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336B1 -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336B1
KR101178336B1 KR1020110123262A KR20110123262A KR101178336B1 KR 101178336 B1 KR101178336 B1 KR 101178336B1 KR 1020110123262 A KR1020110123262 A KR 1020110123262A KR 20110123262 A KR20110123262 A KR 20110123262A KR 101178336 B1 KR101178336 B1 KR 10117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backwashing
backwas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336B9 (ko
Inventor
이근복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이피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8880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783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이피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이피디
Priority to KR102011012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336B1/ko
Publication of KR10117833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33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질이 포함된 물이 발생하는 곳에 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부유물질이 포함된 유입수를 여과하는 장치로써 여과기의 기능 중 여과에서 역세의 기능의 전환시 순환펌프의 가동을 정지하지 않고 역세의 과정을 진행하며 특히 별도 장치의 조작 없이 역세 시 여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여과기 각각의 개별적인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여 여과기에 있는 이물질을 역세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하면서도 물을 계속 여과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여과하고자 하는 유입수에 따라 여과기의 설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시설의 확장에 따른 여과기의 교체를 하지 않고 추자 증설을 시킴으로 여과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기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역세공정을 함과 동시에 계속 여과된 물은 기존의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수영장의 물을 여과 및 이물질을 같이 걸러내어 정화함으로써 하나의 여과기로 처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과기가 작동 도중 이물질에 의하여 막혔을 경우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는 동작을 멈추지 않고 2방 3구 역세 밸브를 작동하여 물을 여과하여 기존 라인에 공금함과 동시에 역세공정이 같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로 설치된 여과기로 정화와 여과를 같이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여과기의 설치 공간이 좁아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The filt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놀이동산. 상업용 수영장이나 냉각수 탑. 식품 및 음료수 제조공장과 같이 물을 많이 사용하고, 부유물질이 포함된 물이 발생하는 곳에 사용하는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유물질에 의하여 여과장치가 막혔을 경우 역세의 기능을 이용하여 여과장치의 필터를 청소함과 동시에 여과장치가 역세 기능으로 청소를 하는 동안에도 계속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여과와 역세의 과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있어서, 상업용 수영장이나 냉각수 탑. 식품 및 음료수 제조공장과 같은 곳은 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물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사용하고 난 물을 버리지 않고 여과 및 정수하여 재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영장이나 공장에서 한번 사용한 물은 화학물질과 머리가락 또는 음식물 등의 각종 이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배출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수영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수영은 계절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서, 많은 사람이 수영을 즐기고 있고, 수영을 하면 온몸을 다 움직여야 함으로써 전신운동이 되며, 폐활량이 느는데다 실내 수영장의 따듯하고 습한 공기가 있음으로 감기가 잦거나 천식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좋은 운동이다.
즉 수영장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천식증상을 완화하므로 천식 및 감기증상이 잦은 사람에게 좋다. 그리고 물속에 있으면 물 밖에 있을 때보다 체열을 25배나 많이 빼앗기는데 수영을 하면 이런 과정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우리 몸의 체온조절 기능이 자연스럽게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실내/외의 수영장은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수영을 하는 각각의 사람마다 수영장 내에서 보디 오일, 선탠 로션 등의 화학물질과 인체에서 빠지는 머리카락 등의 각종 이물질이 떠다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물질로 인하여 수영장에 있는 물의 수질의 청결성을 크게 저하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을 정화하지 않을 경우 감염성 질환이나 피부질환 등이 유발될 수 있는 등 인체에 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종래에는 수영장의 물이 수질이 떨어질 경우 수영장의 물에다가 소독제인 염소(CL) 및 수질 정화용 황산알루미늄 (AI2O3) 염산(HCl) 등을 통상적으로 투입하여 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화학제를 투입하는 방법은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악화시키고 드물게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학약품 사용은 일반인도 손발의 피부가 건조해지고 각질이 일어나면서 피부가 허물처럼 벗겨지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수영장에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물을 자주 교체해야 함으로써 물의 낭비가 심하고, 약품사용에 대한 유지 관리 비용이 많이 들어가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화학 약품을 투입하여 물속에 있는 각종 인발세균과 병원균의 소독 및 정화할 수는 있으나, 자주 사용할 수가 없고 근본적으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머리카락과 같은 각종 이물질은 제거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여과를 함으로써 불편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여과함과 동시에 정화하도록 한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의 여과 장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거름 판을 통과한 다음 투입함으로써 여과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의 여과장치는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수영장의 막대한 물을 정화하는 데는 무리가 따랐다. 즉 수영장의 물을 거름 판으로 분사하여 이물질을 거를 경우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거름 판이 막히게 되므로 잦은 청소를 하여야 하고 심할 경우 물이 역류하거나 기기에 과부하가 걸려 파손됨으로써 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여과장치가 막히거나 파손될 경우 수영장의 물을 여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오염된 상태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여과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세 기능을 가진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즉 종래에 사용되어온 역세 여과기는 이물질에 의하여 여과부가 막혔을 경우 밸브의 방향을 틀은 다음 물을 역으로 역류시켜 여과망에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 다음 밸브의 방향과 역세 기능을 원 상태로 하여 다시 여과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의 역세 기능을 이용한 여과방법은 여과장치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동안 기존의 여과 공정이 정지된 상태에서 역세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역세 공정 동안 수영장의 물은 여과할 수가 없는 문제점 있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에 의하여 여과부가 막혀 역세공정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기존의 여과 라인이 정지됨으로써 여과기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가 없었고, 수영장이나 목욕탕의 물일 경우 자주 막히게 됨으로써 하나의 여과라인이 막혔을 경우 역세공정을 하는 동안 대신 여과공정을 하는 별도의 여과 라인을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역세공정이 있는 여과기 시스템과 그 장치가 안출되었으나, 상기 종래의 방식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역세 공정을 할 경우 기존의 여과 공정을 할 수가 없어 여과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부유물질이 포함된 유입수를 여과하는 장치로써 여과기의 기능 중 여과에서 역세의 기능의 전환시 순환펌프의 가동을 정지하지 않고 역세의 과정을 진행하며 특히 별도 장치의 조작 없이 역세 시 여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여과기 각각의 개별적인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여 여과기 내부에 쌓여있는 이물질을 역세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하면서도 물을 계속 여과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여과하고자 하는 유입수에 따라 여과기의 설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시설의 확장에 따른 여과기의 교체를 하지 않고 추가 증설을 시킴으로 여과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방법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2개 이상인 복수로 된 여과 몸체를 상측으로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와 출구 측 다기관 파이프 및 역 세척수 배수 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된 여과기가 펌프와 2방 3구 밸브에 의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 공정;
2개 이상인 복수의 여과기 몸체 중 어느 하나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혔을 경우 펌프는 계속 작동하고 막힌 여과기의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와 역 세척수 배수 파이프에 설치된 2방 3구 밸브가 작동하여 물의 흐름을 역으로 흐르게 하는 2방 3구 밸브 작동공정;
2방 3구 밸브의 작동이 이물질에 의하여 막힌 여과기 몸체에 있는 이물질을 떨어지게하기 위하여 물이 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세공정;
상기 역세 공정과 동시에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와 출구 측 다기관 파이프 및 역 세척수 배수 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된 여과기가 펌프와 2방 3구 밸브에 의하여 여과된 물의 일부는 역세 공정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물은 계속 원래의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여과된 물의 공급공정;
상기 역세 공정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이 역 세척 배수파이프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공정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 여과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여과기 몸체를 1대에서 최대 8대까지 다수 개로 설치하는 횡형 복합 여과기(1)와;
상기 여과기(1)를 이루고 있는 몸체(2)(2')의 상측에 설치되어 유입수를 각각의 여과기로 분배시키는 C-PVC #40 재질의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여과기 몸체(2)(2')의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고르게 분산 시킬 수 있도록 각 여과기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강도 C-PVC 살수 파이프(5)(5')와;
상기 C-PVC 살수 파이프(5)(5')의 상측에 다수 개 설치되어 물이 고르게 분배되도록 하는 ABS재질의 분배 토출기(6)와;
상기 C-PVC 살수 파이프(5)(5')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부유 물질을 제거한 유입수를 통과시키는 ABS재질의 20개의 스트레이너(8)가 설치된 흡입관(7)과;
상기 여과기 몸체(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스트레이너(8)를 통과한 유입수를 모아 공급하는 C-PVC #40 재질의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와;
삭제
상기 여과기 몸체(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역세척시에 역세수를 방류할 수 있는 C-PVC #40 재질의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와;
상기 여과기 몸체(2)(2')의 상측에 설치된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에 각각 여과/역세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유입수의 방향을 조절하는 청동 주물 재질의 2방 3구 역세밸브(13)(13')와;
상기 여과기 몸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 역세척수의 흐름 상태 및 여과로의 기능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역세 관찰경(3)과;
상기 여과기 몸체(2)의 상부에 설치되며, 역세시 여과/ 역세 물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역세시 2방 3구 역세밸브(13)(13')에 수압을 가하여 역세밸브(13)(13')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여과기 몸체(2)(2')의 내부에 압력을 높여주어 역세척수가 압력에 의하여 역세수 배수 파이프(10)로 배출되게 하는 역세 가압펌프(4)와;
역세시 항상 일정한 수압이 2방 3구 역세밸브(13)(13')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유지시켜 주는 압력게이지 및 다이얼게이지와;
유량/온도/ 및 가동시간/역세일정/역세시간 및 장비의 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자동컨트롤 박스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력 구동식이며, 수평 병렬연결 방식으로써 설계된 최대유량은 여과기 면적 1㎡당 0.8 ton/min 정도이며 역세 시 최대 압력 강하는 0.211 Kg f/cm2 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여과기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역세공정을 함과 동시에 계속 여과된 물은 기존의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수영장의 물을 여과 및 이물질을 같이 걸러내어 정화함으로써 하나의 여과기로 처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과기가 작동 도중 이물질에 의하여 막혔을 경우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는 동작을 멈추지 않고 2방 3구 역세 밸브를 작동하여 물을 여과하여 기존 라인에 공급함과 동시에 역세공정이 같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여과기중 선택적으로 역세를 하고 다른 여과기는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와 역세를 같이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여과기의 설치 공간이 좁아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입수를 다수 개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여과도중 역세로 할 경우 순환 펌프를 정지시키지 않고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역세의 작동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편리하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 공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여과기 몸체의 개략 측 단면도로서 역시 공정시 물의 흐름을 보인 개략도
도 6A는 도면상 우측 여과기 몸체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혔을 때의 역세 공정 중 물의 흐름을 보인 개략 사시도
6B는 도면상 좌측 여과기 몸체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혔을 때 역세 공정 중 물의 흐름을 보인 개략 사시도
본 발명을 2개 1조로 된 본 발명의 여과기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여과기(1)는 구동 시 각각의 탱크는 개별적으로 역세/여과가 이루어지며, 해당 여과기 역세 시에는 인접한 여과기에서 정수 된 깨끗한 물로 역세를 행하게 되며. 미설명 부호 9는 흡입관이 여과기 몸체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떠있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보인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1개 또는 8개가 일체로 된 횡형 복합 여과기(1)의 내부에 펌프에 의하여 여과기(1)의 상측에 설치된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를 통하여 공급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은 여과기 몸체(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여과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살수 파이프(5)(5')의 분배 토츨기(6)를 통하여 여과재로 고르게 분배되어 공급된다.
즉 살 수 파이프(5)(5')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 분배 토출기(6)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물이 여과기 몸체의 내부에 충진된 여과 재로 고르게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 재로 떨어진 물은 충진된 여과 재에 의하여 각종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각 여과기 몸체(2)(2')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흡입관(7)의 스트레이너(8)를 통하여 흡입된 다음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를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된 물은 수영장으로 공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물질에 의하여 여과기를 이루고 있는 여과기 몸체 중 우측의 여과기에 충진된 여과재가 막혔을 경우(여기서는 2개 1조로 된 여과기 중 우측의 것이 막혔을 때를 설명함) 도 6A에서와 같이 펌프는 계속 작동하는 상태에서 컨트롤 박스에 의하여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에 설치된 2방 3구 역세밸브(13)(13')가 작동하게 된다.
즉 막힌 여과기 몸체(2)에 설치된 2방 3구 역세밸브(13)가 작동하여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에서 유입되는 여과기 몸체(2)로 유입되는 유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역 세척수 배수파이프(10)의 배수공을 오픈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여과기 몸체(2')에 설치된 2방 3구 역세밸브(13')가 작동하여 역세척수 배수파이프(10)의 배수공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도 펌프에 의하여 물을 계속 공급되며, 도 6A에서와 같이 이 물은 2개의 여과기 몸체 중 막히지 않은 곳(2')에서 여과된 다음 출구 측 다기관 파이프(11)에 의하여 물이 막힌 여과기 몸체(2)로 역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물이 흡입관(7)을 통하여 흐른 다음 흡입관의 양측에 설치된 스트레이너(8)를 통하여 분사되고 이 물은 다시 여과재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여과 제를 막고 있던 이물질과 같이 분배 토출기(6)로 흘러들어간 다음 살 수 파이프(5)(5')를 통하여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여과기 몸체(2)의 하부에 구비된 역세 가압펌프(4)는 역세밸브(13)(13')를 작동시켜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 및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과, 여과기 몸체(2)의 내부 압력을 높여주어 역세척수가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로 배출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역세를 할 때에 여과기 몸체(2)에 구비된 역세 가압펌프(4)를 통해서 역세밸브(13)가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는 폐쇄시키고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는 개방시키며, 다른 여과기 몸체(2')에 구비된 가압펌프(4)를 통해서 상기 여과기 몸체(2)에서와는 반대로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는 개방시키고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는 폐쇄시키면 다른 여과기 몸체(2')에 유입되어 여과된 후 출구 측 다기관 파이프(11)로 배출되는 여과수가 여과기 몸체(2)에 연결된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를 통해서 스트레이너(8)로 유입되고 있며, 이러한 역세수는 여과기 몸체(2)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개방된 역세척수 배수파이프(10)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막혀 있는 여과기에 충진된 여과재를 청소하기 위하여 역세 공정을 거치는 동안 막히지 않은 곳의 여과기 몸체(2')에서 여과된 물은 출구 측 다기관 파이프(11)를 통하여 여과재를 청소하는 여과기 몸체(2)에 공급됨과 함께 계속 수영장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이 끝나면 컨트롤 박스에 의하여 2방 3구 역세밸브(13)(13')가 작동시켜 물의 흐름을 원상 복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물질이 함유된 물을 상기여과기 몸체(2)(2')가 여과하여 정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역세 밸브는 컨트롤 박스에 설정된 압력이나 작업지시자의 조작에 의하여 정수과정과 역세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6B는(여기서는 2개 1조로 된 여과기 중 좌측의 것이 막혔을 때를 설명함) 좌측의 여과기 몸체가 막혔을 때의 2방 3구 역세밸브(13)(13')의 작동에 의하여 물의 역세 흐름을 보인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의 여과기 몸체(2')가 막혔을 때 여과기 몸체(2')에 설치된 2방 3구 역세밸브(13')가 작동하게 되면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를 폐쇄하고 역세척수 배수파이프(10)를 오픈하여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막히지 않은 여과기 몸체(2)의 2방 3구 역세 밸브(13)가 작동하여 역 세척수 배수 파이프(10)를 폐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이 여과기 몸체(2)로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펌프에 의하여 물은 계속 공급되므로 도 6B에서와 같이 이 물은 2개의 여과기 몸체 중 막히지 않은 여과기 몸체(2)에서 여과된 다음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로 배출되면서 일부는 수영장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막힌 여과기 몸체(2')로 역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물이 역으로 공급되면 흡입관(7)을 통하여 흐른 다음 흡입관의 양측에 설치된 스트레이너(8)를 통하여 분사되고 이 물은 다시 여과재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여과재를 막고 있던 이물질과 같이 분배 토출기(6)로 흘러들어간 다음 살 수 파이프(5)(5')를 통하여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로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각각의 여과기 몸체(2)(2')가 서로 연결되는 결합 관계로서는 도 2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여과기 몸체(2)(2')의 상부에 구비된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 및 역세척수 배수파이프(10)들을 서로 연결하는 간단한 결합으로 여과기 몸체(2)(2')가 복수의 수로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압력 구동식이며, 수평 병렬연결 방식으로써 설계된 최대 유량은 여과기 면적 1㎡당 0.8 ton/min 정도이며 역세 시 최대 압력 강하는 0.211 Kg f/cm2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여과장치의 총 유효면적은 5.02m2이며, 여과재는 3 Hi-Rate 영구적인 중막필터 탱크(Permanent Media Filter Tank)로 구성하고, 여과기기의 구동 시에는 3.33m2/min의 여과능력을 가진다.
시스템 구동시 각각의 탱크는 개별적으로 여과/역세가 이루어지면 해당 여과기 몸체의 역세 시에는 인접한 다른 여과기 몸체에서 정수된 깨끗한 물로 역세를 행하게 된다. 이때에 역세과정에서 정수되지 않은 원수로 역세를 행하면 안 되고 역세과정 중 배수되어지는 배수물량은 시스템의 원활한 가동을 위하여 최대 1.5ton/min을 넘어서는 안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따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겐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여과기 2. 2'. 여과기 몸체
3. 역세 관찰경 4. 역세 가압펌프
5. 5'. 살수 파이프 6. 분배 토출기
7. 흡입관 8. 스트레이너
10.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 11. 출구 측 다기관 파이프
13. 13'. 2방3구 역세 밸브 14.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

Claims (4)

  1. 삭제
  2. 여과기 몸체(2)(2')에 유입수를 유입시키는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상기 여과기 몸체(2)(2')의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고르게 분산 시킬 수 있도록 각 여과기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살수 파이프(5)(5')와;
    상기 여과기 몸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 역세척수의 흐름 상태 및 여과로의 기능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역세 관찰경(3)과;
    상기 살수 파이프(5)(5')의 상측에 다수 개 설치되어 물이 고르게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 토출기(6)와;
    상기 살수 파이프(5)(5')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부유 물질을 제거한 유입수를 통과시키는 스트레이너(8)가 설치된 흡입관(7)과;
    상기 스트레이너(8)를 통과한 유입수를 모아 공급하는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와;
    상기 여과기 몸체(2)(2')의 내부를 청소한 역세수를 방류할 수 있는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와;
    역세시 항상 일정한 수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지시켜 주는 압력게이지 및 조절밸브를 가지는 여과기(1)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몸체(2)(2')를 2에서 최대 8대까지 다수개로 설치하는 횡형 복합 여과기(1)와;
    상기 여과기 몸체(2)(2')의 상부 일측에 유입수를 외부에서 내부로 각각의 여과기로 분배하는 C-PVC #40 재질의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상부 타측에는 스트레이너(8)를 통과한 유입수를 모아 공급하는 C-PVC #40 재질의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 및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역세수를 방류할 수 있는 C-PVC #40 재질의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를 구비한 여과기 몸체(2)(2')와;
    상기 여과기 몸체(2)(2')에 구비된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를 연결하여 유입수의 유입 및 역세수의 배출하는 기능을 조절하는 청동 주물 재질의 2방 3구 역세밸브(13)(13')와;
    상기 여과기 몸체기(2)(2')에 역세시 역세밸브(13)(13')를 작동시켜 입구측 다기관 파이프(14) 및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역세수를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로 원활하게 배출이 되도록 여과기 몸체(2)(2')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역세수가 압력에 의하여 역세척수 배수파이프(10)로 배출되게 하는 역세 가압펌프(4)와;
    상기 여과기 몸체(2)의 상부에 설치되며, 역세시 여과 또는 역세 물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유량과 온도 그리고 가동시간과 역세일정 및 역세시간 또는 장비의 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자동컨트롤 박스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여과기(1)를 이루고 있는 여과기 몸체(2)(2')를 복수의 수로 연결을 하되, 여과기(1)를 연결할 때 각각의 입구 측 다기관 파이프(14)와 출구측 다기관 파이프(11) 및 역세척수 배수 파이프(10)를 연결하여 여과기 몸체(2)(2')를 2개 이상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장치.
  4. 삭제
KR1020110123262A 2011-11-24 2011-11-24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KR10117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62A KR101178336B1 (ko) 2011-11-24 2011-11-24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62A KR101178336B1 (ko) 2011-11-24 2011-11-24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336B1 true KR101178336B1 (ko) 2012-08-30
KR101178336B9 KR101178336B9 (ko) 2023-05-26

Family

ID=4688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62A KR101178336B1 (ko) 2011-11-24 2011-11-24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24B1 (ko) 2022-03-02 2023-05-15 주식회사 디에스퓨어시스템 냉각장치가 구비된 오염수 여과시스템
KR102591637B1 (ko) 2022-10-06 2023-10-19 주식회사 코리아이피디 와류식토출체를 갖는 여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418A (ja) * 2009-04-27 2010-11-11 Yanmar Co Ltd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418A (ja) * 2009-04-27 2010-11-11 Yanmar Co Ltd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24B1 (ko) 2022-03-02 2023-05-15 주식회사 디에스퓨어시스템 냉각장치가 구비된 오염수 여과시스템
KR102591637B1 (ko) 2022-10-06 2023-10-19 주식회사 코리아이피디 와류식토출체를 갖는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336B9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6213A (en) Embedded spin-clean cartridge-type water filters
CN102335530A (zh) 一种冷却水过滤装置
EP2998009A1 (de) Filteranlage
KR101178336B1 (ko)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894277B1 (ko)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CN202155090U (zh) 过滤塔
CN111228881A (zh) 集成式全自动污水收集、过滤系统
CN204815881U (zh) 一种前置式反冲洗过滤器
CN216778163U (zh) 一种蓄水用过滤装置
CN212262493U (zh) 一种石英砂过滤器
CN109499159A (zh) 一种自清洗过滤器
CN202185206U (zh) 冷却水过滤装置
DE102007049845B4 (de) Filteranlage zum Entfernen von partikulären und/oder gelösten Teilchen aus insbesondere stehenden Gewässern
KR200420158Y1 (ko) 자동 정밀여과장치
KR102612079B1 (ko) 자동 세척 기능이 있는 기존 배관장착용 파이프형 정밀여과장치
CN106390551A (zh) 一种养殖水处理装置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10629857A (zh) 一种雨水处理系统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EP1760046B1 (de) Kompaktes Wasserreinigungsgerät für Teiche
CN206521348U (zh) 一种循环水过滤器
KR102571445B1 (ko) 자동 세척 기능이 있는 배관형 정밀여과장치
CN201023010Y (zh) 高精度大流量微孔陶瓷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26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102

Effective date: 20220120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169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215

Effective date: 202212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30001013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119

Effective date: 202304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5000015;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0220

Effective date: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