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173B1 -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173B1
KR102256173B1 KR1020210015696A KR20210015696A KR102256173B1 KR 102256173 B1 KR102256173 B1 KR 102256173B1 KR 1020210015696 A KR1020210015696 A KR 1020210015696A KR 20210015696 A KR20210015696 A KR 20210015696A KR 102256173 B1 KR102256173 B1 KR 10225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eismic
insulation
reinforc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홍수
Original Assignee
(주)수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이엔씨 filed Critical (주)수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1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성능이 부족한 기존 건물구조체에 신규의 내진보강구조체를 합성하고,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 단열부재를 더 설치하여 내진성능과 단열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진성능, 단열성, 시공성을 동시에 최적화한 내진보강 단열구조와 그 바람직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는, 기존 건물구조체에 신규의 보강구조체를 합성하여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서, 기존 건물구조체에 정착 시공되되 수직보강부재 사이가 수평보강부재로 연결되는 내진보강구조로 시공되는 보강구조체; 보강구조체에서 수직보강부재와 수평보강부재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 보강구조체와 단열부재의 접속 위치에 설치되는 L형 단면의 앵글부재로 제1플랜지는 상기 보강구조체에 고정 설치되고 제2플랜지는 상기 단열부재가 안착되게 설치되는 접속앵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Seismic and Thermal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진 성능이 부족한 기존 건물구조체에 신규의 내진보강구조체를 합성하고,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 단열부재를 더 설치하여 내진성능과 단열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진성능, 단열성, 시공성을 동시에 최적화한 내진보강 단열구조와 그 바람직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설계에는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내진설계가 요구되며, 우리나라도 1988년에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을 제정하고 이후 몇 차례의 「건축법」 개정을 통해 현재의 기준에 이르고 있다. 내진설계기준이 제정된 1989년 이전에 준공된 건축물의 경우 내진성능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내진보강이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을 내진보강하는 방법으로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물구조체에 철골프레임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기존 건물구조체와 철골프레임을 일체화함으로써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시공이 복잡하고 만족할 만한 내진성능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지적되었는데,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철골프레임 대신에 CFT구조를 적용한 기술이 개발되어 특허 제10-1670633호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은 특허 제10-1670633호에 따른 내진보강구조를 보여주는데, 특허 제10-1670633호는 기존 건물구조체에 일체화 시공되는 내진 보강구조체를 CFT(Concrete filled Tube)기둥과, CFT기둥 사이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철골보, CFT기둥 사이를 하부에서 연결하는 RC기초로 구성하는 기술로, 용접없이 앵커볼트 등으로 볼트접합하여 시공 편의를 도모한 기술이 된다.
한편 기존 건물은 내진보강 외에도 단열보강도 필요하다. 왜냐하면 기존 건물은 단열기준 및 시공의 정밀도가 현재보다 낮은 수준으로 시공되었고,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단열자재의 내구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진보강과 단열보강을 동시에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시공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670633 B1
본 발명은 내진보강과 단열보강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것으로, 기존 건물구조체에 신규의 보강구조체를 결합하고, 여기에 단열부재를 더 설치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과 그 바람직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의 보강구조체를 시공하면서 단열부재를 설치할 때 단열부재의 다양한 두께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시공오차를 흡수하면서 단열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 건물구조체에 신규의 보강구조체를 합성하여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서, 기존 건물구조체에 정착 시공되되 수직보강부재 사이가 수평보강부재로 연결되는 내진보강구조로 시공되는 보강구조체; 보강구조체에서 수직보강부재와 수평보강부재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 보강구조체와 단열부재의 접속 위치에 설치되는 L형 단면의 앵글부재로 제1플랜지는 상기 보강구조체에 고정 설치되고 제2플랜지는 상기 단열부재가 안착되게 설치되는 접속앵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를 바람직하게 시공하는 방법으로, 기존 건물구조체에, 수직보강부재 사이를 수평보강부재로 연결하면서 내진보강구조의 보강구조체를 정착 시공하는 제1단계; 제2플랜지를 기존 건물구조체에서 이격하게 대면하도록 위치시키고 제1플랜지를 보강구조체에 맞대어 고정하면서 접속앵글을 설치하는 제2단계; 보강구조체의 수직보강부재와 수평보강부재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기존 건물구조체에 대면시키면서 단열부재를 설치하되, 단열부재를 기존 건물구조체와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 사이에 끼우면서 설치하는 제3단계;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에 맞대어 고정하고 보강구조체 및 단열부재에 대면하게 위치시키면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제4단계;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면서 마감패널을 설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기존 건물구조체에 신규의 보강구조체를 합성하여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서 단열부재를 더 설치하기 때문에, 내진보강과 단열보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단열부재를 볼트 체결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간편한 작업으로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를 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볼트 체결구멍을 슬릿 형태로 마련하여 볼트 체결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부재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고 또한 시공오차를 흡수하면서 단열부재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내진보강과 단열보강을 최적화하여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제10-1670633호에 개시된 내진보강구조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에서 접속앵글의 설치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의 단면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건물구조체(ES)에 신규의 보강구조체(100)를 합성하여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서, 보강구조체(10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접속앵글(300)을 이용하여 단열부재(200)를 더 설치하고 내진보강과 함께 단열보강을 구현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는, 기존 건물구조체(ES)에 정착 시공되며 수직보강부재(120) 사이가 수평보강부재(110, 130)로 연결되는 내진보강구조로 시공되는 보강구조체(100); 보강구조체(100)에서 수직보강부재(120)와 수평보강부재(110, 13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200); 보강구조체(100)와 단열부재(200)의 접속 위치에 설치되는 L형 단면의 앵글부재로, 제1플랜지(310)는 보강구조체(100)에 고정 설치되고 제2플랜지(320)는 단열부재(200)가 안착되게 설치되는 접속앵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L형 단면의 접속앵글(300)을 보강구조체의 수직보강부재(120) 및/또는 수평보강부재(110, 130)에 고정 설치하고, L형 단면의 접속앵글(300) 내측(건물 방향쪽)으로 단열부재(200)를 안착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L형 접속앵글(300)을 고정 설치하기만 하면 보강구조체(10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단열부재(2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내진보강과 함께 단열보강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 보강구조체(100)는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내진보강구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수직보강부재(120)를 박스강관(121) 내부에 콘크리트(125)가 충전되는 CFT구조로 시공하고, CFT구조에 의한 수직보강부재(120) 사이를 상부의 철골보(120)와 하부의 RC기초(110)로 연결되도록 시공한다. 수직보강부재(120) 사의 수평보강부재도 CFT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직보강부재(120)를 CFT구조로 시공하면 접속앵글(300)의 고정 설치가 더욱 간편해진다. CFT구조의 박스강관(121)에 접속앵글(300)을 용접하거나 볼트접합하면 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현장작업이 용이한 볼트접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는데, 이를 위해 박스강관(121) 내부에는 미리 인서트너트부(12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인서트너스부(122)는 수직보강부재(210)에 형성된 관통홀과 수직보강부재(210) 내측면에 설치된 인서트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인서트너트부(122)의 인서트너트로서 팝너트를 이용하면 박스강관에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박스강관(121)에 인서트너트를 고정한 후에 박스강관(121) 내부에 콘크리트(125)를 충전하면 CFT구조의 수직보강부재(120)가 된다. 팝너트 외에도 사전에 박스강관 내측에 너트를 고정설치하고 콘크리트가 너트 내부에 충진되지 않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인서트너트부(1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수직보강부재는 CFT구조가 아닌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거푸집 내부에 인서트너트를 설치함으로써 거푸집 해체시 인서트너트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직보강부재(120)에 접속앵글의 제1플랜지(310)를 맞대고 인서트너트부(122)에 체결볼트(312)를 체결하면 접속앵글(300)이 수직보강부재(120)에 고정 설치된다.
단열부재(200)는 보강구조체(10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데, 기존 건물구조체(ES)의 표면에 접하거나 이격되게 설치되어 기존 건물구조체(ES)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단열부재(200)는 통상의 단열부재를 그대로 적용하면서 시공현장과 작업상황에 맞게 적절한 크기로 준비하여 설치한다(도 2 참조). 도 2에서는 여러 조각으로 구분된 단열부재를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일체로 된 판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접속앵글(300)이 보강구조체(10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열부재(200)는 접속앵글의 L형 단면 내주면에 옆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단열부재(200)가 설치된 후에는, 마감패널(500)을 더 설치하여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감패널(50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지지프레임(400)을 이용한다. 지지프레임(400)은 수직바(410)와 수평바(420)로 짜여진 프레임일 수 있므며, 각관 또는 L형 앵글 등의 경량철골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00)은 단열부재(200)가 안착된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에 맞대어 고정하면서 전체적으로 단열부재(200)에 대면하게 설치된다. 지지프레임(400)은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에 체결볼트(322)와 체결너트(323)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 내측에는 돌출편(430)이 복수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는데, 돌출편(430)은 지지프레임(400) 내측에 위치한 단열부재(200)를 지지한다. 즉, 단열부재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아래에서 지지하거나 단열부재가 옆으로 기울지 않도록 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개구부 위치나 단열부재 상호 간 이음위치에서 돌출편(430)으로 단열부재(200)를 받침 지지하게 하여 단열부재(200)의 처짐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지프레임(400)에는 피스 고정 등의 방법으로 마감패널(50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00)과 마감패널(500)은 도 3에서와 같이 보강구조체(100)의 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에서 접속앵글(300)의 설치상세도이다. 접속앵글(300)은 제1플랜지의 제1볼트설치부(311)가 슬릿(관통된 개구부로서 일정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 또는 슬릿홈(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홈으로서 일정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아가 제2플랜지의 제2볼트설치부(321)가 슬릿 또는 슬릿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플랜지의 제1볼트설치부(311)가 슬릿홈으로 형성되면서 제2플랜지의 제2볼트설치부(321)가 슬릿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슬릿 또는 슬릿홈 형태의 볼트설치부(제1볼트설치부(311), 제2볼트설치부(321))는 체결볼트(312, 322)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기존 구조체의 수직 시공오차, 또는 신설 구조체의 수직/수평 시공오차 대응 등)할 수 있게 해준다. 접속앵글(300)은 제1플랜지의 제1볼트설치부(311)를 통해 체결볼트(312)가 보강구조체의 인서트너트부(122)에 체결됨으로써 보강구조체(100)에 고정 설치된다. 볼트설치부(311)가 슬릿 또는 슬릿홈으로 형성되면 접속앵글(3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존 건물구조체(ES)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벽면에 경사가 있는 경우, 설치부재 자체의 치수오차 또는 시공오차가 있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접속앵글(3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면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에 지지프레임(400)을 고정 설치할 때에는, 슬릿 또는 슬릿홈으로 형성된 제2볼트설치부(321)를 통해 체결볼트(322)와 체결너트(323)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오차를 흡수하면서 지지프레임(4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서와 같이 박스강관(121)에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너트부(122)는 지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격된 인서트너트부에 의하여, 다양한 두께의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대응이 용이하게 된다. 즉, 설계변경으로 단열재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인접 인서트너트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변경된 단열재 두께에 대응이 가능하다.
접속앵글의 제1플랜지(311)에 형성된 제1볼트설치부(311)는 지면에 대해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체결볼트(312)의 체결위치를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시공오차 등을 더욱 정밀하면서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볼트설치부(311)와 제2볼트설치부(312)의 구성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 미세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접속앵글은 복수개가 사용되는데, 각 접속앵글의 제1볼트설치부는 모두 사선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부 접속앵글의 제1볼트설치부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의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기존 건물구조체(ES)에 수직보강부재(120) 사이를 수평보강부재(110, 130)로 연결하면서 내진보강구조의 보강구조체(100)를 정착 시공한다(제1단계). 이어 제1플랜지(310)를 보강구조체(100)에 맞대어 고정하면서 제2플랜지(320)를 기존 건물구조체(ES)에서 이격하게 대면하도록 위치시키고 접속앵글(300)을 설치한다(제2단계).
다음으로 보강구조체의 수직보강부재(120)와 수평보강부재(110, 13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기존 건물구조체(ES)에 대면시키면서 단열부재(200)를 설치하되, 단열부재(200)를 기존 건물구조체(ES)와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 사이에 끼우면서 설치한다(제3단계). 다음으로, 지지프레임을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에 맞대어 고정하고 단열부재(200)에 대면하게 위치시키면서 설치한다(제4단계). 마감패널을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면서 설치한다(제5단계).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 도 2 및 도 3과 같은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가 완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구조체의 수직보강부재(120)와 수평보강부재(110, 13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단열부재(200)를 기존 구조물 벽면에 부착 설치하고, 이어서 접속앵글을 설치한 다음, 지지프레임 및 마감패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ES: 기존 건물구조체
100: 보강구조체 110: 수평보강부재(RC기초)
120: 수직보강부재(CFT기둥) 121: 박스강관
122: 인서트너트부 125: 콘크리트
130: 수평보강부재(철골보)
200: 단열부재
300: 접속앵글
310: 제1플랜지 311: 제1볼트설치부
320: 제2플랜지 321: 제2볼트설치부
400: 지지프레임 410: 수직바
420: 수평바 430: 돌출편
500: 마감패널

Claims (8)

  1. 기존 건물구조체(ES)에 신규의 보강구조체를 합성하여 내진 보강하는 내진보강구조에서,
    기존 건물구조체(ES)에 정착 시공되되, 수직보강부재(120) 사이가 수평보강부재(130)로 연결되는 내진보강구조로 시공되는 보강구조체(100);
    상기 보강구조체(100)에서 수직보강부재(120)와 수평보강부재(13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200); 및
    상기 보강구조체(100)와 단열부재(200)의 접속 위치에 설치되는 L형 단면의 앵글부재로, 제1플랜지(310)는 상기 보강구조체(100)에 고정 설치되고 제2플랜지(320)는 상기 단열부재(200)가 안착되게 설치되는 접속앵글(30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구조체(100)는, 상기 수직보강부재(120)가 박스강관(121) 내부에 콘크리트(125)가 충전되는 CFT구조로 시공되면서 상기 접속앵글의 제1플랜지(310)가 고정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박스강관(121) 내부에 인서트너트부(122)가 형성되도록 시공되고,
    상기 접속앵글(300)의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앵글(300)의 제1플랜지(310)에는 제1볼트설치부(311)가 슬릿 또는 슬릿홈으로 형성되며, 체결볼트가 제1볼트설치부(311)를 통과하여 상기 인서트너트부(12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인서트너트부(122)는 상기 접속앵글(300)의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310)의 제1볼트설치부(311)는 지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4. 제1항에서,
    수직바(410)와 수평바(420)로 짜여진 프레임으로, 상기 접속앵글(300)의 제2플랜지(320)에 맞대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단열부재(200)에 대면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00); 및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열부재를 덮는 마감패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5. 제4항에서,
    상기 제2플랜지(320)에는 제2볼트설치부(321)가 슬릿 또는 슬릿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상기 제2플랜지(320)의 제2볼트설치부(321)에 체결볼트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면서 체결너트와 체결함으로써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단열부재(2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돌출편(430)이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7. 제4항에 따른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기존 건물구조체(ES)에, 수직보강부재(120) 사이를 수평보강부재(130)로 연결하면서 내진보강구조의 보강구조체(100)를 정착 시공하는 제1단계;
    제2플랜지(320)를 기존 건물구조체(ES)에서 이격하게 대면하도록 위치시키고 제1플랜지(310)를 상기 보강구조체(100)에 맞대어 고정하면서 접속앵글(300)을 설치하는 제2단계;
    기존 건물구조체(ES)에 대면시키면서 단열부재(200)를 설치하되, 상기 단열부재(200)를 기존 건물구조체(ES)와 상기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 사이에 끼우면서 설치하는 제3단계;
    지지프레임(400)을 상기 접속앵글의 제2플랜지(320)에 맞대어 고정하고 상기 단열부재(200)에 대면하게 위치시키면서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고정하면서 마감패널(500)을 설치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시공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수직보강부재(120)를 CFT구조로 시공하되 박스강관(121) 내부에 인서트너트부(122)가 형성되도록 시공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제1플랜지(310)에 제1볼트설치부(311)가 슬릿 또는 슬릿홈으로 형성되는 접속앵글(300)을 이용하면서 이루어지되, 제3단계에서 설치할 단열부재(2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체결볼트(312)의 제1플랜지(310)에의 체결위치를 조절하고 인서트너트부(122)에 체결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시공방법.
KR1020210015696A 2021-02-03 2021-02-03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5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96A KR102256173B1 (ko) 2021-02-03 2021-02-03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96A KR102256173B1 (ko) 2021-02-03 2021-02-03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173B1 true KR102256173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696A KR102256173B1 (ko) 2021-02-03 2021-02-03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1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3B1 (ko) 2016-05-11 2016-10-28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건축물의 내진 외부합성 보강공법
KR20190003006U (ko) * 2018-05-30 2019-12-10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2096496B1 (ko) * 2019-06-21 2020-04-02 (주)서현 내진형 시스템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3B1 (ko) 2016-05-11 2016-10-28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건축물의 내진 외부합성 보강공법
KR20190003006U (ko) * 2018-05-30 2019-12-10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2096496B1 (ko) * 2019-06-21 2020-04-02 (주)서현 내진형 시스템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186B1 (ko)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 내진 보강 공법
KR102029301B1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2256173B1 (ko) 건물의 내진보강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09544B1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JP2003147779A (ja) 壁枠パネルと床スラブ基礎との結合構造
KR101797930B1 (ko)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JP2001073456A (ja) H形鋼の柱・梁接合部を、高力ボルトとすみ肉溶接で接合した柱脚剛、x・y両方向共剛接架構の鉄骨建築。
JP4446544B2 (ja) 住宅の基礎構造
KR101884572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
KR101951095B1 (ko)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JP6611615B2 (ja) プレキャスト基礎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基礎工法
KR102233905B1 (ko) 경량 방음 터널
KR102663981B1 (ko) 내부 무보강 pdf 물탱크 시공 공법
KR20200054829A (ko)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JP4432581B2 (ja) 階高を変更可能な建物構造
JP6974186B2 (ja) 外壁固定構造
JP7380042B2 (ja) 建物の柱梁接合方法
KR101884571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JP7433118B2 (ja) 壁面ユニットの施工方法及び作業台
JP3721508B2 (ja) 建物
JP4152036B2 (ja) 住宅用ユニット地下室の設置方法
KR100323774B1 (ko) 가변형 메 달기 빔/슬래브 거푸집 공법
JP3526333B2 (ja) ロング土台使用建物骨組構造
JP6857039B2 (ja) 簡易構造物の現地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