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174B1 -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174B1
KR101994174B1 KR1020190002625A KR20190002625A KR101994174B1 KR 101994174 B1 KR101994174 B1 KR 101994174B1 KR 1020190002625 A KR1020190002625 A KR 1020190002625A KR 20190002625 A KR20190002625 A KR 20190002625A KR 101994174 B1 KR101994174 B1 KR 10199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odule
distribution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성상호
최창형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수 및 물놀이 등의 수경시설과 수처리 공정이 필요한 좁은 설치공간 또는 별도의 기계실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상측 또는 좌우로 다양하게 형태를 변형하여 설치 가능한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여과모듈과, 상기 여과모듈과 결합되어 물을 분배하는 분배모듈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은 공지의 배관을 연결하지 않아도 원수와 정수의 흐름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간단한 배관모듈과 여과모듈만의 조립만으로 수경시설에서 효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Water Treatment System for Underwater}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수 및 물놀이 등의 수경시설과 수처리 공정이 필요한 좁은 설치공간 또는 별도의 기계실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상측 또는 좌우로 다양하게 형태를 변형하여 설치 가능한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시설은 수돗물, 하천수, 지하수 등을 인위적으로 이용하여 실내 또는 야외에 설치하는 분수, 연못, 폭포, 벽천, 계류 등의 시설물을 말하며, 이러한 수경시설은 대부분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어 이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경시설은 타 수경시설과는 다르게 이용객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문제, 음용 문제, 비상용수의 흡입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이 야외에 노출된 환경이고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위생상태도 좋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근래와 같이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경우, 미세먼지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물에 녹아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다.
또한, 어린아이들은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물을 소량이라도 마시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처리 시설은 환경 및 보건상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수경시설의 수처리 시설에서 특별히 관리해야 할 사항은,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세균의 살균처리, 조류의 살균 처리, 각종 미생물의 사체와 부유물에 의한 탁도 제거 등이다.
그러나 기존의 물놀이 수경시설에 대한 수처리 시설은 살균 처리에 대한 기술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탁도 제어에 대한 시스템은 구비되지 않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미국의 경우 1995년부터 2004년 사이 위락용수로 인한 사망인원이 24명, 질병 발생자 수가 18,500여명에 달하며 그 중 물놀이형 수경시설 이용 후 질병이 발생한 환자수가 542명이었다.(Eisenstein.et.al.,2008)
국내에서는 사용자 피해사례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는 없으나, 수경시설의 수질문제가 원인으로 의심되는 각종 사고나 민원은 지속적으로 다수 발생하고 있다.
2016년까지의 국내의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 관리 기준은 환경부의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관리지침”과 경기도의 “분수수질의 적정기준 유지를 위한 조례”등이 있다. 또한, 2017년 1월부터 환경부에서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로서 수경시설의 수질관리기준을 법제화 하였다.
현재 전국적으로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경시설(민간운영 제외)은 1,000여개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기존의 물놀이형 수경시설 대부분은 수처리장치가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되었던 수처리 장치는 규모나 대상물질에 있어,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체계적 관리방안의 연구](2013.5,환경부)에 따르면, 자료가 수집된 552개소 중 95개소에 해당하는 17.2%가 수처리 시설이 없었으며, 사실상 수처리 시설이 없다고 판단되는 347개소의 수경시설을 합치면 총 80.1%에 해당하는 442개소에서 수처리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런 부실한 시설문제는 관리문제로 이어지게 되었고 하자보증기간이 끝나는 시점이나 물놀이장의 관리가 민간에게 넘어가는 시점에서 시설물의 폐쇄 또는 용도변경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물놀이형 수경시설물은 다른 조합놀이시설물에 비해 고가격으로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하지 못하여 경제적 손실이 커지게 되었다.
또한, 일부의 수처리 장치가 없거나 미흡한 수경시설은 자주 수돗물을 공급하여 수질은 관리하기도 한다. 이 경우 교체시 마다 대략 200여톤의 상수도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부담을 가중 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기준 법제화에 따라 기존 시설에 대한 여과장치 설치 및 신규 물놀이장에 대한 여과장치 설치는 불가피하며, 빗물의 이용이나 물순환을 통한 상수도비의 절감 효과 등을 가지는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수처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최근에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침지형 여과기가 제공되기도 하지만, 이는 오염물에 의해 중공사막의 기공이 빠른 시간에 막히면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중공사막을 교체하는 비용이 고가임에 따라 유지비용이 증가하여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문헌 1 : 공개특허 10-2012-0085441호 문헌 2 : 공개특허 10-2010-0106719호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공지의 배관이 없이도 물의 유입과 배출의 흐름방향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간단한 모듈의 조립만으로 수경시설에서 효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설치공간 또는 별도의 기계실이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상측 또는 좌우로 다양하게 형태를 변형하여 설치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모듈의 조립방향을 달리하는 것으로, 직렬여과 및 병렬여과 그리고, 지그재그 형태의 여과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여과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물을 여과하는 여과모듈과, 상기 여과모듈과 결합되어 물을 분배하는 분배모듈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배모듈은,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분배모듈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분배유입구;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모듈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분배배출구;를 적어도 한쌍 이상을 포함하며, 물의 흐름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제 1 분배유로와 제 2 분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배유로 및/또는 제 2 분배유로는 내측에 형성되는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분배유로를 통해 분배배출구로 배출되는 제 1 흐름( Flow) 구조와, 제 2 분배유로를 통해 분배배출구로 배출되는 제 2 흐름( Flow)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모듈은,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분배모듈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여과유입구;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분배모듈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여과배출구; 및 물의 흐름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1 여과유로 및 제 2 여과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여과유로 및 제 2 여과유로는, 각각 외벽 및 내벽으로 구획된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여과유로 및 제 2 여과유로 사이에는 여과처리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유로를 통해 제 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여과처리부로 공급된 후 여과되고, 제 2 방향으로 전환되어 제 2 여과유로를 통해 여과배출구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 조립되는 여과모듈과 분배모듈의 사이 및 상하 조립되는 여과모듈과 여과모듈의 사이에는 제 1 연통공과 제 2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중간판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은 공지의 배관을 연결하지 않아도 원수와 정수의 흐름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간단한 배관모듈과 여과모듈만의 조립만으로 수경시설에서 효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설치공간 또는 별도의 기계실이 구축되지 않은 등 다양한 장소에서도 설치현장에 구애을 받지 않고 상측 또는 좌우로 다양하게 형태를 변형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은 원하는 여과용량 또는 설치공간 등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의 여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배관모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여과모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중간판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a,7b,7c,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배관모듈을 다양하게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하나의 배관모듈 상부에 여과모듈을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배관모듈로 유입된 원수가 상부의 여과모듈을 거치면서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배관모듈과 그 상부에 여과모듈을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배관모듈과 여과모듈의 물의 흐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공지의 관 형태의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분배하는 분배모듈(100)과 물을 여과하는 여과모듈(200)의 상하좌우 조립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배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유입구(110)와 분배배출구(120) 및 제 1 분배유로(130)와 제 2 분배유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유입구(110)는 인접하는 배관 또는 분배모듈(100) 또는 여과모듈(200)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분배배출구(120)는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배관 또는 분배모듈(100) 또는 여과모듈(200)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분배유입구(110)와 분배배출구(12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분배유입구(110)와 분배배출구(120)가 서로 마주보거나 동일 흐름 라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유입구(110)와 분배배출구(12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일측방향으로 전환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분배유로(130)와 제 2 분배유로(140)는 분배모듈(100)의 내측에서 각각 분배유입구(110) 및/또는 분배배출구(120)와 연결되어, 물의 흐름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양 외벽(135)의 내측에 형성되는 격벽(145)에 의해서도 구분될 수 있다. 격벽(145)은 일자 형태 또는 'ㄱ'자 형태의 칸막이 일수도 있으나,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분배유로(130)를 통해 분배배출구(120)로 배출되어 인접하는 배관 또는 분배모듈(100) 또는 여과모듈(200)로 분배되는 제 1 흐름(Flow)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배관 또는 분배모듈(100) 또는 여과모듈(200)로부터 분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제 2 분배유로(140)를 거쳐 분배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제 2 흐름(Flow)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본 발명의 분배모듈(100)의 제 1 분배유로(130) 및/또는 제 2 분배유로(14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T'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배유입구(110)와 분배배출구(120)의 위치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일자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서로 접하는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여과모듈(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유입구(210)와 여과배출구(220) 및 제 1 여과유로(230)와 제 2 여과유로(240), 그리고 여과처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유입구(210)는 인접하는 배관 또는 분배모듈(100) 또는 여과모듈(200)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여과배출구(220)는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배관 또는 분배모듈(100) 또는 여과모듈(200)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유입구(210)와 여과배출구(220)는 각각 외벽(205)과 격벽(215)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유입구(210)와 여과배출구(220)는 여과모듈(200)의 조립방향에 따라 각각 여과모듈(200)의 측면은 물론, 상부 또는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여과유로(230)와 제 2 여과유로(240)는 각각 여과유입구(210) 또는 여과배출구(220)와 연통되는 연통구(235)(245)에 의해 물의 흐름방향인 전환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여과유입구(210)와 여과배출구(220) 사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걸름망(255)에 의해 구분 형성될 수 있다. 걸름망(255)은 기공이 형성되어 하기 설명되는 여과부재를 지지하고, 물은 통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처리부(250)는 여과유입구(210)와 여과배출구(220) 및 제 1 여과유로(230)와 제 2 여과유로(240)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여과처리부(250)에는 규조토, 황토, 숯, 부직포, 중공사 등 다양한 형태의 여과부재가 적용되어, 걸름망(25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여과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유로(230)를 통해 제 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여과처리부(250)로 공급되며, 여과처리부(250)에서 여과된 물은 다시 제 2 여과유로(240)를 통해 제 2 방향으로 전환되어 여과배출구(220)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모듈(200)의 상부는 상부판(260)에 의해 덮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하 조립되는 분배모듈(100)과 여과모듈(200), 그리고 상하 조립되는 여과모듈(200)과 여과모듈(200)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판체(3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중간판체(300)의 일측에는 제 1 연통공(310)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 연통공(3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통공(310)은 분배모듈(100)의 분배유입구(110) 또는 분배배출구(120) 중 어느 일측과 연통 될 수 있으며, 여과모듈(200)의 여과유입구(210) 또는 여과배출구(220) 중 어느 일측과도 연통될 수 있다. 제 2 연통공(320)도 마찬가지로 분배모듈(100)의 분배유입구(110) 또는 분배배출구(120) 중 어느 일측과 연통 될 수 있으며, 여과모듈(200)의 여과유입구(210) 또는 여과배출구(220) 중 어느 일측과도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통공(310) 또는 제 2 연통공(320)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분배모듈(100)의 형태에 따라 중도부까지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분배모듈(100)과 여과모듈(200) 및 중간판체(300)의 사이에는 수밀을 위해 오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 먼저 분배모듈(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일렬 또는 다수열로 구비하고, 각각의 분배모듈(100)의 상부에는 적어도 일단 또는 다수단의 여과모듈(200)을 적층하여 견고히 결합시켜 수처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배모듈(100)은 현장 상황에 따라 'ㄱ'자 형태, 'T'자 형태, 'I'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분배모듈(100)의 형태에 따라 여과모듈(200)도 동일하게 적층 결합된다.
예를들어 분배모듈(100)을 일렬로 서로 연접시켜 결합하는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일자 형태의 분배모듈(100) 하나 또는 여러개의 분배모듈(100a)이 서로 접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분배모듈(100)의 분배유입구(110)와 분배배출구(120)는 2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 분배모듈(100)의 일측 분배배출구(120)에는, 서로 접하는 타측 분배모듈(100a)의 분배유입구(110a)가 접하도록 하여 결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일측 분배모듈(100)의 일측 분배유입구(110)에는, 서로 접하는 타측 분배모듈(100a)의 분배유입구(120a)가 접하도록 하여 결합하게 된다.
물론, 최선단의 분배모듈(100)은 도 7b,7c,7d에서와 같이 격벽(145)이 'ㄱ'자 형태의 칸막이로 된 분배모듈(100)일 수도 있다. 또한, 현장의 상황에 따라 중도부에 'T'자 형태의 분배모듈(100)을 결합시켜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분배모듈(100) 또는 복수의 분배모듈(100a)(100n)의 상부에는 중간판체(300)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 다시 여과모듈(200) 또는 복수의 여과모듈(200a)(200n)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분배모듈(100)의 제 1 분배유로(130) 상부에는 중간판체(300)의 제 1 연통공(310)이 위치하도록 하고, 그 상부에는 여과모듈(200)의 여과유입구(210)가 위치하도록 한다. 당연히 분배모듈(100)의 제 2 분배유로(140) 상부에는 중간판체(300)의 제 2 연통공(320)이 위치하도록 하고, 그 상부에는 여과모듈(200)의 여과배출구(220)가 위치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과모듈(200)의 상부에는 다시 여과모듈(200)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부판(260)으로 마감될 수도 있다.
또한, 분배모듈(100)을 전후좌우로 다수열로 서로 연접시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같은 열의 분배모듈(100)은 일자 형태의 분배모듈(100)을 복수로 연접시켜 결합하고, 다른 열의 분배모듈(100)로 물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ㄱ'자 형태의 분배모듈(100) 또는 'T'자 형태의 분배모듈(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분배모듈(100)과 상부의 여과모듈(200) 사이 및 여과모듈(200)과 상부의 여과모듈(200) 사이마다 중간판체(300)를 결합한다.
즉, 처리하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따라 도 11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분배모듈(100)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1열 또는 복수의 열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배모듈(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여과모듈(200)도 하나 또는 복수의 단으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은 분배모듈(100)의 분배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원수가 제 1 분배유로(130)를 통해 상부에 결합된 여과모듈(200)로 보내어지는 제 1 흐름(Flow)의 구조에 의해 원수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과모듈(200)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져 배출되는 정수는 분배모듈(100)의 제 2 분배유로(140)로 거쳐 분배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제 2 흐름(Flow)의 구조를 통해 정수가 별도의 탱크 또는 사용처로 보내어질 수 있다.
이를 도면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최 선단에 위치하는 분배모듈(100)의 일측에 형성된 분배유입구(11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는 제 1 분배유로(130)를 통해 측면에 결합된 타측 분배모듈(100a)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제 1 분배유로(130a)를 또 다른 복수의 타측 분배모듈(100n)로 유입된다. 이때, ㄱ'자 형태의 분배모듈에 의해 다른 열에 결합된 분배모듈(100)로 원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 후단에 위치하는 분배모듈(100)에는 분배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분배모듈(100))(100a)(100n)에 유입된 원수는 상부에 결합된 여과모듈(200)(200a)(200n)로 각각 보내어져 여과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배모듈(100))(100a)(100n)을 통해 여과모듈(200)(200a)(200n)로 유입되는 원수는, 각각의 여과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후 각각의 제 1 여과유로(230)로 방향이 전환되고, 각각의 여과처리부(250)(250a)로 유입된다. 이때, 원수가 분배모듈(100)(100a)(100n)에 의해 여과모듈(200)(200a)(200n)로 유입되기 전에 중간판체(300)의 제 1 연통공(310)을 통해 유입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원수가 여과처리부(250)(250a)를 통과하는 동안 여과처리부(250)(250a)의 여과부재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여과된 정수만 제 2 여과유로(240)(240a)로 배출되고 여과배출구(220)(220a)로 방향이 전환된 후 다시 분배모듈(100)의 제 2 분배유로(140)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정수가 여과모듈(200)(200a)로부터 분배모듈(100)로 유입되기 전에 중간판체(300)의 제 2 연통공(320)을 통해 유입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각각의 분배모듈(100))(100a)(100n)의 제 2 분배유로(140)로 유입된 정수는 최 선단의 분배모듈(100)에 형성된 분배배출구(120)로 배출되어 여과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은 현장의 상황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단위 분배모듈(100)과 여과모듈(200) 간에 별도의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외부에서 보여지는 형태가 미려한 장점이 있다.
100 : 분배모듈 110 : 분배유입구
120 : 분배배출구 130 : 제 1 분배유로
140 : 제 2 분배유로 200 : 여과모듈
210 : 여과유입구 220 : 여과배출구
230 : 제 1 여과유로 240 : 제 2 여과유로
250 : 여과처리부 300 : 중간판체
310 : 제 1 연통공 320 : 제 2 연통공

Claims (10)

  1. 물을 여과하는 여과모듈과, 상기 여과모듈과 결합되어 물을 분배하는 분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모듈은,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분배모듈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분배유입구와,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모듈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분배배출구와, 양측 외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격벽에 의해 물의 흐름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배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분배유입구와 연결되는 제 1 분배유로, 상기 분배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2 분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분배유로를 통해 분배배출구로 배출되는 제 1 흐름( Flow) 구조를 구성하고, 제 2 분배유로를 통해 분배배출구로 배출되는 제 2 흐름( Flow) 구조를 구성하며,
    상기 여과모듈은,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분배모듈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여과유입구와, 인접하는 배관 또는 여과모듈 또는 분배모듈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여과배출구와, 상기 여과유입구와 여과배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연통구에 의해 물의 흐름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각각 외벽 및 내벽으로 구획된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여과유로 및 제 2 여과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유로를 통해 제 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여과처리부로 공급된 후 여과되고, 제 2 방향으로 전환되어 제 2 여과유로를 통해 여과배출구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여과유로 및 제 2 여과유로 사이에는 여과처리부가 구성되며,
    상기 여과모듈의 상부에는 상부판이 덮혀 차단되며, 상기 상하 조립되는 여과모듈과 분배모듈의 사이 및 상하 조립되는 여과모듈과 여과모듈의 사이에는 제 1 연통공과 제 2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중간판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수처리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02625A 2019-01-09 2019-01-09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KR10199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25A KR101994174B1 (ko) 2019-01-09 2019-01-09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25A KR101994174B1 (ko) 2019-01-09 2019-01-09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174B1 true KR101994174B1 (ko) 2019-07-01

Family

ID=6725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25A KR101994174B1 (ko) 2019-01-09 2019-01-09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715A1 (en) * 2006-10-03 2008-04-03 Reid Jason W Ion Exchange and Particulate Filter Assembly
KR20090089776A (ko) *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파라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KR20100106719A (ko) 2009-03-24 2010-10-04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20120085441A (ko) 2011-01-24 2012-08-01 경원조경주식회사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715A1 (en) * 2006-10-03 2008-04-03 Reid Jason W Ion Exchange and Particulate Filter Assembly
KR20090089776A (ko) *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파라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KR20100106719A (ko) 2009-03-24 2010-10-04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20120085441A (ko) 2011-01-24 2012-08-01 경원조경주식회사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151B2 (ja) 水族館濾過装置
JP2009525846A (ja) モジュール型逆浸透水処理システム
CN105123599A (zh) 一种适合高密度水产养殖的零排放循环水系统
CN204111494U (zh) 一种适用于离岸工程船舶的饮用水净化装置
KR101994174B1 (ko)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CN202449943U (zh) 紧急供水设备
KR101894277B1 (ko)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CN201056525Y (zh) 全水力自控一体化净水装置
CN212262493U (zh) 一种石英砂过滤器
CN202063781U (zh) 一种卡接式反渗透纯水设备
KR101645182B1 (ko) 정수기
CN207537315U (zh) 一种用于治理小微水体的净水装置
KR101178336B1 (ko)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CN205999194U (zh) 一种带清水池的慢滤净水器
CN207227217U (zh) 一种带uv杀菌的净化过滤系统
KR101685929B1 (ko) 개개의 간이정수장치의 수질판단 및 계측확인이 가능한 근거리통신 기능을 갖는 간이정수장치
KR102540690B1 (ko) 배수지 유출구 설치용 정밀여과장치
CN112851056B (zh) 一种自净化生态泳池系统
CN211284004U (zh) 一种泳池紫外线光催化铜银离子消毒净化器
CN203890182U (zh) 多次循环过滤的净水器
CN102442723B (zh) 一种防止生物滋生的活性炭滤池
CN204073856U (zh) 一种无泵、节能节水型直流式家用纳滤净水器
CN216005499U (zh) 一种野外快速布设净水装置
CN221093952U (zh) 一种饮用水快速供水设备
CN216513130U (zh) 一种净水机管路冲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