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238B1 -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238B1
KR102492238B1 KR1020210133650A KR20210133650A KR102492238B1 KR 102492238 B1 KR102492238 B1 KR 102492238B1 KR 1020210133650 A KR1020210133650 A KR 1020210133650A KR 20210133650 A KR20210133650 A KR 20210133650A KR 102492238 B1 KR102492238 B1 KR 10249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water
tube
swimming pool
sw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컴퍼니
이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컴퍼니, 이춘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3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체험장치의 설치편의성 및 실내공간활용성을 개선시키면서 수영장의 수질을 개선시키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영장의 일측에 연결되는 수처리 장치는 내부공간이 일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영장의 물을 정수 및 살균시키는 수처리 모듈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WATER TREATMENT DEVICE AND PORTABLE EXPERIENCE APPARATUS FOR ESCAPING AND SWIMMING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처리 장치 및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선박 또는 비행기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면,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선박 또는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에 구명조끼를 입고 선박 또는 비행기에서 안전하게 탈출하는 방법을 설명을 듣게된다.
그러나, 선박 또는 비행기에서 조난사고가 발생되면, 구조가 필요한 조난자들은 급박한 사고 상황에서 혼란에 빠지게 되어 사고시 대처사항들을 잊게 되므로, 실제 상황과 비슷한 환경에서 조난사고 발생 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훈련을 위해서 튜브로 마련된 실내공간에 수영장을 설치하고 스탠드를 배치시켜 많은 인원의 사용자들의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기때문에, 설치편의성 및 실내공간활용성을 개선하면서 수영장의 수질과 온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389호는 에어돔 하우스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2190호는 에어돔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생존수영체험이 가능하면서 수영장의 위생 및 환경을 개선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체험장치의 설치편의성 및 실내공간활용성을 개선시키면서 수영장의 수질을 개선시키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영장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수처리 장치는 내부공간이 일측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영장의 물을 정수 및 살균시키는 수처리 모듈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 모듈들 각각은 물을 양수시키는 수처리 펌프, 양수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모듈 및 상기 히팅모듈과 연통되어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 장치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영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는 반원통 또는 돔 형태의 튜브로 형성되어 지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영장, 상기 수영장의 안쪽에 설치되는 훈련슬라이드 및 상기 수영장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수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는 내부공간이 일측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영장의 물을 정수 및 살균시키는 수처리 모듈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 모듈들 각각은 물을 양수시키는 수처리 펌프, 양수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모듈 및 상기 히팅모듈과 연통되어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영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은 연결호스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대량의 물을 정수, 가열 및 살균시킬 수 있고, 수처리 모듈들을 스탠드까지 이동하기 위한 계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모듈본체의 상판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팅모듈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모듈본체의 상판이 가열되어 스탠드까지 올라가는 사용자들이 추위 걱정없이 안전하게 스탠드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는 외부의 날씨에 상관없이 대형 튜브의 내부에서 사고발생시 침착하게 대처하기 위한 훈련이 가능하고, 훈련 후에는 샤워한 후 일상복으로 환복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송비용으로 생존수영 체험이 필요한 장소를 향해 이동이 가능하고, 전력, 정수 및 온수를 위한 시설들이 별도의 공간에 마련되어 안전하게 훈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처리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4 및 5들은 도 1의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
도 6은 도 1의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에 덮개부가 설치된 사시도.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의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00)는 커버부(200), 수영장(300), 수처리 장치(310), 보조스탠드(370), 훈련슬라이드(400), 제1 및 제2 구획튜브부(500, 550)들, 시설용튜브부(600), 옷장(710, 720)들, 샤워시설(730, 740)들, 공기청정기(750), 발전부(760), 정수장치(770), 보일러(780) 및 펌프부(790)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전면튜브(210), 중앙튜브(220) 및 후방튜브(230)들을 포함하고, 중앙튜브(220)는 고정부(222)들을 포함한다.
커버부(200)는 반원통 또는 돔(Dome) 형태의 튜브로 형성되어 바닥의 지면을 커버하고, 커버부(200)의 바닥에는 커버부(20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천막 또는 쿠션바닥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일단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의 상단 테두리 일부분이 후방인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의 제1 방향(1)쪽에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전면튜브(21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 튜브이고, 하부 중앙에는 전면튜브(210)를 제1 방향(1) 또는 제1 방향(1)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2)을 향해 관통하여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 입구(11)가 형성된다.
중앙튜브(220)의 일단은 상부를 향해 곡면이 배치되는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면은 전면튜브(210)의 제1 방향(1)쪽 배면에 연결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고정부(222)는 중앙튜브(220)의 외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리 및 상기 고리를 관통하여 지면에 삽입되고, 상기 고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포스트(Post)들로 구성된다.
복수의 고정부(222)들 각각은 중앙튜브(220)의 외측에 서로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중앙튜브(220)와 연결되어 중앙튜브(22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후방튜브(23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 튜브이고, 하부 중앙에는 후방튜브(230)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관통하여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2입구(12)가 형성된다.
수영장(300)은 조립식 수영장 또는 일체형 수영장으로 형성되고, 커버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영장(300)의 안쪽에는 정수된 물이 급수되어 소정이상의 수심을 가지는 스위밍풀이 형성된다.
수영장(300)의 일측면은 중앙튜브(220)의 일측 내측면과 소정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수영장(300)의 타측면은 중앙튜브(220)의 타측 내측면과 밀착된다.
수처리 장치(310)는 수영장(3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점프대가 형성된다.
훈련을 받는 사용자들은 수처리 장치(310)로 이동한 후 강사의 지시에 의해 순서대로 수영장(300)의 안쪽으로 점프하는 훈련을 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점프대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처리 장치(310)는 본체(320),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 스탠드(340) 및 양수호스(350) 및 송수호스(360)를 포함하고, 수처리 모듈(330)은 모듈본체(331), 수처리 펌프(332), 정수필터(333), 히팅모듈(334), 살균유닛(335) 및 연결호스(336)를 포함한다.
본체(320)는 내부공간이 타측, 하부 및 상부를 향해 개방된 채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복수의 수처리 모듈(330)들이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320)의 하부에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바닥판이 부착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는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이 수직 적층된다.
모듈본체(331)는 내부공간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쪽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모듈본체(331)를 관통하여 모듈본체(331)의 내부공간을 외부공간과 연결시키는 하부홈(331a) 및 상부홈(331b)이 형성된다.
하부홈(331a)은 모듈본체(331)의 일측 및 전방 하부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본체(320)의 내부에서 후술될 연결호스(336)가 하부홈(331a)에 삽입되어 수처리 모듈(330)들을 연결시킨다.
상부홈(331b)은 모듈본체(331)의 일측 및 전방 상부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본체(320)의 내부에서 후술될 연결호스(336)가 상부홈(331b)에 삽입되어 수처리 모듈(330)들을 연결시킨다.
수처리 펌프(332)들 각각은 모듈본체(331)들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수호스(350)를 통해 수영장(300)의 물을 양수하여 모듈본체(331)들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수필터(333)로 이동시킨다.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이 서로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 중 어느 하나에만 양수호스(350) 및 송수호스(360)가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이 서로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이 서로 연결호스(336)들을 통해 연통된 상태라면 양수호스(350)는 수처리 모듈(330a)의 수처리 펌프(332)에 연결되고, 송수호스(360)는 수처리모듈(330c)에 배치된 살균유닛(335)과 연결된다.
정수필터(333)들 각각은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 각각의 내부에서 수처리 펌프(332)들 각각과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수처리 펌프(332)로부터 송수된 물을 정수시킨다.
히팅모듈(334)들 각각은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 각각의 내부에서 상부에 배치되고, 정수필터(333)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정수필터(333)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킨다.
살균유닛(335)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히팅모듈(334)의 전방에 배치되어 히팅모듈(334)과 연통되고, 내부의 자외선램프가 살균유닛(335)의 내부를 이동하는 물을 살균시킨다.
연결호스(336)의 일단은 수처리 모듈(330a) 내부의 살균유닛(335)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홈(331a) 및 상부홈(331b)을 지나 수처리 모듈(330b)에 배치되는 수처리 펌프(322)와 연결된다.
연결호스(336)는 수처리 모듈(330b)이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도 수처리 모듈(330a)의 살균유닛(335) 및 수처리 모듈(330b)의 수처리 펌프(332)를 연결하도록 길게 제작된다.
수처리 모듈(330b)의 수처리 펌프(332)로 유입된 살균된 물은 다시 정수필터(333), 히팅모듈(334) 및 살균유닛(335)을 거쳐 2차 정수 및 살균되고, 연결호스(337)를 통해 수처리 모듈(330c)로 이동된다.
연결호스(337)의 일단은 수처리 모듈(330b)의 내부에서 살균유닛(335)과 연통되고, 타단은 수처리 모듈(330b)에 형성된 하부홈(331a) 및 수처리 모듈(330c)에 형성된 상부홈(331b)을 지나 수처리 모듈(330c) 내부의 수처리 펌프(332)와 연결된다.
연결호스(337)는 수처리 모듈(330c)이 타측 방향으로 수처리 모듈(330b)이 이동한 거리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더 이동된 상태에서도 수처리 모듈(330b)의 살균유닛(335) 및 수처리 모듈(330c)의 수처리 펌프(332)를 연결시키도록 길게 제작된다.
연결호스(337)를 통해 수처리 모듈(330c)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정수필터(333), 히팅모듈(334) 및 살균유닛(335)을 거치면서 3차 정수 및 살균되고, 송수호스(360)를 통해 다시 수영장(300)의 내부로 송수된다.
송수호스(360)의 일단은 수처리 모듈(330c)의 내부에서 살균유닛(335)과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본체(320)를 관통한 후 수영장(300)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수처리 모듈(330a)이 제자리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처리 모듈(330b)을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수처리 모듈(330c)을 타측을 향해 수처리 모듈(330b)보다 상대적으로 더 이동시키면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에 의해 계단이 형성된다.
수영장(300)의 규모에 따라서 단일의 수처리 모듈(330a)만을 사용하거나 2개 이상의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을 사용이 가능하고, 단일의 수처리 모듈(330a)을 사용하는 경우, 송수호스(360)는 수처리 모듈(330a) 내부의 살균유닛(335)에 연결된다.
수영장(300)의 규모가 증가되면서 수영장(300)의 높이도 증가하게 되고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330z)의 숫자도 증가하기 때문에 수영장(300)의 규모에 맞게 물의 정수, 살균 및 가열이 원활하고 설치되는 위치가 높아지는 스탠드(340)까지 계단이 증가되어 점프스탠드로의 활용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수처리 펌프(332)는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330z) 각각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고, 정수필터(333)는 수처리 펌프(332)의 후방에 배치되며, 히팅모듈(334)은 수처리 펌프(332)의 상부에 배치된다.
히팅모듈(334)의 내부에 내장되는 열선들에 의해 히팅모듈(334) 내부로 이동하는 물의 온도가 증가되고, 히팅모듈(334)을 통해 발산되는 열은 모듈본체(331)의 상판을 가열시킨다.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이 계단 형태로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모듈본체(331)의 상판 일부분이 일측 외부공간으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모듈본체(331)의 상판을 밟으며 스탠드(34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은 연결호스(336, 337)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대량의 물을 정수, 가열 및 살균시킬 수 있고, 수처리 모듈(330a, 330b, 330c)들을 스탠드(340)까지 이동하기 위한 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3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탠드(340)를 통해 점프 연습이 가능하고, 강사는 보조스탠드(370)에서 손잡이를 잡으며 사용자의 점프를 주시하고 강의할 수 있다.
또한, 모듈본체(331)의 상판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팅모듈(334)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모듈본체(331)의 상판이 가열되어 스탠드(340)까지 올라가는 사용자들이 추위 걱정없이 안전하게 스탠드(340)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보조스탠드(370)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수처리 장치(31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고, 상판이 스탠드(34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강사가 보조스탠드(370)에 서서 사용자의 점프 자세를 교정 및 강의할 수 있다.
훈련슬라이드(400)는 수영장(300)의 내부에서 설치되어 제2 방향(2)쪽 일단부는 비행기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튜브 미끄럼틀 형태로 제1 방향(1)쪽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훈련슬라이드(400)의 일단부에는 사다리가 형성되어 비행기 튜브 형태의 일단부에 사용자들이 이동하고, 일단부를 관통하는 출입구를 통해 사용자들이 타단부의 튜브 미끄럼틀로 이동하여 비행기의 해양 조난시 바다로 탈출하는 훈련을 시행할 수 있다.
제1 구획튜브부(500)는 제1 구획튜브(510) 및 제2 구획튜브(520, 530)들을 포함하고, 제2 구획튜브부(550)는 제1 구획튜브(560) 및 제2 구획튜브(570, 580)들을 포함한다.
제1 구획튜브부(500)는 커버부(200)의 전방 일측 코너쪽에서 커버부(200)의 코너를 격벽 형태로 둘러싸면서 복수의 구획공간들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간들 각각은 탈의실 및 샤워실들로 각각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구획튜브(510)의 일단은 격벽튜브 형태로 커버부(200)의 일측 코너 및 제1 입구(11)의 사이에서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 만큼 연장된다.
제1 구획튜브(510)의 일단쪽의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은 제1 구획튜브(510)의 일측면에서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는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안내판이 부착된 도어 또는 커튼이 형성된다.
제2 구획튜브(520)의 일단은 제1 구획튜브(5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제1 구획튜브(510)의 일측면에 격벽튜브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중앙튜브(220)의 일측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중앙튜브(220)와 연결된다.
제2 구획튜브(5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제2 구획튜브(520)의 출입구에는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안내판이 부착된 도어 또는 커튼이 형성된다.
제2 구획튜브(530)의 일단은 제1 구획튜브(510)의 타단 일측면에 격벽튜브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중앙튜브(220)의 일측 내측면까지 제2 구획튜브(520)와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튜브(220)와 연결된다.
제2 구획튜브(53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제2 구획튜브(530)의 출입구에는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안내판이 부착된 도어 또는 커튼이 형성된다.
제1 구획튜브(510)의 일단 및 제2 구획튜브(52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21)에는 옷장(710)이 배치되고, 남성 또는 여성 사용자들은 제1 공간(21)으로 이동하여 환복할 수 있다.
제1 공간(21)에서 환복한 사용자들은 훈련을 마친 후 제1 공간(21)에서 탈의하여 제2 구획튜브(520, 530)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22)에 설치된 샤워시설(730)들을 통해 샤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0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환복이 가능하고, 훈련을 마친 후에는 탈의하여 샤워가 가능하므로, 날씨에 상관없이 생존수영 훈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구획튜브부(550)는 커버부(200)의 전방 타측 코너쪽에서 커버부(200)의 코너를 격벽 형태로 둘러싸면서 복수의 구획공간들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간들 각각은 탈의실 및 샤워실들로 각각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구획튜브(560)의 일단은 격벽튜브 형태로 커버부(200)의 타측 코너 및 제1 입구(11)의 사이에서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 만큼 연장된다.
제1 구획튜브(560)의 일단쪽의 일측면의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은 제1 구획튜브(560)의 일측면에서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는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안내판이 부착된 도어 또는 커튼이 형성된다.
제2 구획튜브(570)의 일단은 제1 구획튜브(56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제1 구획튜브(560)의 타측면에 격벽튜브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중앙튜브(220)의 타측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중앙튜브(220)와 연결된다.
제2 구획튜브(57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제2 구획튜브(570)의 출입구에는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안내판이 부착된 도어 또는 커튼이 형성된다.
제2 구획튜브(580)의 일단은 제1 구획튜브(560)의 타단 타측면에 격벽튜브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중앙튜브(220)의 타측 내측면까지 제2 구획튜브(570)와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튜브(220)와 연결된다.
제2 구획튜브(58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제2 구획튜브(580)의 출입구에는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안내판이 부착된 도어 또는 커튼이 형성된다.
제1 구획튜브(560)의 일단 및 제2 구획튜브(57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23)에는 옷장(720)이 배치되고, 남성 또는 여성 사용자들은 제1 공간(23)으로 이동하여 환복할 수 있다.
제1 공간(23)에서 환복한 사용자들은 훈련을 마친 후 제1 공간(23)에서 탈의하여 제2 구획튜브(520, 530)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22)에 설치된 샤워시설(740)들을 통해 샤워할 수 있다.
시설용튜브부(600)는 커버부(200)의 후방 타측에서 소정의 시설공간을 둘러싸는 직육면체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설공간은 커버부(200)에 의해 커버부(2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된다.
공기청정기(750)는 커버부(200)의 타측 벽면을 관통한 공간에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하여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한다.
발전부(760)는 상기 시설공간에 배치되고, 전기를 발전하여 커버부(200) 내부에 설치된 조명, 공기청정기(750), 정수장치(770), 보일러(780) 및 펌프부(79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정수장치(770)는 상기 시설공간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물과 연결되어 물을 정수하며, 정수된 정수물은 커버부(200)를 관통하여 수영장(300) 및 샤워시설(730, 740)들에 공급된다.
보일러(780)는 상기 시설공간에 배치되고, 정수장치(770)에서 공급되는 정수 또는 외부의 물을 공급받아 물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보일러(780)를 통해 발생되는 온수는 수영장(300) 또는 샤워시설(730, 740)들로 공급된다.
펌프부(790)는 정수장치(770) 및 보일러(780)들과 연결되고, 구동을 통해 정수 또는 온수를 수영장(300) 또는 샤워시설(730, 740)들 중 어느 하나를 파이프 및 호스를 포함하는 공급관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00)는 내부에 수영장(300), 탈의실, 샤워시설(730, 740)들, 공기청정기(750) 및 훈련 시설들이 배치되어 외부 환경의 영향없이 생존수영 및 탈출 훈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00)는 덮개부(800)를 더 포함한다.
덮개부(800)는 커버(810), 와이어(820), 고리(830) 및 포스트(840)들을 포함한다.
덮개부(800)는 커버부(200)의 상단 일부분과 커버 형태로 밀착되고, 일부분이 커버부(200)의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지면과 고정되어 커버부(200)가 외압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커버(810)는 중앙튜브(220)의 일단 상부에서 타단 상부까지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의 천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810)는 중앙튜브(220)의 상부에서 하강하여 저면이 중앙튜브(220)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와이어(820)들 각각의 일단은 커버(810)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810)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한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고리(830)들과 각각 결합된다.
고리(830)들 각각은 환 형태로 형성되고, 와이어(820)들 각각의 타단과 결합되며, 포스트(840)가 고리(830) 안쪽의 공간을 관통하여 지면에 삽입되면, 커버(810)는 중앙튜브(2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한편, 커버부(200), 제1 구획튜브부(500), 제2 구획튜브부(550) 및 시설용튜브부(6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커버부(20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커버부(200), 제1 구획튜브부(500), 제2 구획튜브부(550) 및 시설용튜브부(600)들 각각이 팽창할 수 있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20)는 이동형튜브부(9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120)는 이동형튜브부(900)를 더 포함한다.
이동형튜브부(900)는 슬라이딩튜브(910), 제1 계단튜브(920)들, 제2 계단튜브(930)들, 스탠드(940), 비행기튜브(950) 및 슬라이드(960)들을 포함한다.
이동형튜브부(900)는 제1 구획튜브부(500) 및 제2 구획튜브부(550)의 상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구획튜브부(500) 및 제2 구획튜브부(550)들 각각과 분리되어 수영장(300)의 상부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튜브(91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 하부의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수영장(300)의 일부분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튜브(910)의 중앙에는 슬라이딩튜브(910)의 저면에서 서로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된 직사각형태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튜브(910)를 관통하는 통로들이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딩튜브(910)의 일측 저면은 제2 구획튜브(520, 530)들 각각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슬라이딩튜브(910)의 타측 저면은 제2 구획튜브(570, 580)들 각각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슬라이딩튜브(910)의 일측 및 타측 저면 각각에는 슬라이딩튜브(910)를 지지하는 기둥 형태의 기둥튜브들이 형성되어 각각 제2 공간(22, 24)들 각각으로 삽입되고, 슬라이딩튜브(910)가 제1 방향(1)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둥튜브들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킨 후 슬라이딩튜브(9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계단튜브(920)들 각각의 일단은 제1 구획튜브(510, 560)들의 사이에서 서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통로들 각각에 해당하는 슬라이딩튜브(910)와 연결된다.
제2 계단튜브(930)들 각각의 일단은 제1 공간(21, 23)들 각각에서 지면에 밀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슬라이딩튜브(910)의 후방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탈의실에서 환복한 후 제2 계단튜브(930)들 각각을 통해 슬라이딩튜브(910)의 상부에 이동이 가능하고, 슬라이딩튜브(910)에서 수영장(300)을 향해 이동하여 점프 훈련이 가능하다.
스탠드(940)는 플레이트 형태의 점프를 위한 스탠딩 플레이트이고, 일부분이 슬라이딩튜브(910)의 제2 방향(2)쪽과 결합되며, 슬라이딩튜브(910)가 수영장(300)으로 이동하면, 스탠드(940)를 이용하여 점프 연습이 가능하다.
비행기튜브(95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비행기 머리가 향하는 비행기 형태의 튜브이고, 슬라이딩튜브(91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들이 비행기에서 탈출하는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설치된다.
비행기튜브(950)에는 비행기에서 탈출가능한 도어들에 해당하는 위치의 일부분이 비행기튜브(950)를 관통하여 출입구들이 비행기튜브(95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드(960)들 각각의 일단은 비행기튜브(950)의 출입구들 각각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비행기튜브(9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수영장(300)의 안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탈의실에서 제2 계단튜브(930)들을 통해 환복한 후 편리하게 슬라이딩튜브(910)로 이동할 수 있고, 슬라이드(960)들을 통해 훈련 한 후 수영장(300)을 나와서 샤워시설(730, 740)들을 통해 샤워를 하거나 제1 계단튜브(920)들을 통해 반복해서 슬라이드(960)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960)들 및 제2 계단튜브(930)들 각각이 수영장(300) 및 제1 공간(21, 23)들 각각에 배치되므로, 슬라이딩튜브(91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드(960)들 또는 제2 계단튜브(930)들이 수영장(300) 또는 제2 구획튜브(520, 570)들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슬라이드(960)들 또는 제2 계단튜브(930)들이 수영장(300) 또는 제2 구획튜브(520, 570)들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므로, 슬라이딩튜브(910)는 안정적으로 제1 구획튜브부(500) 및 제2 구획튜브부(550)들 각각의 상부에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형튜브부(900)가 수영장(300)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 슬라이드(960)들 각각의 타단은 수영장(300) 안쪽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고, 제1 계단튜브(920)들 각각은 수영장(300)의 안쪽 중앙에 배치되며, 스탠드(940)는 수영장(300)의 안쪽 전방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슬라이딩튜브(910)가 수처리 장치(310)의 제2 방향(2)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처리 장치(310)는 슬라이딩튜브(910)의 상부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310)는 슬라이딩튜브(910)가 수영장(300) 및 수처리 장치(3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에 배치된 손잡이들의 분리가 가능하고, 스탠드(340)는 수처리 장치(310)의 휴대성 개선을 위해 모듈본체(331)의 상부에서 분리된 후 폴딩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슬라이딩튜브(910)가 제1 방향(1)으로 이동하기 전에, 슬라이드(960)들, 상기 기둥튜브들, 제1 계단튜브(920)들 및 제2 계단튜브(930)들 각각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슬라이딩튜브(91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슬라이드(960)들을 통해 훈련한 후 수영장(300) 내부에서 제1 계단튜브(920)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슬라이드(960)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제1 계단튜브(920)들을 통해 슬라이딩튜브(910)의 상부로 이동한 후 스탠드(940)를 통해 점핑 훈련이 가능하며, 훈련을 마친 후에는 제2 계단튜브(930)들을 통해 제2 공간(22, 24)들로 편리하고 빠르게 이동하여 샤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200: 커버부
300: 수영장
310: 수처리 장치
400: 훈련슬라이드
500, 550: 제1 구획튜브부, 제2 구획튜브부
600: 시설용튜브부
800: 덮개부
900: 이동형튜브부

Claims (6)

  1. 수영장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일측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영장의 물을 정수 및 살균시키는 수처리 모듈들; 및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영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모듈들은 상기 스탠드까지 이동하기 위한 계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모듈들 각각은,
    모듈본체, 물을 양수시키는 수처리 펌프, 양수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모듈 및 상기 히팅모듈과 연통되어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모듈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모듈본체의 상판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3. 삭제
  4. 반원통 또는 돔 형태의 튜브로 형성되어 지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영장;
    상기 수영장의 안쪽에 설치되는 훈련슬라이드; 및
    상기 수영장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수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는 내부공간이 일측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영장의 물을 정수 및 살균시키는 수처리 모듈들 및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영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모듈들은 상기 스탠드까지 이동하기 위한 계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모듈들 각각은,
    모듈본체, 물을 양수시키는 수처리 펌프, 양수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모듈 및 상기 히팅모듈과 연통되어 물을 살균시키는 살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히팅모듈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모듈본체의 상판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6. 삭제
KR1020210133650A 2021-10-08 2021-10-08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KR10249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50A KR102492238B1 (ko) 2021-10-08 2021-10-08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50A KR102492238B1 (ko) 2021-10-08 2021-10-08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238B1 true KR102492238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50A KR102492238B1 (ko) 2021-10-08 2021-10-08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2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6447A1 (en) * 2005-04-20 2006-10-26 Normand St-Hilaire Swimming pool steps having integrated spa
US20120079651A1 (en) * 2010-10-05 2012-04-05 Canadian Plastics Inc. Stair assembly for swimming pool
KR200492067Y1 (ko) * 2019-12-24 2020-07-30 이춘주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KR102261124B1 (ko) * 2020-10-26 2021-06-07 식스코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6447A1 (en) * 2005-04-20 2006-10-26 Normand St-Hilaire Swimming pool steps having integrated spa
US20120079651A1 (en) * 2010-10-05 2012-04-05 Canadian Plastics Inc. Stair assembly for swimming pool
KR200492067Y1 (ko) * 2019-12-24 2020-07-30 이춘주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KR102261124B1 (ko) * 2020-10-26 2021-06-07 식스코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067Y1 (ko)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US7118678B2 (en) Portable ozone treatment for swimming pools
US9066632B2 (en) Portable walk-in bathtub
ES2348571T3 (es) Modulo contenedor movil para aplicaciones de campo en operaciones militares y/o humanitarias.
RU2008141129A (ru) Паровая банная кабина
KR102492238B1 (ko)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TW312726B (ko)
US10278893B2 (en) Bottom entry sauna, steam room, steam egg
US5957959A (en) Home tanning apparatus
AU201239467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underwater activities
JP2006150057A (ja) カプセル式サウナ
KR200475651Y1 (ko) 조립식 수면격실
JP6635572B1 (ja) 運動機器
CN113018036B (zh) 吊床组件以及带有该吊床组件的护理床
CN201324355Y (zh) 自动喷洗熏蒸箱
US9267301B2 (en) Underwater wildlife connection swimming pool
CN204024120U (zh) 一种简易式移动洁净室
JP6048921B2 (ja) 避難設備
US20060137188A1 (en) Barbershop
AU2020220610A1 (en)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of an above-ground pool, such as an above-ground spa pool or a swimming pool
GR20170100273A (el) Αναβατοριο αυτονομης προσβασης σε πισινα, για ατομα με μειωμενη κινητικοτητα
KR102629336B1 (ko) 비말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 기구
KR200467800Y1 (ko) 시소를 이용한 워터 펌프
EP2915514B1 (en) Underwater oxygen bar
CN206707151U (zh) 光感式自动消毒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