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0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08B1
KR102261008B1 KR1020190091480A KR20190091480A KR102261008B1 KR 102261008 B1 KR102261008 B1 KR 102261008B1 KR 1020190091480 A KR1020190091480 A KR 1020190091480A KR 20190091480 A KR20190091480 A KR 20190091480A KR 102261008 B1 KR102261008 B1 KR 10226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sland
fitting
housing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890A (ko
Inventor
나오토 사사야마
시로 츠카시마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4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Abstract

끼워맞춤 작업 중에 하우징의 보호 상태가 확실히 유지되고,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커넥터 본체는, 오목부와, 오목부 안의 중간 섬부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보강 금구는,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벽부에 배치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접속되고, 선단이 중간 섬부의 섬 단부에 걸림 결합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중앙 가이드부는, 본체부에 접속된 단벽 내측 커버부와, 선단에 접속되고, 섬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섬 단부 커버부와, 단벽 내측 커버부의 하단에 제 1 곡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섬 단부 커버부의 하단에 제 2 곡부를 통하여 접속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제 1 곡부의 하면은 제 2 곡부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서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장착되고, 서로 끼워맞춤되어 통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단부에 장착한 보강 금구(金具)를 락 부재(lock member)로서 기능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a)는 끼워맞춤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끼워맞춤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811은 미도시의 제 1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의 하우징으로서의 제 1 하우징이며, 911은 미도시의 제 2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의 하우징으로서의 제 2 하우징이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제 1 회로 기판과 제 2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도 11의 (a)에 있어서,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은 위를 향하고, 제 2 하우징(911)의 끼워맞춤면은 아래를 향하고 있고, 이대로의 자세로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대하여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도 11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되게 한다.
상기 제 1 하우징(811)은, 제 2 하우징(911)이 삽입되는 오목부(812)와, 당해 오목부(812)의 중앙에 형성된 볼록부(813)와, 길이 방향 양단의 단벽부(端壁部)(8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811)에는, 복수의 제 1 단자(861)가 장착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 양단에는 제 1 보강 금구(851)가 장착된다. 당해 제 1 보강 금구(851)는, 단벽부(82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벽 덮음부(857)와, 볼록부(813)의 길이 방향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볼록 덮음부(859)와, 상기 단벽 덮음부(857)와 볼록 덮음부(859)를 연결하고, 상기 오목부(81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오목 덮음부(858)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 하우징(9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볼록 측부(922)와, 길이 방향 양단의 볼록 단부(9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볼록 측부(922)에는, 복수의 제 2 단자(961)가 장착되고, 상기 볼록 단부(921)에는, 제 2 보강 금구(951)가 장착된다.
도 1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되면, 대응하는 제 1 단자(861)와 제 2 단자(961)가 서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회로 기판과 제 2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하우징(911)이 제 1 하우징(811)의 오목부(812) 안에 삽입되고, 제 2 보강 금구(951)가 제 1 보강 금구(851)와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911)이 제 1 하우징(811)의 오목부(812) 안에 삽입될 때에, 제 2 보강 금구(951)가 볼록부(813)의 길이 방향 단부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지만, 제 1 보강 금구(851)의 볼록 덮음부(859)가 볼록부(813)의 길이 방향 양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므로, 볼록부(813)의 길이 방향 단부는 보호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95057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2 하우징(911)이 제 1 하우징(811)의 오목부(812) 안에 삽입될 때에, 제 2 보강 금구(951)가 제 1 보강 금구(851)의 단벽 덮음부(857)에 충돌했을 경우에도 볼록 덮음부(859)를 통하여 볼록부(813)의 길이 방향 단부에 힘이 가해지므로, 볼록부(813)의 길이 방향 단부가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끼워맞춤 작업 중에 하우징의 보호 상태가 확실히 유지되고,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금구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워맞춤되는 오목부와, 당해 오목부 안의 중간 섬부이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오목 홈부와 끼워맞춤되는 중간 섬부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이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벽부에 배치된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에 접속되고, 선단이 상기 중간 섬부의 섬 단부에 걸림 결합되는 중앙 가이드부이며,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측을 따라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당해 중앙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단벽 내측 커버부와, 상기 선단에 접속되고, 상기 섬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섬 단부 커버부와, 상기 단벽 내측 커버부의 하단에 제 1 곡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섬 단부 커버부의 하단에 제 2 곡부를 통하여 접속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곡부의 하면은 제 2 곡부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바닥판에는, 당해 바닥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닥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 개구 안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곡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하면으로 노출된다.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중앙 가이드부에서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다.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단벽 내측 커버부는, 기단(基端)이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고,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경사부에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장착된 상대방 보강 금구가 맞닿으면, 당해 상대방 보강 금구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상기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안에 끌려들어온다.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접속되고,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속 암부와, 당해 접속 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암부를 더 포함하고, 당해 접촉 암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삽입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장착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섬 단부의 양측의 섬 단부 측면은, 평면에서 보아, 단벽부에 가까워질수록 섬 단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점점 줄어드는 경사면이다.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는, 상기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는, 끼워맞춤 작업 중에 하우징의 보호 상태가 확실히 유지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끼워맞춤 전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 2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측단면도로서, 도 3에서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횡단면도로서, (a)는 도 3에서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3에서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도 3에서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끼워맞춤 전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측단면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a)는 도 4에서의 좌단 근방 부분의 확대도, (b)는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가 X축 방향으로 벗어난 상태에서 끼워맞춤될 때의 (a)에 대응하는 부분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제 2 커넥터 측에서 본 도면, (b)는 제 1 커넥터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끼워맞춤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끼워맞춤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끼워맞춤 전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 2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측단면도로서 도 3에서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a)는 도 3에서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3에서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도 3에서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커넥터로서, 1 세트 또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중 한쪽으로서의 제 1 커넥터이다. 당해 제 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미도시 기판인 제 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로서,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 2 커넥터(101)와 서로 끼워맞춤된다. 또한, 당해 제 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중 다른 쪽으로, 실장 부재로서의 미도시 기판인 제 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으로서의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의 각 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으로, 상기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의 각 부가 도면에 나타나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되었을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 1 하우징(11)을 갖는다. 당해 제 1 하우징(11)은,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인 대략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상의 형상을 구비하고,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넣어지는 측, 즉 끼워맞춤면(11a) 측(Z축 양의 방향 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12)로서, 제 2 커넥터(101)의 제 2 하우징(111)과 끼워맞춤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1)는, 예를 들어 세로 약 6.0〔mm〕, 가로 약 1.5〔mm〕 및 두께 약 0.6〔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2) 안에는 후술되는 오목 홈부(113)와 끼워맞춤되는 중간 섬부로서의 제 1 볼록부(13)가 제 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볼록부(13)의 양측(Y축 양의 방향 측 및 음의 방향 측)에는, 당해 제 1 볼록부(13)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측벽부(14)가 제 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볼록부(13) 및 측벽부(14)는 오목부(12)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바닥판(18)으로부터 위쪽(Z축 양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볼록부(13)의 양측에는, 오목부(12)의 일부로서,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오목 홈부(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볼록부(13)의 양측의 측면에는, 오목 홈상의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4)의 내측의 측면에는, 오목 홈상의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와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는 오목 홈부(12a)의 바닥면에 있어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와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15)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당해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상기 바닥판(18)을 판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당해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볼록부(13)의 양측에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약 0.3〔mm〕)로 복수 개(예를 들어, 10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15)의 피치 및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15)의 각각에 수용되어 제 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단자로서의 제 1 단자(61)도 제 1 볼록부(13)의 양측에 동일한 피치로 복수 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에 구멍을 뚫고,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피유지부(被保持部)(63)와, 당해 피유지부(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62)와, 상기 피유지부(63)의 상단에 접속된 상측 접속부(67)와, 당해 상측 접속부(67)의 하단에 접속되고, 상기 피유지부(63)에 대향하는 제 2 접촉부(66)와, 당해 제 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하측 접속부(64)와, 당해 하측 접속부(64)에서의 제 2 접촉부(66)와 반대측 끝에 접속된 내측 접속부(6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유지부(63)는 상하 방향(Z축 방향), 즉 제 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에 끼워넣어져 유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62)는 피유지부(63)에 대하여 구부려 접속되고, 좌우 방향(Y축 방향), 즉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출하고,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상측 접속부(67)는 위쪽(Z축 양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약 180도 만곡한 부분이다.
상기 상측 접속부(67)에서의 피유지부(63)와 반대측의 하단에는, 아래쪽(Z축 음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 2 접촉부(66)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제 2 접촉부(66)의 일부는,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 접속부(64)는 상기 제 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대략 U자형의 측면 형상을 구비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측 접속부(64)에 있어서, 제 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부분은 아래쪽 외측 만곡부(64b)이며, 내측 접속부(65)의 하단에 접속된 부분은 아래쪽 내측 만곡부(64a)이다. 또한, 상기 내측 접속부(65)의 상단에는, 위쪽을 향하여, 또한 제 2 접촉부(66)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약 180도 만곡한 제 1 접촉부(65a)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61)는 제 1 하우징(11)의 하면(Z축 음의 방향 면)인 실장면(11b)으로부터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15) 안에 끼워넣어지고, 피유지부(63)가 측벽부(14)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의 측벽에 의해 양측에서 끼움 지지됨으로써, 제 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제 1 단자(61)가 제 1 하우징(11)에 장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는 오목 홈부(12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보아, 피유지부(63)는 대부분이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 안에 수용되고, 제 1 접촉부(65a)는 대부분이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 안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6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즉,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제 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제 2 단자(161)가 삽입되면, 그것에 의해,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상기 제 1 볼록부(13)에서의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에 대응하는 부분은, 폭 방향의 치수가 작은 얇은 벽부(13a)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볼록부(13)의 하면(13b)은 제 1 하우징(11)의 하면인 실장면(11b)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제 2 단자(161)가 삽입되고,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신장되어도 제 1 단자(61)가,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접속부(65)나 아래쪽 내측 만곡부(64a)가 상기 제 1 볼록부(13)의 얇은 벽부(13a)에 맞닿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볼록부(13)에서의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은, 도 5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져 있지 않고, 그 하단은 접속단부(13c)를 통하여 양측의 오목 홈부(12a)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바닥판(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워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 1 돌출 단부(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돌출 단부(21)에는, 상기 오목부(12)의 일부로서 끼워맞춤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워맞춤 오목부(22)는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이며, 각 오목 홈부(12a)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2) 안에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 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제 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 단부(21)는, 측벽부(14)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 단부(21)의 측벽부로서의 측벽 연장부(21c)와,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양단이 측벽 연장부(21c)에 접속된 단벽부(21b)를 구비한다. 각 제 1 돌출 단부(21)에 있어서, 단벽부(21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측벽 연장부(21c)는 연속된 대략 コ자형의 측벽을 형성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끼워맞춤 오목부(22)의 세 방면을 획정한다. 그리고 상기 단벽부(21b)에 있어서, 외측면에는 움푹 들어가는 외단 오목부(23a)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움푹 들어가는 내단 오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 연장부(21c)에 있어서, 외측면에는 움푹 들어가는 외측 오목부(23c)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움푹 들어가는 내측 오목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볼록부(13)에서의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단부인 섬 단부(17)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가는 섬 단부 오목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섬 단부(17)에서의 양측의 측벽부(14)에 대향하는 섬 단부 측면(17b)은, 평면에서 보아, 단벽부(21b)에 가까워질수록 섬 단부(17)의 폭 방향의 치수가 점점 줄어드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2)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바닥판(18)에는, 당해 바닥판(18)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닥 개구(18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바닥 개구(18a)는 단벽부(21b)의 내단 오목부(23b)의 하단과 섬 단부(17)의 단벽부(21b)에 대향하는 면의 하단을 잇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 단부(21)에는, 제 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보강 금구로서의 제 1 보강 금구(51)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보강 금구(51)는 금속판에 구멍을 뚫고,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 1 돌출 단부(21)의 단벽부(21b)의 외측을 덮는 본체부로서의 단벽 커버부(57)와, 당해 단벽 커버부(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접속 암부(53)와, 당해 접속 암부(53)에 접속된 접촉 암부(54)와, 상기 단벽 커버부(57)의 중앙에 접속된 중앙 가이드부(58)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보강 금구(5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상기 단벽 커버부(57)는, 전체적으로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벽부(21b)의 상면의 과반을 덮는 단벽 위 커버부(57a)와, 당해 단벽 위 커버부(57a)에서의 단벽부(21b)의 외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벽 바깥 커버부(57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보강 금구(51)가 제 1 돌출 단부(2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벽 바깥 커버부(57b)는 외단 오목부(23a) 안에 수용되고, 단벽 바깥 커버부(57b)의 하단부(57c)는, 도 5(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의 실장면(11b)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제 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접속 암부(53)는 단벽 위 커버부(57a)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출하고, 측벽 연장부(21c)의 상면의 과반을 덮는 측벽 위 커버부(53a)와, 당해 측벽 위 커버부(53a)에서의 측벽 연장부(21c)의 외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 바깥 커버부(53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촉 암부(54)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2) 내에 있어서, 측벽 위 커버부(53a)에서의 측벽 연장부(21c)의 외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출한다. 또한, 상기 접촉 암부(54)는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팽출(膨出)하는 접촉부(54a)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접촉부(54a)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보강 금구(151)와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보강 금구(51)가 제 1 돌출 단부(2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암부(54)는 내측 오목부(23d)에 대향하고, 상기 측벽 바깥 커버부(53b)는 외측 오목부(23c) 안에 수용되고, 측벽 바깥 커버부(53b)의 하단부(53c)는, 도 5의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의 실장면(11b)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제 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당해 접속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로서 전력 라인으로서 기능하는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 바깥 커버부(53b)의 전단에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하우징(11)에 파고 들어 제 1 보강 금구(51)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돌기(5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가이드부(58)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측면 형상이 되도록 구부러진 띠형의 판재이며, 끼워맞춤 오목부(22)의 내측을 따라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중앙 가이드부(58)는, 기단이 단벽 위 커버부(57a)에서의 단벽부(21b)의 내측단 가장자리에 접속되고, 당해 단벽부(21b)의 내측단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가이드부로서의 경사부(58a)와, 당해 경사부(58a)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부로서의 제 1 세로부(58b)와, 당해 제 1 세로부(58b)의 하단에 약 90도 만곡하여 접속된 단벽측 곡부로서의 제 1 곡부(58c)와, 당해 제 1 곡부(58c)로부터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바닥부(58d)와, 당해 바닥부(58d)에서의 제 1 곡부(58c)와 반대측 끝에 약 90도 만곡하여 접속된 섬측 곡부로서의 제 2 곡부(58e)와, 당해 제 2 곡부(58e)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섬 단부 외측 커버부로서의 제 2 세로부(58f)와, 당해 제 2 세로부(58f)의 상단에 접속되어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약 180도 만곡한 섬 단부 위 커버부(58g)와, 당해 섬 단부 위 커버부(58g)에서의 제 2 세로부(58f)와 반대측의 끝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 결합단부로서의 선단(58h)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경사부(58a) 및 제 1 세로부(58b)는 협동하여 단벽부(21b)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벽 내측 커버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 2 세로부(58f) 및 섬 단부 위 커버부(58g)는 협동하여 섬 단부(17)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섬 단부 커버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 1 보강 금구(51)가 제 1 돌출 단부(2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58a) 및 제 1 세로부(58b)는 내단 오목부(23b) 안에 수용되고, 상기 바닥부(58d)는 바닥 개구(18a) 안에 수용되고, 상기 선단(58h)의 적어도 하단은 섬 단부 오목부(17a)와 걸림 결합되고, 당해 섬 단부 오목부(17a) 안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섬 단부(17)에서의 상면 및 단벽부(21b)와 대향하는 측면이 제 2 세로부(58f) 및 섬 단부 위 커버부(58g)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또한, 상기 제 2 곡부(58e)의 하면은 제 1 하우징(11)의 실장면(11b)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곡부(58c)의 하면은 제 2 곡부(58e)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58d)는 제 1 곡부(58c)로부터 제 2 곡부(58e)를 향하여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58d)는 중앙 가이드부(58)에서의 다른 부분보다 폭 방향(Y축 방향)의 치수가 큰, 즉 넓은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바닥부(58d)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다음에, 제 2 커넥터(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끼워맞춤 전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커넥터의 분해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 2 커넥터(10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 2 하우징(111)을 갖는다. 당해 제 2 하우징(111)은,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인 대략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상의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111)의 제 1 커넥터(1)에 끼워넣어지는 측, 즉 끼워맞춤면(111a) 측(Z축 음의 방향 측)에는, 제 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오목 홈부(113)와, 당해 오목 홈부(113)의 외측을 획정하는 동시에 제 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 2 볼록부(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제 2 볼록부(112)는 오목 홈부(113)의 양측을 따라, 또한 제 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101)는, 예를 들어 세로 약 5.2〔mm〕, 가로 약 1.0〔mm〕 및 두께 약 0.5〔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제 2 볼록부(112)에는,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 2 단자(16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 2 단자(161)는 제 1 단자(61)에 대응하는 피치로, 또한 대응하는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 홈부(113)는 제 2 기판에 실장되는 측, 즉 실장면(111b) 측(Z축 양의 방향 측)이 바닥판에 의해 폐지(閉止)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 2 돌출 단부(1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양단이 각 제 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두꺼운 부재이며, 그 상면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 1 돌출 단부(21)의 끼워맞춤 오목부(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 단부(122)에는, 상대방 보강 금구로서의 제 2 보강 금구(15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자(161) 및 제 2 보강 금구(151)는 오버 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이라고 칭해지는 성형 방법에 의해 제 2 하우징(111)과 일체화되는 부재이므로, 제 2 하우징(111)으로부터 이격하여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7에 있어서는 제 2 하우징(111)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것처럼 묘화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 2 단자(161)는 도전성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 1 접촉부(165)와, 당해 제 1 접촉부(165)의 상단에 접속된 접속부(164)와, 당해 접속부(164)의 바깥쪽 끝에 접속된 제 2 접촉부(166)와, 당해 제 2 접촉부(166)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62)를 구비한다. 당해 테일부(162)는 제 2 하우징(111)의 바깥쪽을 향하여 연출하고,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제 1 접촉부(165), 접속부(164) 및 제 2 접촉부(166)의 표면이 제 2 볼록부(112)의 각 측면 및 끼워맞춤면(111a)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 2 보강 금구(151)는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 2 돌출 단부(122)의 외측을 덮는 본체부로서의 중앙 덮음부(157)와, 당해 중앙 덮음부(1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측방 덮음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 덮음부(157)는, 전체적으로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돌출 단부(122)의 상면의 과반을 덮는 돌출단 위 커버부(157a)와, 당해 돌출단 위 커버부(157a)에서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약 90도 만곡하여 접속된 접속 커버부(157b)와, 당해 접속 커버부(157b)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단 바깥 커버부(157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돌출단 바깥 커버부(157c)의 하단부(157d)는 제 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측방 덮음부(153)는, 돌출단 위 커버부(157a)의 좌우 양단으로 약 90도 만곡하여 접속된 접속 커버부(153a)와, 당해 접속 커버부(153a)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커버부(153b)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부(153c)는 제 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당해 접속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로서 전력 라인으로서 기능하는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돌출 단부(122)의 내측면(122a)은 제 2 보강 금구(151)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또한, 제 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의 제 2 돌출 단부(122)와 접속되는 부분인 돌출단 접속부(112a)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제 2 돌출 단부(122)에 가까워질수록 두께(Y축 방향의 치수)가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돌출단 접속부(112a)는, 강도가 증대되어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결과적으로, 좌우 양측의 돌출단 접속부(112a)의 내측면(112b)은, 평면에서 보아, 제 2 돌출 단부(122)에 가까워질수록 서로의 거리가 점점 줄어드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12b)의 경사 각도는, 제 1 하우징(11)의 섬 단부(17)에서의 섬 단부 측면(17b)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되게 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측단면의 주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에 있어서, (a)는 도 4에서의 좌단 근방 부분의 확대도, (b)는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가 X축 방향으로 벗어난 상태에서 끼워맞춤될 때의 (a)에 대응하는 부분의 도면이며, 도 10에 있어서, (a)는 제 2 커넥터 측에서 본 도면, (b)는 제 1 커넥터 측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는, 제 1 단자(61)의 테일부(62)가 미도시의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제 1 보강 금구(51)의 측벽 바깥 커버부(53b)의 하단부(53c)가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제 1 보강 금구(51)의 단벽 바깥 커버부(57b)의 하단부(57c)가 제 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 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 1 보강 금구(51)의 측벽 바깥 커버부(53b)의 하단부(53c)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커넥터(101)는, 제 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미도시의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제 2 보강 금구(151)의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부(153c)가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 2 기판에 표면 실장되고, 제 2 보강 금구(151)의 돌출단 바깥 커버부(157c)의 하단부(157d)가 제 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 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 2 보강 금구(151)의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부(153c)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도 1 또는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의 제 1 하우징(11)의 끼워맞춤면(11a)과 제 2 커넥터(101)의 제 2 하우징(111)의 끼워맞춤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볼록부(112)의 위치가 제 1 커넥터(1)의 대응하는 오목 홈부(12a)의 위치와 일치하고,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위치가 제 1 커넥터(1)의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22)의 위치와 일치하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 및/또는 제 2 커넥터(101)를 상대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볼록부(112) 및 제 2 돌출 단부(122)가 제 1 커넥터(1)의 오목 홈부(12a) 및 끼워맞춤 오목부(22) 안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제 1 단자(61)와 제 2 단자(161)가 통전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1 단자(61)의 제 1 접촉부(65a)와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단자(161)가 삽입되고, 제 1 단자(61)의 제 1 접촉부(65a)와 제 2 단자(161)의 제 1 접촉부(165)가 접촉하고, 제 1 단자(61)의 제 2 접촉부(66)와 제 2 단자(161)의 제 2 접촉부(166)가 접촉한다. 그 결과, 제 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된 제 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 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된 제 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통전된다.
또한, 끼워맞춤 오목부(22)에 제 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고, 제 1 보강 금구(51)의 접촉 암부(54)의 접촉부(54a)와, 제 2 돌출 단부(122)에 장착된 제 2 보강 금구(151)의 측방 커버부(153b)가 접촉한다. 그 결과, 제 1 보강 금구(51)의 측벽 바깥 커버부(53b)의 하단부(53c)가 접속된 제 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 2 보강 금구(151)의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부(153c)가 접속된 제 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통전된다.
그런데 면적이 넓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101)가 각각 실장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제 1 커넥터(1)의 끼워맞춤면과 제 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면을 눈으로 볼 수 없어 손으로 더듬어서 끼워맞춤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손으로 더듬어서 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위치 맞춤을 할 수 없어서, 제 1 커넥터(1)의 위치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101)가 X축 방향으로 벗어나서, 제 1 커넥터(1)의 한쪽의 제 1 돌출 단부(21)와 제 2 커넥터(101)의 한쪽의 제 2 돌출 단부(122)가 대향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제 1 커넥터(1) 및/또는 제 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돌출 단부(21)에 장착된 제 1 보강 금구(51)의 중앙 가이드부(58)가 경사진 경사부(58a)를 갖고, 제 2 돌출 단부(122)에 장착된 제 2 보강 금구(151)의 중앙 덮음부(157)가 만곡한 접속 커버부(157b)를 갖고 있으므로, 이른바 셀프 얼라인먼트(self alignment) 기능을 발휘하여,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1)에 대한 제 2 커넥터(101)의 X축 방향의 위치 편차량이 제 1 단자(61) 및 제 2 단자(161)의 1피치 이하이면, 도 9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돌출 단부(122)에 장착된 제 2 보강 금구(151)의 중앙 덮음부(157)의 만곡한 접속 커버부(157b)가 제 1 돌출 단부(21)에 장착된 제 1 보강 금구(51)의 중앙 가이드부(58)의 경사진 경사부(58a)에 맞닿고, 당해 경사부(58a)가 끌어들임면으로서 기능하므로, 상기 접속 커버부(157b)가 경사부(58a)를 따라, 도면에서의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돌출 단부(122)가 제 1 커넥터(1)의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22) 안에 수용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된다.
이 경우, 중앙 가이드부(58)는 중앙 덮음부(157)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힘을 받으므로, 아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하지만, 제 2 곡부(58e)의 하면이, 측벽 바깥 커버부(53b)의 하단부(53c)가 접속 패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기판의 표면에 맞닿음으로써, 아래 방향으로의 변위가 정지한다. 따라서, 중앙 덮음부(157)로부터 큰 누르는 힘(押力)을 받아도 당해 누르는 힘은 중앙 가이드부(58)의 제 2 곡부(58e)의 하면으로부터 제 1 기판에 전달되므로, 제 1 세로부(58b)가 단벽부(21b)의 내측면을 눌러 손상을 주거나 파손시키지 않고, 제 2 세로부(58f)나 섬 단부 위 커버부(58g)가 섬 단부(17)를 눌러 손상을 주거나 파손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제 2 커넥터(101)의 다른 쪽의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1 커넥터(1)의 제 1 볼록부(13)의 상면에 맞닿아 다른 쪽의 제 1 돌출 단부(21) 측의 섬 단부(17)를 향하여 변위하게 되지만, 당해 섬 단부(17)는 제 2 세로부(58f) 및 섬 단부 위 커버부(58g)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므로,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하우징(11)의 섬 단부(17)에서의 섬 단부 측면(17b), 및 제 2 하우징(111)의 돌출단 접속부(112a)의 내측면(112b)은, 평면에서 보아, 경사져서 서로 끌어들임면으로서 기능하므로, 제 1 커넥터(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101)가 Y축 방향으로 벗어나 있어도 이른바 셀프 얼라인먼트 기능을 발휘하여,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돌출 단부(21)에는, 제 1 보강 금구(51)가 장착되고, 단벽부(21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측벽 연장부(21c)의 상면(Z축 양의 방향면)의 과반은 단벽 커버부(57) 및 접속 암부(53)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제 2 돌출 단부(122)로부터 큰 누르는 힘을 받아도 당해 누르는 힘은 단벽 커버부(57)의 하단부(57c) 및 접속 암부(53)의 하단부(53c)를 통하여 제 1 기판에 전달되고, 단벽부(21b) 및 측벽 연장부(21c)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벽부(21b) 및 측벽 연장부(21c)가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커넥터(1)는, 제 1 하우징(11)과, 제 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제 1 단자(61)와, 제 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제 1 보강 금구(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1)은, 제 2 커넥터(101)의 제 2 하우징(111)과 끼워맞춤되는 오목부(12)와, 오목부(12) 안의 제 1 볼록부(13)로서, 제 2 하우징(111)의 오목 홈부(113)와 끼워맞춤되는 제 1 볼록부(13)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 1 돌출 단부(21)로서, 제 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 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22)가 형성된 제 1 돌출 단부(21)를 포함하고, 제 1 보강 금구(51)는, 제 1 돌출 단부(21)의 단벽부(21b)에 배치된 단벽 커버부(57)와, 단벽 커버부(57)에 접속되고, 선단(58h)이 제 1 볼록부(13)의 섬 단부(17)에 걸림 결합되는 중앙 가이드부(58)로서, 끼워맞춤 오목부(22)의 내측을 따라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앙 가이드부(58)를 포함하고, 중앙 가이드부(58)는, 단벽 커버부(57)에 접속된 단벽 내측 커버부로서의 경사부(58a) 및 제 1 세로부(58b)와, 선단(58h)에 접속되고, 섬 단부(17)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섬 단부 커버부로서의 제 2 세로부(58f) 및 섬 단부 위 커버부(58g)와, 경사부(58a) 및 제 1 세로부(58b)의 하단에 제 1 곡부(58c)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2 세로부(58f) 및 섬 단부 위 커버부(58g)의 하단에 제 2 곡부(58e)를 통하여 접속된 바닥부(58d)를 포함하고, 제 1 곡부(58c)의 하면은 제 2 곡부(58e)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 작업 중에 제 2 커넥터(101)로부터 큰 누르는 힘을 받아도 누르는 힘은 중앙 가이드부(58)의 제 2 곡부(58e)의 하면으로부터 제 1 기판에 전달되므로, 제 1 세로부(58b)가 단벽부(21b)의 내측면을 눌러 손상을 주거나 파손시키지 않고, 제 2 세로부(58f)나 섬 단부 위 커버부(58g)가 섬 단부(17)을 눌러 손상을 주거나 파손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 1 하우징(11)에서의 제 1 볼록부(13)의 길이 방향의 단부인 섬 단부(17)는 제 2 세로부(58f) 및 섬 단부 위 커버부(58g)에 의해 적절히 보호되므로,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하우징(11)의 보호 상태가 확실히 유지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끼워맞춤 오목부(22)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바닥판(18)에는, 바닥판(18)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닥 개구(18a)가 형성되고, 바닥부(58d)는 바닥 개구(18a) 안에 수용되고, 제 2 곡부(58e)는 제 1 하우징(11)의 실장면(11b)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끼워맞춤 작업 중에 제 2 커넥터(101)로부터 큰 누르는 힘을 받아도 바닥판(18)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11)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바닥부(58d)는 중앙 가이드부(58)에서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다. 따라서 끼워맞춤 작업 중에 제 2 커넥터(101)로부터 큰 누르는 힘을 받아도 바닥부(58d)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누르는 힘은 중앙 가이드부(58)의 제 2 곡부(58e)의 하면으로부터 제 1 기판에 적절히 전달된다.
또한, 단벽 내측 커버부는, 기단이 단벽 커버부(57)에 접속되고,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부(58a)를 포함한다. 따라서 끼워맞춤 작업 중에 제 1 커넥터(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101)가 X축 방향으로 벗어나도 셀프 얼라인먼트 기능이 발휘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경사부(58a)에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에 장착된 제 2 보강 금구(151)가 맞닿으면, 제 2 보강 금구(151)는 경사부(58a)를 따라 슬라이드하고, 제 2 돌출 단부(122)는 끼워맞춤 오목부(22) 안에 끌려들어온다. 따라서 제 2 커넥터(101)의 제 2 돌출 단부(122)가 제 1 커넥터(1)의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22) 안에 원활하게 수용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가 원활하게 끼워맞춤된다.
또한, 제 1 보강 금구(51)는 단벽 커버부(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되고, 제 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속 암부(53)와, 접속 암부(53)에 접속되고, 끼워맞춤 오목부(22) 내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암부(54)를 더 포함하고, 접촉 암부(54)는 끼워맞춤 오목부(22)에 삽입된 제 2 돌출 단부(122)에 장착된 제 2 보강 금구(151)와 접촉하는 접촉부(54a)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보강 금구(51)는 전력 라인의 접속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섬 단부(17)의 양측의 섬 단부 측면(17b)은, 평면에서 보아, 단벽부(21b)에 가까워질수록 섬 단부(17)의 폭 방향의 치수가 점점 줄어드는 경사면이다. 따라서, 제 1 커넥터(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101)가 Y축 방향으로 벗어나 있어도, 이른바 셀프 얼라인먼트 기능이 발휘되어,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개시는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관한 특징을 서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서의 각종 다른 실시 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히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 1 커넥터
11, 811: 제 1 하우징
11a, 111a: 끼워맞춤면
11b, 111b: 실장면
12, 812: 오목부
12a, 113: 오목 홈부
13: 제 1 볼록부
13a: 얇은 벽부
13b: 하면
13c: 접속단부
14: 측벽부
15: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a: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b: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7: 섬 단부
17a: 섬 단부 오목부
17b: 섬 단부 측면
18: 바닥판
18a: 바닥 개구
21: 제 1 돌출 단부
21b, 821: 단벽부
21c: 측벽 연장부
22: 끼워맞춤 오목부
23a: 외단 오목부
23b: 내단 오목부
23c: 외측 오목부
23d: 내측 오목부
51, 851: 제 1 보강 금구
53: 접속 암부
53a: 측벽 위 커버부
53b: 측벽 바깥 커버부
53c, 57c, 153c, 157d: 하단부
53d: 유지 돌기
54: 접촉 암부
54a: 접촉부
57: 단벽 커버부
57a: 단벽 위 커버부
57b: 단벽 바깥 커버부
58: 중앙 가이드부
58a: 경사부
58b: 제 1 세로부
58c: 제 1 곡부
58d: 바닥부
58e: 제 2 곡부
58f: 제 2 세로부
58g: 섬 단부 위 커버부
58h: 선단
61, 861: 제 1 단자
62, 162: 테일부
63: 피유지부
64: 하측 접속부
64a: 아래쪽 내측 만곡부
64b: 아래쪽 외측 만곡부
65: 내측 접속부
65a, 165: 제 1 접촉부
66, 166: 제 2 접촉부
67: 상측 접속부
101: 제 2 커넥터
111, 911: 제 2 하우징
112: 제 2 볼록부
112a: 돌출단 접속부
112b, 122a: 내측면
122: 제 2 돌출 단부
151, 951: 제 2 보강 금구
153: 측방 덮음부
153a, 157b: 접속 커버부
153b: 측방 커버부
157: 중앙 덮음부
157a: 돌출단 위 커버부
157c: 돌출단 바깥 커버부
161, 961: 제 2 단자
164: 접속부
857: 단벽 덮음부
858: 오목 덮음부
859: 볼록 덮음부
921: 볼록 단부
922: 볼록 측부

Claims (8)

  1. (a)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금구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b)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워맞춤되는 오목부와, 당해 오목부 안의 중간 섬부이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오목 홈부와 끼워맞춤되는 중간 섬부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이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된 끼워맞춤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단벽부에 배치된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에 접속되고, 선단이 상기 중간 섬부의 섬 단부에 걸림 결합되는 중앙 가이드부이며,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측을 따라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d) 당해 중앙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단벽 내측 커버부와, 상기 선단에 접속되고, 상기 섬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섬 단부 커버부와, 상기 단벽 내측 커버부의 하단에 제 1 곡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섬 단부 커버부의 하단에 제 2 곡부를 통하여 접속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곡부의 하면은 제 2 곡부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는 제1 곡부로부터 제2 곡부를 향하여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바닥판에는, 당해 바닥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닥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 개구 안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곡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중앙 가이드부에서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은,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벽 내측 커버부는,
    기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고,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부로서 기능하는 제1 세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장착된 상대방 보강 금구가 맞닿으면, 당해 상대방 보강 금구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드하고, 상기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안에 끌려들어오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접속되고,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속 암부와, 당해 접속 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안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암부를 더 포함하고, 당해 접촉 암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삽입된 상대방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장착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 단부의 양측의 섬 단부 측면은, 평면에서 보아, 단벽부에 가까워질수록 섬 단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점점 줄어드는 경사면인, 커넥터.
  8.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세트.
KR1020190091480A 2018-10-18 2019-07-29 커넥터 KR102261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6270A JP7148357B2 (ja) 2018-10-18 2018-10-18 コネクタ
JPJP-P-2018-196270 2018-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90A KR20200043890A (ko) 2020-04-28
KR102261008B1 true KR102261008B1 (ko) 2021-06-04

Family

ID=7027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480A KR102261008B1 (ko) 2018-10-18 2019-07-29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51581B1 (ko)
JP (1) JP7148357B2 (ko)
KR (1) KR102261008B1 (ko)
CN (1) CN1110822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JP1638447S (ko) * 2018-12-28 2019-08-05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D918843S1 (en) * 2019-04-26 2021-05-11 Molex, Llc Electric connector
JP2020184459A (ja) * 2019-05-08 2020-1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D206849S (zh) * 2019-05-29 2020-09-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固定件
CN209929524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WO2021000152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极连接器
JP7454995B2 (ja) *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CN111740252A (zh) * 2020-06-08 2020-10-0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449401B2 (ja) * 2020-06-16 2024-03-13 シェンチェン エバーウィン プレシジョン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基板対基板ソケット
JP7417481B2 (ja) * 2020-06-29 2024-01-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41147B2 (ja) * 2020-09-17 2024-02-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CN214254799U (zh) 2021-01-30 2021-09-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对接连接器及其组合
US20220368045A1 (en) * 2021-05-17 2022-1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557A (ja) *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482A (en) * 1994-12-15 1997-05-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545051A (en) * 1995-06-28 1996-08-13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 to board matable assembly
US6116949A (en) * 1999-01-13 2000-09-1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ostatic protection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
SG98467A1 (en) * 2001-12-28 2003-09-1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Electrostatic protection cover
TW545777U (en) * 2002-07-26 2003-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5294035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TWI275213B (en) * 2004-06-11 2007-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6100240A (ja) * 2004-08-31 2006-04-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CN2736999Y (zh) * 2004-09-23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CN2772061Y (zh) * 2005-02-04 2006-04-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7845987B2 (en) * 2005-12-01 2010-12-07 Ddk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TWM349125U (en) * 2008-05-26 2009-0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180705B2 (ja) * 2008-07-02 2013-04-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20100130068A1 (en) * 2008-11-25 2010-05-27 Yung-Chi Peng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4849145B2 (ja) * 2009-03-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7748994B1 (en) * 2009-05-13 2010-07-0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110250800A1 (en) * 2010-04-12 2011-10-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plug and receptacle contacts
JP2012089336A (ja) *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30023162A1 (en) * 2011-07-20 2013-01-2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6245964B2 (ja) * 2013-12-02 2017-12-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291257B2 (ja) * 2014-01-06 2018-03-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9300064B2 (en) * 2014-01-17 2016-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391517B2 (ja)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85875B2 (ja)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17204433A (ja) * 2016-05-13 2017-11-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17212035A (ja) * 2016-05-23 2017-11-3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KR102574606B1 (ko) * 2016-11-29 2023-09-05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6806593B2 (ja) *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557A (ja) *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82238B (zh) 2021-02-05
KR20200043890A (ko) 2020-04-28
JP7148357B2 (ja) 2022-10-05
JP2020064766A (ja) 2020-04-23
US20200127400A1 (en) 2020-04-23
CN111082238A (zh) 2020-04-28
US10651581B1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008B1 (ko) 커넥터
KR101985141B1 (ko) 커넥터
KR102492103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832599B1 (ko) 커넥터
KR101919691B1 (ko) 커넥터
JP5887326B2 (ja) コネクタ
JP6404248B2 (ja) コネクタ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JP2023001183A (ja)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021293B2 (ja) コネクタ
JP7038172B2 (ja) コネクタ
JP6714056B2 (ja) コネクタ
JP7129462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