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277B1 -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277B1
KR101894277B1 KR1020180030042A KR20180030042A KR101894277B1 KR 101894277 B1 KR101894277 B1 KR 101894277B1 KR 1020180030042 A KR1020180030042 A KR 1020180030042A KR 20180030042 A KR20180030042 A KR 20180030042A KR 101894277 B1 KR101894277 B1 KR 10189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filtering
foreign mat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최창형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Abstract

본 발명은 분수 및 물놀이 등의 수경시설에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여과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여과재 교환이 용이한 수중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밸런싱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일측벽에는 제1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는 제1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여과부; 상기 제1여과부의 덮개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태의 합성수지 브러시가 빗자루 형태로 조밀하게 늘어져 구비되는 큰이물질여과부; 상기 제1여과부의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가 저장되는 여과수중간저장부;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여과수중간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상부의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제2여과부; 및 및 상기 제2여과부의 내부에 삽입 구비되며 여과재충진부에 충진된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미세이물질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면서도 역세척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이 이루어져 양호한 여과효율을 유지하며, 역세척 및 여과재 교체가 용이하여 운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Water Treatment System for Underwater}
본 발명은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수 및 물놀이 등의 수경시설에서 간단한 구조로 수중에 설치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여과하며, 기계실이 없는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작동할 수 있는 수중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시설은 수돗물, 하천수, 지하수 등을 인위적으로 이용하여 실내 또는 야외에 설치하는 분수, 연못, 폭포, 벽천, 계류 등의 시설물을 말하며, 그 중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은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어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물놀이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물놀이 수경시설은 타 수경시설과는 다르게 이용객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문제, 음용 문제, 비상용수의 흡입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이 야외에 노출된 환경이고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위생상태도 좋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근래와 같이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경우, 미세먼지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물에 녹아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물놀이 수경시설의 물을 소량이라도 마시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처리 시설은 환경 및 보건상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물놀이 수경시설의 수 처리 시설에서 특별히 관리해야 할 사항은,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세균의 살균처리, 조류의 살균 처리, 각종 미생물의 사체와 부유물에 의한 탁도 제거 등이다. 그러나 기존의 물놀이 수경시설에 대한 수처리 시설은 살균 처리에 한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탁도 제어에 대한 시스템은 구비되지 않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미국의 경우 1995년부터 2004년 사이 위락용수로 인한 사망인원이 24명, 질병 발생자 수가 18,500여명에 달하며 그 중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 이용 후 질병이 발생한 환자수가 542명이었다.(Eisenstein.et.al.,2008)
국내에서는 사용자 피해사례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는 없으나, 수경시설의 수질문제가 원인으로 의심되는 각종 사고나 민원은 지속적으로 다수 발생하고 있다.
2016년까지의 국내의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수질 관리 기준은 환경부의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수질관리지침”과 경기도의 “분수수질의 적정기준 유지를 위한 조례”등이 있다. 또한, 2017년 1월부터 환경부에서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로서 수경시설의 수질관리기준을 법제화 하였다.
현재 전국적으로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경시설(민간운영 제외)은 1,000여개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기존의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 대부분은 수처리장치가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되었던 수처리 장치는 규모나 대상물질에 있어,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체계적 관리방안의 연구](2013.5,환경부)에 따르면, 자료가 수집된 552개소 중 95개소에 해당하는 17.2%가 수처리 시설이 없었으며, 사실상 수처리 시설이 없다고 판단되는 347개소의 수경시설을 합치면 총 80.1%에 해당하는 442개소에서 수처리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런 부실한 시설문제는 관리문제로 이어지게 되었고 하자보증기간이 끝나는 시점이나 물놀이장의 관리가 민간에게 넘어가는 시점에서 시설물의 폐쇄 또는 용도변경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물은 다른 조합놀이시설물에 비해 고가격으로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하지 못하여 경제적 손실이 커지게 되었다.
또한, 일부의 수처리 장치가 없거나 미흡한 수경시설은 자주 수돗물을 공급하여 수질은 관리하기도 한다. 이 경우 교체시 마다 대략 200여톤의 상수도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부담을 가중 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기준 법제화에 따라 기존 시설에 대한 여과장치 설치 및 신규 물놀이장에 대한 여과장치 설치는 불가피하며, 빗물의 이용이나 물순환을 통한 상수도비의 절감 효과 등을 가지는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특성을 반영한 수처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최근에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중 여과기가 제공되기도 하지만, 이는 오염물에 의해 중공사막의 기공이 빠른 시간에 막히면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중공사막을 교체하는 비용이 고가임에 따라 유지비용이 증가하여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문헌 1 : 공개특허 10-2012-0085441호 문헌 2 : 공개특허 10-2010-0106719호
본 발명은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물을 여과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로 수중에 설치하여 효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면서도 역세척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을 설치할 기계실이 없는 곳에서도 설치하여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밸런싱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일측벽에는 제1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는 제1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여과부; 상기 제1여과부의 덮개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태의 합성수지 브러시가 빗자루 형태로 조밀하게 늘어져 구비되는 큰이물질여과부; 상기 제1여과부의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가 저장되는 여과수중간저장부;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여과수중간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상부의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제2여과부; 및 및 상기 제2여과부의 내부에 삽입 구비되며 여과재충진부에 충진된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미세이물질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이물질여과부는 상부측 또는 측면 또는 후단측으로 복수로 연결되어 여과처리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이물질여과부는, 상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미세망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 미세망 사이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는 여과재충진부; 상기 여과재충진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전측으로는 상기 제2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유입구가 형성되는 하단수로; 및 상기 여과재충진부의 상단에 마련되며, 후측으로는 상기 제2배출구와 연통되는 제3배출구가 형성되는 상단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에는 제1여과부의 제1유입구와 큰이물질여과부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구획판이 상기 제1여과부의 하측 중도부까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에는 큰이물질여과부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브러시유동제어대가 더 구비되어, 상기 큰이물질여과부의 흔들림 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수중간저장부와 제1여과부 사이의 하단에는 상기 제1여과부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제1역세척수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여과부에서 여과된 이물질 및 상기 제1역세척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역세척수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면서도 역세척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이 이루어져 양호한 여과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역세척 및 여과재 교체가 용이하여 운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런싱 탱크 내부에 침지시켜 설치함으로써, 수처리 시스템을 설치할 기계실이 없는 곳에서도 설치하여 가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제1여과부의 덮개부를 개방하여 큰이물질여과부를 보여주는 간략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제2여과부의 덮개를 개방하여 미세이물질여과부를 분리한 상태의 간략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덮개부와 큰이물질여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제2여과부와 미세이물질여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여과 시 물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역세척 시 물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제1여과부의 덮개부를 개방하여 큰이물질여과부를 보여주는 간략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제2여과부의 덮개를 개방하여 미세이물질여과부를 분리한 상태의 간략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물놀이 및 수경시설 등의 수중 수처리시스템은 밸런싱 탱크(T) 내부의 수중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아진 오염수에 침지되어 설치된다. 즉, 수처리 시스템을 설치할 기계실이 없는 곳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여과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시스템은 큰 이물질이 걸러지는 제1여과부(100)와 큰이물질여과부(110), 그리고 여과수중간저장부(120), 미세 이물질이 걸러지는 제2여과부(200)와 미세이물질여과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여과부(100)는 밸런싱 탱크(T) 내부의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단 일측에는 제1유입구(10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배출구(102)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측을 덮기 위한 덮개부(103)가 구비된다. 제1유입구(101)는 밸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밸런싱 탱크(T)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배출구(102)는 이물질이 가라앉는 하부측보다는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유입구(101)와 제1배출구(102)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일측방향으로만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여과부(100)의 중도부에는 낙하하는 이물질을 하부측으로 유도하고, 낙하한 이물질이 모이는 공간부를 마련하기 위해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수평보다 하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이물질유도대(104)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여과부(100) 하단부는 전체적으로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덮개부와 큰이물질여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큰이물질여과부(110)는 도 5를 참조하면, 제1여과부(100)의 상부를 차단하는 덮개부(103)에 빗자루 형태로 조밀하게 하측방향으로 늘어져 구비될 수 있다. 즉, 가늘고 긴 형태를 이루는 다소 탄성력을 가지는 다수의 합성수지 브러시가 서로 밀착하여 일렬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큰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큰이물질여과부(110)의 브러시 형태는 원형 또는 삼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큰이물질여과부(110)의 후측 덮개부(103)에는 큰이물질여과부(110)의 브러시 흔들림을 제어하기 위해 브러시유동제어대(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입구(101)와 큰이물질여과부(110)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105)이 덮개부(103)에서 하측 중도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수중간저장부(120)는 제1여과부(100)의 제1배출구(102)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미세 오염물질이 무게에 의해 하부측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여기서 제2여과부(200)는 제1여과부(100)에서 여과된 여과수에서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고 여과수중간저장부(120)와의 사이에 제2유입구(202)가 관통 형성되며, 제2여과부(200)의 타측에는 제2배출구(2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에는 덮개(206)가 덮혀 제2여과부(200)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제2여과부와 미세이물질여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미세이물질여과부(210)는 제2여과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여과부(200)로 유입된 물로부터 미세 이물질까지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세이물질여과부(210)는 여과재충진부(211)와 하부수로(213) 및 상부수로(215)를 포함한다. 여과재충진부(211)는 여과재가 상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미세망(212)의 사이에 충진되어 구성된다. 하부수로(213)는 여과재충진부(211)의 하단에 마련되며, 하부수로(213)의 전측에는 여과재충진부(211)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2유입구(202)와 연통되도록 제3유입구(214)가 형성된다. 상부수로(215)는 여과재충진부(211)를 통과한 물이 배출되기 위하여 여과재충진부(211)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부수로(215)의 후측에는 제2배출구(204)와 연통되도록 제3배출구(216)가 형성된다.
미세이물질여과부(210)는 상하 다단으로 병렬로 결합될 수 있으며, 측면으로 다수열로 병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여과부(200) 후단으로 제3, 제4의 여과부(200)가 병렬로 연결되어 여과용량을 늘릴 수도 있다.
한편, 제1여과부(100)의 하단 일측에는 제1역세척수배출구(106)가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여과수중간저장부(120)의 하단 일측에는 제2역세척수배출구(1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수중 수처리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은 밸런싱 탱크(T)의 물 속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여과 시 물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수처리 시스템의 고압 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가동하면, 밸런싱 탱크(T) 내에 저장된 원수는 제1여과부(100)의 제1유입구(101)를 통해 제1여과부(100)로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먼저 구획판(105)에 부딪치면서 제1여과부(100)의 하측으로 유도되고, 큰이물질여과부(110)의 브러시에 부딪치면서 큰이물질이 걸러지고 여과된 물만 제1배출구(102)를 통해 여과수중간저장부(120)로 유입된다. 이때, 큰이물질여과부(110)의 하단부는 물의 흐름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흔들리게 되는데, 브러시유동제어대(114)에 의해 큰이물질여과부(110)의 브러시 흔들림 간격이 제어된다.
큰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여과수중간저장부(120)로 유입된 여과수는 다시 하단의 제2유입구(202)를 통해 제2여과부(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2여과부(200)의 여과수는 미세이물질여과부(210)에 의해 미세 이물질이 걸러져 제2배출구(204)로 배출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유입구(202)를 통해 제2여과부(200) 내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미세이물질여과부(210)의 선단 제3유입구(214)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부수로(213)를 통해 여과재충진부(211)를 거치면서 미세이물질이 여과되고, 다시 상부의 상부수로(215)를 거쳐 후단의 제3배출구(216)로 배출된다. 배출된 여과수는 제2여과부(200)의 제2배출구(204)를 통해 밸런싱 탱크(T)로 배출된다.
이때, 미세이물질여과부(210)가 다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여과수가 상하단의 미세이물질여과부(210)로 분할되어 동시에 유입되어 여과되고, 제3여과부와 제4여과부가 결합된 경우에도 제2여과부(200)와 동시에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일정한 시간동안의 여과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고압펌프의 작동을 정지하여 제1유입구(101)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중단한다. 그리고, 고압펌프의 작동을 역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제2배출구(204)를 통해 고압의 역세척수가 제2여과부(200)로 공급되도록 하여 역세척 과정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에서 역세척 시 물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여과부(200)로 유입된 역세척수는 미세이물질여과부(210)의 상부수로(215)를 통해 여과재충진부(211) 하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킨 후 하부수로(213)로 배출된다. 배출된 이물질과 역세척수는 하단 일측의 제2역세척수배출구(126)를 통해 제1여과부(100)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큰이물질여과부(110)에 의해 걸러진 큰이물질과 함께 제1역세척수배출구(106)를 통해 별도의 이물질저장탱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후 처리된다.
또한, 장시간의 여과로 인해 역세척 효율도 저하되는 경우에는 제2여과부(200)의 덮개(206)를 열고 미세이물질여과부(210)를 분리하여 꺼낸 후 새로운 미세이물질여과부(210)로 교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간단한 구조로 양호한 여과효율을 가지면서도 역세척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여과성능을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제1여과부 101 : 제1유입구
102 : 제1배출구 103 : 덮개부
104 : 이물질유도대 105 : 구획판
106 : 제1역세척수배출구 110 : 큰이물질여과부
114 : 브러시유동제어대
120 : 여과수중간저장부 126 : 제2역세척수배출구
200 : 제2여과부 202 : 제2유입구
204 : 제2배출구 206 : 덮개
210 : 미세이물질여과부 211 : 여과재충진부
213 : 하부수로 214 : 제3유입구
215 : 상부수로 216 : 제3배출구

Claims (6)

  1. 밸런싱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일측벽에는 제1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는 제1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여과부;
    상기 제1여과부의 덮개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태의 합성수지 브러시가 빗자루 형태로 조밀하게 늘어져 구비되는 큰이물질여과부;
    상기 제1여과부의 제1유입구와 큰이물질여과부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여과부의 덮개부에서 하측 중도부까지 형성되는 구획판;
    상기 큰이물질여과부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큰이물질여과부의 흔들림 간격을 제어하는 브러시유동제어대;
    상기 제1여과부의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가 저장되는 여과수중간저장부;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여과수중간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상부의 덮개에 의해 밀폐되어 다수열로 병렬로 결합되는 제2여과부; 및
    상기 제2여과부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되며, 여과재충진부에 충진된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미세이물질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이물질여과부는,
    상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미세망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 미세망 사이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는 여과재충진부;
    상기 여과재충진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전측으로는 상기 제2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유입구가 형성되는 하단수로; 및
    상기 여과재충진부의 상단에 마련되며, 후측으로는 상기 제2배출구와 연통되는 제3배출구가 형성되는 상단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이물질여과부는 상부측 또는 측면 또는 후단측으로 복수로 연결되어 여과처리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중간저장부와 제1여과부 사이의 하단에는 상기 제1여과부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제1역세척수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여과부에서 여과된 이물질 및 상기 제1역세척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역세척수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0042A 2018-03-15 2018-03-15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KR10189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42A KR101894277B1 (ko) 2018-03-15 2018-03-15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42A KR101894277B1 (ko) 2018-03-15 2018-03-15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277B1 true KR101894277B1 (ko) 2018-10-18

Family

ID=6413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42A KR101894277B1 (ko) 2018-03-15 2018-03-15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88B1 (ko) 2019-11-13 2020-11-18 박정임 공기정화 및 바닥 건조기능이 구비되는 바닥분수용 수처리 시스템
KR102420613B1 (ko) 2021-11-19 2022-07-13 주식회사 거남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799U (ja) * 1983-05-06 1984-11-16 桑嶋 博 家庭雑排水浄化装置
KR100942843B1 (ko) *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KR20100106719A (ko) 2009-03-24 2010-10-04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20110043346A (ko) * 2009-10-21 2011-04-27 (주)웸스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120085441A (ko) 2011-01-24 2012-08-01 경원조경주식회사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KR101702836B1 (ko) * 2016-11-28 2017-02-06 엔트라 주식회사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799U (ja) * 1983-05-06 1984-11-16 桑嶋 博 家庭雑排水浄化装置
KR20100106719A (ko) 2009-03-24 2010-10-04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물놀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 기구의 물공급 및 배수 여과장치
KR100942843B1 (ko) *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KR20110043346A (ko) * 2009-10-21 2011-04-27 (주)웸스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120085441A (ko) 2011-01-24 2012-08-01 경원조경주식회사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KR101702836B1 (ko) * 2016-11-28 2017-02-06 엔트라 주식회사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88B1 (ko) 2019-11-13 2020-11-18 박정임 공기정화 및 바닥 건조기능이 구비되는 바닥분수용 수처리 시스템
KR102420613B1 (ko) 2021-11-19 2022-07-13 주식회사 거남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70180U (zh) 一种循环水玻璃钢水族箱系统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CA1157972A (en) Water softening and reverse osmosis system
KR101894277B1 (ko) 물놀이 및 수경시설의 수중 수처리 시스템
CN107106985B (zh) 便携式液体过滤装置
CN208747776U (zh) 一种环保家用净水器
KR100884847B1 (ko) 정수기용 필터
KR100746507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마을 상수도 여과장치
KR100917400B1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CN202410275U (zh) 一种纵向过滤器
CN202131182U (zh) 一种新型滤水器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KR100939559B1 (ko) 수족관용 정수 순환시스템
CN109392815A (zh) 鱼池净化装置
CN210987756U (zh) 鱼缸净化系统
KR101932402B1 (ko) 여과재 교환이 용이한 수처리 시스템
KR200308789Y1 (ko)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
CN209143864U (zh) 滤芯结构及水处理系统
CN206521348U (zh) 一种循环水过滤器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KR101178336B1 (ko) 횡형 압력식 개별여과/역세 방법 및 그 장치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KR101994174B1 (ko) 조립형 수처리 시스템
CN213527665U (zh) 一种治理海洋赤潮生物排泄物的清理装置
CN2451211Y (zh) 一种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