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002B1 -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002B1
KR102259002B1 KR1020167030570A KR20167030570A KR102259002B1 KR 102259002 B1 KR102259002 B1 KR 102259002B1 KR 1020167030570 A KR1020167030570 A KR 1020167030570A KR 20167030570 A KR20167030570 A KR 20167030570A KR 102259002 B1 KR102259002 B1 KR 10225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e
acid
oil
extrac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773A (ko
Inventor
마유 오타
히로시 츠지타
겐지 모리
게이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사까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4Luminescent, Fluorescent; Optical brighteners; Photosensit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안전하며 높은 발색성을 나타내는 형광체에 대해 검토를 행하여, 인체에의 악영향이 우려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되는 무기계의 적색형광체를 얻는다.
[해결수단] 일반식 CaAl12O19:Mn4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Description

화장료{COSMETIC}
본 발명은, 알루미네이트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에 형광체를 처방하는 것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이와 같은 화장료에 있어서는, 형광체에 의해 생기는 발색에 의해 피부의 색조를 조정하거나, 형광에 의한 특이적인 색조에 의해 종래에 없는 화장특성이 기대되는 것이다. 특히, 적색의 형광을 갖는 화합물은, 피부에 발그스름함을 부여함에 의해, 안색을 밝게 보여주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어온 3-히드록시피렌-5,8,10-트리설폰산과 같은 유기형광체나, NaCl:Mn과 같은 무기형광체는,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실질상 사용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비교적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광물계의 부석(붕규산알루미늄칼슘), 방해석(탄산칼슘), 엽장석(규산알루미늄리튬)과 같은 형광체(예를 들면 특허문헌2)도 제안되어 있지만 발색이 충분하지 않아 화장료로서 사용에 감당하지 못했다.
일반식 CaAl12O19:Mn4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특허문헌1에 있어서도 개시된 공지의 것이다. 그러나, 당해 화합물은, LED용의 형광체 등으로서 검토되어 있는 것이며,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 특개평5-117127호 일본 특표2003-500429호
A. Bergstein et al, "Manganese- Activated Luminescence in Sr Al12 O19 and Ca Al12O19" J. Electrochem. Soc., 118, p1166(1971)
발명자는 안전하며 높은 발색성을 나타내는 형광체에 대해 검토를 행하고, 인체에의 악영향이 우려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되는 무기계의 적색형광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검토를 행했다.
본 발명은, 일반식 CaxAlyO(2x+3y+4z)/ 2:Mn4 + z
(여기에서 0.1<x<1.05이며, 11.9<y≤12이며, 0.0005<z<0.1이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이다.
상기 무기입자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 0.1~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입자는, 육각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입자는, 평균입자경이 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입자는, 여기파장이 450㎚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휘도Y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우수한 발색성을 갖고, 안전성도 높은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 실시예1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1000배).
[도2] 실시예1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2000배).
[도3] 실시예2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1000배).
[도4] 실시예2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2000배).
[도5] 실시예3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1000배).
[도6] 실시예3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2000배).
[도7] 실시예4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1000배).
[도8] 실시예4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2000배).
[도9] 실시예5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1000배).
[도10] 실시예5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2000배).
[도11] 실시예6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500배).
[도12] 실시예6에 의해 얻어진 입자의 SEM사진을 나타내는 도면(배율 : 2000배).
[도13] 실시예1에서 얻어진 입자의 XRD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CaxAlyO(2x+3y+4z)/ 2:Mn4 + z(여기에서 0.1<x<1.05이며, 11.9<y≤12이며, 0.0005<z<0.1이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또, 이하 이것을 단지 「본 발명의 무기입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를 배합하는 화장료이다. 즉, 일반식 CaxAlyO(2x+3y)/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Mn4+를 도핑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를 배합하는 화장료이다. CaAl12O19:Mn4 + 적색형광체는, 1971년에 개발되었다(비특허문헌1). 비특허문헌1에 있어서, Mn4 +은 CaAl12O19의 팔면체 사이트를 치환함으로써 657㎚ 부근의 적색발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최근, 백색LED용 적색형광체로서의 CaAl12O19:Mn4 +의 연구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색형광체 화합물을 화장료에 배합하기 위한 검토는 일절 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가 화장품용의 소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알아냄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소재이며, 또한 안정성도 높고, 사용시의 적색의 발색성능도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없는 양호한 화장외관을 갖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식 중의 x, y, z가 각각 상술한 범위의 것이다. 다음과 같은 범위 내의 것으로 함으로써 호적한 형광특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x는, 0.9를 초과하는 것임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z는, 0.001을 초과하는 것임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여기파장이 450㎚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XYZ 표현계의 휘도Y(이후 휘도Y라 한다)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도Y가 0.1 미만이면 화장료로서 사용했을 때에 발그스름함을 인식할 수 있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휘도Y는, 조성의 조정이나 후술하는 첨가물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며, 이들의 요소를 조정함에 의해, 휘도Y를 0.1 이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휘도Y는, 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휘도Y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Li, Na, K 등의 알칼리금속, Be, Mg, Sr, Ba, Ra과 같은 알칼리토류금속, Ti, Zr, V, Cr, Mo, W, Fe, Co, Ni, Pd, Pt, Cu, Ag, Zn, Al, Ga, Si, Ge, Sn 등의 기타 금속을, 인체에의 안전성이나, 성능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인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기타 금속은, 「본 발명의 무기입자」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그 형상이나 입자경 등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육각판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육각판상의 것은, 활성, 부착성, 소프트포커스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이므로, 화장품용 원료로서 특히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육각판상인 「본 발명의 무기입자」의 입자경은, 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5㎛를 하회하면 발광강도가 저하하고, 또한, 100㎛를 초과하면 화장료로서 사용한 경우에 거친감이 나와버릴 우려가 있다. 당해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장치로 측정한 D50이다.
상기 육각판상인 「본 발명의 무기입자」의 장경에 대한 두께의 비는 0.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0.1~0.5이다. 0.1을 하회하면 활성, 부착성, 소프트포커스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또한, 1을 초과하면 발색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 여기에서의 장경과 두께는 각각, 주사형 전자현미경(니혼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 JSM840F)으로 1000배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중의 임의의 250개의 입자에 대해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BET 비표면적(단지 비표면적이라고도 한다)이, 0.03~0.8㎡/g인 것이 바람직하다. 0.03㎡/g 미만이면, 은폐성이 낮기 때문에 조색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며, 0.8㎡/g을 초과하면, 응집입자가 발생하여, 분산성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상기 상한은 0.5㎡/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그 제조방법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원료인 칼슘원 화합물, 망간원 화합물 및 알루미늄원 화합물을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의 몰비에 따른 비율로 혼합하여 전구체를 작성한 후, 소성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칼슘원 화합물로서는,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염화칼슘, 질산칼슘, 황산칼슘, 불화칼슘, 브롬화칼슘, 요오드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알루미늄원 화합물로서는, 산화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망간원 화합물로서는, 탄산망간, 아세트산망간, 산화망간, 황산망간, 질산망간, 불화망간, 브롬화망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소성시에는 필요에 따라, 플럭스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플럭스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입자가 성장하고, 혹은 특정면의 성장을 억제하여 육각판상의 입자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결정성이 높아져, 발광강도의 향상으로도 이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플럭스 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불화칼슘,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불화암모늄,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암모늄, 브롬화마그네슘, 브롬화칼슘, 브롬화암모늄, 요오드화마그네슘,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암모늄, 붕산, 산화붕소, 메타붕산나트륨, 사붕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플럭스 성분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무기입자」에 대하여 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수치를 초과하면, 발광강도의 저하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이들의 원료화합물의 혼합방법은, 종래부터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원료화합물을 수성 디스퍼전으로 하고, 교반 혹은 습식 미디어밀을 사용하여 분쇄하면서 혼합한 후에 전량을 증발 건조하는 방법이나, 헨쉘 믹서, 텀블러 등의 일반적인 혼합장치나, 햄머밀이나 고압 에어젯밀,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하여 건식으로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소성하는 방법은, 종래부터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세라믹스제 도가니를 사용하여 소성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로타리킬른을 사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소성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소성은, 대기 중에서의 소성 등의 산화성의 소성조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온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00~180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1300~1600℃에서 행한다. 1000℃를 하회하면 발광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고, 1800℃를 상회하면, 소결이 강해져 분산성이 저하해버릴 우려가 있다.
소성후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체에 의한 분급, 수세 등의 세정, 분쇄 등을 행한 것이어도 된다. 특히 소성후의 입자를, 산 또는 알칼리로 세정한 후, 소성하는 공정을 1회 혹은 2회 이상 반복하여 얻은 입자는, 발광강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입자」는, 그대로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종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배합해도 된다.
표면 처리의 종류에 대해서는,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로 처리해도 되고,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규소,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지르코늄, 주석 등의 산화물 혹은 수산화물, 탄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화합물의 피복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발수성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메톡시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디하이드로젠 등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올레산 및 그들의 금속염(알루미늄염, 아연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프로판올아민, 디프로판올아민, 트리프로판올아민,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노실란, 에폭시실란, 메타크릴실란, 비닐실란, 메르캅토실란, 클로로알킬실란, 알킬실란, 플루오로알킬실란, 헥사메틸실라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라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표면 처리는, 1종이어도 되고, 수종류를 조합하여 적층 또는 혼합 처리해도 된다. 또한, 무기화합물로 처리한 후에 유기화합물의 피복층을 마련해도 되지만, 본래 갖는 활택성(滑澤性)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무기화합물, 유기화합물의 피복량은, 무기입자에 대해, 0.1~3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20중량%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0.1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표면 처리에 의한 기능성 향상효과를 발현할 수 있고, 3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본래의 활택성을 훼손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고,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유리하다.
표면 처리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입자의 수성 디스퍼전 중에서, 무기화합물 혹은 유기화합물을 첨가한 후, pH를 조정함으로써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이 아닌 유기화합물을 피복하기 위해서는, 유기화합물을 건식으로 첨가하며, 분쇄나 혼합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함으로써, 표면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기입자」를 0.1~10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충분하게 얻을 수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함유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분체가 과잉하게 되어, 화장료로서 배합의 자유도가 작아져, 취급하기 힘들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로서는, 파운데이션, 화장 베이스, 아이섀도우, 볼터치, 마스카라, 립스틱, 썬스크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유성 화장료, 수성 화장료, O/W형 화장료, W/O형 화장료의 임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운데이션, 화장 베이스, 아이섀도우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나 썬스크린제에 있어서 특히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본 발명의 무기입자」 이외에, 화장품분야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수성성분, 유성성분을 병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수성성분 및 유성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고급알코올, 금속이온 봉쇄제, 천연 및 합성고분자, 수용성 및 유용성 고분자, 자외선 차폐제, 각종 추출액, 무기 및 유기안료, 무기 및 유기점토광물등의 각종 분체, 금속비누 처리 또는 실리콘으로 처리된 무기 및 유기안료, 유기염료 등의 색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색소, 증점제, pH조정제, 향료, 냉감제, 제한제(制汗劑), 살균제, 피부부활제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열거한 배합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목적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배합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거북이유, 마카데미아넛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퍼식유, 소맥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새플라워유, 면실유, 자소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카야유, 쌀겨유, 지나동유(支那桐油), 일본동유(日本桐油), 호호바 오일,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카카오기름,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피마자유, 밀랍, 칸델릴라랍, 면랍, 카나우바랍, 베이베리랍, 백랍(白蠟), 경랍(鯨蠟), 몬탄랍, 강랍(糠蠟), 라놀린, 카복랍, 아세트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랍,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라놀린, 호호바랍, 경질라놀린, 쉘락랍, POE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코올에테르,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의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POE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모노올레에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POE지방산에스테르류,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의 POE알킬에테르류, POE옥틸페닐에테르, POE노닐페닐에테르, POE디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알킬페닐에테르류, 플루로닉 등의 플루로닉형류,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POE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경화피마자유말레산 등의 POE피마자유경화피마자유 유도체, POE소르비트밀랍 등의 POE밀랍·라놀린유도체,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POE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비누, 고급알킬황산에스테르염,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알킬사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안정성 및 피부자극성에 문제가 없는 범위에서 배합해도 된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뮤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텔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젖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시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부가물, 이자요이바라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멜릴로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직쇄 알코올,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지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에데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쓰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씨드(마르멜로), 앨기(algae) 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등의 식물계 고분자,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젤라틴등의 동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규산AlMg(비검(veegum)),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로 약기한다), PABA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차폐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차폐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차폐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차폐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우로칸산, 우로칸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약제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타민A유, 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이노시트, 염산피리독신,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2-O-α-D-글루코피라노실-L-아스코르브산, 비타민D2(에르고칼시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등의 호르몬;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세린, 류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 알란토인, 아줄렌 등의 항염증제, 알부틴 등의 미백제; 탄닌산 등의 수렴제; L-멘톨, 캠퍼 등의 청량제나 황, 염화리소자임, 염화피리독신 등을 들 수 있다.
각종의 추출액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삼백초 엑기스, 황백 엑기스, 멜릴로트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훤초 엑기스, 작약 엑기스, 비누풀 엑기스, 수세미외 엑기스, 키나 엑기스, 바위취 엑기스, 고삼 엑기스, 개연꽃 엑기스, 회향 엑기스, 앵초 엑기스, 장미 엑기스, 지황 엑기스, 레몬 엑기스, 자근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창포뿌리 엑기스, 유칼립투스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타임 엑기스, 차 엑기스, 해조 엑기스, 오이 엑기스, 정향나무 엑기스, 나무딸기 엑기스, 멜리사 엑기스, 당근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복숭아 엑기스, 도엽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하마멜리스 엑기스, 태반 엑기스, 흉선 추출물, 실크 추출액, 감초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종 분체로서는,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운모티타늄, 산화철 피복 운모티타늄, 산화티타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등의 광휘성 착색안료, 마이카,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이산화티타늄, 실리카 등의 무기분말이나 폴리에틸렌 분말, 나일론 분말, 가교 폴리스티렌, 셀룰로오스 파우더, 실리콘 분말 등의 유기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능특성 향상, 화장지속성 향상을 위해, 분말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리콘류, 불소화합물, 금속비누, 유제, 아실글루탐산염 등의 물질로, 공지의 방법으로 소수화 처리하여 사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aAl12O19:Mn4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의 제조방법)
실시예1
탄산칼슘(사카이가가쿠고교제 CWS-20 4.97g), 탄산망간(츄오덴키제 0.06g), 산화알루미늄(이와타니가가쿠제 RG-40 32.0g) 및 플럭스 성분으로서 불화칼슘(와코잇큐시야쿠 0.18g)과 불화마그네슘(와코톳큐시야쿠 0.15g)을 칭량하고, 수중에 넣고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250rpm으로 30분간에 걸쳐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슬러리를 130℃에서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소성 전구체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그 소성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5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200℃/시로 16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화합물P1을 얻었다. P1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1,2에, XRD의 측정결과를 도13에 나타냈다. 또, P1을 CaxAlyO(2x+3y+4z)/2:Mn4+ z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X=0.99, Y=11.96, Z=0.01이다.
또한, 비표면적를 마운테크제 MacsorbHM-1220를 사용하여, 탈기온도 230℃, 탈기시간 35분으로 측정한 결과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장치(닛키소가부시키가이샤제 MT3300)로 입도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표8에 나타냈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1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하기와 같으며, P1 이외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마이카 : Y-2300X((주)야마구치마이카)
세리사이트 : FSE(산신텟코(주))
판상 황산바륨 : 판상 황산바륨-H(사카이가가쿠고교(주))
구상 실리콘 : KSP-105(신에츠가가쿠고교(주))
산화티타늄 : R-3LD(사카이가가쿠고교(주))
산화철(황) : 황산화철((주)피노아)
산화철(적) : 벵갈라((주)피노아)
금속비누 : JPM-100(사카이가가쿠고교(주))
오일 : KF96(신에츠가가쿠고교(주))
[표1]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1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1을 얻었다.
실시예2
탄산칼슘(사카이가가쿠고교제 CWS-20 4.97g), 탄산망간(츄오덴키제 0.06g), 산화알루미늄(이와타니가가쿠제 RG-40 32.0g) 및 플럭스 성분으로서 불화칼슘(와코잇큐시야쿠 0.18g)과 불화마그네슘(와코톳큐시야쿠 0.15g)을 칭량하고, 수중에 넣고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250rpm으로 30분간에 걸쳐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슬러리를 130℃에서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소성 전구체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그 소성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5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200℃/시로 16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수중에서 분쇄하고, 분쇄슬러리를 묽은 염산으로 세정했다. 세정후, 다량의 물로 세정하고, 여과·건조를 행했다. 130℃에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해쇄하고,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0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 200℃/시로 16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화합물P2를 얻었다. P2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3,4에 나타냈다. 또, P2를 CaxAlyO(2x+3y+4z)/ 2:Mn4 + z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X=0.99, Y=11.96, Z=0.01이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비표면적과 입도를 측정하여 표8에 나타냈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2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P2 이외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표2]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2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2를 얻었다.
실시예3
탄산칼슘(사카이가가쿠고교제 CWS-20 4.87g), 탄산망간(츄오덴키제 0.19g), 산화알루미늄(이와타니가가쿠제 RG-40 32.0g) 및 플럭스 성분으로서 불화칼슘(와코잇큐시야쿠 0.18g)과 불화마그네슘(와코톳큐시야쿠 0.15g)을 칭량하고, 수중에 넣고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250rpm으로 30분간에 걸쳐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슬러리를 130℃에서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소성 전구체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그 소성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5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200℃/시로 16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화합물P3를 얻었다. P3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5,6에 나타냈다. 또, P3를 CaxAlyO(2x+3y+4z)/ 2:Mn4 + z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X=0.97, Y=11.96, Z=0.03이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비표면적과 입도를 측정하여 표8에 나타냈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3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P3 이외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표3]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3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3를 얻었다.
실시예4
탄산칼슘(사카이가가쿠고교제 CWS-20 4.74g), 탄산망간(츄오덴키제 0.06g), 산화알루미늄(이와타니가가쿠제 RG-40 32.1g) 및 플럭스 성분으로서 불화칼슘(와코잇큐시야쿠 0.37g)을 칭량하고, 수중에 넣고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250rpm으로 30분간에 걸쳐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슬러리를 130℃에서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소성 전구체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그 소성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5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200℃/시로 16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화합물P4를 얻었다. P4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7,8에 나타냈다. 또, P4을 CaxAlyO(2x+3y+4z)/2:Mn4+ z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X=0.99, Y=12.00, Z=0.01이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비표면적과 입도를 측정하여 표8에 나타냈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4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P4 이외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표4]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4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4를 얻었다.
실시예5
탄산칼슘(사카이가가쿠고교제 CWS-20 5.21g), 탄산망간(츄오덴키제 0.06g), 산화알루미늄(이와타니가가쿠제 RG-40 31.9g) 및 플럭스 성분으로서 불화마그네슘(와코톳큐시야쿠 0.29g)을 칭량하고, 수중에 넣고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250rpm으로 30분간에 걸쳐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슬러리를 130℃에서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소성 전구체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그 소성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5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200℃/시로 16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화합물P5를 얻었다. P5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9,10에 나타냈다. 또, P5를 CaxAlyO(2x+3y+4z)/2:Mn4+ z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X=0.99, Y=11.91, Z=0.01이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비표면적과 입도를 측정하여 표8에 나타냈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5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P5 이외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표5]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5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5를 얻었다.
실시예6
탄산칼슘(사카이가가쿠고교제 CWS-20 5.21g), 탄산망간(츄오덴키제 0.06g), 산화알루미늄(이와타니가가쿠제 RG-40 31.9g) 및 플럭스 성분으로서 붕산(와코톳큐시야쿠 0.29g)을 칭량하고, 수중에 넣고 유성볼 밀을 사용하여 250rpm으로 30분간에 걸쳐 충분히 혼합했다. 혼합슬러리를 130℃에서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소성 전구체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그 소성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15g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200℃/시로 13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3시간 유지 후, 200℃/시로 실온까지 강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성물을, 유발로 해쇄하여 화합물P6를 얻었다. P6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11,12에 나타냈다. 또, P6를 CaxAlyO(2x+3y+4z)/2:Mn4+ z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면, X=0.99, Y=11.91, Z=0.01이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비표면적과 입도를 측정하여 표8에 나타냈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6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P6 이외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표6]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6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6를 얻었다.
비교예1(형광체 무첨가 파운데이션의 제작)
이하의 표7에 있는 바와 같은 배합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조제했다. 또, 하기 파운데이션에 사용한 재료는, 모두 화장품 그레이드의 것이다.
[표7]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7
이와 같은 배합으로 각 소재를 측정 채취하고, 커피밀을 사용하여 1분30초간 교반 혼합했다. 얻어진 분체상의 혼합물을, 직경20mmφ의 금형으로 0.8g 측정 채취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00kgf/c㎡의 압력으로 30초간 유지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F7를 얻었다.
평가예1(형광체로서의 평가)
실시예에서 얻은 형광체 샘플P1~P6를 평가했다.
[휘도Y의 측정]
발광스펙트럼은, 니혼분코샤제 FP-6500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하고, 여기파장은 450㎚로 했다. 형광적분구로는 ISF-513형을 사용하고, 광전자 배증관(PMT)의 전압의 설정값을 400으로 했다.
·상대휘도
상대휘도는 P1~P6의 휘도 Y값에 대하여, P1의 Y값을 100으로서 산출했다. 결과를 표8에 나타낸다.
[형광체 입자의 형상]
형광체 입자의 형상을 관측하기 위해, P1~P6에 있어서, SEM(니혼덴시제 840F)를 사용하여 500배, 2000배로 SEM사진을 촬영했다. 결과를 도1~12에 나타낸다. 도1~12으로부터,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무기입자가 육각판상인 것이 명백하다.
[형광체의 동정]
실시예1에서 얻어진 P1의 생성물의 동정을 하기 위해서, XRD(Rigaku사제 RINT-TTRIII, X선=CuKα, λ=1.5406Å, 50kV, 300mA)의 측정을 행했다. 측정결과는, PDF가드 #01-084-1613(RDB)과 일치하고, 도13의 결과로부터 P1의 조성이 CaAl12O19:Mn4+와 거의 동일한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를 도13에 나타낸다.
평가예2(화장료로서의 평가)
실시예1~6 및 비교예1에서 얻은 파운데이션F1~F7를, 10명의 패널러에 대하여 번호를 알지 못하도록 하여 도포하게 하여, 365㎚ 블랙라이트 조사하에 있어서의 색미(色味)에 대해 시험를 행했다. 발그스름함의 느낌을 5단계로 평가한 결과를 표9에 나타낸다.
[표8]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8
[표9]
Figure 112016106543055-pct00009
5 : 8명 이상 또는 전원이 발그스름함을 느낌
4 : 5~7명이 발그스름함을 느낌
3 : 2~4명이 발그스름함을 느낌
2 : 1명이 발그스름함을 느낌
1 : 발그스름함을 느낀 사람 없음
이들의 결과로부터 , 본 발명의 분말이, 광학적인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것임이 명백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의 색미를 커버하고, 피부에 투명감을 부여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등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365㎚라는 자연광(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받음으로써 발그스름함이 강해지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자연광의 하, 특히 옥외에서 효력을 발휘한다. 또한, 가시영역에 있어서도 발광하기 때문에, 옥내에서도 효력을 발휘한다.

Claims (5)

  1. 일반식 CaxAlyO(2x+3y+4z)/2:Mn4+ z
    (여기에서 0.1<x<1.05이며, 11.9<y≤12이며, 0.0005<z<0.1이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육각판상 무기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육각판상 무기입자의 장경에 대한 두께의 비는 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입자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 0.1~100중량%인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입자는, 육각판상인 화장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입자는, 평균입자경이 5㎛~100㎛인 화장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입자는, 여기파장이 450㎚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휘도Y가 0.1 이상인 화장료.
KR1020167030570A 2014-04-28 2015-04-27 화장료 KR102259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2373 2014-04-28
JPJP-P-2014-092373 2014-04-28
PCT/JP2015/062645 WO2015166895A1 (ja) 2014-04-28 2015-04-27 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773A KR20160146773A (ko) 2016-12-21
KR102259002B1 true KR102259002B1 (ko) 2021-06-02

Family

ID=5435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570A KR102259002B1 (ko) 2014-04-28 2015-04-27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27827A1 (ko)
EP (1) EP3138552A4 (ko)
JP (1) JP6520930B2 (ko)
KR (1) KR102259002B1 (ko)
CN (1) CN106456469A (ko)
TW (1) TWI675670B (ko)
WO (1) WO2015166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7241A (zh) * 2016-02-02 2016-06-08 安徽恒昊科技有限公司 一种荧光绢云母化妆品的制备方法
WO2017142057A1 (ja) * 2016-02-18 2017-08-24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7234510B2 (ja) * 2017-11-29 2023-03-08 堺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WO2019106920A1 (ja) 2017-11-29 2019-06-06 堺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WO2020202764A1 (ja) * 2019-04-05 2020-10-08 株式会社 資生堂 細胞賦活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5256A (ja) * 2012-06-26 2014-01-16 Sakai Chem Ind Co Ltd 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5373B2 (ja) * 1990-03-30 1998-09-30 株式会社資生堂 蛍光化粧料
JPH05117127A (ja) 1991-10-02 1993-05-14 Shiseido Co Ltd 蛍光化粧料
US6592882B2 (en) * 1999-05-26 2003-07-15 Color Access,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escent minerals
FR2809005B1 (fr) * 2000-05-18 2002-12-27 Oreal Utilisation du manganese dans le traitement des rides
FR2809006B1 (fr) * 2000-05-18 2002-08-02 Oreal Utilisation du manganese dans des compositions destinees a combattre la paleur de la peau
JP2004131430A (ja) * 2002-10-10 2004-04-30 Kansai Riken Shoji Kk 化粧料
DE102006038449A1 (de) * 2006-06-08 2007-12-13 Henkel Kgaa Oxidative Haarbehandlung mit verringerter Haarschädigung
KR101969286B1 (ko) * 2008-10-24 2019-04-16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혼합물, 및 이의 용도
EP2703352B1 (en) * 2011-04-28 2020-03-18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Hexagonal-plate-shaped zinc oxide particles,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cosmetic material, heat-dissipating filler, heat-dissipating resin composition, heat-dissipating grease, and heat-dissipating coating composition having same blended therein
JP5983086B2 (ja) * 2012-06-26 2016-08-31 堺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CN103333686B (zh) * 2013-07-03 2015-07-08 惠州学院 一种掺锰(iv)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5256A (ja) * 2012-06-26 2014-01-16 Sakai Chem Ind Co Ltd 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ports of the Mie Prefecture Industrial Research Insititute, 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2688A (zh) 2016-07-01
JP6520930B2 (ja) 2019-05-29
CN106456469A (zh) 2017-02-22
JPWO2015166895A1 (ja) 2017-04-20
WO2015166895A1 (ja) 2015-11-05
US20170027827A1 (en) 2017-02-02
KR20160146773A (ko) 2016-12-21
TWI675670B (zh) 2019-11-01
EP3138552A1 (en) 2017-03-08
EP3138552A4 (en)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847B1 (ko) 산화아연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9288B1 (ko) 화장료용 형광체 및 화장료
KR102259002B1 (ko) 화장료
KR102015305B1 (ko) 판상 집적형 구상 산화아연 입자, 그들의 제조 방법, 화장료 및 방열성 필러
KR101888864B1 (ko) 육각주상 산화아연 입자,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방열성 필러,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방열성 그리스 및 방열성 도료 조성물
EP3103769B1 (en) Hexagonal plate-like zinc oxide particles, and cosmetic, filler, resin composition,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an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303423B1 (ko) 화장료
JP5983086B2 (ja) 化粧料
JP5983087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