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35B1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335B1
KR102589335B1 KR1020220017791A KR20220017791A KR102589335B1 KR 102589335 B1 KR102589335 B1 KR 102589335B1 KR 1020220017791 A KR1020220017791 A KR 1020220017791A KR 20220017791 A KR20220017791 A KR 20220017791A KR 102589335 B1 KR102589335 B1 KR 10258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filter
unit
sterilization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931A (ko
Inventor
이승찬
유진우
Original Assignee
(주)태경조경건설
주식회사 다온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경조경건설, 주식회사 다온이엔씨 filed Critical (주)태경조경건설
Priority to KR1020220017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를 위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판(210)을 필터링 하는 원수 필터부(200);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서 상기 필터판(210) 통과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유해 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표면에 오염된 유해물질이 유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볼(310)을 복수개 저장하는 바이오볼 여과부(300); 상기 바이오볼 여과부(300)의 통해 여과 처리된 원수가 UV 램프(410)의 조사를 통해 살균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살균부(400);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상기 살균부(400)와 연결된 배출관(600)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원수가 상기 바디(100)내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펌프(500); 상기 배출관(600)에 구비되어 방진 및 굴곡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 조인트(620); 상기 배출관(600)에 설치되어 역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체크밸브(640); 상기 배출관(600)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원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660); 상기 배출관(6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처리된 원수가 확산 분사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벤트리 구조의 확산구(710)를 갖는 확산부(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분수대 등 물놀이 시설물의 물속에 잔존하는 유해 물질을 여과 및 살균하고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원수로부터 각종 유해물질을 빠르게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순차적으로 분리된 여과수를 바이오볼 및 UV 램프를 통해 살균 및 산화 그리고 악취 제거후 재순환 또는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과 함께 관광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여 휴양 시설 등에서는 기존 놀이 시설물이 변형된 다양한 형태의 놀이 시설물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고, 그 중 놀이 시설물에 더하여 물이 분사되거나 소형의 풀장 형태를 이루도록 풀장 내측에 조합놀이대와 기타 물놀이 시설물 및 분수 시설과 같이 병행 설치되어 여름철 등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경우 물이 담수된 후 장시간에 걸쳐 사용되는데 주로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사용하게 되어 물 속의 세균 번식 등으로 인해 물이 쉽게 오염되어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물놀이 시설에는 오염된 물을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중의 각종 이물질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가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분수대 및 물놀이 시설에서 사용하는 재순환용 용수는 순환 과정에서 인체 및 대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특성상 침, 땀 등의 체액과 미세먼지에 오염되고, 이로 인하여 각종 세균, 바이러스의 증식이 쉽게 일어나면서 위생적으로 불결하고 불쾌한 악취는 물론 수인성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살균 및 수질의 정화가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존 수처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수처리 방식을 살펴보면, ORED 살균방식,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고급산화법) 살균방식, 염소 살균방식, 오존 살균방식, 자외선 살균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AOP는, AOP 램프에서 방출되는 184.9nm 파장(오존 발생 파장)의 자외선과 253.7nm 파장(살균 파장)의 자외선이 물 및 용존 산소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OH 라디칼을 이용하여 각종 세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오염물질과 악취를 분해 및 제거하는 공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49049호에서는 외부의 오존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자외선램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반응시켜 OH 라디칼로 된 유기물 분해물질을 생성하여 오염수를 살균 처리하고, 미처리된 잔류 오염물질은 입상활성탄으로 흡착시켜 처리하는 구조의 고도정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입상활성탄을 수시로 교체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수질오염이 증가하는 역효과가 발생하는 데다 폐입상활성탄은 산업폐기물로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적법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운전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1640호에는 오존 살균방식과 자외선 살균방식을 조합하여 오존을 자외선 조사영역에 노출 및 접촉시켜 오존의 용해 속도를 증가시키고, 용해 과정에서 OH 라디칼을 생성하여 수중의 미생물을 비롯한 유기오염물질을 산화, 살균 제거하는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수살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송풍기에서 압송되는 공기가 산기관의 기공을 통해 미세 기포화되어 살균 효과를 높이는 구조에 불과하므로 오존의 용해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어 왔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제10-0149049호 등록일 1996.07.18 KR 특허등록 제10-0451640호 등록일 2002.03.20 KR 특허등록 제10-0348413호 등록일 2002.07.29 KR 특허등록 제10-2207980호 등록일 2021.01.2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수처리 장치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고 살균하며 산화하는 순차적 이동을 통해 물속의 유해 미생물을 포함한 물질을 여과하고 신속하게 살균 및 탈취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수처리 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고 살균하며 산화 처리하는 순차적 과정을 통해 빠르고 효과적인 수처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본 발명은 수처리를 위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판을 필터링 하는 원수 필터부와,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필터판 통과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유해 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표면에 오염된 유해물질이 유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볼을 복수개 저장하는 바이오볼 여과부와, 상기 바이오볼 여과부를 통해 여과 처리된 원수가 UV램프의 조사를 통해 살균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살균부와,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상기 살균부와 연결된 배출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원수가 상기 바디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와,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방진 및 굴곡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 조인트와, 상기 배출관에 역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원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처리된 원수가 확산 분사되면서 토출되도록 벤트리 구조의 확산구를 갖는 확산부를 개시한다.
상기 살균부는, 내측 공간에 살균을 위한 UV 램프가 구비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면이 원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메쉬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좌우면이 이산화티타늄(TiO2) 소재가 코팅되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하측 공간이 커버로 폐쇄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살균하게 되는 살균바디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볼은, 구형의 메쉬판을 통해 내부에 제1채움공간이 형성되는 중심필터, 상기 중심필터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으로 부터 벗어나게 돌출 되는 복수개의 메쉬파이프, 상기 중심필터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메쉬파이프의 단부를 감싸며 고정되고 표면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구형메쉬필터, 상기 구형메쉬필터의 표면에 결합되며 입구는 크게 출구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출구는 상기 구형메쉬필터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유입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1차 필터링을 통한 여과후 바이오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이오볼 채움 공간을 통과하면서 원적외선 방사를 통해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 활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호기성 미생물이 혐기성 미생물을 잡아 먹어 정화 및 정수 절차를 수행하고 추가로 UV 램프를 조사를 통해 살균 및 산화 처리후 배출 또는 재순환 되도록 하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고 살균하며 산화 처리하는 순차적 과정을 통해 빠르고 효과적인 수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즉, 필터판을 통해 1차로 이물질이 큰 입자가 필터링된 상태로 유입되도록 하고 연속해서 유입된 원수가 다수의 바이오볼 채움 공간을 통과하면서 정화 처리됨과 아울러 UV램프의 조사를 통해 살균 처리된 후 배출됨에 따라 여과 정수 정화 살균 효과가 발생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처리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원수의 여과 살균 산화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살균에 적용되는 살균기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볼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바이오볼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 및 살균 그리고 산화 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수가 유입되어 살균 및 정화 과정의 필터링 후 배출되도록 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입구측에 제공되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 시키는 원수 필터부(200)와,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며 상기 원수 필터부(200)를 통과한 원수로부터 오염 물질을 복수의 바이오볼(310)을 통해 정화하게 되는 바이오볼 여과부(300)와,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오볼 여과부(300)를 통과한 원수를 살균하는 살균부(400)와, 원수를 바디(100)내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펌프(500)와, 상기 바디(100)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관(6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수처리된 원수가 확산 분사되도록 하는 확산부(700)로 구성되어 있다.
바디(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처리를 위한 것으로 내측 공간에 원수 필터부(200), 바이오볼 여과부(300), 살균부(4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수 필터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입구측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필터판(210)이 하나 또는 이격상태를 가지며 복수개 순차적으로 필터링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판(210)는 복수의 구멍이 동일 내경 또는 다양한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메쉬망으로 원형이 아닌 다양한 내경으로 형성될 수있다.
또한, 상기 필터판(210)은 타공의 내경 모양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바이오볼 여과부(300)는,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서 상기 필터판(210)을 통과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유해 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표면에 오염된 유해물질이 유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볼(310)이 복수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바이오볼(310)은, 복수의 섬유사가 얽혀진 상태에서 서로 직조되어 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원수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바이오볼(310)의 틈새(312)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면 바이오볼(310)이 이물질을 가두어 원적외선 조사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장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볼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바이오볼(310a)은, 구형의 메쉬판을 통해 내부에 제1채움공간이 형성되는 중심필터(320), 상기 중심필터(320)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으로 부터 벗어나게 돌출 되는 복수개의 메쉬파이프(330), 상기 중심필터(32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메쉬파이프(330)의 단부를 감싸며 고정되고 표면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구형메쉬필터(340), 상기 구형메쉬필터(340)의 표면에 결합되며 입구는 크게 출구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출구는 상기 구형메쉬필터(34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유입관체(350)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중심필터(320)는, 구형의 필터망체로 이루어져 중심에 위치되어 있고, 내측에는 제1채움공간이 형성되어 소경의 바이오불(310)을 복수개 채움하고 있다.
구형메쉬필터(340)는, 중심필터(320) 보다 큰 구형체로 이루어지며 외축에 복수개의 유입관체(350)를 구비하고 있다.
유입관체(350)는, 입구가 크게 그리고 출구가 작게 형성되며 외측 중간부분이 상기 구형메쉬필터(340)에 결합되어 원수 유입을 안내하고 필터링된 정수는 유입관체(350)를 제외한 부분으로 필터링되면서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메쉬파이프(330)는, 상기 중심필터(320)와 상기 구형메쉬필터(340)를 연결하여 부딪힘에도 원형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이오볼(310a)은, 외형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상기 중심필터에 바이오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작은 바이오볼을 복수개 채움하는 경우 원적외선 방사를 통해 유입된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 활동이 용이하도록 하게 되고 더불어 호기성 미생물이 혐기성 미생물을 잡아먹게 됨에 따라 정화 및 정수 능력이 뛰어난 필터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입관체(350)의 안내로 유입된 원수는 중심필터(320)를 통해 필터링 됨과 동시에 중심필터(320)의 내측에서 바이오볼(310)의 원적외선 조사를 받은 상태에서 필터링 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살균부(400)는, 도 3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서 상기 바이오볼 여과부(300)로부터 여과된 원수를 살균하게 되는 것으로 일측에 통과되는 원수를 살균하도록 UV 램프(4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오볼 여과부(300)와 살균부(400) 사이에는 필터판(160)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필터판(160)은, 상기 바이오볼(310)을 통해 정화되지 못한 찌꺼기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살균부(400)는, 내측 공간에 살균을 위한 UV 램프(410)가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살균바디(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살균바디(420)는 전후면이 원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메쉬플레이트(422)로 이루어지고, 좌우면이 이산화티타늄(TiO2) 소재가 코팅되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424)로 이루어지며, 상하측 공간이 커버(426)로 폐쇄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살균하도록 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펌프(500)는, 상기 바디(100)의 출구측에 설치된 배출관(600)의 단부에 연결되며 전원 공급시 원수를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600)에는 굴곡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방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연성 조인트(6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연성 조인트(620)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된 배출관(600)에는 체크밸브(640)가 설치되며, 체크밸브(640)는 처리된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600)에는 여과되어 배출되는 원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유량조절밸브(660)가 설치되어 있다.
확산부(700)는, 상기 배출관(600)의 끝 단에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600)에 고정되는 입구측에서 원수를 배출하는 출구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확산구(710)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따라 여과 살균 처리되어 배출관(600)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가 토출시 확산구(710)를 통해 확산 형태로 토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통해 수처리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펌프(500)가 동작되면 펌핑 압력에 따라 처리될 원수가 바디(100)의 일측 원부 필터부(200)로 유입된다. 유입되는 원수는 바디(100)의 입구측에 제공되며 원수 필터부(200)의 필터판(21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지는 상태로 상기 바디(100)내의 바이오볼 여과부(300)로 유입되고 바이오볼 여과부(300)로 유입된 원수는 복수의 바이오볼(310)을 통해 정화된 상태로 살균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되는 원수는 살균부(400)를 이루는 UV램프(410)를 통해 살균 및 산화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관(600)을 통해 배출되며 연속해서 확산부(700)를 이루는 확산구(710)를 통해 미립자 형태로 확산 토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200: 원수 필터부
210: 필터판
300: 바이오볼 여과부
310, 310a: 바이오볼
312: 틈새
400: 살균부
410: UV램프
500: 펌프
600: 배출관
620: 유연성 조인트
640: 체크밸브
660: 유량조절밸브
700: 확산부
710: 확산구

Claims (5)

  1. 수처리를 위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판(210)을 통해 필터링 하는 원수 필터부(200);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서 상기 필터판(210) 통과하여 유입된 원수로부터 유해 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표면에 오염된 유해물질이 유입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볼(310)을 복수개 저장하는 바이오볼 여과부(300); 상기 바이오볼 여과부(300)를 통해 여과 처리된 원수가 UV램프(410)의 조사를 통해 살균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살균부(400);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서 상기 살균부(400)와 연결된 배출관(600)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바디(100)내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500); 상기 배출관(6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처리된 원수가 확산 분사되면서 토출되도록 벤트리 구조의 확산구(710)를 갖는 확산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400)는, 내측 공간에 살균을 위한 UV 램프(410)가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살균바디(420)와, 상기 살균바디(420)의 전후면을 이루며 원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틈새가 형성되는 메쉬플레이트(422)와, 상기 살균바디(420)의 좌우면을 이루며 표면이 이산화티타늄(TiO2) 소재로 코팅되고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424) 및 상기 살균바디(420)의 상하측 개방 공간이 커버되도록 하는 커버(4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볼은,
    구형의 메쉬판을 통해 내부에 제1채움공간이 형성되는 중심필터(320), 상기 중심필터(320)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으로 부터 벗어나게 돌출 되는 복수개의 메쉬파이프(330), 상기 중심필터(32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메쉬파이프(330)의 단부를 감싸며 고정되고 표면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구형메쉬필터(340), 상기 구형메쉬필터(340)의 표면에 결합되며 입구는 크게 출구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출구는 상기 구형메쉬필터(34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유입관체(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필터(320)의 내측 제1채움공간에는
    크기가 다른 바이오볼이 복수개 채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삭제
KR1020220017791A 2022-02-10 2022-02-10 수처리 장치 KR10258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91A KR102589335B1 (ko) 2022-02-10 2022-02-10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91A KR102589335B1 (ko) 2022-02-10 2022-02-10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31A KR20230120931A (ko) 2023-08-17
KR102589335B1 true KR102589335B1 (ko) 2023-10-16

Family

ID=8780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91A KR102589335B1 (ko) 2022-02-10 2022-02-10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15Y1 (ko) * 2000-01-18 2000-08-01 황선주 바이오필터가 내장된 수조 여과장치
JP2008149307A (ja) * 2006-12-18 2008-07-03 Seiko Enterprise:Kk 24時間風呂システム
KR101371366B1 (ko) * 2013-11-05 2014-03-12 우광재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호소 정화장치
KR101708118B1 (ko) * 2015-07-22 2017-02-20 주형규 해양구조물용 자외선램프타입 청수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049B1 (ko) 1994-12-27 1998-08-17 정상기 고도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48413B1 (ko) 2001-05-09 2002-08-10 주식회사 한국오존텍 자외선 및 오존 발생 에이오피 챔버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장치
KR100451640B1 (ko) 2001-11-24 2004-10-08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수살균장치 및 살균방법
KR102207980B1 (ko) 2020-05-20 2021-01-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Aop를 이용한 물 살균 장치, 상기 물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물놀이 시설의 수질 정화 시스템, 그리고 상기 수질 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15Y1 (ko) * 2000-01-18 2000-08-01 황선주 바이오필터가 내장된 수조 여과장치
JP2008149307A (ja) * 2006-12-18 2008-07-03 Seiko Enterprise:Kk 24時間風呂システム
KR101371366B1 (ko) * 2013-11-05 2014-03-12 우광재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호소 정화장치
KR101708118B1 (ko) * 2015-07-22 2017-02-20 주형규 해양구조물용 자외선램프타입 청수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31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5315B2 (ja) 流体浄化装置
JP5015542B2 (ja) 水浄化装置
KR102145364B1 (ko) 공기 청정기
KR102269903B1 (ko) Oh 라디칼수를 이용한 악취 공기의 살균 탈취세정탑
JP2010069353A (ja) 浄化装置
KR102589335B1 (ko) 수처리 장치
JP4229363B2 (ja) 水処理装置
KR20110049279A (ko) 라디칼과 초음파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수처리 방법
KR20200080938A (ko) 오존가스를 병용한 자외선 수질 정화장치
KR0149049B1 (ko) 고도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346263Y1 (ko) 광촉매 살균정수 장치를 이용한 직결형 광촉매 살균 정수기
JPH0365288A (ja) 空気浄化および水処理兼用装置
JP6782045B1 (ja) 水生成方法
KR102284856B1 (ko) 버블 및 산화작용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JP6459127B2 (ja) 水処理装置
KR101910483B1 (ko) 자외선과 활성탄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방법
KR102467012B1 (ko) 수처리 시스템용 살균정화장치
JP2004223345A (ja) 流体浄化方法および流体浄化装置
WO2002060820A2 (en) Photooxidation water treatment device
JP2008141986A (ja) 魚類水槽水の処理装置及び魚類水槽水の処理方法
KR20040049470A (ko) 멸균수 제조 장치
JP2013034628A (ja) 除染システム
KR101897565B1 (ko)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020088538A (ko) 자외선 및 오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KR200310592Y1 (ko) 공기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