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302B1 -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302B1
KR101018302B1 KR1020090024819A KR20090024819A KR101018302B1 KR 101018302 B1 KR101018302 B1 KR 101018302B1 KR 1020090024819 A KR1020090024819 A KR 1020090024819A KR 20090024819 A KR20090024819 A KR 20090024819A KR 101018302 B1 KR101018302 B1 KR 10101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yground
play equipment
play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719A (ko
Inventor
문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Priority to KR102009002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3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6Safety devices; Coverings f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 E04H4/1245Recirculating pumps for swimming pool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각종 물놀이 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계적으로 침전, 여과, 살균시킴과 함께 상기 공정을 통과한 물은 탱크에 저장된 후, 펌프에 의해 다시 물놀이 기구에 공급되고, 상기 물놀이 놀이터 외주연은 어린이들이 손과 발을 세척할 수 있는 배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물놀이 놀이터의 바닥 표면은 배수홈을 갖으면서 스펀지 우렌탄으로 이루어진 패드를 깔아 넘어지는 어린이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물놀이 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은 패드의 배수홈과 놀이터 바닥 표면에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로 흘러내려 배수정화되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 놀이터, 물놀이 기구, 놀이터

Description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FILTERING DEVICE FOR DABBLE IN WATER A PLAYGROUND}
본 발명은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각종 물놀이 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계적으로 침전, 여과, 살균시킴과 함께 상기 공정을 통과한 물은 탱크에 저장된 후, 펌프에 의해 다시 물놀이 기구에 공급되고, 상기 물놀이 놀이터 외주연은 어린이들이 손과 발을 세척할 수 있는 배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물놀이 놀이터의 바닥 표면은 배수홈을 갖으면서 스펀지 우렌탄으로 이루어진 패드를 깔아 넘어지는 어린이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물놀이 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은 패드의 배수홈과 놀이터 바닥 표면에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로 흘러내려 배수정화되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합공원에 설치되는 유희 시설물은 어린이용으로 그네, 미끄럼 틀, 철봉. 정글짐, 인조 돌산, 플레이 월(play wall), 놀이조각물, 도섭지, 시소, 사닥다리, 및 모래터 등이 있다.
이러한, 유희시설물은 공원 계획상 없어서는 안되는 항목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과 어린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놀이시설이 설치된 바닥에는 모래를 전체적으로 깔아 충격에 대비하게 되며, 또한 상기 모래는 어린이들이 손으로 만지면서 가지고 노는 실정이다.
한편, 놀이터에는 사람 외에도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들이 수시로 출입하게 되고, 또한 동물들이 배설한 배설물이 바닥에 깔린 모래 속에 파묻히게 된다.
따라서, 모래 속에는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는 세균들이 기생하게 되면서 어린이들의 손을 통하여 인체에 바로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놀이터에 설치되는 철봉, 그네, 시소 등은 목재 및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어린이들이 사용하고 있으나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여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각종 놀이시설에 태양열이 바로 전달되면서 뜨거워지므로 인하여 어린이들의 화상 염려도 함께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린이들이 즐겁게 노는 종래의 놀이터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유희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배수정화 시스템은 먼저, 놀이터에 설치되는 각종 물놀이 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계적으로 침전, 여과, 살균시킴과 함께 상기 공정을 통과한 물은 탱크에 저장된 후, 펌프에 의해 다시 물놀이 기구에 공급되고, 상기 물놀이 놀이터 외주연은 어린이들이 손과 발을 세척할 수 있는 배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물놀이 놀이터의 바닥 표면은 배수홈을 갖으면서 스펀지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패드를 깔아 넘어지는 어린이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물놀이 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은 패드의 배수홈과 놀이터 바닥 표면에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로 흘러내려 배수정화되면서 다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놀이터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물놀이의 부가 기능은 물론, 여름철에 물놀이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물을 분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물놀이 기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에게 물을 자동으로 분출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스펀지 우레탄 패드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의 (a)(b)(c)(d)(e)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놀이 기구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물놀이 놀이터(10)에 다양한 형태의 물놀이 기구(15)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물놀이 기구(15)에는 물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는 다수의 노즐(미도시됨)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물놀이 기구(15)는 본원의 실용신안등록출원제 20-2009-0003083호, 20-2009-0003084호, 20-2009-0003155호, 20-2009-0003226호로 출원되어 있다.
한편, 물놀이 기구(15)가 형성되는 물놀이 놀이터(11)의 바닥에는 어린이들 이 넘어져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펀지 우레탄 패드(23)를 도 5와 같이 형성하여 바닥 전체에 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펀지 우레탄 패드(23)의 표면에는 다수의 배수홈(24)을 형성하여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이 바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배수홈(24)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형성된 트렌치 커버(12)를 통하여 배수되며, 또한 상기 트렌치 커버(12)로 유입되는 물은 바스켓 필터(16)와 침전탱크(17)로 배수되면서 1차적으로 모래와 같은 불순물을 침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탱크(17)의 배수관(22)을 통과하는 물은 바이오 필터(18)와 활성탄 필터(19)를 단계적으로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여과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활성탄 필터(19)를 통과하는 물은 자외선 멸균기(20)와 염소기투입기(21)를 통과한 후, 물탱크(13)로 유입된 후, 저장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바스켓 필터(16)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방식이며, 침전탱크(17)는 미세한 모래같이 작은 입자를 침전하게 되고, 바이오 필터(18)는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한 멀티 챔버를 통한 정화 방식이며, 활성탄 필터(19)는 활성탄(숯)의 흡착력을 이용한 흡수 기능을 이용해 물속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이고, 자외선 멸균기(20)는 강력한 자외선으로 세포막을 파괴하고 녹조의 생성을 억제하며 유해 미생물을 단시간에 제거하는 방식이고, 염소기투입기(21)는 소독 약품을 제때에 보충해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13) 외부에는 다수의 펌프(14)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펌프(14)는 별도의 파이프 배관에 의해 도 6의 (a)(b)(c)(d)(e)와 같은 다양한 물놀이 기구(15)와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도 1 및 도 6의 (a)(b)(c)(d)(e)와 같이 형성되는 물놀이 기구(15)에 조립된 노즐(미도시됨)에서는 상기 펌프(14)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물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은 바닥에 흘러내리면서 스펀지 우레탄 패드(23)의 배수홈(24)으로 빠진 후, 트랜치 커버(12)를 통하여 바스켓 필터(16)로 다시 흘러내리면서 배출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물놀이 놀이터(10)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배수로(11)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배수로(11) 내부에는 펌프에서 공급되는 물이 항상 흘러내리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배수로(11)에 흐르는 물은 물놀이 놀이터(10)를 이용하고자 하는 어린이들의 손과 발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수로(11) 내부에 흐르는 물은 어린이들이 장난감 배 등을 띄울 수 있는 용도의 물놀이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형성되는 물놀이 기구(15)를 이용하는 어린이에게는 상기와 같이 여과된 깨끗한 물이 바로 전달되므로 위생적이면서 무더운 여름날에 시원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놀이터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물놀이의 부가 기능은 물론, 여름철에 물놀이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물을 분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물놀이 기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에게 물을 자동으로 분출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놀이터(10)에 설치되는 각종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계적으로 침전, 여과, 살균시킴과 함께 상기 공정을 통과한 물은 탱크(13)에 저장된 후, 펌프(14)에 의해 도 6의 (a)(b)(c)(d)(e)와 같이 형성되는 물놀이 기구(15)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물놀이 놀이터(10) 외주연은 어린이들이 손과 발을 세척할 수 있는 배수로(11)를 형성하여 항상 위생적이면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놀이 놀이터(10)의 바닥 표면은 배수홈(24)을 갖으면서 스펀지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패드(23)를 전체적으로 깔아 넘어지는 어린이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은 패드(23)의 배수홈(24)과 놀이터 바닥 표면에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12)로 흘러내린 후, 여과 수단을 통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스펀지 우레탄 패드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의 (a)(b)(c)(d)(e)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놀이 기구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물놀이 놀이터 11. 배수로
12. 트렌치 커버 13. 물탱크
14. 펌프 15. 물놀이 기구
16. 바스켓 필터 17. 침전탱크
18. 바이오 필터 19. 활성탄 필터
20. 자외선 멸균기 21. 염소기투입기
22. 배수관 23. 스펀지 우레탄 패드
24. 배수홈

Claims (3)

  1. 물놀이 놀이터(10)에 다수의 물놀이 기구(15)를 형성하되,
    상기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은 침전탱크(17), 바이오 필터(18), 활성탄 필터(19), 자외선 멸균기(20), 염소기투입기(21)를 단계적으로 통과되면서 여과 및 살균되며,
    상기 여과 및 살균된 물은 물탱크(13)에 저장된 후, 펌프(14)에 의해 다시 물놀이 기구(15)에 공급됨과 함께 상기 물놀이 놀이터(10) 외주연에 형성된 원형의 배수로(11)에 공급되어 어린이들의 손과 발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로 사용되며,
    상기 물놀이 놀이터(10)의 바닥 표면은 배수홈(24)을 갖으면서 스펀지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패드(23)를 깔아 넘어지는 어린이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스펀지 우레탄 패드(23)의 배수홈(24)과 놀이터 바닥 표면에 형성되는 트렌치 커버(12)로 흘러내려 배수되면서 여과장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놀이 기구(15)에서 배출되는 물은
    부유물을 제거하는 바스켓 필터(16)와, 미세한 모래같이 작은 입자를 침전시키는 침전탱크(17)와,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한 멀티 챔버를 통한 정화 수단을 갖 는 바이오 필터(18)와, 활성탄(숯)의 흡착력을 이용한 흡수 기능을 이용해 물속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19)와, 강력한 자외선으로 세포막을 파괴하고 녹조의 생성을 억제하며 유해 미생물을 단시간에 제거하는 자외선 멸균기(20)와, 소독 약품을 제때에 보충해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는 수단에 의해 물을 여과시키는 염소기투입기(21)를 통과하면서 여과 및 살균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놀이 놀이터(10)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배수로(11)을 형성함과 아울러상기 배수로(11) 내부에는 펌프(14)에서 공급되는 물이 항상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1020090024819A 2009-03-24 2009-03-24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10101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819A KR101018302B1 (ko) 2009-03-24 2009-03-24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819A KR101018302B1 (ko) 2009-03-24 2009-03-24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19A KR20100106719A (ko) 2010-10-04
KR101018302B1 true KR101018302B1 (ko) 2011-03-04

Family

ID=4312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819A KR101018302B1 (ko) 2009-03-24 2009-03-24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277B1 (ko) 2018-03-15 2018-10-1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KR101994174B1 (ko) 2019-01-09 2019-07-0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KR20230112092A (ko) 2023-07-08 2023-07-26 조진영 배터리보호시스템 및 실장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370Y1 (ko) 2004-07-09 2005-01-31 박승우 조합놀이 통로 바닥판
US20050274420A1 (en) 1998-06-17 2005-12-15 Lochtefeld Thomas J Redundant array water delivery system for water ri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4420A1 (en) 1998-06-17 2005-12-15 Lochtefeld Thomas J Redundant array water delivery system for water rides
KR200374370Y1 (ko) 2004-07-09 2005-01-31 박승우 조합놀이 통로 바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19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843B1 (ko)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KR100825893B1 (ko) 연못의 수질정화장치
CN203976556U (zh) 泳池循环水处理系统
KR101018302B1 (ko)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20050029155A (ko) 수중기포다층필터 및 물막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인테리어수족관
KR101551856B1 (ko)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CN107445342A (zh) 一种游泳池水处理系统
KR200443159Y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102356648B1 (ko) 반영구적 여과스크린을 적용한 인공지능 제어 방식의 수처리용 정화장치 및 소독장치 시스템
CN103663878B (zh) 一种游泳池或水疗池的水处理方法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CN101269891A (zh) 一种饮用水的洁净装置
KR10226112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포말 제거 및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엔드리스 풀용 정수 시스템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ES2738563T3 (es) Procedimiento de lavado a contracorriente para reactores biológicos
KR20090123109A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모듈을 이용한 족욕 및 반신욕기의 순환시스템
KR100522249B1 (ko) 무동력 살균 여과장치
ITRM20090272A1 (it) Impianto per la depurazione delle acque.
DE4029860A1 (de) Wasser/luft-magnet-wirbelgeraet
JP3142931U (ja) 水槽用水質浄化装置
CN204876675U (zh) 生态游泳池
CN204490639U (zh) 一种无氯游泳池水处理循环系统
KR20180023526A (ko) 분수대용 정수장치
KR100801493B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2001314851A (ja) 水循環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