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665B1 -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 - Google Patents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665B1
KR102257665B1 KR1020197015958A KR20197015958A KR102257665B1 KR 102257665 B1 KR102257665 B1 KR 102257665B1 KR 1020197015958 A KR1020197015958 A KR 1020197015958A KR 20197015958 A KR20197015958 A KR 20197015958A KR 102257665 B1 KR102257665 B1 KR 10225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placement surface
receiving
rays
insp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658A (ko
Inventor
히로노부 고바야시
다케시 스미카와
히로시게 미즈타니
신 요코시마
요지 니카이도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티안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티안도에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confined in a container, e.g. in a luggage X-ray scan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X선 조사 장치(300)는,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에 X선을 조사한다. X선 수상 장치(400)는, 배치면(100)에 배치되었을 때에 배치면(100)에 도달하는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을 가지며,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Description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
본 발명은,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항, 역, 스포츠 시설, 이벤트회장 등의 임의의 장소에서, 시큐리티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위험물이나 불심물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X선 투시상 스캔용 프레임체를 구비한 가반형(可搬形) X선 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반형 X선 검사 장치는, X선 검출기 포트와, X선 발생 장치 포트와, 연결 아암과, 동기 이동 수단을 갖고 있다. X선 검출기 포트는, 직선형으로 채널 배열된 박형의 다채널 X선 검출기를 구비한 얇은 판자형을 이루고 있다. X선 발생 장치 포트는, X선 검출기에 대향하는 X선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X선 검출기 포트와 하단이 동일면인 상자형을 이루고 있다. 연결 아암은, X선 검출기 포트와 X선 발생 장치 포트를 일정 간격 유지한 상태로 이들의 상방 코너부에서 연결된다. 동기 이동 수단은, X선 검출기와 X선 발생 장치의 대향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이들을 동기하여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병행 이동시킨다.
특허문헌 2에는, 피검체의 일방측과 타방측에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를 배치하여 피검체에 대해서 X선 투시 검사를 행하는 X선 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X선 검사 장치에서는, X선 발생기의 조사부 본체를 유지체에 상하 가동으로 하여 유지하고, 유지체를 지표에 두었을 때에, 조사부 본체가 유지체 상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조사부 본체로부터의 X선이 지표 가까이(1 ㎝ 이내 또는 2 ㎝ 이내)로부터 피검체를 향해 조사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3345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617호 공보
그런데, 검사 대상물이 위험물이나 불심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것은, 폭발물의 기폭 메커니즘으로서, 폭발물의 하면에 기폭 스위치를 설치하는 타입이 많기 때문이다. 기폭 스위치는, 자유 상태로 돌출하여 온 상태가 되도록 가압하고, 이 가압력에 대항하여 인입시켰을 때에 오프 상태가 된다. 기폭 스위치를 배치면으로 눌러서 인입시켜 두고, 누군가가 폭발물을 들어올린 순간에 기폭 스위치가 돌출함으로써 폭발물이 폭발한다.
이 점에 있어서, 특허문헌 1, 2는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충분한 구성을 갖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는, 조사부 본체로부터의 X선이 지표 근방에서 피검체를 향해 조사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도 1에 명백한 바와 같이, X선은, 피검체와 지표의 접촉 지점보다 상당히 위쪽을 투과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검체가 하면에 기폭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폭발물인 경우에는, 기폭 스위치에 X선을 투과시키기 어렵다. 또한, 만일 기폭 스위치에 X선이 투과하여도, 반드시, 그 X선이 라인 센서형 X선 검출기로 수상되는 것은 아니다(예컨대 프레임 등으로 X선이 차단될 우려가 있음).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시스템은, 검사 대상물에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와, 상기 검사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상(受像)하는 X선 수상 장치를 가지며, 상기 X선 조사 장치는, 상기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X선을 조사하고, 상기 X선 수상 장치는, 상기 배치면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배치면에 도달하는 X선 유효 수상 영역을 가지며,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X선 수상 장치는,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수상하며, 상기 배치면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배치면에 도달하는 X선 유효 수상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X선 조사 장치와 X선 수상 장치와 X선 상(像)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X선 조사 장치가 조사한 X선을 X선 수상 장치가 수상하는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X선 조사 장치가 조사하여 검사 대상물을 투과한 X선을 X선 수상 장치가 수상하는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X선 수상 장치와 X선 상 통신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X선 수상 장치에 따른 X선 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X선 상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X선 검사 시스템(10)은, 공항, 역, 스포츠 시설, 이벤트회장 등의 임의의 장소에서, 배치면(예컨대 바닥면)(100)에 배치된 검사 대상물(200)의 속, 특히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X선 검사 시스템(10)은, X선 조사 장치(300)와 X선 수상 장치(400)를 갖고 있다. X선 조사 장치(300)와 X선 수상 장치(400)는 가반식이며, X선 검사 시스템(10)의 사용 장소, 그 밖의 임의의 장소에서 세팅 가능하다. X선 조사 장치(300)와 X선 수상 장치(400)는, 검사 대상물(200)을 사이에 둔 한쪽 영역과 다른 쪽 영역에 세팅되고, X선 조사 장치(300)가 검사 대상물(200)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고, X선 수상 장치(400)가 검사 대상물(200)을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또한, 도 1에서는, 검사 대상물(200)과 X선 조사 장치(300)와 X선 수상 장치(400)를 동일 사이즈의 블록으로 그리고 있고, X선 조사 장치(300)가 조사하여 검사 대상물(200)을 투과하여 X선 수상 장치(400)가 수상하는 X선이 배치면(100)에 대하여 완전히 평행해지도록 그리고 있지만, 이것은 작도의 편의상의 이유에 따른 것이다.
도 2는 X선 조사 장치(300)와 X선 수상 장치(400)와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X선 조사 장치(300)가 조사한 X선을 X선 수상 장치(400)가 수상하는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X선 조사 장치(300)가 조사하여 검사 대상물(200)을 투과한 X선을 X선 수상 장치(400)가 수상하는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X선 수상 장치(400)와 X선 상 통신 장치(50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도 6에 있어서의 전후 상하 좌우의 각 방향은, 도면 중에 나타낸 화살선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2∼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조사 장치(300)는, X선 발생봉(310)과, 이 X선 발생봉(310)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320)를 갖고 있다. X선 발생봉(31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부재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의 좌측의 대부분이 대직경의 X선 발생부(311)로 되어 있고, 좌우 방향의 우측의 소부분이 소직경의 파지부(把持部)(312)로 되어 있다. X선 발생부(31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이자 둘레 방향의 일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X선 조사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X선 조사창의 형상에는 자유도가 있어,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수납 부재(320)는, 좌단부가 폐색되고 또한 우단부가 개방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수납 부재(320)의 내경은, X선 발생봉(310)의 X선 발생부(31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X선 발생봉(310)의 X선 발생부(311)를 수납 부재(320)의 우단부로부터 미소 클리어런스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X선 발생봉(310)의 파지부(312)에는, X선 발생부(311)에 의한 X선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 조작부, 및/또는 이용자의 지문 정보를 취득하는 지문 리더기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조사 장치(300)(X선 발생부(311))는, X선의 조사각(확산각)을 2 α°로 했을 때, 이 X선의 조사각 중심(확산각 중심)이 배치면(100)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X선을 조사한다. 그 결과, X선 조사 장치(300)는, 검사 대상물(200), 및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에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예컨대, X선 조사 장치(300)의 회전 위상을 조정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써, X선의 조사각 중심을 배치면(100)과 대략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도 2∼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수상 장치(4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상하 방향으로 짧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수상 장치(400)는, X선 조사 장치(300)가 조사한 X선으로서, 검사 대상물(200) 및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X선 수상 장치(400)는, 그 후면(검사 대상물(200)을 사이에 두고 X선 조사 장치(300)와 대향하는 면)에 X선 수상 패널(410)을 갖고 있다. X선 수상 패널(410)은,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을 규정하는 불감대(430)를 갖고 있다. 불감대(430)는, X선 수상 장치(400)를 배치면(100)에 배치했을 때에, 배치면(100)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부(431)와, 한 쌍의 대향부(431)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배치면(100)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속부(432)를 갖고 있다. 즉, X선 수상 패널(410) 중, 불감대(430)(한 쌍의 대향부(431)와 접속부(432))의 내측 영역은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을 구성하고 있고, 불감대(430)(한 쌍의 대향부(431)와 접속부(432))의 외측 영역은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을 구성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불감대(430)는, 한 쌍의 대향부(431)와 접속부(432)로 이루어진 대략 コ자 형상을 갖고 있고, 불감대(430)의 하방측은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X선 수상 장치(400)를 배치면(100)에 배치했을 때에,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이 배치면(100)에 도달(연속)한다. 이것에 의해,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이, X선 조사 장치(300)가 조사하여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확실하게 수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은, X선 수상 장치(400)를 배치면(100)에 배치했을 때에, 불감대(430)의 한 쌍의 대향부(431)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배치면(100)을 향해 경사진 경사 수상부(421)를 갖고 있다. 이 경사 수상부(421)는, X선 조사 장치(300)가 조사하여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보다 확실하게 수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 대상물(200)이 위험물이나 불심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것은, 폭발물의 기폭 메커니즘으로서, 폭발물의 하면에 기폭 스위치를 설치하는 타입이 많기 때문이다. 기폭 스위치는, 자유 상태로 돌출하여 온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대항하여 인입시켰을 때에 오프 상태가 된다. 기폭 스위치를 배치면(100)으로 눌러서 인입시켜 두고, 누군가가 폭발물을 들어올린 순간에 기폭 스위치가 돌출됨으로써 폭발물이 폭발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X선 조사 장치(300)가,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에 X선을 조사한다. 또한, X선 수상 장치(400)가, 배치면(100)에 배치되었을 때에 배치면(100)에 도달하는 X선 유효 수상 영역(420)을 가지며,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따라서,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사 대상물(200)이 위험물이나 불심물(예컨대 하면에 기폭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폭발물)일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써, 검사 대상물(200)을 부주의하게 들어올리거나 움직이거나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X선 수상 장치(400)에 의한 X선 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명백한 바와 같이, X선 수상 장치(400)에 의한 X선 상에 따르면, 검사 대상물(200)과 배치면(100)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상 통신 장치(5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상하 방향으로 짧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X선 수상 장치(400)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며,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X선 수상 장치(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X선 수상 장치(400)의 전면과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후면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X선 수상 장치(400)와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좌측면들끼리 통신 케이블(600)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X선 상 통신 장치(500)(및 X선 수상 장치(400)의 결합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510)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510)의 우측에는, X선 상 통신 장치(500)에 의한 유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유선 통신 기능 표시부(520)와, X선 상 통신 장치(500)에 의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기능 표시부(530)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510)의 좌측에는, 전원 플러그(도시 생략)를 삽입하기 위한 전원 소켓(540)과, 유선 통신을 행할 때에 PC 케이블(도시 생략)을 삽입하기 위한 PC 케이블 삽입부(550)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X선 상 통신 장치(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X선 상 통신 장치(500)는, X선 상 입력부(500A)와, 유선 통신부(500B)와, 무선 통신부(500C)와, 통신 방식 전환부(500D)를 갖고 있다.
X선 상 입력부(500A)에는, 통신 케이블(600)을 통해 X선 수상 장치(400)에 의한 X선 상이 입력된다.
유선 통신부(500B)는, 외부 기기(예컨대 외부 PC)와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하여, X선 상 입력부(500A)에 입력된 X선 수상 장치(400)에 의한 X선 상을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유선 통신(유선 송신)된 X선 상은, 외부 기기의 모니터(도시 생략)에 표시된다.
무선 통신부(500C)는, 외부 기기(예컨대 외부 PC)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여, X선 상 입력부(600A)에 입력된 X선 수상 장치(400)에 의한 X선 상을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무선 송신)된 X선 상은, 외부 기기의 모니터(도시 생략)에 표시된다.
통신 방식 전환부(500D)는, X선 상 입력부(500A)에 입력된 X선 수상 장치(400)에 의한 X선 상을, 유선 통신부(500B)에 의해 유선 통신(유선 송신)할지 무선 통신부(500C)에 의해 무선 통신(무선 송신)할지를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방식 전환부(500D)는, PC 케이블 삽입부(550)에 PC 케이블(도시 생략)이 삽입되어 있을 때에 유선 통신부(500B)에 의한 유선 통신(유선 송신)을 행하게 하고, PC 케이블 삽입부(550)에 PC 케이블(도시 생략)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무선 통신부(500C)에 의한 무선 통신(무선 송신)을 행하게 한다.
검사 대상물(200)이 하면에 기폭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폭발물인 경우, 무선 통신부(500C)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면, 기폭 스위치가 무선 신호에 반응하여 작동함으로써 폭발물이 폭발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검사 대상물(200)의 검사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500C)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고, 검사 대상물(200)의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유선 통신부(500B)에 의해 유선통신을 행한다는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만일 검사 대상물(200)이 폭발물이어도, 기폭 스위치가 무선 신호에 반응하여 작동함으로써 폭발물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 소의 크기나 형상,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목적 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는, 위험물이나 불심물(예컨대 하면에 기폭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폭발물)의 우려가 있는 검사 대상물의 검사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10 : X선 검사 시스템 100 : 배치면(바닥면)
200 : 검사 대상물 300 : X선 조사 장치
310 : X선 발생봉 311 : X선 발생부
312: 파지부 320 : 수납 부재
400 : X선 수상 장치 410 : X선 수상 패널
420 : X선 유효 수상 영역 421 : 경사 수상부
430 : 불감대 431 : 한 쌍의 대향부
432 : 접속부 500 : X선 상 통신 장치
500A : X선 상 입력부 500B : 유선 통신부
500C : 무선 통신부 500D : 통신 방식 전환부
510 : 손잡이 520 : 유선 통신 기능 표시부
530 : 무선 통신 기능 표시부 540 : 전원 소켓
650 : PC 케이블 삽입부 600 : 통신 케이블

Claims (9)

  1. 검사 대상물에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와,
    상기 검사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상(受像)하는 X선 수상 장치
    를 가지며,
    상기 X선 조사 장치는, 상기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X선을 조사하고,
    상기 X선 수상 장치는, 상기 배치면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배치면에 도달하는 X선 유효 수상 영역을 가지며,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수상 장치는, 상기 X선 유효 수상 영역을 규정하는 불감대로서,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부와, 상기 한 쌍의 대향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배치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수상 장치는, 상기 X선 유효 수상 영역으로서, 상기 한 쌍의 대향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배치면을 향해 경사진 경사 수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장치는, 상기 X선의 조사각 중심이 상기 배치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상기 X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수상 장치에 의한 X선 상(像)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X선 상 통신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상 통신 장치는, 상기 X선 수상 장치에 의한 X선 상을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통신할지를 전환하는 통신 방식 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시스템.
  7. 검사 대상물과 배치면의 접촉 지점 또는 그 근방을 포함하는 범위를 투과한 X선을 수상하며, 상기 배치면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배치면에 도달하는 X선 유효 수상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수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유효 수상 영역을 규정하는 불감대로서,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부와, 상기 한 쌍의 대향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배치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수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유효 수상 영역으로서, 상기 한 쌍의 대향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배치면을 향해 경사진 경사 수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수상 장치.
KR1020197015958A 2017-08-18 2018-03-12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 KR102257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7806 2017-08-18
JP2017157806 2017-08-18
PCT/JP2018/009497 WO2019035233A1 (ja) 2017-08-18 2018-03-12 X線検査システム及びx線受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58A KR20190079658A (ko) 2019-07-05
KR102257665B1 true KR102257665B1 (ko) 2021-05-31

Family

ID=6536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958A KR102257665B1 (ko) 2017-08-18 2018-03-12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57665B1 (ko)
CN (1) CN110036283A (ko)
WO (1) WO201903523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800A (ja) 2003-11-13 2005-06-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X線撮影用の支持台
JP2015512033A (ja) 2012-02-08 2015-04-23 ラピスカン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速セキュリティ検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450A (ja) 1995-07-20 1997-02-07 Hitachi Medical Corp X線透視像取込用枠体及び可搬形x線検査装置
US5943388A (en) * 1996-07-30 1999-08-24 Nova R & D, Inc. Radiation detector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JPH10246710A (ja) * 1997-03-05 1998-09-14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小荷物内部のx線透視装置
JP2001027617A (ja) 1999-07-13 2001-01-30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X線検査装置
US7963695B2 (en) * 2002-07-23 2011-06-21 Rapiscan Systems, Inc. Rotatable boom cargo scanning system
JP2009068910A (ja) * 2007-09-11 2009-04-02 Ishida Co Ltd X線検査装置
CN201199235Y (zh) * 2008-05-12 2009-02-25 丁青 新型x射线通道式安检系统结构
WO2011066461A1 (en) * 2009-11-25 2011-06-03 Virtual Imaging, Inc. Portable radiation imaging system
DE102010016502A1 (de) * 2010-04-19 2011-10-20 Phoenix Conveyor Belt Systems Gmbh Einrichtung zur zerstörungsfreien Inspektion eines Fördergurtes mittels energiereicher Strahlen, insbesondere Röntgenstrahlen
CN102313753B (zh) * 2010-06-30 2014-07-16 清华大学 物品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WO2012050742A1 (en) * 2010-10-15 2012-04-19 American Science And Engineering, Inc. Remotely-aligned arcuate detector array for high energy x-ray imaging
JP5854700B2 (ja) * 2011-08-22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ハンドルユニット、及びx線撮影ユニット
JP2015021784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二次元画像検出システム
CN103558644B (zh) * 2013-08-15 2016-04-13 北京紫方启研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手持式高清x射线检测仪
CN105445294B (zh) * 2014-09-02 2019-02-22 清华大学 车载式检查系统
KR20170079793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시큐어텍 폭발물 확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206339666U (zh) * 2016-12-26 2017-07-18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式排爆透射成像装置
CN106645225B (zh) * 2016-12-29 2024-04-1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可移动物品检查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800A (ja) 2003-11-13 2005-06-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X線撮影用の支持台
JP2015512033A (ja) 2012-02-08 2015-04-23 ラピスカン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速セキュリティ検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58A (ko) 2019-07-05
WO2019035233A1 (ja) 2019-02-21
CN110036283A (zh)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3975B (zh) 自适应传感系统
EP3040742B1 (en) Vehicle-carried quick inspection system
KR101691031B1 (ko) 소화기 탑재 로봇을 활용한 화재진화시스템
EP2138981A3 (en) Ticket examining apparatus and ticket examining method
EP3561550A1 (en) Mobile bomb disposal transmission imaging apparatus
KR102257665B1 (ko) X선 검사 시스템 및 x선 수상 장치
EP2684522A1 (en) X-ray imaging apparatus, remote controller f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X-ray imaging apparatus
TWI311609B (en) Vacuum pump
EP3064138A3 (en) Switch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27304B1 (ja) X線検査システム及びx線受像装置
KR102211183B1 (ko)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
KR20190113104A (ko) 맨홀 조사 로봇
JP2017037453A5 (ko)
KR102003434B1 (ko) 가상현실 체험이 가능한 키오스크
FR2967343B1 (fr) Appareil d'imagerie medicale.
KR102390721B1 (ko) X선 검사 장치
CN104812310A (zh) 图像检测器与便携控制装置之间的近场通信
CN203037594U (zh) 一种具有曲线传送管道的安全检查装置
CN104510483B (zh) 具有把手模块的医学成像装置
KR200410496Y1 (ko) 발전기 공극 측정장치
CN103845115B (zh) 一种遥控透视定位仪
JP2024073566A (ja) X線撮影後方散乱シールド及び後方散乱シールドを備えるx線撮像システム
CN211905726U (zh) 一种毫米波手持式主动安检成像设备
ES2907233T3 (es) Aparato para detectar y señalizar la rotura de rodillos en un transportador de rodillos
CN219162409U (zh) 多重安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