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903B1 -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 Google Patents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903B1
KR102260903B1 KR1020210044482A KR20210044482A KR102260903B1 KR 102260903 B1 KR102260903 B1 KR 102260903B1 KR 1020210044482 A KR1020210044482 A KR 1020210044482A KR 20210044482 A KR20210044482 A KR 20210044482A KR 102260903 B1 KR102260903 B1 KR 10226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unit
sensor
worki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이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욱 filed Critical 이진욱
Priority to KR102021004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903B1/ko
Priority to CN202210004027.2A priority patent/CN11520005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 프리존 인덕션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유도가열을 위한 복수의 워킹코일이 배열된 가열코일부와, 상기 상판에 놓여지는 조리용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복수 워킹코일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용기의 위치와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유도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Full free zone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용기의 위치와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유도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이 적용된 가스레인지 대체 조리용 가열기구로서,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한다.
즉, 인덕션 레인지는 자성을 갖는 인덕션전용 조리용기가 상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판 하부에 내장된 워킹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워킹코일에서 발생된 교류자기장에 의해 조리용기의 자성체에서 맴돌이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고, 맴돌이전류의 줄열에 의해 자성체에서 열이 발생됨으로써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는 연소 불꽃이 없음과 함께 조리용기와 접촉된 면만 가열되기 때문에 화상 또는 화재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매끄러운 상판만 노출되어 심플하고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며, 청소도 간편할 뿐만 아니라 조리온도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인덕션 레인지는 일반적으로 워킹코일 위의 상판 부분에 조리용기가 놓여질 위치가 표시되면서, 워킹코일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 조리용기가 놓여질 경우 가열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를 자유롭게 위치시키지 못하고 워킹코일에 맞추어 정위치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음과 함께, 미가열 영역이 크게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429655호 : 인덕션레인지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킹코일의 배열갯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놓여지는 조리용기의 위치에 상관없이 유도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유도가열을 위한 복수의 워킹코일이 배열된 가열코일부와, 상기 상판에 놓여지는 조리용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복수 워킹코일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은 전후좌우로 배열된 4개를 기본배열단위로 하여 배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센서부는 기본배열단위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모센서와, 워킹코일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자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자센서에서 조리용기가 감지되면 모센서의 감지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워킹코일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함과 함께, 자센서에서는 조리용기가 미감지되면서 1개의 모센서에서만 조리용기가 감지되면 기본배열단위에 포함된 모든 워킹코일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풀 프리존 인덕션레인지가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는, 자센서에서는 조리용기가 미감지되면서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모센서에서만 조리용기가 감지되는 경우 조리용기를 감지한 2개 이상의 모센서 사이에 배열된 워킹코일만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면,
조리용기를 감지하여 배열된 복수의 워킹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상판 위에 놓여지는 조리용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유도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감지센서부가 위킹코일의 배열중심부에 구비된 모센서와 워킹코일 자체의 중심부에 구비된 자센서로 분리 구성되어 조리용기를 각각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제어로직을 달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워킹코일의 배열갯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유도가열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블록 구성도를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기본배열단위로 구성된 가열코일부 및 감지센서부를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기본배열단위보다 확장된 가열코일부 및 감지센서부를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자센서에 감지되는 다양한 조리용기의 위치를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모센서에서만 감지되는 다양한 조리용기의 위치를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주요구성 이 일 예시되어 있다.
도 1의 블록구성도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크게 볼 때 가열코일부(100)와, 감지센서부(300)와, 구동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열코일부(100)는 전자기유도 가열방식으로 조리용기(C)를 가열하는 부분이다.
즉, 가열코일부(100)는 조리용기(C)가 놓여지게 되는 인덕션레인지의 상판(도면 미도시) 하부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전원이 인가되면, 고주파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판에 놓여진 조리용기(C)에 맴돌이전류를 유도함으로써 조리용기(C)를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코일부(100)는 작동전원이 인가되면 유도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워킹코일(110)이 전후좌우로 배열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가열코일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워킹코일(110)은 전후좌우로 배열된 4개를 기본배열단위로 하여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열코일부(100)는 전후좌우로 배열된 4개의 워킹코일(110)을 최소단위인 기본배열단위로 포함하며, 인덕션레인지의 크기와 형태 등에 따라 배열되는 워킹코일(110)의 갯수가 증가되면서 가열코일부(100)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도 2에는 기본배열단위만으로 구성된, 즉 전후좌우로 배열된 4개의 워킹코일(110)만으로 구성된 가열코일부(100)가 일 예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워킹코일(110)의 갯수가 증가되어 12개의 워킹코일(110)이 전후좌우로 배열된 가열코일부(100)가 일 예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배열되는 워킹코일(110)은 비가열 영역(dead zone)이 최소화되도록 가로 길이(L1)가 세로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태를 가지면서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L3)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워킹코일(110)은 가로 길이(L1)가 180mm, 세로길이(L2)가 80mm인 직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10mm의 이격간격(L3)을 가지면서 전후좌우로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센서부(300)는 상판에 놓여지는 조리용기(C)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즉, 감지센서부(300)는 가열코일부(100)의 상부에 놓여진 조리용기(C)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구동제어부(500)로 감지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구동제어부(500)가 가열코일부(1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감지센서부(300)는 모센서(310)와, 자센서(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센서(310)와 자센서(330)는 모두 조리용기(C)의 금속성분을 감지할 수 있는 금속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가열코일부(100)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모센서(310)는 가열코일부(100)에 구비되되, 배열된 워킹코일(110)들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센서로서, 기본배열단위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이다.
즉, 모센서(310)는 기본배열단위를 구성하는 전후좌우로 배열된 4개 워킹코일(110)의 배열중심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가열코일부(100)가 기본배열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센서(310)는 4개 워킹코일(110)의 배열중심부에 1개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가열코일부(100)가 기본배열단위를 넘어서 확장된 배열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센서(310)는 기본배열단위의 중심부마다, 즉 4개 워킹코일(110)의 배열중심부마다 1개씩 구비됨으로써, 총 6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반면에, 자센서(330)는 가열코일부(100)에 구비되되, 배열된 워킹코일(110)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이다.
즉, 자센서(330)는 각각의 워킹코일(110) 자체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그에 따라 자센서(330)의 갯수는 배열된 워킹코일(110)의 갯수에 대응된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가열코일부(100)가 기본배열단위인 4개의 워킹코일(110)만으로 구성된 경우, 자센서(330)는 4개 워킹코일(110)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됨으로써, 총 4개로 이루어지고, 도 3과 같이 가열코일부(100)가 12개의 워킹코일(110)로 구성된 경우, 자센서(330)는 12개 워킹코일(110)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됨으로써, 총 12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가열코일부(100)에 배열 구비되는 모센서(310)와 자센서(330)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리용기(C)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조리용기(C)는 일정크기 이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위킹코일(110)이 전술한 수치의 크기 및 이격간격을 갖는 경우, 사용 가능한 조리용기(C)는 직경이 130mm 이상인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제어부(500)는 감지센서부(300)의 감지에 따라 가열코일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즉, 구동제어부(500)는 모센서(310)와 자센서(330) 각각의 조리용기 감지여부에 따라 가열코일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워킹코일(110) 각각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다양한 위치의 조리용기(C)가 일 예시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동제어부(500)의 제어로직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구동제어부(500)는 자센서(33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면 모센서(310)의 조리용기 감지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워킹코일(110)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한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센서(33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모센서(310)의 감지여부는 무시하고, 조리용기(C)를 감지한 자센서(330)가 위치된 해당 위킹코일(110)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C1 조리용기의 경우, 110a2 워킹코일의 중심부에 구비된 자센서(330)에서만 조리용기(C1)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때, 구동제어부(500)는 해당 워킹코일인 110a2 워킹코일로 작동전원을 인가시켜 구동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C2 조리용기의 경우, 11Ob3 워킹코일과 110b4 워킹코일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된 자센서(330)에서 조리용기(C2)를 각각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때, 구동제어부(500)는 해당 워킹코일인 11Ob3 워킹코일과 110b4 워킹코일로 각각 작동전원을 인가시켜 구동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C3 조리용기의 경우에는, 11Oc1 워킹코일과 110c2 워킹코일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된 자센서(330)에서 조리용기(C3)를 각각 감지함과 함께, 배열중심부에 구비된 모센서(310)에서도 조리용기(C3)를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자센서(330)와 모센서(310)에서 모두 조리용기(C3)를 감지한 경우, 구동제어부(500)는 모센서(310)의 감지여부와는 상관없이, 조리용기(C3)를 각각 감지한 자센서(330)의 해당 워킹코일로, 즉 11Oc1 워킹코일과 110c2 워킹코일로 각각 작동전원을 인가시켜 구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가 미감지되면서 모센서(310)에서만 조리용기(C)가 감지되는 경우의 구동제어부(500)의 제어를 살펴보는데, 이 때는 1개의 모센서(31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느냐, 2개 이상의 모센서(31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가 미감지되면서 1개의 모센서(310)에서만 조리용기(C)가 감지되는 경우, 구동제어부(500)는 조리용기(C)를 감지한 모센서(310)가 위치된 해당 기본배열단위에 포함된 모든 워킹코일(110)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한다.
즉, 이 때는 1개의 모센서(310)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좌우로 배열된 기본배열단위의 4개 워킹코일(110) 전부를 구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C4 조리용기의 경우,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4)가 전혀 감지되지 않으면서 1개의 모센서(310)에서만 조리용기(C4)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제어부(500)는 상기 모센서(310)가 위치된 기본배열단위에 포함된 4개의 워킹코일, 즉 상기 모센서(310)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좌우로 배열된 110a1 워킹코일, 110a2 워킹코일, 110b1 워킹코일, 110b2 워킹코일 모두로 작동전원을 인가시켜 구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가 미감지되면서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모센서(31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는 경우, 구동제어부(500)는 조리용기(C)를 각각 감지한 2개 이상의 모센서(310) 사이에 위치된 워킹코일(110)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한다.
즉,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모센서(310)에서 조리용기(C)를 감지하게 되면, 각각의 모센서(310)가 위치된 기본배열단위에 포함된 모든 워킹코일이 아니라, 조리용기(C)를 감지한 2개 이상의 모센서(310) 사이에 위치된 위킹코일(110)만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C5 조리용기와 C6 조리용기의 경우,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5, C6)가 전혀 감지되지 않으면서, 전후로 이웃하는 2개의 모센서(310)에서만 조리용기(C5, C6)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때 구동제어부(500)는 조리용기(C5, C6)를 각각 감지한 2개의 모센서(310) 사이에 좌우로 배열된 2개의 워킹코일, 즉 C5 조리용기의 경우에는 110a3 워킹코일과 110b3 워킹코일로 작동전원을 인가시켜 구동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C6 조리용기의 경우에는 110b2 워킹코일과 110c2 워킹코일로 작동전원을 인가시켜 구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았는 바,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가열코일부(100)가 전후좌우로 배열된 복수의 워킹코일(110)로 이루어지면서 구동제어부(500)가 감지센서부(300)에서의 조리용기 감지신호에 따라 복수 워킹코일(11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 상판 위에 놓여지는 조리용기(C)의 위치와 상관없이 유도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리용기(C)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300)가 위킹코일(110)의 배열중심부에 구비된 모센서(310)와 워킹코일(110) 자체의 중심부에 구비된 자센서(330)로 분리 구성되면서 모센서(310)와 자센서(330)의 감지여부에 따라 복수 워킹코일(110)에 대한 구동제어를 최적화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유도가열 제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가열코일부
110: 워킹코일
300: 감지센서부
310: 모센서
330: 자센서
500: 구동제어부

Claims (4)

  1. 조리용기(C)가 놓여지는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유도가열을 위한 복수의 워킹코일(110)이 배열된 가열코일부(100)와;
    상기 상판에 놓여지는 조리용기(C)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300); 및
    상기 감지센서부(300)의 감지에 따라 복수 워킹코일(11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110)은 전후좌우로 배열된 4개를 기본배열단위로 하여 배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센서부(300)는 기본배열단위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모센서(310)와, 워킹코일(110)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자센서(3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500)는 자센서(33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면 모센서(310)의 감지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워킹코일(110)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함과 함께,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가 미감지되면서 1개의 모센서(310)에서만 조리용기(C)가 감지되면 기본배열단위에 포함된 모든 워킹코일(110)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풀 프리존 인덕션레인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500)는,
    자센서(330)에서는 조리용기(C)가 미감지되면서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모센서(310)에서 조리용기(C)가 감지되는 경우, 조리용기(C)를 감지한 2개 이상의 모센서(310) 사이에 배열된 워킹코일(110)만을 구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풀 프리존 인덕션레인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상인, 풀 프리존 인덕션레인지.
KR1020210044482A 2021-04-06 2021-04-06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KR10226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82A KR102260903B1 (ko) 2021-04-06 2021-04-06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CN202210004027.2A CN115200052A (zh) 2021-04-06 2022-01-05 全区域电磁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82A KR102260903B1 (ko) 2021-04-06 2021-04-06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903B1 true KR102260903B1 (ko) 2021-06-03

Family

ID=7639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482A KR102260903B1 (ko) 2021-04-06 2021-04-06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0903B1 (ko)
CN (1) CN11520005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729A1 (ko) * 2021-11-19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기레인지
WO2023096222A1 (ko) * 2021-11-23 2023-06-01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에서 용기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기레인지
KR20230122395A (ko) 2022-02-14 2023-08-22 (주)신화셀렉스 화구의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WO2023224458A1 (ko) * 2022-05-19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24259A1 (ko)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3249336A1 (ko) * 2022-06-22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613A (ja)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429655B1 (ko)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613A (ja)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429655B1 (ko)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729A1 (ko) * 2021-11-19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기레인지
WO2023096222A1 (ko) * 2021-11-23 2023-06-01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에서 용기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기레인지
KR20230122395A (ko) 2022-02-14 2023-08-22 (주)신화셀렉스 화구의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WO2023224259A1 (ko)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3224458A1 (ko) * 2022-05-19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336A1 (ko) * 2022-06-22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00052A (zh)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903B1 (ko) 풀 프리존 인덕션 레인지
US11655984B2 (en) Induction cooktop
JP482863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268613B2 (ja) 誘導加熱装置
KR20140124106A (ko) 인덕션레인지
CN109983841B (zh) 感应灶具以及控制感应灶具的方法
JP2007213826A (ja) 誘導加熱装置
JP681751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2726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724799B2 (ja) 加熱調理器
JP200514983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036755B2 (ja) 加熱調理器
JP2008218280A (ja) 加熱機器
JP42512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009079A (ja) コンロ装置及びコンロ付き調理台装置
JP48792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129239A (ja) 加熱調理器
JP6991309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38451B1 (ko)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JP6877325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76590A (ko) 전기 레인지
KR102646390B1 (ko) 화구의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KR20240024726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79131B2 (ja) 加熱調理器
KR20230126942A (ko) 용기구분없이 사용가능한 하이브리드 전기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