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36B1 -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36B1
KR102258336B1 KR1020170030771A KR20170030771A KR102258336B1 KR 102258336 B1 KR102258336 B1 KR 102258336B1 KR 1020170030771 A KR1020170030771 A KR 1020170030771A KR 20170030771 A KR20170030771 A KR 20170030771A KR 102258336 B1 KR102258336 B1 KR 10225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silver
solution
electrical contac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261A (ko
Inventor
김원영
문철동
최현정
조욱동
백승현
이동목
심정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7192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137178A/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7003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탄소나노튜브를 질산 용액내에 넣고 초음파 분산 및 산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통해 초음파 분산 및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세척하는 단계; (c) 세척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염화주석과 염산의 혼합용액 및 염화 팔라늄과 염산의 혼합용액에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각각 초음파를 가하여 주석과 팔라늄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 (d) 질산은 수용액과 암모니아 수용액을 넣어 무색이 될때까지 혼합한 다음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는 단계; (e)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다음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및 (f)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와 은, 구리, 니켈 및 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 함유된 합금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METHOD FOR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INCLUDING AG PLATED CNTs}
본 발명은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하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접점재료는 차단기, 개폐기 등의 전기기기에서 전기회로를 열고 닫을때 접촉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통전용 접촉 소자로서, 모터 스위치, 스위치 기어, MCB, 소형 모터 및 램프, 자동차 및 가전제품 등에 적용된다.
또한 전기접점재료에는 융점이 높고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우수하며, 접촉저항이 낮을 뿐만 아니라 내용착성이 우수하고 개폐가 잘 이루어지며, 내마모성과 관련된 경도가 높고, 접촉면의 변화가 적을 것 등의 다양한 성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기접점재료는 전류 영역에 따라 소전류용(1A 이하), 중전류용(1A~600A), 대전류용(600A 이상) 접점재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전류용 접점재료로는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재료가 사용되고, 중전류용 접점재료로는 전기전도도, 내마모성, 융점 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되며, 대전류용 접점재료는 고융점의 전기접점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재질에 따라 텅스턴계, 은-산화물계, 귀금속계 접점재료로도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니켈의 합금을 이용하여 전기접점재료를 제조하는 경우, 은-니켈계 전기접점재료가 저전류, 중전류에 사용될 때 약 80wt%이상의 은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전기접점재료의 내마모성, 전기적 특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에 탄소계 화합물을 첨가한 전기접점재료가 제안되고 있으며, CN 102,324,335호, CN 001624175호 및 CN 001256450호에는 은(Ag) 분말과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접점재료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함으로써 전기접점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지만, 여전히 은(Ag)의 함량이 높아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은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하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탄소나노튜브를 질산 용액내에 넣고 초음파 분산 및 산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통해 초음파 분산 및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세척하는 단계; (c) 세척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염화주석과 염산의 혼합용액 및 염화 팔라늄과 염산의 혼합용액에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각각 초음파를 가하여 주석과 팔라늄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 (d) 질산은 수용액과 암모니아 수용액을 넣어 무색이 될때까지 혼합한 다음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는 단계; (e)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다음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및 (f)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와 금속이 혼합된 합금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혼합되는 합금을 구성하는 금속은 전도도가 14.3MS/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금은 구리, 니켈 및 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단계 후 (g) 상기 분말 혼합체를 초음파 분산하고, 진공건조하는 단계; 및 (h) 진공건조된 상기 분말 혼합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PH7까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PH9가 될때 까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탈이온수로 PH7이 될때 까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탄소나노튜브 초음파 분산이 5분간 수행되고, 산 처리가 2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혼합시 90℃에서 1시간 동안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단계는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탄소나노튜브에 초음파 분산 및 산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주석과 팔라늄을 결합시키는 단계; (b) 질산은 수용액과 암모니아 수용액을 혼합한 다음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는 단계; 및 (c)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여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한 후 금속이 혼합된 합금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혼합되는 합금을 구성하는 금속은 전도도가 14.3MS/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금은 구리, 니켈 및 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 후 (d) 상기 분말 혼합체를 초음파 분산하고, 진공건조하는 단계; 및 (e) 진공건조된 상기 분말 혼합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은 전기접점의 제조시에 탄소나노튜브에 은을 함유시킴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간의 응집을 억제하여 탄소나노튜브가 재료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접점재료에 사용되는 은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에 적은 양의 은을 사용하면서도 전기접점재료가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하여 전기접점재료가 사용되는 차단기 등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은-니켈계 전기접점재료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재료에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SEM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SEM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다른 SEM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TEM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EDS 분석.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재료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재료에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다른 SEM 이미지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나타내는 TEM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에 함유된 은이 코팅된탄소나노튜브에 대한 EDS 분석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점재료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전기접점재료에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10)가 함유된다.
이때 상기 전기접점재료는 은(Ag), 구리(Cu), 니켈(Ni) 및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은(Ag), 상기 구리(Cu), 상기 니켈(Ni) 및 상기 금(Au)은 그 전도도가 각각 63MS/m, 59.6MS/m, 14.3MS/m, 45.2MS/m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후술할 전기접점재료의 밀도, 전기 전도도, 경도, 열전도도, 연신율 및 전기적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은(Ag)은 전기 전도도와 열 전도도가 우수하고 , 저접촉 저항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접점재료에 기본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니켈(Ni)은 전기 전도도와 열 전도도가 은(Ag)보다 낮지만 기계적 강도가 높아 은(Ag)과 함께 전기접점재료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금속 입자의 크개는 1㎛ 내지 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은-니켈계 합금에서 은(Ag)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5중량% 내지 6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5중량% 미만인 경우 전기 전도도가 낮아 전기접점재료로 사용할수 없고, 65중량%을 초과하면 내마모성, 내소모성이 떨어지며 제조 단가가 크게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니켈(Ni)의 함량은 35중량% 내지 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CNT)는 탄소원자가 SP2결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벌집구조를 형성하고 튜브 모양을 이루는 신소재로서, 직경은 탄소벽의 층 수에 따라 대략 수내지 수십 나노미터(㎚)가 된다.
전기적, 기계적, 열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복합재료의 강화재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전기적 교량(electrical bridge) 역할을 하여 전기접점재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CNT)는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금속과의 결합시에 분산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전기접점재료에 탄소나노튜브(CNT를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 재료간의 응집으로 인해 재료내에서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불균일한 분산에 의해 소재특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은(Ag)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전기접점재료를 제조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재료내에 분산되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Ag)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재료간 계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전기접점에서 요구되는 열전도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은(Ag)이 함유된 탄소나노튜브(CNT)는 투과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이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사용하여 그 상태를 확인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성분이 감지됐을 때에는 강도의 크기가 크게 나타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은과 니켈이 함유된 합금에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제조한다(S101).
이때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나노튜브 O.O4g을 7M의 질산 (HNO3) 용액내에 넣고 초음파 분산 및 산처리를 각각 5분과 2시간동안 수행한다(S201).
이후 상기 (S201)단계를 통해 초음파 분산 및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진공여과법(Vacuum filtration)을 이용하여 탈이온수로 PH7까지 되도록 세척한다(S203).
이후 상기 (S203) 단계를 통해 세척된 탄소나노튜브를 염화주석(SnCl2)과 염산(HCl)의 혼합용액과 염화 팔라늄(PdCl2)과 염산(HCl)의 혼합용액에 순차적으로 섞고 초음파를 가하여 주석 (Sn2 +)과 팔라듐(Pd2 +)을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결합한다(S205).
이후 0.3M의 질산은(AgNO3)수용액과 암모니아 수용액을 넣어 용액이 무색이 될때까지 혼합한 다음 상기 (S205) 단계에서 생성된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한다(S207).
이후 0.1M 글리옥실산(Glyoxylic acid) 수용액과 0.5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PH9가 될때까지 혼합한 다음 혼합 용액을 90℃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뒤 진공여과법을 이용하여 탈이온수로 PH7까지 세척하여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한다(S209).
이후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와 합금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제조한다(S211).
이후 상기 (S211)단계에서 제조된 분말 혼합체를 초음파 분산하고, 진공건조한 다음(S103), 진공건조된 분말 혼합체를 소결한다(S105).
이때 분말 혼합체를 섭씨 750℃~830℃의 온도에서 1분 동안 온도를 유지하면서 소결하는데, 소결방법으로는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Spark plasma sintering, SPS)을 이용한다.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은 흑연몰드 내에 가압 중인 원료 입자에 펄스(Pulse)전류를 직접 통전시킴으로써 입자들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방전 플라즈마를 주열원으로 사용하는 소결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방전 플라즈마의 고에너지를 열 확산, 전기장의 작용 등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에 급속한 승온이 가능하기때문에 입자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고, 단시간에 치밀한 복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소결이 어려운 재료(난소결 재료)라도 용이하게 소결할 수 있다.
<실험예>
접점종류 밀도 전기 전도도 경도 열전도도 연신율 전기적 수명
비교예 Ag65Ni35 9.72 57 130 216.616 4 87,927

실시예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Ag65Ni35

9.737


59.2


140


227.772


7


169,266
상기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전기접점재료는 밀도와 전기 전도도 및 전기적 수명 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전기접점의 제조시에 탄소나노튜브에 은을 함유시킴으로써 탄소나노튜브간의 응집을 억제하여 탄소나노튜브가 재료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게 한다.
또한 전기접점재료에 사용되는 은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에 적은 양의 은을 사용하면서도 전기접점재료가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하여 전기접점재료가 사용되는 차단기 등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Claims (2)

  1. (a) 탄소나노튜브를 질산 용액내에 넣고 초음파 분산 및 산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통해 초음파 분산 및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세척하는 단계;
    (c) 세척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염화주석과 염산의 혼합용액 및 염화 팔라늄과 염산의 혼합용액에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각각 초음파를 가하여 주석과 팔라늄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
    (d) 질산은 수용액과 암모니아 수용액을 넣어 무색이 될때까지 혼합한 다음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는 단계;
    (e) 글리옥실산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다음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및
    (f)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이 혼합된 합금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분말 혼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분말 혼합체를 초음파 분산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분산된 분말 혼합체를 진공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건조 된 분말 혼합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이 혼합된 합금은 은 및 니켈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은은 55중량% 내지 65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니켈은 35중량% 내지 4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 접점재료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70030771A 2015-05-22 2017-03-10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KR10225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71A KR102258336B1 (ko) 2015-05-22 2017-03-10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29A KR20160137178A (ko) 2015-05-22 2015-05-22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KR1020170030771A KR102258336B1 (ko) 2015-05-22 2017-03-10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929A Division KR20160137178A (ko) 2015-05-22 2015-05-22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61A KR20170032261A (ko) 2017-03-22
KR102258336B1 true KR102258336B1 (ko) 2021-05-31

Family

ID=5849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71A KR102258336B1 (ko) 2015-05-22 2017-03-10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0100A (ja) * 2007-07-26 2009-02-12 Mitsubishi Material Cmi Kk Ag−Ni系電気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8194A1 (en) * 2007-04-04 2008-10-09 L'air Liquide -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for producing a copper layer on a substrate in a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KR100962890B1 (ko) * 2007-10-29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니켈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강화 구리 복합재료의제조방법
KR101027073B1 (ko) * 2008-08-25 2011-04-05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합금기지 나노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8285B1 (ko) * 2008-10-09 2010-10-18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텅스텐 와이어
KR101509028B1 (ko) * 2013-03-14 2015-04-07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알루미늄-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0100A (ja) * 2007-07-26 2009-02-12 Mitsubishi Material Cmi Kk Ag−Ni系電気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notechnology 19, 495602 (2008.11.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61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6328B1 (en) Method for preparing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including ag plated cnts
JP6126066B2 (ja) 電気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490253B2 (ja) グラフェン/銀複合材料の調製方法
JP6100978B1 (ja) グラフェン補強銅系複合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7203A (ja) 真空遮断器用電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真空遮断器用電極材料
CN105950904A (zh) 一种镀银石墨烯增强铜基电接触材料的制备方法
KR101722582B1 (ko) 카본나노튜브-알루미늄 복합분말을 이용한 송전용 복합선재의 제조방법
KR20110139588A (ko) 나노카본과 금속 또는 세라믹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N106086495B (zh) 氧化铜掺杂银氧化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093698A (zh) 一种银氧化锡电接触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903325B (zh) 银-氧化锡电接触材料的制备方法及其制成的电接触材料
KR102258336B1 (ko) 은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CN104867622B (zh) 一种AgSnO2多芯复合线材的制备方法
KR102500203B1 (ko) 전기접점용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6951B1 (ko) 저융점 고전도성 구리 나노와이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전극
KR20190070736A (ko) 전기 접점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
JP6403659B2 (ja) 複合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接点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200504A (ja) 電気接点材料用粉末、及び電気接点材料用粉末の製造方法
CN116607044A (zh) 一种AgWCGr触头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136321A1 (ja) コンポジッ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55360A (ja) 焼結セラミックス電極の製造方法
CN102347148A (zh) 大功率硬质铜钨铁复合电触头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