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471A - 엑스레이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레이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471A
KR20140045471A KR1020140023522A KR20140023522A KR20140045471A KR 20140045471 A KR20140045471 A KR 20140045471A KR 1020140023522 A KR1020140023522 A KR 1020140023522A KR 20140023522 A KR20140023522 A KR 20140023522A KR 20140045471 A KR20140045471 A KR 20140045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photographing
unit
high voltage
mani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남
김현선
신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471A/ko
Publication of KR2014004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탈착 가능한 조작패널을 구비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를 개시한다.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투사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장착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장치가 제어되도록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엑스레이촬영장치{RADIOGRAPHIC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레이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한 조작패널을 구비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인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검사에 이용된다.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인체의 두부, 흉부 등의 촬영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고 투과되는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촬영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X-RAY TUBE)와,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High Voltage Generator),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등의 기구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엑스레이촬영장치는 검사자가 이들 장치의 제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장치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조작장치는 엑스레이촬영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패널(panel)의 형태로 마련된다.
조작장치는 엑스레이촬영장치를 구성하는 기구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검사자가 조작장치를 조작하려면 조작장치가 장착된 기구에 접근해야만 한다.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조작장치가 고정 장착된 기구가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구의 이동 결과 조작장치가 검사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되거나 검사자의 조작이 어려운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탈착 가능한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조사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장착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장치가 제어되도록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는 IR(Infra-Red)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무선 USB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엑스레이조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엑스레이조사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고전압의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high voltage generator)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설정값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고전압의 전원을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고전압의 전원이 발생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는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조사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검사자에게 상기 촬영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가 상기 촬영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마련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장치는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무선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연결부는 IR 모듈,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무선 USB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는 검사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와, 검사자로부터 조작을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의 터치에 반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이동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수치를 설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전압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발생을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고전압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를 인증하도록 마련되는 검사자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조작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공급부와, 유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장치와 연결되는 유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상기 유선연결부는 시리얼통신모듈, USB모듈, IEEE1394모듈, LAN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유선연결부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조작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조작장치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장착홈과, 상기 조작장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장치는 촬영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촬영장치의 기구들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위치의 제약을 받지 않고 촬영장치의 기구들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탈착 가능한 조작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조작장치와 도킹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조작장치의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조작장치와 도킹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작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엑스레이촬영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가이드레일이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엑스레이촬영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촬영장치(1)는 복수 개의 기구들을 포함하는 촬영장치(2)와, 촬영장치(2)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를 구비한다.
촬영장치(2)는 피검사체에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와,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전원을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공급하는 고전압발생장치(20)와, 피검사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수신하는 엑스레이디텍터(91a,92a)를 각각 구비하는 촬영스탠드(91) 및 촬영테이블(92)과, 엑스레이조사장치(10)의 엑스레이 조사 위치 및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장치를 구비한다.
이동장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과,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캐리지(40)와, 이동캐리지(40)와 엑스레이조사장치(10)를 연결하는 포스트프레임(50)과, 가이드레일(30)과 이동캐리지(40)와 포스트프레임(5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70)를 구비한다.
가이드레일(30)은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31)과 제2가이드레일(32)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31)과 제2가이드레일(3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31)은 엑스레이촬영장치(1)가 위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레일(32)은 제1가이드레일(3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레일(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레일(31)에는 제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3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40)는 제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레일(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40)에는 제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되고 이동캐리지(40)의 하측에 위치된다. 포스트프레임(50)은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포스트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포스트가 서로 절첩됨으로써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엑스레이조사장치(10)는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조사한다. 엑스레이조사장치(10)는 엑스레이를 발생시키는 엑스레이튜브(11)와, 발생되는 엑스레이를 피검사체를 향하여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12)를 포함한다.
고전압발생장치(20)는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전원을 발생시킨다. 고전압발생장치(2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연결되어 고전압발생장치(20)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의 전원은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공급된다.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고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엑스레이튜브(11)에서는 열전자의 충돌에 의하여 엑스레이가 발생하고, 발생된 엑스레이는 콜리메이터(12)를 통하여 피검사체에 조사된다.
엑스레이조사장치(10)와 포스트프레임(5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60)가 배치된다. 회전조인트(6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와 포스트프레임(50)을 연결하고, 엑스레이조사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한다. 회전조인트(60)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와 연결되는 제1회전조인트(61)와, 엑스레이조사장치(10)와 연결되는 제2회전조인트(62)를 구비한다.
제2회전조인트(62)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1회전조인트(61)는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프레임(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동장치(7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장치(70)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70)는 제2가이드레일(32)과 포스트프레임(50)과 회전조인트(6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구동장치(70)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레일(32)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는 제1가이드레일(3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4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는 제2가이드레일(3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구동장치는 이동캐리지(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엑스레이조사장치(10)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는 회전조인트(6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7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를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는 검사자가 파지하도록 이동손잡이(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손잡이(8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고정되고, 검사자는 이동손잡이(80)를 파지하여 힘 또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엑스레이조사장치(1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3)는 촬영장치(2)의 기구들과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한다. 제어장치(3)는 각각의 기구들과 유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3)는 구동장치(70)에 연결되어 엑스레이조사장치(1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장치(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는 고전압발생장치(20)에 연결되어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이 발생되도록 고전압발생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검사자는 촬영장치(2)의 기구들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이들 기구들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엑스레이촬영장치(1)는 촬영장치(2)의 제어에 필요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는 조작장치를 구비한다. 조작장치는 촬영장치(2)의 기구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3)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조작장치는 촬영장치(2)의 기구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데, 검사실에서의 검사자의 동선을 고려할 때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조작장치가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고정 장착되면 엑스레이조사장치(10)의 위치가 변경될 때 조작장치의 위치도 함께 변경되기 때문에, 조작장치가 검사자의 손에 닿지 않거나 조작자가 조작을 입력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엑스레이촬영장치(1)는 탈착 가능하고 촬영장치(2)와 분리된 상태에서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어장치(3)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조작장치를 구비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탈착 가능한 조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는 일 면이 개방된 케이스(101)와, 케이스(101)의 개방된 일 면에 배치되는 조작패널(102)을 구비한다.
조작패널(102)은 도 1에 도시된 촬영장치(2)의 기구들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검사자의 터치에 반응하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의 입력은 터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장치(100)는 태블릿PC 등의 모바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장치(20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조작장치(100)는 도킹장치(200)에 고정 장착된다. 도킹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3)에 연결된다. 도킹장치(200)는 조작장치(100)가 안착되도록 조작장치(10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장착홈(201)과, 조작장치(100)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돌기(202)를 구비한다.
조작장치(100)는 도킹장치(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킹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조작장치(100)는 유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킹장치(200)와 연결된다.
조작장치(100)는 도킹장치(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조작장치(100)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킹장치(200)와 연결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고 기구들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장치(100)와 도킹장치(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조작장치와 도킹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조작장치의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는 기구들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120)와, 도킹장치(200)와 분리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30)와, 도킹장치(200)와 연결되는 제1유선연결부(140) 및 제1무선연결부(150)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킹장치(200)는 조작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작장치(100)의 배터리부(130)를 충전하는 전원공급부(210)와, 조작장치(100)와 연결되는 제2유선연결부(220) 및 제2무선연결부(230)를 구비한다.
표시부(110)는 촬영장치(2)의 기구들의 상태 및 설정값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촬영장치(2)의 기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20)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조작장치(100)가 도킹장치(200)에 장착되면 제1유선연결부(140)는 도킹장치(200)의 제2유선연결부(220)와 연결된다. 제1유선연결부(140)와 제2유선연결부(220)가 연결되면 조작장치(100)와 도킹장치(200)는 유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촬영장치(2)의 제어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유선인터페이스는 RS232, RS422, RS485 등의 시리얼통신, USB, IEEE1394, L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유선인터페이스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통신모듈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장치(100)가 도킹장치(200)에 장착되면 조작장치(100)의 배터리부(130)는 도킹장치(200)의 전원공급부(210)에 연결된다. 배터리부(130)는 전원공급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배터리부(130)의 충전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의한다.
조작장치(100)의 제1유선연결부(140)와 도킹장치(200)의 제2유선연결부(220)는 서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장치(100)의 배터리부(130)와 도킹장치(200)의 전원공급부(210)는 서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작장치(100)의 제1유선연결부(140)와 배터리부(130)는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커넥터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킹장치(200)의 제2유선연결부(220)와 전원공급부(210) 역시 하나의 커넥터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장치(100)가 도킹장치(200)로부터 분리되면 조작장치(100)는 배터리부(130)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조작장치(100)의 제1무선연결부(150)는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장치(200)의 제2무선연결부(230)에 연결된다. 제1무선연결부(150)와 제2무선연결부(230)가 연결되면 조작장치(100)와 도킹장치(200)는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촬영장치(2)의 제어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인터페이스는 IR(Infra-Red)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무선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인터페이스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무선연결부(230)가 도킹장치(200)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무선연결부(230)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장치로 마련되거나 제어장치(3)의 일부로써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0)는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이동조작부(121)와,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수치를 설정할 수 있는 고전압설정부(122)와, 고전압의 전원이 발생되도록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고전압발생부(123)와, 검사자를 인증하는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검사자인증부(124)를 구비한다.
이동조작부(121)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이 이동되도록 구동장치(70)의 제어에 필요한 조작을 입력받는다. 검사자는 구동장치(7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이동조작부(121)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검사자는 이동조작부(121)에 자주 사용되는 엑스레이 조사 위치 및 방향을 매크로(macro)로 설정하고, 단 한 번의 입력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로 엑스레이조사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전압설정부(122)는 고전압발생장치(20)의 고전압 수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고전압발생부(123)는 고전압발생장치(20)가 고전압의 전원을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공급하도록 고전압발생장치(20)의 제어에 필요한 조작을 입력받는다. 조작장치(100)는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장치(200)와 연결되기 때문에 검사자는 방사선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검사실 외부에서 고전압발생장치(20)의 제어를 조작할 수 있다.
검사자인증부(124)는 검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엑스레이촬영을 할 때, 또는 조작장치(100)를 도킹장치(200)에 장착하거나 도킹장치(200)에서 분리할 때 검사자는 검사자인증부(124)에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엑스레이촬영이 인증되지 않은 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장치에서 조작장치와 도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장치(300)는 조작장치(100)가 장착되는 장착부(310)와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20)를 구비한다.
회전부(320)는 엑스레이조사장치(10)에 마련되는 회전홈(13)에 결합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회전돌기와 회전홈(13)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310)는 조작장치(100)가 장착되도록 조작장치(100)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장착홈(311)과, 조작장치(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312)를 구비한다. 조작장치(100)는 장착홈(311)에 장착됨으로써 도킹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작장치(100)가 도킹장치(300)에 장착되면 조작장치는 도킹장치(300)와 함께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조작장치(100)를 입력이 용이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1 : 엑스레이촬영장치 2 : 촬영장치
3 : 제어장치 10 : 엑스레이조사장치
20 : 고전압발생장치 70 : 구동장치
100 : 조작장치 110 : 표시부
120 : 입력부 130 : 배터리부
140 : 제1유선연결부 150 : 재1무선연결부
200 : 도킹장치 210 : 전원공급부
220 : 제2유선연결부 230 : 제2무선연결부

Claims (22)

  1. 엑스레이(x-ray)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투사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장착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장치가 제어되도록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는 IR(Infra-Red)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무선 USB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엑스레이조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엑스레이조사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고전압의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high voltage generator)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설정값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고전압의 전원을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고전압의 전원이 발생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7. 엑스레이를 발생시키고 상기 엑스레이를 피검사체에 투사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상기 촬영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검사자의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검사자에게 상기 촬영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조작장치;
    상기 조작장치가 상기 촬영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마련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무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결부는 IR 모듈,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무선 USB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검사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와, 검사자로부터 조작을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의 터치에 반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레이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수치를 설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전압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레이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의 발생을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고전압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를 인증하도록 마련되는 검사자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조작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공급부와, 유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장치와 연결되는 유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연결부는 시리얼통신모듈, USB모듈, IEEE1394모듈, LAN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유선연결부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조작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조작장치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장착홈과, 상기 조작장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장치.
KR1020140023522A 2014-02-27 2014-02-27 엑스레이촬영장치 KR20140045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522A KR20140045471A (ko) 2014-02-27 2014-02-27 엑스레이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522A KR20140045471A (ko) 2014-02-27 2014-02-27 엑스레이촬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243A Division KR20120093590A (ko) 2011-02-15 2011-02-15 엑스레이촬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118A Division KR101778545B1 (ko) 2017-01-09 2017-01-09 엑스레이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471A true KR20140045471A (ko) 2014-04-16

Family

ID=5065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522A KR20140045471A (ko) 2014-02-27 2014-02-27 엑스레이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53A1 (ko) * 2015-03-04 2016-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의료 영상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23204367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레메디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선 발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53A1 (ko) * 2015-03-04 2016-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의료 영상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23204367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레메디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선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3590A (ko) 엑스레이촬영장치
KR101417780B1 (ko) 엑스레이촬영시스템 및 그 이동 방법
US9055912B2 (en) Supporting device and intra-operative imaging device having the supporting device
US8662750B2 (en) Medical examination device for CT imaging and for nuclear medical imaging
KR101332019B1 (ko)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WO2013146945A1 (ja) 粒子線の遠隔多門照射装置
CN111744117B (zh) 患者输送台车、粒子束照射系统及其工作方法
US20180184994A1 (en) Medical device
KR101778545B1 (ko) 엑스레이촬영장치
KR20140045471A (ko) 엑스레이촬영장치
KR102429693B1 (ko) 이동식 엑스선 영상장치
CN106110520B (zh) 放射治疗模拟机
KR20070002584A (ko) 엑스선 촬영장치
CN108042929A (zh) 术中放射治疗装置
US11006913B2 (en) X-ray imaging apparatus
JP5829162B2 (ja) X線撮影装置
KR20240067789A (ko)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가이드 램프 시스템
KR101460535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KR20160072904A (ko) X선 촬영장치
US104927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diagnostic device
KR101662692B1 (ko) 엑스레이촬영시스템 및 그 이동 방법
KR101474926B1 (ko) 엑스선 촬영장치
CN203506732U (zh) 移动型x射线诊断装置
JP7218860B2 (ja) 医用装置、医療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756803B1 (en) X-Ray im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