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721B1 - X선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X선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721B1
KR102390721B1 KR1020207018566A KR20207018566A KR102390721B1 KR 102390721 B1 KR102390721 B1 KR 102390721B1 KR 1020207018566 A KR1020207018566 A KR 1020207018566A KR 20207018566 A KR20207018566 A KR 20207018566A KR 102390721 B1 KR102390721 B1 KR 10239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opening
irradiation
case
shut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562A (ko
Inventor
히로노부 고바야시
다케시 스미카와
히로시게 미즈타니
유타카 후에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confined in a container, e.g. in a luggage X-ray scan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04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5/08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using primary nuclear radiation sources or X-ray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21K1/04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21K5/02Irradiation devices having no beam-form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照射)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검사 대상물에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4)와, 검사 대상물을 투과한 X선을 수상(受像)하는 X선 수상 장치(5)와, 검사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X선 조사 장치 및 X선 수상 장치를 지지하는 케이스(2)와,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21a)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3)를 구비하는 X선 검사 장치(1)에 있어서, 개폐 기구는 개구부의 개방 동작에 따라 X선 조사 장치의 X선 조사구에 대향 배치되는 차폐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X선 검사 장치
본 발명은 X선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항, 역, 스포츠 시설, 이벤트회장 등의 임의의 장소에서, 시큐리티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위험물이나 불심물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공항 등에서 수하물 검사를 행하는 수하물 검사 X선 장치에 있어서, X선 발생부와 X선 수상부(受像部)를 대향 배치하며, 이들 사이에 수하물을 탑재하는 수하물 검사대를 형성하고, 이 수하물 검사대에 조사(照射)되는 X선의 영역을 나타내는 X선 조사 범위 설정 영역을 마련한 X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수하물 검사 X선 장치에서는, 개개의 수하물마다 검사를 행할 수 있으며, X선의 조사를 받는 일없이 수하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1005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1207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하물 검사 X선 장치에 있어서는, 수하물 검사대에 X선 조사 범위 설정 영역을 마련해 두었지만, X선 조사 범위에 대한 검사관의 손의 진입 등을 규제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검사관이 X선 조사 범위에 손을 진입시킨 상태로 X선이 조사되면, 검사관의 손이 X선에 의해 피폭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전리 방사선 장해 방지 규칙(이하, 적절하게 「전리칙」이라고 함)에서는, 이러한 X선의 오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X선 장치에 대하여 인터로크 기구를 탑재하는 것을 의무 부과하고 있다(전리칙 제3장 제17조).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인터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X선 발생 장치로서, 검사 대상물(OB)을 반입/반출을 행하는 개폐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개폐 도어가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X선의 조사를 허용하는 X선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개폐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스위치나, 이 스위치의 검지 결과에 따라 개폐 도어를 전기적으로 로크하는 로크 기구 등의 구성이 필요하여,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하여 버린다. 또한, 스위치의 검지 결과에 따라 X선 조사가 시작된 후에, 오동작에 의해 개폐 도어가 개방되어 버린 경우에는,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가 피폭되는 사태를 적절하게 회피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는, 검사 대상물(OB)에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와, 상기 검사 대상물(OB)을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상하는 X선 수상 장치와, 상기 검사 대상물(OB)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X선 조사 장치 및 X선 수상 장치를 지지하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개구부의 개방 동작에 따라 상기 X선 조사 장치의 X선 조사구에 대향 배치되는 차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전리 방사선 장해 방지 규칙(전리칙)에서는,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X선의 오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X선 검사 장치에 대하여 인터로크 기구를 탑재하는 것을 의무 부과하고 있다(전리칙 제3장 제17조). 예컨대, 인터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X선 검사 장치로서, 검사 대상물(OB)을 반입/반출을 행하는 개폐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의 검지 결과에 따라 개폐 도어를 전기적으로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개폐 도어가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X선의 조사를 허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는, 개폐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스위치나, 이 스위치의 검지 결과에 따라 개폐 도어를 전기적으로 로크하는 로크 기구 등의 구성이 필요하여,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하여 버린다. 또한, 스위치의 검지 결과에 따라 X선 조사가 시작된 후에, 오동작 등에 의해 개폐 도어가 개방하여 버린 경우에는,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가 피폭되는 사태를 적절하게 회피하기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전기적으로 개폐 도어를 로크하며, 그 로크 상황에 따라 X선의 조사를 허용하는 방식에서는, 구조의 간소화에 한계가 있고, 더구나, 로크 기구의 오동작 시에는 더욱 X선의 조사의 정지 제어가 필요한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전기적인 로크 기구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폐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X선의 조사를 강제적으로 규제하는 기구를 적용하는 것이,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의 방지에 기여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상도하였다.
즉, 본 발명의 골자는, X선 조사 장치 및 X선 수상 장치를 검사 대상물(OB)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케이스로 지지하는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개구부의 개방 동작에 따라 X선 조사 장치의 X선 조사구에 대향 배치되는 차폐부를 개폐 기구에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의 개방 동작에 따라 X선 조사 장치의 X선 조사구에 차폐부가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X선 조사 영역에 대한 X선의 조사가 확실하게 규제된다. 또한, X선 조사 장치의 X선 조사구에 대향 배치함으로써 X선의 조사가 규제되기 때문에, 개폐 기구를 전기적으로 로크하는 것 같은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개폐 기구(3)의 셔터 부재(32)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4에 있어서는, 셔터 부재(32)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X선 검사 장치(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X선 조사 장치(4)에 의한 X선의 조사 영역에 대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1)는, 케이스(2), 개폐 기구(3), X선 조사 장치(이하, 「조사 장치」라고 함)(4) 및 X선 수상 장치(이하, 「수상 장치」라고 함)(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2)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조사 장치 수납부(22)와, 본체부(21)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상 장치 수납부(23)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본체부(21), 조사 장치 수납부(22) 및 수상 장치 수납부(23)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케이스(2)가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2)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케이스(2)의 내부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공간(S)은, 본체부(21) 및 조사 장치 수납부(22)의 내벽면 및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상면에 의해 규정된다. 공간(S)에는, 개폐 기구(3)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공간(S)에는, X선 검사의 대상물(검사 대상물)(OB)이 배치된다(도 5b, 도 6b 참조). 검사 대상물(OB)은, 개폐 기구(3)의 하방측에 배치된다. 공간(S)을 규정하는 본체부(21) 및 조사 장치 수납부(22)의 내벽면에는, 납 또는 텅스텐 합금 등으로 구성되는 실드 시트 부재가 첩부되어 있다. 실드 시트 부재는, X선 검사 시 에 있어서의 X선의 누설을 방지한다.
케이스(2)의 본체부(21)의 전면(前面)에는,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1a)는, 본체부(21)의 하방측의 대부분으로서, 폭 방향(좌우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1a)는, 케이스(2) 내의 공간(S)에 연통하고 있고, 개폐 기구(3)의 일부 또는 검사 대상물(OB)을 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X선 검사 장치(1)의 조작자는, 개구부(21a)를 통해 개폐 기구(3)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폐 기구(3)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21a)를 통해 공간(S) 내에 검사 대상물(OB)이 수용되는 한편, 검사 종료 후의 검사 대상물(OB)이 공간(S)으로부터 취출된다.
조사 장치 수납부(22)는, 본체부(21)의 상면부로부터 상방측으로 돌출하여 구성된다. 조사 장치 수납부(22)는, 본체부(21)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도 5b 참조). 조사 장치 수납부(22)의 내부에는, 조사 장치(4)의 일부를 수납 가능한 공간(내부 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다. 조사 장치 수납부(22)의 우측면에는, 내부 공간(22a)에 연통하는 개구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조사 장치 수납부(22)는, 이 개구부(22b)로부터 내부 공간(22a) 내에 조사 장치(4)의 일부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의 내부에 있어서, 조사 장치 수납부(22)는, 하방측에서 개구하고 있고, 전술한 내부 공간(22a)이 본체부(21) 내의 공간(S)에 접속되어 있다.
수상 장치 수납부(23)는, 본체부(21)의 하단부에 연속하여 구성된다. 수상 장치 수납부(23)는, 편평한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내부에는, 수상 장치(5)를 수납 가능한 공간(내부 공간)(23a)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전면에는, 내부 공간(23a)에 연통하는 개구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수상 장치 수납부(23)는, 이 개구부(23b)로부터 내부 공간(23a) 내에 수상 장치(5)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상면에는, 방사선 차폐용 납 유리(이하, 단순히 「납 유리」라고 함)(23c)가 끼워넣어져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납 유리(23c)는, 내부 공간(23a)에 수납된 수상 장치(5)의 X선 수상 패널(5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납 유리(23c)는, X선 검사 시에 있어서의 X선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기구(3)는, 한쌍의 레일 부재(31) 및 셔터 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레일 부재(31)는, 전방 레일부(311), 상방 레일부(312) 및 후방 레일부(313)를 가지고, 측면에서 보아, 하방측에서 개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레일 부재(31)는, 예컨대 본체부(21)의 좌우의 측면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각각의 레일 부재(31)는, 본체부(21)의 중심측[바꾸어 말하면, 다른 레일 부재(31)측]에서 개구한 형상을 가지고, 셔터 부재(32)의 좌우의 측가장자리부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레일 부재(31)의 전방 레일부(311)는, 케이스(2)[본체부(21)]의 전면 근방에 배치된다. 전방 레일부(311)는, 본체부(21)의 전면 근방에서 셔터 부재(32)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한다. 후방 레일부(313)는, 본체부(21)의 후면 근방에 배치된다. 후방 레일부(313)는, 본체부(21)의 후면 근방에서 셔터 부재(32)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방 레일부(312)는, 본체부(21)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상방 레일부(312)는, 본체부(21)의 상단부 근방에서 셔터 부재(3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한다.
셔터 부재(3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판형 부재를, 그 내측 부분[개폐 기구(3)의 내측에 배치되는 공간(S)측]에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셔터 부재(32)는, X선 검사 장치(1)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판형 부재를 배열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셔터 부재(32)의 좌우의 측가장자리부는, 레일 부재(31)에 수용된다. 셔터 부재(32)는, 레일 부재(31)의 형상을 따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부재(32)의 슬라이드 이동은, X선 검사 장치(1)의 조작자(검사자)에 의해 행해진다. 셔터 부재(32)의 내측면에는, 납 또는 텅스텐 합금 등으로 구성되는 실드 시트 부재가 첩부되어 있다. 실드 시트 부재는, X선 검사 시에 있어서의 X선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셔터 부재(32)는, 주름상자 부재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레일 부재(31)의 전방 레일부(311)측에 배치된 셔터 부재(32)의 단부를 전단부(32a)라고 부르고, 후방 레일부(313)측에 배치된 셔터 부재(32)의 단부를 후단부(32b)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셔터 부재(32)의 전단부(32a)를 전방 레일부(311)의 하단부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개폐 기구(3)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폐쇄 상태: 도 1 및 도 3 참조). 한편, 셔터 부재(32)의 후단부(32b)를 후방 레일부(313)의 하단부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개폐 기구(3)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완전 개방 상태: 도 2 및 도 4 참조).
폐쇄 상태에 있어서, 레일 부재(31)의 전방 레일부(311)에 배치된 셔터 부재(32)는, 본체부(21)의 개구부(21a)의 약간 내측에서 본체부(21)의 전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가 되고, 개구부(21a)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한편, 폐쇄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셔터 부재(32)는, 개구부(21a)를 개방해 간다. 개폐 기구(3)는, 케이스(2)[본체부(21)]에 형성된 개구부(21a)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로서 기능한다.
셔터 부재(32)의 전단부(32a)의 근방의 중앙에는, 파지부(32c)가 마련되어 있다. 파지부(32c)는, 셔터 부재(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조작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개폐 기구(3)를 폐쇄할 때는, 파지부(32c)를 잡고 셔터 부재(32)를 끌어내린다. 한편, 개폐 기구(3)를 개방할 때는, 파지부(32c)를 잡고 셔터 부재(32)를 끌어올린다.
셔터 부재(32)의 후단부(32b) 쪽의 중앙에는, 개구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2d)는, X선 투과부의 일례를 구성한다. 개구부(32d)는, 셔터 부재(3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개구부(32d)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5c 참조). 상세에 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32d)는, 개폐 기구(3)가 폐쇄된 상태(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방 레일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개구부(32d)는, 후술하는 조사 장치(4)의 X선 조사구(4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3 참조). 한편, 개구부(32d)는, 개폐 기구(3)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 후방 레일부(3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4 참조).
조사 장치(4) 및 수상 장치(5)는,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사 장치(4)는, 케이스(2)의 조사 장치 수납부(2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상 장치(5)는, 케이스(2)의 수상 장치 수납부(23)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사 장치(4) 및 수상 장치(5)는, 공간(S)에 수용된 검사 대상물(OB)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케이스(2)로 지지된다(도 5b, 도 6b 참조). 조사 장치(4)가 검사 대상물(OB)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고, 수상 장치(5)가 검사 대상물(OB)을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여기서, 조사 장치(4) 및 수상 장치(5)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정면도(각 도 a), 측면도(각 도 b) 및 평면도(각 도 c)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개폐 기구(3)를 폐쇄한 상태(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에 있어서는, 개폐 기구(3)를 개방한 상태(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b 및 도 6b에 있어서는, X선 검사 장치(1)를 우방측에서 본 측면을 나타내고, 설명의 편의상, 셔터 부재(32)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c 및 도 6c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2)의 일부[조사 장치 수납부(22)]를 생략하고, 레일 부재(31) 및 셔터 부재(32)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장치(4)는, 대체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장척체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 장치(4)는, 그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케이스(2)[조사 장치 수납부(22)]에서 지지된다. 조사 장치(4)는, 조사 장치 수납부(22)의 내부 공간(22a) 내에 그 일부가 삽입된다. 조사 장치(4)는, 그 우방측에 배치되는 일단부(4a)가 X선 검사 장치(1)의 우방측으로 돌출하는 한편, 그 좌방측에 배치되는 타단부(4c)가 조사 장치 수납부(22)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장치(4)의 일단부(4a)의 단면에는, 전원 스위치(41), 전원 소켓(42) 및 통신 소켓(43)이 마련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41)는, 일단부(4a)의 단면의 중앙에 배치된다. 전원 스위치(41)는, 조사 장치(4)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전원 소켓(42) 및 통신 소켓(43)은, 전원 스위치(4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소켓(42)은, 조사 장치(4)를 충전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가 삽입 및 발출되는 소켓이다. 통신 소켓(43)은, 조사 장치(4)를 유선으로 조작하는 경우의 통신 플러그가 삽입 및 발출되는 소켓이다. 또한, 이들 전원 플러그나 통신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전원 소켓(42) 및 통신 소켓(43)에는, 보호캡이 장착되어 있다(도 5b 및 도 6b에서는, 보호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사 장치(4)의 일단부(4a) 쪽의 둘레면부에는, 잘록부(4b)가 마련되어 있다(도 5a 및 도 5c 참조). 잘록부(4b)는, 조사 장치(4)의 운반 시나 장착 시 등에 조작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로서 이용된다. 잘록부(4b)를 구성하는 경사면의 일부에는, 지문 리더(44)가 마련되어 있다(도 5a 참조). 지문 리더(44)는, 조사 장치(4)의 조작자의 지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된다. 조작자의 지문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사전에 지문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조작자의 X선 조사지시를 제한하고 있다. 지문 리더(44)는, 조사 장치(4)가 케이스(2)[조사 장치 수납부(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측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문 리더(44)의 근방에는, 한쌍의 LED 램프(45, 46)가 마련되어 있다. LED 램프(45)는, 전원 온 상태와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색을 바꾸어 발광한다. 예컨대, LED 램프(45)는, 전원 온 상태 또는 충전 완료 상태에서는 녹색으로 발광하고, 충전 도중 상태에서는 오렌지색으로 발광한다. LED 램프(46)는, 지문 리더(44)에 의한 인증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색을 바꾸어 발광한다. 예컨대, LED 램프(46)는, 인증 결과가 NG 상태인 경우에 적색으로 발광하고, 인증 결과가 OK 상태인 경우에 녹색으로 발광한다.
조사 장치(4)의 타단부(4c) 쪽의 둘레면부에는, 대체로 원형상을 갖는 X선 조사구(이하, 「조사구」라고 함)(47)가 마련되어 있다(도 5c 참조). 조사구(47)는, 조사 장치(4)가 케이스(2)[조사 장치 수납부(22)]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측[수상 장치(5)측]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사구(47)는, 상면에서 보아, 케이스(2)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다. 개폐 기구(3)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사구(47)는, 셔터 부재(32)에 형성된 개구부(32d)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5c 참조). 한편, 개폐 기구(3)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사구(47)는, 셔터 부재(32)의 일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6c 참조). 이 경우, 조사구(47)에 대향 배치되는 셔터 부재(32)의 일부는, X선의 조사를 규제하는 차폐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사구(47)로부터의 X선의 조사 각도는, 하방측[수상 장치(5)측]을 향하여 40∼5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사구(47)로부터의 조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X선 조사 영역이 지나치게 확대되지 않고, 수상 장치(5)의 수상 패널(51)의 X선 검출 영역에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조사구(47)로부터의 X선의 조사 각도에 대해서는, 수상 장치(5)까지의 거리나 검사 대상물(OB)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조사 장치(4)는, X선 검사 장치(1)와 무선 통신 가능한 외부 단말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조사 장치(4)는, 이 무선 통신부에 의해 외부 단말로부터 X선의 조사 지시(X선 검사 지시)를 수신한다. 외부 단말로부터 X선의 조사 지시를 수신하면, 조사 장치(4)는, 조사구(47)로부터 X선을 조사한다.
수상 장치(5)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재로 구성된다. 수상 장치(5)는, 그 상면[검사 대상물(OB)을 사이에 두고 조사 장치(4)와 대향하는 면]에 X선 수상 패널(이하, 「수상 패널」이라고 함)(51)을 가지고 있다. 수상 장치(5)는, 조사 장치(4)가 조사한 X선으로서, 검사 대상물(OB)을 투과한 X선을 수상 패널(51)에서 수상한다.
수상 장치(5)는, X선 검사 장치(1)와 무선 통신 가능한 외부 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구성이나 장치 자체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컨대 수상 장치(5)에는, X선 화상 정보를 외부 단말과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할 때에 PC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 삽입부나, 전원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전원 소켓 등이 마련된다. 또한, 수상 장치(5)는, 외부 단말로부터 X선의 수상 지시(X선 검사 지시)를 수신하고, 또는 수상한 X선 화상 정보를 외부 단말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갖는다. 수상 장치(5)로부터 무선 통신된 X선 화상 정보는, 외부 단말이 갖는 모니터 등에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X선 검사 장치(1)와 무선 통신 가능한 외부 단말로부터의 X선 검사 지시에 따라 X선의 조사 및 수상을 행하는 한편, 수상한 X선 화상 정보를 외부 단말에 송신한다. 외부 단말에서 이 X선 화상 정보를 표시(또는, 화상 해석하여 표시)함으로써, 검사 대상물(OB)이 위험물이나 불심물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1)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외부 단말로서는, 예컨대 노트 PC나 태블릿을 채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X선 검사 장치(1)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에 있어서, 검사 대상물(OB)에 대하여 X선 검사를 행하는 경우의 양태에 대해서, 도 3∼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X선 검사 장치(1)를 이용하여 X선 검사를 행하는 경우,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부터 셔터 부재(32)가 끌어올려져,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기구(3)가 개방 상태(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개폐 기구(3)가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케이스(2)[본체부(21)]의 개구부(21a)를 통해 공간(S)이 노출된다. 이에 의해, 공간(S) 내의 X선 조사 영역 내에 검사 대상물(OB)을 수용할 수 있다. 검사 대상물(OB)은,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상면에 배치된 납 유리(23c) 상에 배치함으로써, X선 조사 영역 내에 배치된다.
개폐 기구(3)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에는, 셔터 부재(32)에 형성된 개구부(32d)가 배치되어 있다. 폐쇄 상태로부터 셔터 부재(32)가 끌어올려지면,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에는, 셔터 부재(32)의 일부가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가 된다. 개구부(32d)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장치(4)로부터 조사된 X선이 투과하는 최소한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셔터 부재(32)가 끌어올려지면, 그 직후에 조사구(47)의 하방에 셔터 부재(32)의 일부가 대향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32)의 내측면에는, 실드 시트 부재가 첩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 단말에 대한 오류 조작이나 조사 장치(4)의 오동작에 기인하여 X선이 조사되었다고해도, 실드 시트 부재로 규제되기 때문에, 공간(S) 내에 X선이 조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검사 대상물(OB)을 공간(S)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조작자의 일부에 X선이 조사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공간(S) 내에 검사 대상물(OB)이 수용된 후, 셔터 부재(32)가 끌어내려져,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기구(3)가 폐쇄 상태가 된다. 개폐 기구(3)가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에는, 셔터 부재(32)에 형성된 개구부(32d)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외부 단말로부터의 조사 지시에 따라 X선이 조사되면, X선은, 개구부(32d)를 통과(투과)하여 검사 대상물(OB)에 조사된다. 수상 장치(5)는, 검사 대상물(OB)을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수상 장치(5)에서 수상한 X선 화상 정보를 외부 단말에서 표시함으로써, 검사 대상물(OB)이 위험물이나 불심물인지가 판정된다.
X선 검사를 종료한 후, 검사 대상물(OB)을 취출할 때에는, 폐쇄 상태로부터 셔터 부재(32)가 끌어올려져, 개폐 기구(3)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도,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에는, 셔터 부재(32)의 일부가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검사 대상물(OB)을 취출할 때에 있어서도, 외부 단말에 대한 오류 조작이나 조사 장치(4)의 오동작에 기인하여 X선이 조사되었다고 해도, 실드 시트 부재로 규제되기 때문에, 공간(S) 내에 X선이 조사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에 의하면, 케이스(2)[본체부(21)]의 개구부(21a)의 개방 동작에 따라 조사구(47)에 셔터 부재(32)의 일부가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개구부(21a)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X선 조사 영역에 대한 X선의 조사가 확실하게 규제된다. 또한, X선 조사구(47)에 대향 배치함으로써 X선의 조사가 규제되기 때문에, 개폐 기구(3)를 전기적으로 로크하는 것 같은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폐 기구(3)는, 셔터 부재(32)와, 셔터 부재(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레일 부재(31)를 가지고, 셔터 부재(32)의 일부에 의해 공간(S) 내에 대한 X선의 조사를 규제하는 차폐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폐 기구(3)를 구성하는 셔터 부재(32)의 일부에 의해 X선의 조사가 규제되기 때문에, 조사 장치(4)로부터의 X선의 조사를 규제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개구부(21a)의 개방 동작에 따라 간단하게 X선의 조사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32)에는, 케이스(2)의 개구부(21a)가 폐쇄된 경우에 조사구(4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구부(32d)(X선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21a)가 폐쇄 상태가 되면, 조사 장치(4)로부터의 X선의 조사가 허용된다. 이 때문에,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케이스(2) 내의 검사 대상물(OB)에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X선 투과부의 일례로서 개구부(32d)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사 장치(4)로부터 조사되는 X선을 투과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임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1)에 있어서는, 검사 대상물(OB)을 사이에 두고 조사 장치(4)가 상방측에 배치되는 한편, 수상 장치(5)가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일 부재(31)는, 케이스(2)의 전면 근방에서 셔터 부재(32)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방 레일부(311)와, 케이스(2)의 후면 근방에서 셔터 부재(32)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후방 레일부(313)와, 전방 레일부(311)와 후방 레일부(313)를 연결하며, 케이스(2)의 상단부 근방에서 셔터 부재(3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방 레일부(3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개구부(21a)가 폐쇄 상태가 된 경우에, 상방 레일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부(32d)가 조사구(4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사 장치(4)의 근방에서 X선을 검사 대상물(OB)측에 투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32d)의 개구 면적(투과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기구(3)로서, 한쌍의 레일 부재(31) 및 셔터 부재(32)를 구비하고, 레일 부재(31)를 따라 셔터 부재(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개폐 기구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케이스(2)의 일부에 개폐 기구를 편입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0)의 정면도(각 도 a), 측면도(각 도 b) 및 평면도(각 도 c)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개폐 기구를 폐쇄한 상태(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에 있어서는, 개폐 기구를 개방한 상태(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b 및 도 8b에 있어서는, X선 검사 장치(10)를 우방측에서 본 측면을 나타내고, 설명의 편의상, 개폐 기구(6)의 링크 기구(62) 및 차폐판(63)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c 및 도 8c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2)의 일부[조사 장치 수납부(22)]를 생략하고, 개폐 기구(6)의 차폐판(63)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0)는, 케이스(2)의 본체부(21)의 전면에 도어부를 갖는 개폐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기구(6)는, 한쌍의 도어부(61)와, 링크 기구(62)와, 차폐 부재의 일례인 차폐판(6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X선 검사 장치(10)에 있어서, 조작자가 도어부(61)를 개폐함으로써, 그 개폐 동작에 링크 기구(62)가 연동하여, 차폐판(63)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부(61)는, 본체부(21)의 전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어부(61)는, 상측 도어부(61a) 및 하측 도어부(61b)를 가지고 있다. 상측 도어부(61a)는, 그 상단부에서 본체부(21)의 전면의 일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측 도어부(61a)는, 본체부(21)에 고정된 부분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그 하단부가 전방측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측 도어부(61b)는, 그 하단부에서 본체부(21)의 전면의 일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하측 도어부(61b)는, 본체부(21)에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그 상단부가 전방측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측 도어부(61a)는 상방측에 개방하고, 하측 도어부(61b)는 하방측에 개방한다. 이에 의해, 케이스(2)[본체부(2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21a)가 개구한다. 또한, 도어부(61)의 내벽면에는, 납 또는 텅스텐 합금 등으로 구성되는 실드 시트 부재가 첩부되어 있다. 실드 시트 부재는, X선 검사 시에 있어서의 X선의 누설을 방지한다.
하측 도어부(61b)의 전면으로서, 상단부 근방에는, 파지부(61c)가 마련되어 있다. 파지부(61c)는, 조작자가 도어부(61)[하측 도어부(61b)]를 개폐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상측 도어부(61a)의 선단부[개폐 기구(6)가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하단부]에는, 결합편(61d)이 마련되어 있다(도 8b 참조). 결합편(61d)은, 상측 도어부(61a)와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고 있다. 결합편(61d)은, 개폐 기구(6)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하측 도어부(61b)의 내측면측에 배치된다. 결합편(61d)은, 하측 도어부(61b)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상측 도어부(61a)만이 독립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결합편(61d)은, 상측 도어부(61a)와 하측 도어부(61b)의 간극으로부터 X선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링크 기구(62)는, 메인 링크(62a), 상측 링크(62b), 하측 링크(62c) 및 아암(62d)을 가지고 있다. 이들 메인 링크(62a), 상측 링크(62b), 하측 링크(62c) 및 아암(62d)은, 본체부(21)의 좌우의 내벽면 근방에 각각 한쌍씩 배치되어 있다. 이들 메인 링크(62a), 상측 링크(62b), 하측 링크(62c) 및 아암(62d)은, 정면에서 보아 케이스(2)의 중앙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가상 평면에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메인 링크(62a)는, 본체부(21) 내에서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메인 링크(62a)의 상단부는, 본체부(21)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그 하단부는, 본체부(21)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다. 메인 링크(62a)는, 상하 방향의 중앙 근방에서, 본체부(21)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있다. 메인 링크(62a)는, 본체부(21)의 내벽면에 고정된 T자형의 고정 부재(62e)를 통해 본체부(21)의 내벽면에 지지된다. 메인 링크(62a)는, 고정 부재(62e)에 의한 지지점을 지점으로 하여 약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측 링크(62b)는, 상측 도어부(61a)의 배면(내측면)과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하측 링크(62c)는, 하측 도어부(61b)의 배면(내측면)과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아암(62d)은, 본체부(21)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아암(62d)의 후단부는,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아암(62d)의 전단부는, 자유단을 구성하고, 하측 도어부(61b)의 배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아암(62d)의 전단부는, 하측 도어부(61b)의 좌우의 측단부 근방에서 그 배면에 접촉한다.
차폐판(63)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형 부재로 구성된다(도 7c 참조). 차폐판(63)은, 도시하지 않는 레일 기구에 의해, 케이스(2)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차폐판(63)의 하면의 전단부는, 메인 링크(62a)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차폐판(63)은, 메인 링크(62a)의 회전 운동에 따라, 케이스(2)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차폐판(63)은, 도어부(61)가 개방된 상태(개방 상태)에 있어서,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8b 및 도 8c 참조). 한편, 차폐판(63)은, 도어부(61)가 폐쇄된 상태(폐쇄 상태)에 있어서, 조사구(47)보다 전방측의 위치에 배치된다(도 7b 및 도 7c 참조). 차폐판(63)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납 또는 텅스텐 합금 등으로 구성되는 실드 시트 부재가 첩부되어 있다. 실드 시트 부재는, X선 검사 시에 있어서의 X선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0)에 있어서, 검사 대상물(OB)에 대하여 X선 검사를 행하는 경우의 양태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X선 검사 장치(10)를 이용하여 X선 검사를 행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부(61)가 개방된다. 이 경우, 도어부(61)는, 파지부(61c)를 이용하여 하측 도어부(61b)가 개방된 후, 상측 도어부(61a)가 개방된다. 도어부(61)가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케이스(2)[본체부(21)] 내의 공간(S)가 노출된다. 이에 의해, 공간(S) 내의 X선 조사 영역 내에 검사 대상물(OB)을 수용할 수 있다. 검사 대상물(OB)은,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상면에 배치된 납 유리(23c) 상에 배치함으로써, X선 조사 영역 내에 배치된다.
폐쇄 상태로부터 상측 도어부(61a), 하측 도어부(61b)가 개방되면, 그 개방 동작에 따라 상측 링크(62b) 및 하측 링크(62c)가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들 상측 링크(62b) 및 하측 링크(62c)의 전방 이동에 따라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가 전방측으로 인출된다.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의 전방 이동에 따라, 아암(62d)이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메인 링크(62a)가 고정 부재(62e)의 지지점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메인 링크(62a)의 상단부에 고정된 차폐판(63)이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차폐판(63)은,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 일부가 조사구(47)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판(63)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실드 시트 부재가 첩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 단말에 대한 오류 조작이나 조사 장치(4)의 오동작에 기인하여 X선이 조사되었다고 해도, 실드 시트 부재로 규제되기 때문에, 공간(S) 내에 X선이 조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검사 대상물(OB)을 공간(S)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조작자의 일부에 X선이 조사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공간(S) 내에 검사 대상물(OB)이 수용된 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부(61)가 폐쇄되고, 본체부(21)가 폐쇄 상태가 된다. 개방 상태로부터 상측 도어부(61a), 하측 도어부(61b)가 폐쇄되면, 그 폐쇄 동작에 따라 상측 링크(62b) 및 하측 링크(62c)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들 상측 링크(62b) 및 하측 링크(62c)의 후방 이동에 따라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가 후방측에 압입된다. 메인 링크(62a)의 하단부의 후방 이동에 따라, 아암(62d)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메인 링크(62a)가 고정 부재(62e)의 지지점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메인 링크(62a)의 상단부에 고정된 차폐판(63)이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차폐판(63)은,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조사구(47)로부터 후퇴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외부 단말로부터의 조사 지시에 따라 X선이 조사되면, X선은, 검사 대상물(OB)에 조사된다. 수상 장치(5)는, 검사 대상물(OB)을 투과한 X선을 수상한다. 수상 장치(5)에서 수상한 X선 화상 정보를 외부 단말에서 표시함으로써, 검사 대상물(OB)이 위험물이나 불심물인지가 판정된다.
X선 검사를 종료한 후, 검사 대상물(OB)을 취출할 때에는,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부(61)가 개방된다. 이 경우에도, 조사 장치(4)의 조사구(47)의 하방에는, 차폐판(63)의 일부가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검사 대상물(OB)을 취출할 때에 있어서도, 외부 단말에 대한 오류 조작이나 조사 장치(4)의 오동작에 기인하여 X선이 조사되었다고 해도, 실드 시트 부재로 규제되기 때문에, 공간(S) 내에 X선이 조사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0)에 의하면, 도어부(61)에 의한 케이스(2)[본체부(21)]의 개구부(21a)의 개방 동작에 따라 X선 조사구(47)에 차폐판(63)의 일부가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개구부(21a)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X선 조사 영역에 대한 X선의 조사가 확실하게 규제된다. 또한, X선 조사구(47)에 대향 배치함으로써 X선의 조사가 규제되기 때문에, 개폐 기구(6)[도어부(61)]를 전기적으로 로크하는 것 같은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폐 기구(6)는, 케이스(2)[본체부(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부(61)와, 도어부(61)에 일단이 연결된 링크 기구(62)와, 링크 기구(62)의 타단에 연결된 차폐판(63)을 가지고, 차폐판(63)의 일부에 의해 공간(S) 내에 대한 X선의 조사를 규제하는 차폐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크 기구(62)를 통해 도어부(61)에 연결된 차폐판(63)의 일부에 의해 차폐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개구부(21a)의 개방 동작에 따라 간단하게 X선의 조사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에 있어서, 공간(S) 내에 수용된 검사 대상물(OB)을 장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은, 적정한 X선 검사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1)의 정면도(도 9a) 및 배면도(도 9b)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3과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1)는, 케이스(2)[본체부(21)]의 후면의 일부에 유리면부(21b)가 마련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와 상이하다.
유리면부(21b)는, 본체부(21)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납 유리를 끼워넣음으로써 구성된다. 유리면부(21b)는, 본체부(21)의 후면의 하방측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면부(21b)는, X선 검사 장치(11)의 후방측에서 보아, 공간(S) 내에 수용된 검사 대상물(O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21) 내의 검사 대상물(OB)에 대응하는 일부에 유리면부(21b)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케이스(2) 내에 검사 대상물(OB)을 수용하는 작업이나, X선 검사 중의 검사 대상물(OB)의 모습을 시인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검사 대상물(OB)의 소유자에게 있어서의 X선 검사 시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유리면부(21b)를 본체부(21)의 후면에 마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면부(21b)의 배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케이스(2)[본체부(21)]의 외면[예컨대, 측면]의 일부에 유리면부(21b)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에 있어서, 가반성(운반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구성을 추가하는 것은, 조기의 X선 검사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2)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3과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2)는, 케이스(2)[본체부(21)]의 후면의 하단부에 운반용의 차륜(21c)이 마련되는 점과, 케이스(2)[본체부(21)]의 후면에 핸들부(21d)가 마련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와 상이하다.
차륜(21c)은, 케이스(2)[수상 장치 수납부(23)]의 후면의 하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차륜(21c)의 후방측의 외주면의 일부는,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후면보다 외측(후방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차륜(21c)의 하방측의 외주면의 일부는, 수상 장치 수납부(23)의 하면보다 내측(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륜(21c)을 배치함으로써, 케이스(2)의 상측부를 후방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차륜(21c)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X선 검사 장치(12)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차륜(21c)의 하방측의 일부를, 케이스(2)의 하면보다 내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울인 상태로부터 케이스(2)를 되돌렸을 때에 차륜(21c)이 X선 검사 장치(12)의 설치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X선 검사 장치(12)를 안정적으로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다.
핸들부(21d)는, 케이스(2)[본체부(21)]의 후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핸들부(21d)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핸들부(21d)는, 차륜(21c)을 이용한 X선 검사 장치(12)의 운반 시에 늘려 이용된다(도 10a). 이와 같이 핸들부(21d)를 마련함으로써, 케이스(2)를 간단하게 후방측으로 기울이며, 차륜(21c)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X선 검사 장치(12)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케이스(2)의 후면에 차륜(21c) 및 핸들부(21d)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구성 요소의 배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X선 검사 장치(12)의 가반성을 높이는 것을 전제로 하여, 차륜(21c) 및 핸들부(21d)는, 케이스(2)의 어느 쪽의 방향에 배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케이스(2)[수상 장치 수납부(23)]의 전면의 하단부에 차륜(21c)을 마련하고, 케이스(2)[본체부(21)]의 전면에 신축 가능한 핸들부(21d)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X선 검사 장치는,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조작자의 신체의 일부에 대한 X선의 조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위험물이나 불심물의 우려가 있는 검사 대상물(OB)의 검사에 적합하다.
본 출원은 2018년 7월 17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33848호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한다.

Claims (8)

  1. 검사 대상물에 X선을 조사(照射)하는 X선 조사 장치와,
    상기 검사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상(受像)하는 X선 수상 장치와,
    상기 검사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X선 조사 장치 및 X선 수상 장치를 지지하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개구부의 개방 동작에 따라 상기 X선 조사 장치의 X선 조사구에 대향 배치되는 차폐부를 갖는 것인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셔터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레일 부재를 가지고, 상기 셔터 부재의 일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개구부가 폐쇄된 경우에 상기 X선 조사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X선 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X선 조사 장치가 상방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X선 수상 장치가 하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 근방에서 상기 셔터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방 레일부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 근방에서 상기 셔터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후방 레일부와, 상기 전방 레일부와 상기 후방 레일부를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근방에서 상기 셔터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방 레일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가 폐쇄된 경우에, 상기 상방 레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X선 투과부가 상기 X선 조사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검사 대상물에 대응하는 일부에 유리면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의 하단부에 운반용의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일부를, 그 차륜이 마련된 상기 케이스의 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한편, 상기 차륜의 하방측의 일부를 상기 케이스의 하면보다 내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이 마련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핸들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07018566A 2018-07-17 2019-01-16 X선 검사 장치 KR102390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3848 2018-07-17
JPJP-P-2018-133848 2018-07-17
PCT/JP2019/001133 WO2020017076A1 (ja) 2018-07-17 2019-01-16 X線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562A KR20200096562A (ko) 2020-08-12
KR102390721B1 true KR102390721B1 (ko) 2022-04-26

Family

ID=6916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566A KR102390721B1 (ko) 2018-07-17 2019-01-16 X선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5514B2 (ko)
KR (1) KR102390721B1 (ko)
WO (1) WO2020017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5898B2 (ja) * 2020-12-02 2024-01-1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934A (ja) 2007-09-20 2009-04-09 Miura Sensor Laboratory Inc 試料分析装置
JP2010212072A (ja) * 2009-03-10 2010-09-24 Shimadzu Corp X線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US20160341847A1 (en) * 2012-07-16 2016-11-24 Rapiscan Systems, Inc. Ultra-Portable People Scree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611B2 (ja) * 1995-11-17 2005-05-11 株式会社リガク X線装置用ケーシング
JP3500249B2 (ja) 1996-06-26 2004-02-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手荷物検査x線装置
JP4064381B2 (ja) * 2004-07-29 2008-03-19 アンリツ産機システム株式会社 X線異物検出装置
US7358733B2 (en) * 2006-02-28 2008-04-15 Ge Security, Inc. High performance security inspection system with physically isolated detection sensors
JP5809951B2 (ja) * 2011-12-09 2015-11-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X線検査装置
JP6509966B2 (ja) * 2016-11-02 2019-05-08 アンリツインフィビス株式会社 X線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934A (ja) 2007-09-20 2009-04-09 Miura Sensor Laboratory Inc 試料分析装置
JP2010212072A (ja) * 2009-03-10 2010-09-24 Shimadzu Corp X線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US20160341847A1 (en) * 2012-07-16 2016-11-24 Rapiscan Systems, Inc. Ultra-Portable People Scree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076A1 (ja) 2020-01-23
JPWO2020017076A1 (ja) 2021-01-07
KR20200096562A (ko) 2020-08-12
JP6885514B2 (ja)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7675B1 (en) Laser safety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rotective device
US97607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pieces of flight baggage
CN105675640B (zh) 荧光x射线分析装置
US6580778B2 (en) Inspection device
US9277895B2 (en) X-ray CT apparatus
KR102390721B1 (ko) X선 검사 장치
US8834022B2 (en) Radiation cassette carrier and portable radiation imaging apparatus
WO2009155774A1 (zh) 一种人员安全检查系统
CN101034071B (zh) 中位直射式双能量x射线人体内外藏物检查系统
KR101773586B1 (ko) 시설물의 조사측정이 용이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GB2221952A (en) Operating cab: movable, lockable front window
CN111200963A (zh) 内窥镜用光源装置
KR20110058496A (ko) 소형의 실험용 동물의 촬영을 위한 엑스선 검사 장치
JP3926510B2 (ja) 蛍光x線分析計
KR102255474B1 (ko) 도어 개폐장치
JP3236674U (ja) X線検査装置
KR101941481B1 (ko) 전장박스 도어의 인터록 장치
KR20110137137A (ko) 디지털 도어락
WO2021090908A1 (ja) レーザ分析装置
JP5875663B2 (ja) 放射線用カセッテキャリアおよび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
WO2017056174A1 (ja) 分析装置
JP6276141B2 (ja) 放射線分析装置
JP5240258B2 (ja) X線分析装置
JP3138602U (ja) X線分析装置
WO2021124421A1 (ja) ベルト用x線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