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72B1 - 수족관살균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살균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72B1
KR101595372B1 KR1020130128830A KR20130128830A KR101595372B1 KR 101595372 B1 KR101595372 B1 KR 101595372B1 KR 1020130128830 A KR1020130128830 A KR 1020130128830A KR 20130128830 A KR20130128830 A KR 20130128830A KR 101595372 B1 KR101595372 B1 KR 10159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
liquid separator
aquarium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584A (ko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상석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석,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filed Critical 이상석
Priority to KR102013012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족관 물을 1차적으로 살균 및 정화하고, 2차적으로 물에 희석되어 있는 기체를 살균 및 정화할 수 있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수족관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펌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상기 수족관 물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살균 및 정화된 살균수로 변환하는 플라즈마 살균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의해서 정화된 살균수에 희석되어 있는 오존 및 오염기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내부 상면에서 측면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의해서 살균되어진 상기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물유입부; 상기 물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살균수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차오르면 외부 수족관으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물배출부; 상면에서 일단과 타단이 관통되는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상기 공기정화필터로 유통시키는 분리측 기체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유입부는,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한 상기 살균수의 기액 분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의 내벽에 상기 살균수를 흘러내려 상기 살균수에서 오존 및 오염기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족관살균정화장치{A WATER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족관 물을 1차적으로 살균 및 정화하고, 2차적으로 물에 희석되어 있는 기체를 살균 및 정화할 수 있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횟집 등에서 식용을 위하여 임시로 물고기들을 보관하거나, 또는, 일반인들이 관상용으로 기르기 위한 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물고기가 살아 있기 위하여 항상 물을 담아서 사용하기에 세균 등이 번식하기 쉬워서 종래에는 이에 대한 정화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일예로 종래의 수족관 물을 정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수족관 정화방법이 있다.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오존 및 염소보다 높은 산화력을 갖는 OH 라디칼 생성을 촉진시켜 과산화수소 및 자외선 등을 결합하여, 수족관내의 수질을 정화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정화방법은 물에 소량의 오존 및 OH 라디칼이 희석되어 외부로 증발하면서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정화방법은 오염된 물에 희석되어 있는 수소, 질소, 및 암모니아 등이 완벽하게 제거 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08198호(2012년02월2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7173호(2010년05월03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플라즈마 살균 정화 방법에 의해서 생성되는 오존 및 소량의 오염기체 등을 물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오존 및 소량의 오염기체 등을 분해할 수 있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수족관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펌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상기 수족관 물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살균 및 정화된 살균수로 변환하는 플라즈마 살균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의해서 정화된 살균수에 희석되어 있는 오존 및 오염기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내부 상면에서 측면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의해서 살균되어진 상기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물유입부; 상기 물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살균수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차오르면 외부 수족관으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물배출부; 상면에서 일단과 타단이 관통되는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상기 공기정화필터로 유통시키는 분리측 기체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유입부는,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한 상기 살균수의 기액 분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의 내벽에 상기 살균수를 흘러내려 상기 상균수에서 오존 및 오염기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는 상기 펌프에서 끌어올린 상기 수족관 물을 내부로 수용하는 제1 유로부와 상기 수족관 물을 살균 및 정화시킨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로 이동시키는 제2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기액분리기 내측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관으로 마련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상하방의 중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관으로 마련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기액분리기 하면으로 연장된 관으로 마련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기액분리기 상단까지 관통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물배출부에 물이 차오를 수 있게 제1 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분리측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정화필터의 내부로 유입하는 제2 공기유입부와 내부에 상기 제2 공기유입부 보다 더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걸러내는 제1 거름망부와 상기 제1 거름망부 보다 더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거름망부에 의해서 걸러낸 수분을 흡수하는 스펀지부와 상기 스펀지부 보다 더 하방에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스펀지부의 흡수량이 넘어 하방으로 떨어지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부와 상기 제1 거름망부 보다 더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거름망부에 의해서 상기 수분을 걸러낸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정화하는 활성탄부와 상기 활성탄부 보다 더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활성탄부에 의해서 정화된 기체에 함유된 수분을 한 번 더 분리하는 제2 거름망부와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거름망부에 의해서 정화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측 기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수분배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이 상기 수분배출유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양의 물을 채운 호스를 상하방으로 한번 감긴 형태로 구비되는 수분배출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기액분리기의 내벽을 따라 살균수를 흘려보내는 물유입부에 의해서 기액분리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는, 플라즈마 살균과정에서 생성되는 오존 및 소량의 오염기체,단백질 거품 등을 분해,분리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정화장치의 기액분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정화장치의 공기정화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정화장치의 기액분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정화장치의 공기정화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100)는 케이스(110), 펌프(120), 플라즈마 살균기(130), 기액분리기(140) 및 공기정화필터(15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족관살균정화장치(100)는, 상기 케이스(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수족관의 물을 끌어올리는 상기 펌프(120)와 상기 펌프(120)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물을 살균 및 정화하여 살균수로 변환시키는 플라즈마 살균기(130)와 상기 살균수에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상기 기액분리기(140) 및 상기 살균수에서 분리된 상기 공기를 정화하는 상기 공기정화필터(150)가 각각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원통 및 6면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에 상기 펌프(120)와 연결되는 제1 유로부(13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로부(131)는 상기 펌프(120)에서 끌어올려진 상기 수족관 물을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 내부에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로부(132)는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에 의해서 살균 및 정화된 상기 수족관 물을 상기 기액분리기(14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120)와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40)와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에 의해서 살균 및 정화된 상기 수족관 물은 살균수라고 임의로 용어를 정한다.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는 상기 수족관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물속에 녹아있는 오존, 오존기체, 라디칼이온, 기타오염기체등이 생성되어 상기 살균수에 희석된 상태가 된다.
상기 기액분리기(14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원통 및 6면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40)는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에 의해서 정화된 살균수를 내부에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부 상면에서 일측면과 인접한 위치에 물유입부(14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부(141)는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부(141)의 일단은 상기 제2 유로부(132)와 결합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에 의해서 살균 및 정화된 상기 살균수는 상기 물유입부(141)를 통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물유입부(141)의 타단은 상기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려 유입될 수 있게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벽면과 인접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살균수가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부로 수직으로 하강하여 유입되게 되면, 상기 살균수에 희석되어 있는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고 혼합되어, 아래에 설명될 물배출부(142)를 통하여 수조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유입부(141)는 상기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벽을 타고 천천히 흘러내리게 하여, 상기 살균수에 희석되어 있는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을 물과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부 하면에 상기 물배출부(142)가 마련(된다.
상기 물배출부(142)는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측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부재(145)와 상기 제1 부재(145) 상하방의 중간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부재(146)와 상기 제2 부재(146)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147)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재(145)의 상단은 차폐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145)의 하단은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하면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3부재(147)는 상기 제2 부재(146)에서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하면과 근접하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부에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가 분리된 상기 살균수가 차오르게 되면, 상기 제3 부재(147)의 내측으로 상기 제2 부재(146) 내측까지 상기 살균수가 차오르게 되고, 상기 제1 부재(145)의 내측을 통하여 외부로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부재(146)의 내측까지 상기 살균수가 차오르게 되면, 살균수와 일정한 압력으로 희석되어 있는 오존가스 및 라디칼 이온, 오염기체, 단백질거품 등은 자연적으로 배출될 곳을 찾아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기체 배출부(143)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배출부(142) 내부로 상기 살균수가 잘 차오르고, 상기 살균수가 상기 물배출부(142)를 통해서 상기 수조관으로 잘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부재(145)의 상단에서 상기 기액분리기(140) 상단까지 관통된 관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제1 공기유입부(14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족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살균수는 기액분리에 의해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와 분리된 물이다.
한편, 상기 살균수와 분리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는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140)에 구비되어 있는 분리측 기체배출부(143)에 의해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는 상기 공기정화필터(150)로 유통되게 된다.
즉, 상기 분리측 기체배출부(143)는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상단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체배출부(143)의 일단은 아래에 설명될 제2 공기유입부(151)와 연장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배출부(143)에 의해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는 상기 공기정화필터(150) 내부로 유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공기정화필터(150)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정화필터(1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또는 6면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정화필터(150)는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하단에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배출부(154)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상단에는 정화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측 공기배출구(15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일측에 제2 공기유입부(151)가 마련된다. 상기 제2 공기유입부(151)는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액분리기(140)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을 상기 공기정화필터(150) 내부로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내부에 상기 제2 공기유입부(151)를 기준으로 상방에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걸러주는 제1 거름망부(15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거름망(152) 보다 더 하방에 스펀지부(15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단백질거품지꺼기 등은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공기정화필터(15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거름망부(152)는 1차적으로 기체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게 되고, 거품등 수분상태 지꺼기는 하단부의 스펀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스펀지부(153)는 상기 제1 거름망부(152)에 의해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에서 걸러내어져 하방으로 떨어지는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내부에 활성탄부(155)가 마련된다. 상기 활성탄부(155)는 상기 공기정화필터(150) 내부에서 상기 제1 거름망부(152) 보다 더 상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거름망부(152)를 통과하여 수분이 걸러내어진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은 상방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는 상기 활성탄부(155)에 의해서 분해되어 정화된 기체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내부에 제2 거름망부(156)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 거름망부(156)는 상기 활성탄부(155)보다 더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된 기체에 함유되어 있는 소량의 수분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거름망부(156)에 의해서 2차적으로 수분을 걸러낸 상기 정화된 기체는 상기 필터측 기체배출부(15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거름망부(152)와 상기 제2 거름망부(156)에 의해서 걸러내어진 수분은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상기 스펀지부(153)에 흡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펀지부(153)의 흡수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스펀지부(153)의 하방으로 상기 수분이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펀지부(153)의 흡수량을 초과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는 상기 수분은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수분배출부(154)를 통화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분배출부(154)의 하단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수분배출유로부(158)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배출유로부(158)는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이 상기 수분배출유로부(158)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위해 상하방으로 한번 감긴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분배출유로부(158)는 감긴 높이 보다 낮게 물을 채워서 구비된다.
즉, 상기 수분배출유로부(158)는 외부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40)를 통하여 유통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이 상기 수분배출유로부(158)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10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물을 살균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이 상기 물에 희석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유입부(141)에 의해서 상기 물이 상기 기액분리기(140)의 내벽면을 따라 흘려내려 기액분리효과를 극대화하여 상기 물에 희석되어 있는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을 상기 물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100)는, 상기 공기정화필터(150)에 의해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 등을 정화시킬 수 있어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살균정화장치(100)는,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130), 상기 기액분리기(140) 및 상기 공기정화필터(150)가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되어있어, 사용수명에 따라 각각 교체가 가능하여 운용비용면에서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족관살균정화장치
110 : 케이스 120 : 펌프
130 : 플라즈마살균기 131 : 제1 유로부
132 : 제2 유로부 140 : 기액분리기
141 : 물유입부 142 : 물배출부
143 : 분리측 기체배출부 144 : 제1 공기유입부
145 : 제1 부재 146 : 제2 부재
147 : 제3 부재 150 : 공기정화필터
151 : 제2 공기유입부 152 : 제1 거름망부
153 : 스펀지부 154 : 수분배출부
155 : 활성탄부 156 : 제2 거름망부
157 : 필터측 기체배출부 158 : 수분배출유로부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수족관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펌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상기 수족관 물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살균 및 정화된 살균수로 변환하는 플라즈마 살균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의해서 살균 및 정화된 상기 살균수에 희석되어 있는 오존 및 오염기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내부 상면에서 측면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에 의해서 살균되어진 상기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물유입부;
    상기 물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살균수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차오르면 외부 수족관으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물배출부;
    상면에서 일단과 타단이 관통되는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상기 공기정화필터로 유통시키는 분리측 기체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유입부는,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한 상기 살균수의 기액분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의 내벽에 상기 살균수를 흘러내려 상기 살균수에서 오존 및 오염기체를 분리하고,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기액분리기 내측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관으로 마련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상하방의 중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관으로 마련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서 상기 기액분리기 하면으로 연장된 관으로 마련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기액분리기 상단까지 관통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물배출부에 물이 차오를 수 있게 제1 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살균기는,
    상기 펌프에서 끌어올린 상기 수족관 물을 내부로 수용하는 제1 유로부와,
    상기 수족관 물을 살균 및 정화시킨 살균수를 상기 기액분리기로 이동시키는 제2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분리측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정화필터의 내부로 유입하는 제2 공기유입부와,
    내부에 상기 제2 공기유입부 보다 더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걸러내는 제1 거름망부와,
    상기 제1 거름망부 보다 더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거름망부에 의해서 걸러낸 수분을 흡수하는 스펀지부와,
    상기 스펀지부 보다 더 하방에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스펀지부의 흡수량이 넘어 하방으로 떨어지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부와,
    상기 제1 거름망부 보다 더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1거름망부에 의해서 상기 수분을 걸러낸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를 정화하는 활성탄부과,
    상기 활성탄부 보다 더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활성탄부에 의해서 정화된 기체에 함유된 수분을 한 번 더 분리하는 제2 거름망부와,
    일단과 타단이 관통된 관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거름망부에 의해서 정화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측 기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수분배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오존 및 오염기체가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양의 물을 채운 호스를 상하방으로 한번 감긴 형태로 구비되는 수분배출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살균정화장치.

  5. 삭제
KR1020130128830A 2013-10-28 2013-10-28 수족관살균정화장치 KR101595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830A KR101595372B1 (ko) 2013-10-28 2013-10-28 수족관살균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830A KR101595372B1 (ko) 2013-10-28 2013-10-28 수족관살균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584A KR20150048584A (ko) 2015-05-07
KR101595372B1 true KR101595372B1 (ko) 2016-02-26

Family

ID=5338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830A KR101595372B1 (ko) 2013-10-28 2013-10-28 수족관살균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75B1 (ko) * 2019-12-10 2021-09-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콜드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농·어업용 대용량 살균수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21B1 (ko) * 2009-12-23 2010-09-17 고명림 해수 정화용 스키머
KR101108146B1 (ko) * 2011-09-05 2012-02-20 강신홍 플라즈마 모듈 정화 수족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3B1 (ko) 2009-06-03 2010-05-11 김혜경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108198B1 (ko) 2011-09-05 2012-02-20 강신홍 플라즈마 모듈을 이용한 수족관 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21B1 (ko) * 2009-12-23 2010-09-17 고명림 해수 정화용 스키머
KR101108146B1 (ko) * 2011-09-05 2012-02-20 강신홍 플라즈마 모듈 정화 수족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584A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0340B (zh) 一种湿式空气净化装置及空气净化方法
JP6266954B2 (ja) 液面プラズマ放電を利用した水処理装置
KR101770597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986293B1 (ko) 모듈형미세분사부가 구비된 복합 탈취 장치
KR101581236B1 (ko)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JPH11290848A (ja) 濾過方法及び装置
KR101118510B1 (ko) 지하수 정화 시스템
KR20150048585A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WO200402428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KR101595372B1 (ko) 수족관살균정화장치
JP5808030B1 (ja) 空気清浄装置
WO2014010304A1 (ja) オゾン含有液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浄装置
KR101181632B1 (ko)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및 필터유닛
KR101289909B1 (ko) 수족관용 해수살균정수장치
KR20120029743A (ko) 수족관 정수장치
JP6783676B2 (ja) 飲料水生成装置
KR20200134738A (ko) 공기정화기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KR200303777Y1 (ko)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JP2022113450A (ja) 空気清浄装置
KR200407311Y1 (ko) 오염수 순환 여과 장치
KR101266959B1 (ko) 해수정화장치
CN210044529U (zh) 一种用于公共卫生的消毒净化装置
KR20050022499A (ko)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수족관
JP2012148943A (ja) オゾン液生成器、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