머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포말 제거용 메쉬망의 하부에 섬유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수질 관리기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 펌프를 통해 배출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제거하여 배출하는 샌드 카본 필터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샌드 카본 필터와 연결되어 상기 샌드 카본 필터에서 배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에서 배출되는 물에 오존을 투입하여 물을 1차 살균하는 오존 발생기; 및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물을 2차 살균하여 배출하는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KR1020200139652A 2020-10-26 2020-10-26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KR10226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52A KR102261124B1 (ko) 2020-10-26 2020-10-26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52A KR102261124B1 (ko) 2020-10-26 2020-10-26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24B1 true KR102261124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52A KR102261124B1 (ko) 2020-10-26 2020-10-26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38B1 (ko) * 2021-10-08 2023-01-27 주식회사 티케이컴퍼니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514A (ja) 1991-07-25 1993-02-09 Akitoshi Sugimoto プール水浄化装置
JP2554211B2 (ja) * 1991-02-28 1996-11-13 有限会社みかづき文化会館 プール水浄化装置
KR20060028714A (ko) 2006-02-14 2006-03-31 나용호 1인용 수영풀
US20060070935A1 (en) * 2004-10-05 2006-04-06 Brosemer Brandyn J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wimming pool skimmer efficiency
KR100858368B1 (ko) 2006-06-08 2008-09-11 이승대 수영을 즐길 수 있는 가정용 욕조
KR101506631B1 (ko) 2012-11-21 2015-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상 수영장
JP7058001B2 (ja) * 2017-12-11 2022-04-21 北川工業株式会社 電波吸収体及び電波吸収用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211B2 (ja) * 1991-02-28 1996-11-13 有限会社みかづき文化会館 プール水浄化装置
JPH0533514A (ja) 1991-07-25 1993-02-09 Akitoshi Sugimoto プール水浄化装置
US20060070935A1 (en) * 2004-10-05 2006-04-06 Brosemer Brandyn J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wimming pool skimmer efficiency
KR20060028714A (ko) 2006-02-14 2006-03-31 나용호 1인용 수영풀
KR100858368B1 (ko) 2006-06-08 2008-09-11 이승대 수영을 즐길 수 있는 가정용 욕조
KR101506631B1 (ko) 2012-11-21 2015-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상 수영장
JP7058001B2 (ja) * 2017-12-11 2022-04-21 北川工業株式会社 電波吸収体及び電波吸収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38B1 (ko) * 2021-10-08 2023-01-27 주식회사 티케이컴퍼니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517B1 (ko) 액체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특히 밸러스트 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KR101818996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마이크로 버블, 저농도 오존과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고도처리 시스템
KR10226112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CN106348504A (zh) 一种印染污水污料的处理装置
JP3713486B2 (ja) マイクロウェーブを用いた紫外線及びオゾン発生装置
KR20050029155A (ko) 수중기포다층필터 및 물막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인테리어수족관
WO2013173857A1 (en) Water disinfection apparatus
KR101289909B1 (ko) 수족관용 해수살균정수장치
KR101018302B1 (ko)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JPH11262758A (ja) 流体除菌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浴水循環濾過装置
JP2003320383A (ja) グリーストラップ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95372B1 (ko) 수족관살균정화장치
JP3752643B2 (ja) 用廃水および循環水の浄化装置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2949674B2 (ja) プール水浄化装置
JPH10470A (ja) 排水処理装置
JP2019147140A (ja) フィルタの洗浄方法
KR102589335B1 (ko) 수처리 장치
JP4203793B2 (ja) 殺菌装置
JPH0721271Y2 (ja) 浄水装置
KR200236404Y1 (ko) 오존 살균 냉·온 정수기
JP3523685B2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KR101058083B1 (ko)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
KR101058085B1 (ko)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
JP2005118680A (ja) 水循環システムとそ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