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915B1 - 유기 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915B1
KR102259915B1 KR1020187025244A KR20187025244A KR102259915B1 KR 102259915 B1 KR102259915 B1 KR 102259915B1 KR 1020187025244 A KR1020187025244 A KR 1020187025244A KR 20187025244 A KR20187025244 A KR 20187025244A KR 102259915 B1 KR102259915 B1 KR 10225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film
light
wavelength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341A (ko
Inventor
세이이치 이소지마
다카시 구로다
다카노리 하마다
야스히로 고이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야스히로 고이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야스히로 고이께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유기 EL 표시 장치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면서, 옥외 사용 시에 색감이 생기지 않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필름 A1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수지층 a1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조사했을 때, 상기 광학 필름 A1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한다.

Description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낮은 점 등에서,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중심으로 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발광층 및 기판 등을 구비한 유기 EL 소자 위에, 표면판을 갖는 기본 구성을 지니고, 표면판으로서는 주로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에 포함되는 형광체 등이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발광층 위에 컬러 필터를 갖지 않는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나, 플렉시블화를 위해서 유기 EL 소자의 투명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나, 유리제의 투명 기판에 의해 단파장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형광체나 인광체 등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가 우려된다.
유기 EL 소자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서는, 발광층과 기판의 사이에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한 유기 EL 소자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수단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수단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이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7-103028호 공보
한편,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는, 각종 광학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기재로 한 광학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중에서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박막이어도 높은 리타데이션값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기 EL 표시 장치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리타데이션값에 기인하는 간섭 줄무늬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자외선 흡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표시 소자 내에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유기 EL 소자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을 기재로 한 광학 필름을 사용한 경우, 옥외에서의 사용 시에 화면이 푸르스름하게 느껴져서, 색감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기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옥외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옥외 사용 시의 색감은 중대한 문제였다.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면서, 옥외 사용 시에 색감이 생기지 않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이 자외선의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고, 가시광의 단파장 영역의 광을 형광 발광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자외선 흡수 성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해서, 일부러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1]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필름 A1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필름 A1이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조건 1>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수지층 a1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 상기 광학 필름 A1이 평행해지도록 배치한다. 상기 광학 필름 A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랙 라이트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분광 방사 휘도계를 배치한다. 상기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또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에서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1의 누적값을 T1,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1의 누적값을 L1이라 했을 때, T1/L1≤1.00의 관계를 만족한다.
[2]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적층체 A2를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적층체 A2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2를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는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가 하기 조건 2를 만족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조건 2>
상기 광학 적층체 A2의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보다도 상기 수지층 a2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 상기 광학 적층체 A2가 평행해지도록 배치한다. 상기 광학 적층체 A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블랙 라이트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분광 방사 휘도계를 배치한다. 상기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광학 적층체 A2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2를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또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2를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2의 누적값을 T2,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2의 누적값을 L2라 했을 때, T2/L2≤1.00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면서, 옥외 사용 시에 색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 및PEN 필름에 블랙 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조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8은,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 및PET 필름에 블랙 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조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9는,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 그리고, 광학 필름 A1의 수지층 a1측의 면에 블랙 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조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을 「PEN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PET 필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는,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필름 A1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필름 A1이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것이다.
<조건 1>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수지층 a1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 상기 광학 필름 A1이 평행해지도록 배치한다. 상기 광학 필름 A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랙 라이트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분광 방사 휘도계를 배치한다. 상기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또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에서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1의 누적값을 T1,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1의 누적값을 L1이라 했을 때, T1/L1≤1.00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소자(10)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필름 A1(20)을 갖고, 해당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1)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22)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광학 필름 A1(20) 위에 표면판(30)이 배치되고, 도 2 및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광학 필름 A1(20)을 표면판(30)으로서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소자(10)와 광학 필름 A1(20)의 사이에, 그 밖의 광학 필름(40)으로서 편광자(50)를 갖고 있다. 또한,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터치 패널(70)을 갖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100A)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유기 EL 소자(10)는, 금속 전극(14), 발광층(13), 투명 전극(12) 및 투명 기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발광층(13)은, 적색 발광층(13a), 녹색 발광층(13b) 및 청색 발광층(13c)을 갖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유기 EL 소자(10)는,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각 부재를 단순히 중첩하기만 했을 뿐, 각 부재의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공기층이 개재되는 것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부재 간의 거리를 과장 표현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접착제층을 통하는 등으로 일체화된 것이어도 된다.
<조건 1>
조건 1은, 자외선(블랙 라이트)의 조사를 조사했을 때, 광학 필름 A1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형광 발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조건 1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옥외에서의 사용 시에 화면이 푸르스름하게 느껴지게 되어버린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조건 1을 다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의 실선은,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의 일례이다. 도 7의 일점쇄선은, 해당 블랙 라이트를 PEN 필름에 조사했을 때의, PEN 필름의 블랙 라이트 조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의 일례이다. 도 8의 파선은, 해당 블랙 라이트를 PET 필름에 조사했을 때의, PET 필름의 블랙 라이트 조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의 일례이다.
도 7 및 도 8로부터, PEN 필름, 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가시광의 단파장 영역의 광을 형광 발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EN 필름의 형광 발광의 피크값은, PET 필름의 형광 발광의 피크값의 약 20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종축의 「E-05」는 10의 마이너스 5승, 「E-04」는 10의 마이너스 4승, 「E-03」은 10의 마이너스 3승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9의 실선은,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의 일례이다. 도 9의 파선은, PEN 필름 위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갖고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A1의 수지층 a1측의 최표면에 해당 블랙 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광학 필름 A1의 블랙 라이트 조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의 일례이다.
도 7과 도 9의 대비에 의해, 자외선 흡수성이 우수한 PEN 필름에 대해서, 일부러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PEN 필름으로부터 형광 발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종축의 「E-05」는 10의 마이너스 5승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조건 1을 만족하는 것은, 광학 필름 A1이 자외선을 수광했을 때, 광학 필름 A1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가시광의 단파장 영역의 형광 발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조건 1을 만족함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를 옥외에서 사용했을 때, 화면이 푸르스름하게 느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건 1에서는, 광학 필름 A1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광학 필름 A1의 시인자측과는 반대측의 면)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1을 측정하고 있지만, 형광 발광은 전방위로 균등하게 산란하기 때문에, 분광 방사 휘도 x1은, 광학 필름 A1의 시인자측의 면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고 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조건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조건 1에 있어서, 「400 내지 470㎚」는, 도 7의 PEN 필름에 블랙 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PEN 필름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파장 분포(도 7의 일점쇄선)에 있어서, 발광의 피크값[약 9.2×10-4(W/sr/㎡/㎚)]의 1/2의 값[약 4.6×10-4(W/sr/㎡/㎚)]을 나타내는 파장의 상하한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400 내지 470㎚는, PEN 필름의 형광 발광이 강한 파장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조건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조건 1에서는, T1/L1≤0.7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1/L1≤0.5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1/L1≤0.4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건 1에서는, 조사 거리 40㎝에서의 자외선 조도가 6000㎼/㎠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고, 블랙 라이트와 광학 필름 A1의 거리를 40㎝로 하여, 블랙 라이트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외선 조도란, UV-A(파장 315 내지 400㎚)의 파장 영역의 조도를 1㎚마다 측정하고, 파장 315 내지 400㎚의 각 파장의 조도를 적산한 값이다.
태양광의 자외선 조도는 약 6000㎼/㎠이다. 따라서, 조사 거리 40㎝에서의 자외선 조도가 6000㎼/㎠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고, 또한 블랙 라이트와 광학 필름 A1의 거리를 40㎝로 하는 조건(이하, 「옥외 자외선 조건」이라고 칭함)으로 함으로써, 옥외 환경에 합치한 측정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옥외 자외선 조건에 있어서, 조건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조건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조사 거리 40㎝에서의 자외선 조도가 6000㎼/㎠ 이상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여, 블랙 라이트와 광학 필름 A1의 거리를 1㎝로 하고 있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옥외 자외선 조건보다도 자외선 조도가 강한 환경으로 하고 있다. 상기 옥외 자외선 조건보다도 자외선 조도가 강한 환경에 있어서 조건 1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옥외 자외선 조건에서도 당연히 조건 1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통상, 블랙 라이트로부터 발광되는 광 중, 파장 400㎚ 이상의 광은, 인간이 거의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강도이다. 조건 1에서 사용하는 블랙 라이트는, 상기 L1(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1의 누적값)이 0.0020W/s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5W/sr/㎡/㎚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건 1에 있어서, 분광 방사 휘도계는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측정은, 측정각을 0.2도로 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광학 필름 A1>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조건 1을 만족하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광학 필름 A1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PEN 필름)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BT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기계적 강도를 높임과 함께, 리타데이션값을 크게 하는 관점에서, 연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세로 1축 연신, 텐터 연신, 축차 2축 연신 및 동시 2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중에서도, PEN 필름이 바람직하다. PEN 필름은, 박막으로 높은 리타데이션값을 얻을 수 있고, 유기 EL 표시 장치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리타데이션값에 기인하는 간섭 줄무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PEN 필름은 자외선 흡수성도 우수하다. 또한, 「간섭 줄무늬」란,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화면을 관찰했을 때 시인되는 무지개 형상의 얼룩을 의미한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간섭 줄무늬의 방지와 박막화의 밸런스 관점에서, 리타데이션값이 3,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2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0 내지 1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8,000 내지 14,00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리타데이션값은 파장 550㎚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값이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 굴절률이 가장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ny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 d에 의해, 하기 식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다.
리타데이션값(Re)=(nx-ny)×d
상기 리타데이션값은, 예를 들어 오지 게이소쿠 기키사 제조의 상품명 「KOBRA-WR」, 「PAM-UHR10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스텝에 따라 리타데이션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1) 2 이상의 편광자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배향축 방향(주축의 방향)을 구한 후, 두 축(배향축의 굴절률 및 배향축에 직교하는 축)의 굴절률(nx, ny)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에 의해 구한다. 여기서, 보다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을 지상축이라 정의한다.
(2) 광학 필름의 두께 d를, 마이크로미터(상품명: Digimatic Micrometer, 미츠토요사 제조) 등에 의해 측정하고, 단위를 ㎚로 환산한다.
(3) 복굴절률(nx-ny)과, 필름의 두께 d(㎚)의 곱으로부터, 리타데이션을 계산한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는, 취급성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 5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층 a1>
수지층 a1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층이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PEN 필름인 경우, PEN 필름은 자외선 흡수성이 우수한 점에서, PEN 필름 위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형광체나 인광체 등이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자외선 흡수성이 우수한 PEN 필름인 경우이더라도, 일부러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PEN 필름으로부터의 형광 발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수지층 a1은, 자외선 흡수제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UV-A(파장 315 내지 400㎚)의 영역에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350 내지 390㎚의 영역에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파장 360 내지 380㎚의 영역에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장 350 내지 390㎚의 영역에 흡수 피크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파장 360 내지 380㎚의 영역에 흡수 피크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환의 2위치의 질소 원자에 세사몰을 결합시킨 화합물(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로서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086684892-pct00001
[식 (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2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기 쇄상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기 쇄상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냄]
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환의 2위치의 질소 원자에 레조르시놀을 결합시킨 화합물(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로서는, 하기 일반식 (Ⅱ)로 표시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086684892-pct00002
[식 (Ⅱ) 중,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4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기 쇄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그 밖의 단량체를 포함해도 된다.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히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 반응시킬 때의 중합 방법은 종래 공지의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조건 1을 쉽게 만족시키는 관점, 및 수지층 a1로부터 자외선 흡수제가 블리딩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지층 a1의 전체 고형분 10 내지 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9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내지 9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 내지 85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체, 혹은 상기 레조르시놀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체는, 분자량이 커서, 블리딩하기 어렵기 때문에,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및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구성 및 흠집 억제의 관점에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및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바람직하고,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조성물이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이들 경화성 수지에, 필요에 따라서 경화제가 첨가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하,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이라고도 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 및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레이트기가 바람직하다. 이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을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라고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리 방사선」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혹은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자외선(UV) 또는 전자선(EB)이 사용되지만, 그 밖에, X선, γ선 등의 전자파, α선, 이온선 등의 하전 입자선도 사용 가능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은, 상기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 혹은 다관능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과, 상기 관능기를 1개만 갖는 단관능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인 경우에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α-히드록시알킬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촉진제는, 경화 시의 공기에 의한 중합 저해를 경감시켜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1의 결합제 수지를, 접착제 조성물, 혹은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로 해도 된다. 결합제 수지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지층 a1을 접착제층으로서 기능시켜, 광학 필름 A1과 표면판 등의 다른 부재를 일체화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로서는, 범용의 감압 접착제 조성물, 감열 접착제 조성물, 전리 방사선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 a1은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층 중에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방현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입자로서는,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기 입자 및 무기 입자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형, 원반형, 럭비공형, 부정형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자는 중공 입자, 다공질 입자 및 중실 입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유기 입자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멜라민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실리콘, 불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및 티타니아 등을 포함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층 a1의 결합제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0.2 내지 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6.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층 a1의 두께는, 조건 1을 쉽게 만족시키는 관점, 및 박형화의 밸런스 관점에서, 1 내지 8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 내지 2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수지층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위에 직접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 A1은, 수지층 a1과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사이에, 접착 용이층 등의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광학 필름 A1에 있어서의 수지층 a1의 위치는,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최표면이 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 측의 면 위에, 기능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해당 기능층으로서는, 밀착 방지층, 간섭 방지층, 자외선 흡수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 측의 자외선 흡수층은, 수지층 a1과 동일한 구성이어도 되고, 수지층 a1과 상이한 구성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형광 발광을 억제하고, 조건 1을 쉽게 만족시키는 관점에서, 36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이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광학 필름 A1은, 37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이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360 내지 380㎚의 파장, 그 중에서도 370 내지 380㎚의 파장은, PEN의 형광 발광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이들 파장 영역의 분광 투과율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36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 및 37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은, 측정 파장을 0.5㎚ 간격으로 했을 때의 각 파장의 투과율 평균값을 의미한다. 분광 투과율의 측정 조건은, 2도 시야로 하여, 광원은 D6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 내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A1을 배치하는 장소는,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내지 3과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 내에, 그 밖의 광학 필름(40)으로서 편광자(50)를 갖는 경우, 광학 필름 A1(20)은 편광자(50)보다도 시인자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광학 필름 A1과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 편광자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와 광학 필름 A1을 상기와 같은 배치 관계로서, 광학 필름 A1의 리타데이션값을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리타데이션값에 특유의 간섭 줄무늬를 쉽게 억제시킬 수 있다.
광학 필름 A1은, 예를 들어 편광자의 보호 필름, 표면판(30), 터치 패널(70)의 구성 부재 등의 용도로서, 유기 EL 표시 장치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 A1은, 상기 용도를 갖지 않아도, 간섭 줄무늬 억제용의 부재로서, 유기 EL 표시 장치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광학 필름>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광학 필름 A1과는 다른 그 밖의 광학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광학 필름으로서는, 편광자, 1/4λ판,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는, 광학 필름 A1과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해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시트형 편광자;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리오트로픽 액정이나 2색성 게스트-호스트 재료를 도포한 도포형 편광자; 다층 박막형 편광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편광자는, 투과하지 않는 편광 성분을 반사하는 기능을 구비한 반사형 편광자여도 된다.
편광자의 양면은, 플라스틱 필름 등의 투명 보호판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판으로서, 광학 필름 A1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는, 예를 들어 1/4λ판과의 조합에 의해 반사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4λ판 및 위상차 필름은,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4λ판은 편광자보다도 유기 EL 소자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은 편광자의 유기 EL 소자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판>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최표면에는, 표면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표면판은 수지제의 표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판이 유리제인 경우, 유리의 자외선 흡수 특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형광 발광은 생기기 어렵다. 이로 인해, 표면판이 수지제의 표면판인 경우에, 제1 실시 형태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수지제의 표면판은, 단층의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되고, 복수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수지제의 표면판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 A1을 사용해도 된다.
수지제의 표면판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내굴곡성의 관점에서,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아라미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제의 표면판의 두께는, 박막화와 유기 EL 소자의 보호 관점에서, 1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내지 8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EL 소자>
유기 EL 소자로서는, 주로, 색 변환 방식, 컬러 필터 방식, 삼색 독립 방식의 3개의 타입으로 분류된다.
색 변환 방식은, 금속 전극, 청색 발광층, 형광층(적색 형광층, 녹색 형광층), 컬러 필터(청색 컬러 필터), 투명 전극 및 투명 기판이라는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색 변환 방식에서는, 청색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을, 적색 형광층 및 녹색 형광층에서 적색, 녹색으로 변환하고, 청색은 컬러 필터를 통과시켜 고채도화하고 있다.
컬러 필터 방식은, 금속 전극, 백색 발광층, 컬러 필터(적, 녹, 청의 삼색의 컬러 필터), 투명 전극 및 투명 기판이라는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컬러 필터 방식에서는, 백색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을 컬러 필터로 적색, 녹색, 청색으로 변환하고 있다.
삼색 독립 방식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전극, 발광층(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청색 발광층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 투명 전극 및 투명 기판이라는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삼색 독립 방식에서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적, 녹, 청의 삼원색을 만들어 내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는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적색, 녹색, 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각각 예리하다. 적색, 녹색, 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각각 예리하면, CIE-xy 색도도에 있어서, 적색의 정점 좌표는 x의 값이 크고 y의 값이 작아지며, 녹색의 정점 좌표는 x의 값이 작고 y의 값이 커지며, 청색의 정점 좌표는 x의 값이 작고 y의 값이 작아진다. 즉, 적색, 녹색, 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각각 예리하면, CIE-xy 색도도에 있어서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의 정점 좌표를 연결한 삼각형의 면적이 커져서, 재현할 수 있는 색 영역의 폭이 넓어진다. 한편, 재현할 수 있는 색 영역의 폭이 넓음은, 외부 요인(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한 PEN 필름의 형광 발광)에 의해, 색 영역이 영향을 받기 쉽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광 취출 효율이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광 취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는,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광 취출 효율을 향상시키면 시킬수록 적색, 녹색, 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예리해진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가 특히 유효하게 발휘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색 영역을 나타내는 규격으로서는, 「ITU-R 권고 BT. 2020(이하, 「BT. 2020」이라고 칭함)」 등을 들 수 있다. ITU-R은,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Radiocommunication Sector(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의 약칭이며, ITU-R 권고 BT. 2020은, 슈퍼 하이비전의 색 영역의 국제 규격이다. 유기 EL 소자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 2020의 커버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T. 2020의 커버율을 나타내는 식>
[유기 EL 소자의 CIE-xy 색도도의 면적 중, BT. 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과 중복되는 면적/BT. 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100(%)
BT. 2020의 커버율을 산출할 때 필요한 「유기 EL 소자의 CIE-xy 색도도의 면적」은, 적색 표시, 녹색 표시, 및 청색 표시 시의 CIE-Yxy 표색계의 x값 및 y값을 각각 측정하고, 해당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진 「적색의 정점 좌표」, 「녹색의 정점 좌표」 및 「청색의 정점 좌표」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CIE-Yxy 표색계의 x값 및 y값은, 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의 분광 방사 휘도계 CS-2000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투명 기판은 유리판이어도 되지만, 수지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투명 기판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의 자외선 흡수 특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형광 발광은 생기기 어렵다. 이로 인해,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투명판이 수지판인 경우에, 제1 실시 형태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투명 기판을 수지판으로 함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에 플렉시블성을 부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는 경우, 유리의 자외선 흡수 특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형광 발광은 생기기 어렵다. 이로 인해,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지 않는 경우에, 제1 실시 형태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지 않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에 플렉시블성을 부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터치 패널>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터치 패널을 구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여도 된다.
터치 패널과 광학 필름 A1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10)와 광학 필름 A1(20)의 사이에 터치 패널(70)을 가져도 되고, 광학 필름 A1(20) 위에 터치 패널(70)을 가져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70)의 구성 부재로서 광학 필름 A1(20)을 사용해도 된다.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식 터치 패널,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전자기 유도식 터치 패널, 광학식 터치 패널 및 초음파식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표면형 및 투영형 등을 들 수 있으며, 투영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투영형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X축 전극과, 해당 X축 전극과 직교하는 Y축 전극을 절연체를 통해 배치한 기본 구성에, 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당 기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1매의 투명 기판 위의 각각의 면에 X축 전극 및 Y축 전극을 형성하는 양태, (2) 투명 기판 위에 X축 전극, 절연체층, Y축 전극을 이 순서로 형성하는 양태, (3) 투명 기판 위에 X축 전극을 형성하고, 다른 투명 기판 위에 Y축 전극을 형성하고, 접착제층 등을 통해 적층하는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기본 양태에, 또 다른 투명 기판을 적층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저항막식 터치 패널은, 도전막을 갖는 상하 한 쌍의 투명 기판의 도전막끼리가 대향하도록 스페이서를 통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해당 기본 구성에 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터치 패널의 구성 부재로서 광학 필름 A1(20)을 사용하는 구체예로서는,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투명 기판으로서 광학 필름 A1(20)을 사용하는 구성, 상기 저항막식 터치 패널의 투명 기판으로서 광학 필름 A1(20)을 사용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는,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적층체 A2를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적층체 A2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2를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는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가 하기 조건 2를 만족하는 것이다.
<조건 2>
상기 광학 적층체 A2의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보다도 상기 수지층 a2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 상기 광학 적층체 A2가 평행해지도록 배치한다. 상기 광학 적층체 A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블랙 라이트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분광 방사 휘도계를 배치한다. 상기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광학 적층체 A2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2를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또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2를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2의 누적값을 T2,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2의 누적값을 L2라 했을 때, T2/L2≤1.00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소자(10)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적층체 A2(60)를 갖고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 A2(60)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61)과,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2(62)를 갖고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 A2(60)는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소자(10)와 광학 적층체 A2(60)의 사이에 편광자(50)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표시 소자(10) 위에 터치 패널(70)을 갖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100A)이다. 또한, 도 6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편광자(10)의 유기 EL 소자측에 1/4λ판(64)을 갖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광학 적층체 A2(60) 내에서 각 부재가 접착제층 (80)을 통해 일체화해서 적층되어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모든 부재는 일체화되지 않고, 터치 패널(70)과 하드 코트층(63)의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공기층은, 공기층이 개재되는 것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70)과 하드 코트층(63) 사이의 거리를 과장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서는, 수지층 a2(62)가 접착제층(80)을 겸하고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유기 EL 소자(10)는,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건 2>
조건 2는, 자외선(블랙 라이트)의 조사를 조사했을 때, 광학 적층체 A2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형광 발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조건 2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옥외에서의 사용 시에 화면이 푸르스름하게 느껴지게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EN 필름, 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가시광의 단파장 영역의 광을 형광 발광한다(도 7 및 도 8).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A2도,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에는 마찬가지의 현상이 발생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적층체 A2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2를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형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건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 2에서는, T2/L2≤0.7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2/L2≤ 0.5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2/L2≤0.4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건 2에서 사용하는 블랙 라이트는, 상기 L2(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2의 누적값)가 0.0020W/s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5W/sr/㎡/㎚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 A2>
광학 적층체 A2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2를 갖고 이루어지고,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조건 2를 만족하는 것이다.
또한, 광학 적층체 A2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 부재가 접착제층(80)을 통하는 등으로 일체화하도록 적층된 것, 및 도 6과 같이, 각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제층 등을 통하지 않고 중첩한 것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계면 반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광학 적층체 A2의 각 부재는 공기층을 갖지 않고, 접착제층을 통하는 등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광학 적층체 A2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수지층 a2>
수지층 a2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층이며, 유기 EL 표시 장치 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광학 적층체 A2 중에서의 수지층 a2의 위치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지층 a2(62)의 위치로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61)과 표면판(30)의 사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61)과 터치 패널(70)의 사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70) 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과 같이, 수지층 a2(62)는 접착제층(80)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 a2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수지층 a1과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수지층 a2를 해당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건 2를 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
광학 적층체 A2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수지층 A2 이외의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부재로서는, 표면판, 터치 패널, 1/4λ판, 접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 A2를 구성하는 표면판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표면판과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적층체 A2를 구성하는 표면판은, 수지제의 표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판은, 광학 적층체 A2의 구성 부재로서 광학 적층체 A2에 끼워 넣어져 있어도 되고, 광학 적층체 A2와는 다른 구성 부재로 해도 된다.
광학 적층체 A2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터치 패널과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광학 적층체 A2의 구성 부재로서 광학 적층체 A2에 끼워 넣어져 있어도 되고, 광학 적층체 A2와는 다른 구성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광학 적층체 A2의 구성 부재에는 유리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 A2의 구성 부재에 유리판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의 자외선 흡수 특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형광 발광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광학 적층체 A2의 구성 부재에 유리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제2 실시 형태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광학 적층체 A2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형광 발광을 억제하고, 조건 2를 쉽게 만족시키는 관점에서, 36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이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광학 적층체 A2는, 37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이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그 밖의 광학 필름>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그 밖의 광학 필름으로서, 편광자, 위상차 필름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편광자, 위상차 필름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편광자, 위상차 필름과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
편광자는, 광학 필름 적층체 A2와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편광자와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접착제층을 통해 광학 필름 적층체 A2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 EL 소자>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유기 EL 소자와 마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투명 기판은 유리판이어도 되지만, 수지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작
<PEN 필름의 제작>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290℃에서 용융하고, 필름 형성 다이를 통과시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랭 드럼 위에 밀착시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이키사)에 의해,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4.0배 고정단 1축 연신하여, 면 내에 복굴절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광학 필름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 nx=1.875, ny=1.635이며, Δn=0.240이었다.
이 광학 필름의 막 두께를 조정하고, 리타데이션값 12,000㎚의 PEN 필름을 얻었다.
<PET 필름의 제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하여,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랭 드럼 위에 밀착시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이키사)에 의해,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4.0배 고정단 1축 연신하고, 면 내에 복굴절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광학 필름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 nx=1.701, ny=1.6015이며, Δn=0.0995이었다.
이 광학 필름의 막 두께를 조정하고, 리타데이션값 10,000㎚의 PET 필름을 얻었다.
2.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합성
4구 플라스크에 딤로스 냉각기, 수은 온도계, 질소 가스 흡입관, 교반 장치를 부착하고,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로서의 2-[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20부, 그 밖의 단량체로서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20부, 용매로서의 톨루엔을 20부, 메틸에틸케톤을 20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의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를 0.6부 넣어서,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 유량 10㎖/min으로 1시간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 후에, 반응액 온도 90 내지 96℃에서 10시간 환류 상태에서 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중합 반응 종료 후, 용제(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를 추가하고,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용액(고형분 40질량%)을 얻었다.
3. 광학 필름 A1-1 내지 A1-4의 제작 또는 준비
상기 「1」에서 제작한 PEN 필름의 한쪽 면에, 하기 처방의 수지층 a1용 도포액 1을 도포, 건조, 자외선 조사하여, 두께 10㎛의 수지층 a1을 형성하고, 광학 필름 A1-1(실시예 1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수지층 a1용 도포액 1>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10질량부
·상기 「2」에서 합성한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흡수 피크 파장 370㎚)를 포함하는 용액(고형분 40질량%)/9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4질량부
·불소계 레벨링제/0.2질량부
·희석 용제(메틸에틸케톤)/100질량부
수지층 a1용 도포액 1을 하기 수지층용 도포액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광학 필름 A1-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A1-2(비교예 1의 광학 필름)를 얻었다.
<수지층용 도포액 2>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50질량부
·상기 「2」에서 합성한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흡수 피크 파장 370㎚)를 포함하는 용액(고형분 40질량%)/5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4부
·불소계 레벨링제/0.2질량부
·희석 용제(메틸에틸케톤)/100질량부
광학 필름 A1-3(비교예 2의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1」에서 제작한 PEN 필름을 준비하였다.
광학 필름 A1-4(비교예 3의 광학 필름)로서, 상기 「1」에서 제작한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4.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의 측정
(블랙 라이트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1)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에이신 가가쿠사 제조, 상품명: UV-LED LIGHT PB-365, 조사 거리 40㎝에서의 자외선 조도가 6000㎼/㎠ 이상)를 준비하였다. 분광 방사 휘도계(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상품명: CS-2000)에 의해,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에서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하였다(측정각은 0.2도).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1의 누적값 L1을 산출하였다.
(광학 필름 A1-1 내지 A1-4의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1)
광학 필름 A1-1 내지 A1-4와,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이 평행해지도록 배치하였다. 이때, 광학 필름 A1-1 및 광학 필름 A1-2에 대해서는, 광학 필름의 수지층측의 면이,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광학 필름 A1-1 내지 A1-4와,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의 거리는 1㎝(블랙 라이트의 외측 테두리 높이)로 하였다.
다음으로,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광학 필름 A1-1 내지 A1-4의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하였다(측정 각은 0.2도).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1의 누적값 T1을 산출하였다.
5. 분광 투과율의 측정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 상품명: UV-2450)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 A1-1 내지 A1-4의 36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을 0.5㎚ 간격으로 측정하고, 36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 및 37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분광 투과율의 측정 조건은, 2도 시야로 하여, 광원은 D65를 사용하였다.
6. 평가
시판 중인 유기 EL 표시 장치(유기 EL 소자는,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삼색 독립 방식. BT. 2020의 커버율은 77%)를 준비하였다. 해당 유기 EL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통해 광학 필름 A1-1 내지 A1-4를 접합하였다. 광학 필름 A1-1 및 A1-2는, 수지층측이 표면측(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였다.
광학 필름 A1-1 내지 A1-4를 접합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맑은 하늘의 옥외로 갖고 나와, 화상의 상태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푸르스름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을 「A」, 푸르스름함이 약간 느껴지는 것을 「C」, 푸르스름함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D」라 하였다.
Figure 112018086684892-pct00003
표 1의 결과로부터, T1/L1이 1.00 이하이고, 조건 1을 만족하는 실시예 1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옥외 사용 시의 색감(푸르스름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중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실시예 1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화상을 관찰했을 때, 리타데이션값에 특유의 간섭 줄무늬가 확인되지 않는 것이었다.
10: 유기 EL 소자
20: 광학 필름 A1
21: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2: 수지층 a1
30: 표면판
40: 그 밖의 광학 필름
50: 편광자
60: 광학 적층체 A2
61: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2: 수지층 a2
63: 하드 코트층
70: 터치 패널
80: 접착제층
100: 유기 EL 표시 장치
100A: 터치 패널을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

Claims (11)

  1.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필름 A1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유기 EL 소자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 2020의 커버율이 60% 이상이고,
    상기 광학 필름 A1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1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필름 A1이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BT. 2020의 커버율을 나타내는 식>
    [유기 EL 소자의 CIE-xy 색도도의 면적 중, BT. 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과 중복되는 면적/BT. 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Х100(%)
    <조건 1>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수지층 a1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 상기 광학 필름 A1이 평행해지도록 배치한다. 상기 광학 필름 A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랙 라이트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분광 방사 휘도계를 배치한다. 상기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광학 필름 A1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또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에서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1을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1의 누적값을 T1,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1의 누적값을 L1이라 했을 때, T1/L1≤1.00의 관계를 만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 A1의 360 내지 380㎚의 분광 투과율의 평균이 0.15% 이하인, 유기 EL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인, 유기 EL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지 않는, 유기 EL 표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 A1과, 상기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 편광자를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소자가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인, 유기 EL 표시 장치.
  7.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 위에 광학 적층체 A2를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며,
    상기 유기 EL 소자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 2020의 커버율이 60% 이상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상기 유기 EL 소자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a2를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는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광학 적층체 A2가 하기 조건 2를 만족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BT. 2020의 커버율을 나타내는 식>
    [유기 EL 소자의 CIE-xy 색도도의 면적 중, BT. 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과 중복되는 면적/BT. 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Х100(%)
    <조건 2>
    상기 광학 적층체 A2의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보다도 상기 수지층 a2측의 최표면 위에, 중심 파장 365㎚의 블랙 라이트를 블랙 라이트의 광 출사면과 상기 광학 적층체 A2가 평행해지도록 배치한다. 상기 광학 적층체 A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블랙 라이트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분광 방사 휘도계를 배치한다. 상기 블랙 라이트를 발광시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광학 적층체 A2의 상기 블랙 라이트가 조사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x2를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또한,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에 의해, 상기 블랙 라이트 자체의 법선 방향의 광의 분광 방사 휘도 y2를 파장 400 내지 470㎚의 영역에서 1㎚마다 측정한다.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x2의 누적값을 T2, 파장 400 내지 470㎚의 각 파장의 분광 방사 휘도 y2의 누적값을 L2라 했을 때, T2/L2≤1.00의 관계를 만족한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인, 유기 EL 표시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보다 광 출사면측에 유리판을 갖지 않는, 유기 EL 표시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 A2와, 상기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 편광자를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소자가 삼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인,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187025244A 2016-03-09 2017-03-08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259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6063A JP6702530B2 (ja) 2016-03-09 2016-03-09 有機el表示装置
JPJP-P-2016-046063 2016-03-09
PCT/JP2017/009218 WO2017154977A1 (ja) 2016-03-09 2017-03-08 有機el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41A KR20180122341A (ko) 2018-11-12
KR102259915B1 true KR102259915B1 (ko) 2021-06-03

Family

ID=5978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244A KR102259915B1 (ko) 2016-03-09 2017-03-08 유기 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2530B2 (ko)
KR (1) KR102259915B1 (ko)
TW (1) TWI746524B (ko)
WO (1) WO2017154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95B1 (ko) 2018-06-29 2020-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차단 필름
JP7225583B2 (ja) * 2018-07-09 2023-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20210405272A1 (en) 2018-11-13 2021-12-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surface plate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30147667A (ko) * 2021-03-31 2023-10-2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보호 필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8561A (ja) 2010-12-28 2012-08-09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防湿フィルム
JP2012206512A (ja) 2011-03-15 2012-10-25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防湿フィルム
JP2012234809A (ja) * 2011-04-22 2012-11-29 Toray Ind Inc 面発光体
WO2015098647A1 (ja) 2013-12-26 2015-07-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封止材、封止シート、電子デバイス封止体および有機el素子
JP2015163998A (ja) * 2011-08-31 2015-09-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3028A (ja) 2005-09-30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TW201236873A (en) * 2010-12-28 2012-09-16 Mitsubishi Plastics Inc Laminated moisture-proof film
KR20160011206A (ko) * 2013-05-22 2016-01-29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CN106575078B (zh) * 2014-07-18 2020-02-21 富士胶片株式会社 感光性组合物、硬化膜及其制法、触摸屏及其显示装置、液晶显示装置及有机el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8561A (ja) 2010-12-28 2012-08-09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防湿フィルム
JP2012206512A (ja) 2011-03-15 2012-10-25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防湿フィルム
JP2012234809A (ja) * 2011-04-22 2012-11-29 Toray Ind Inc 面発光体
JP2015163998A (ja) * 2011-08-31 2015-09-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画像表示装置
WO2015098647A1 (ja) 2013-12-26 2015-07-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封止材、封止シート、電子デバイス封止体および有機el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41A (ko) 2018-11-12
JP6702530B2 (ja) 2020-06-03
JP2017162669A (ja) 2017-09-14
TW201808644A (zh) 2018-03-16
WO2017154977A1 (ja) 2017-09-14
TWI746524B (zh) 202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915B1 (ko) 유기 el 표시 장치
TWI730138B (zh) 光學積層體及顯示裝置
JP5158112B2 (ja) 透明導電材料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0624307B1 (ko) 표시장치용 저반사율의 휘도 향상 다층 광학필름 및 이를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2010020211A (ja) 光拡散性反射型偏光板、積層偏光板、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5210137A (zh) 带静电容量式触摸面板的显示装置
KR101726407B1 (ko)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0346975B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颜色再现性的改善方法
CN109752784A (zh) 光学膜、偏光板以及液晶显示设备
KR20130021391A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20086429A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0909427B1 (ko) 광제어 필름
KR20150062863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481181B1 (ko) 집광형 광학 시트
KR102162846B1 (ko) 광학 복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802385B2 (ja) タッチパネル
JP2017128004A (ja) 加飾部材、表示装置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80068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1629941B1 (ko) 터치 패널
KR201500994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2314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77088B (zh) 光学复合片和包含其的显示装置
WO2020100468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0902156B1 (ko) 광제어 필름
TW202105016A (zh) 光學積層體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