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773B1 -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 Google Patents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773B1
KR102255773B1 KR1020167004775A KR20167004775A KR102255773B1 KR 102255773 B1 KR102255773 B1 KR 102255773B1 KR 1020167004775 A KR1020167004775 A KR 1020167004775A KR 20167004775 A KR20167004775 A KR 20167004775A KR 102255773 B1 KR102255773 B1 KR 10225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lement
melting point
protrusion
wall surfac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810A (ko
Inventor
요시히로 요네다
가즈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01H2085/0034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with molded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4Surface mounted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정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당 크기를 구비한 퓨즈 엘리먼트를 사용하면서, 절연 성능을 유지하는 퓨즈 소자를 제공한다. 퓨즈 엘리먼트(2)와, 퓨즈 엘리먼트(2)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8)과,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도출되는 도출구(7)를 구비하고, 수납 공간(8)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2)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케이스(3)를 갖고, 수납 공간(8) 내에는 도출구(7)에 이르는 내벽면(8a)을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의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1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FUSE ELEMENT AND FUSE DEVICE}
본 발명은 전류 경로 상에 실장되어,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당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및 퓨즈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단성이 우수한 퓨즈 엘리먼트 및 용단 후의 절연성이 우수한 퓨즈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3년 8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특원2013-177071호 및 일본에서 2014년 8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특원2014-165154호를 기초로 해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출원은 참조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부터,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당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가 사용되고 있다. 퓨즈 엘리먼트로서는, 예를 들어 땜납을 유리관에 봉입한 홀더 고정형 퓨즈나, 세라믹 기판 표면에 Ag 전극을 인쇄한 칩 퓨즈, 구리 전극의 일부를 가늘어지게 해서 플라스틱 케이스에 내장한 나사 고정 또는 삽입형 퓨즈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전압 대응의 전류 퓨즈 소자로서는, 중공 케이스 내에 소호재(消弧材)를 채운 것이나, 방열재 둘레에 퓨즈 엘리먼트를 나선형으로 감아 타임 래그를 발생시키는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19345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퓨즈 엘리먼트를 사용한 퓨즈 소자에 있어서는, 탑재되는 전자 기기나 배터리 등의 고용량화, 고정격화에 수반하여, 전류 정격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퓨즈 소자에 있어서는 탑재되는 전자 기기나 배터리 등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마찬가지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퓨즈 소자의 정격을 올리기 위해서는, 퓨즈 엘리먼트의 도체 저항의 저감과, 전류 경로의 차단 시에 있어서의 절연 성능의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 즉, 전류를 보다 많이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도체 저항을 내릴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의 단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9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경로의 차단 시에는,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80)를 구성하는 금속체(80a)가 주위에 비산되어, 새롭게 전류 경로(81)가 형성될 우려가 있어, 퓨즈 엘리먼트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그 리스크가 높아진다.
또한, 종래의 고전압 대응의 전류 퓨즈에 있어서는, 소호재의 봉입이나 나선 퓨즈의 제조라고 하는, 모두 복잡한 재료나 가공 프로세스가 필요해져, 퓨즈 소자의 소형화나 전류의 고정격화라고 하는 면에서 불리하다.
이상과 같이, 정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당 크기를 구비한 퓨즈 엘리먼트를 사용하면서,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소형화와, 제조 공정의 간소화도 실현할 수 있는 퓨즈 소자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퓨즈 소자는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과,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부가 도출되는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 내에는 상기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내층을 저융점 금속층으로 하고, 외층을 고융점 금속층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퓨즈 소자는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과,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부가 도출되는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 내에는, 상기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설치되고, 해당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개소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벽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융 도체의 비산 방향으로 뻗어 나와, 상기 내벽면에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퓨즈 엘리먼트는 케이스 내의 수납 공간에 중공에서 지지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도출구로부터 양단부가 도출되는 퓨즈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공간 내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차단하도록 차폐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융 도체가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에 연속해서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퓨즈 엘리먼트의 용융 도체가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에 연속해서 부착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소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퓨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저융점 금속층에 고융점 금속층을 적층한 것, (B)는 저융점 금속층을 고융점 금속층에 의해 피복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케이스 내벽면에 설치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차폐부를 구비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퓨즈 소자의 케이스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퓨즈 소자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가 용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퓨즈 엘리먼트에 설치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차폐부를 구비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퓨즈 소자에 설치한 퓨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퓨즈 소자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가 용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부를 설치한 퓨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외관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케이스 내벽면에 설치한 돌기 및 퓨즈 엘리먼트에 설치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차폐부를 구비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퓨즈 소자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가 용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엘리먼트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퓨즈 엘리먼트를 사용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참고예에 관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접속부에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퓨즈 엘리먼트를 사용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단부면을 폐색한 퓨즈 엘리먼트를 사용한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복수의 용단부를 구비한 퓨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선상의 퓨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퓨즈 소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A)는 가용 도체의 용단 전, (B)는 가용 도체의 용단 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소자(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2)와, 이 퓨즈 엘리먼트(2)가 수납되는 케이스(3)를 갖는다.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케이스(3)의 도출구(7)로부터 도출되어, 퓨즈 소자(1)가 내장되는 회로의 단자에 접속되고, 이에 의해 당해 회로의 전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퓨즈 엘리먼트]
퓨즈 엘리먼트(2)는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줄 열)에 의해 용단되어, 퓨즈 소자(1)가 내장된 회로의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퓨즈 엘리먼트(2)는 자기 발열에 의해 빠르게 용단되는 어느 금속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Sn을 주성분으로 하는 Pb프리(Pb-free)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저융점 금속과 고융점 금속을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2)를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로서 형성하고, 내층으로서 저융점 금속층(2a), 저융점 금속층(2a)에 적층[도 2의 (A)]되거나, 또는 저융점 금속층(2a)을 피복하는[도 2의 (B)], 외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2b)을 갖는다.
저융점 금속층(2a)은 바람직하게는 Sn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이며, 「Pb프리 땜납」이라 일반적으로 불리는 재료이다. 저융점 금속층(2a)의 융점은 반드시 리플로우로(爐)의 온도보다 높을 필요는 없으며, 200℃ 정도에서 용융해도 된다. 고융점 금속층(2b)은 저융점 금속층(2a)의 표면에 적층된 금속층이며, 예를 들어 Ag 또는 Cu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이며, 퓨즈 소자(1)를 리플로우로에 의해 실장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용융하지 않는 높은 융점을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2)는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2a)에, 외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2b)을 적층함으로써, 리플로우 온도가 저융점 금속층(2a)의 용융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도, 퓨즈 엘리먼트(2)로서 용단되는 것에 이르지 않고, 또한 저융점 금속의 유출을 억제하여, 퓨즈 엘리먼트(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소자(1)는 리플로우에 의해 효율적으로 실장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소정의 정격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자기 발열에 의해서도 용단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정격보다 높은 값의 전류가 흐르면, 자기 발열에 의해 용융되어, 퓨즈 소자(1)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는 회로의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이때, 퓨즈 엘리먼트(2)는 용융한 저융점 금속층(2a)이 고융점 금속층(2b)을 침식함으로써, 고융점 금속층(2b)이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된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2)는 저융점 금속층(2a)에 의한 고융점 금속층(2b)의 침식 작용을 이용해서 단시간에 용단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2a)에 고융점 금속층(2b)이 적층되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단 온도를 종래의 고융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칩 퓨즈 등보다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2)는 동일 크기의 칩 퓨즈 등에 비하여,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전류 정격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류 정격을 가지는 종래의 칩 퓨즈보다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빠른 용단성이 우수하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퓨즈 소자(1)가 내장된 전기 계통에 매우 높은 전압이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서지에 대한 내성[내(耐)펄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퓨즈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100A의 전류가 수msec 흐른 것과 같은 경우에까지 용단되어서는 안 된다. 이 점, 매우 짧은 시간에 흐르는 대전류는 도체의 표층을 흐르므로(표피 효과), 퓨즈 엘리먼트(2)는 외층으로서 저항값이 낮은 Ag 도금 등의 고융점 금속층(2b)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지에 의해 인가된 전류를 흐르게 하기 쉬워, 자기 발열에 의한 용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2)는 종래의 땜납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퓨즈에 비하여, 대폭으로 서지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조 방법]
퓨즈 엘리먼트(2)는 저융점 금속층(2a)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2b)을 도금 기술을 사용해서 성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긴 형상의 땜납박의 표면에 Ag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크기에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저융점 금속박과 고융점 금속박을 접합함으로써 제조해도 된다. 퓨즈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압연한 2매의 Cu박, 또는 Ag박 사이에, 동일하게 압연한 땜납박을 끼워 프레스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융점 금속박은 고융점 금속박보다 부드러운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두께의 편차를 흡수해서 저융점 금속박과 고융점 금속박을 간극 없이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저융점 금속박은 프레스에 의해 막 두께가 얇아지므로, 미리 두껍게 해 두면 좋다. 프레스에 의해 저융점 금속박이 퓨즈 엘리먼트 단부면보다 비어져 나온 경우에는, 잘라내어 형태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퓨즈 엘리먼트(2)는 증착 등의 박막 형성 기술이나, 다른 주지의 적층 기술을 사용함으로써도, 저융점 금속층(2a)에 고융점 금속층(2b)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저융점 금속층(2a)과 고융점 금속층(2b)을 교대로 복수층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최외층으로서는, 저융점 금속층(2a)과 고융점 금속층(2b)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고융점 금속층(2b)을 최외층으로 했을 때, 또한 당해 최외층의 고융점 금속층(2b)의 표면에 산화 방지막을 형성해도 된다. 퓨즈 엘리먼트(2)는 최외층의 고융점 금속층(2b)이 다시 산화 방지막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예를 들어 고융점 금속층(2b)으로서 Cu 도금이나 Cu박을 형성한 경우에도, Cu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2)는 Cu의 산화에 의해 용단 시간이 길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단시간에 용단할 수 있다.
[케이스]
퓨즈 엘리먼트(2)가 수납되는 케이스(3)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하우징(5)과, 하우징(5)의 상면을 덮는 덮개(6)로 이루어진다. 케이스(3)는 퓨즈 소자(1)가 실장되는 회로의 전극과 접속되는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도출시키는 도출구(7)를 갖는다. 케이스(3)는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를 도출하는 도출구(7)를 제외하고 폐색되어, 실장용 땜납 등의 하우징(5) 내로의 침입을 방지한다. 케이스(3)는 절연성, 내열성, 레지스트성을 구비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3)는 하우징(5)이 개구된 상면측에서 퓨즈 엘리먼트(2)를 수납하고, 덮개(6)에 의해 폐색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스(3)는 하우징(5)이 덮개(6)에 의해 폐색됨으로써, 퓨즈 엘리먼트(2)가 도출하는 도출구(7)가 형성된다. 퓨즈 엘리먼트(2)는 도출구(7)보다 양단부가 도출됨으로써, 케이스(3) 내의 수납 공간(8)에 있어서 중공에서 지지된다.
도출구(7)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는 퓨즈 엘리먼트(2)는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 발열(줄 열)에 의해, 예를 들어 전류 방향의 중간부가 용단되어, 퓨즈 소자(1)가 내장된 회로의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차폐부]
퓨즈 소자(1)는 케이스(3)의 수납 공간(8) 내에, 도출구(7)에 이르는 내벽면(8a)을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차폐부(10)는 케이스의 내벽면(8a) 또는 퓨즈 엘리먼트(2), 또는 그 양쪽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형태]
제1 형태에 관한 차폐부(10)는 수납 공간(8)을 구성하는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형성된 돌기(11)이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1)는 케이스(3)의, 퓨즈 엘리먼트(2)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내벽면(8a)에 형성된다. 즉, 돌기(11)는 수납 공간(8) 내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2)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을 차단하도록 세워 설치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1)는 일면(11a)이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에 대향하고, 반대측의 다른 면(11b)이 일면(11a)의 그림자가 되어 용단 개소(12)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가 용단되어,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용융 도체(13)가 비산한 경우에도, 용융 도체(13)가 돌기(11)의 일면(11a) 측에 부착되고, 일면(11a)의 그림자가 되는 다른 면(11b) 측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돌기(11)는 수납 공간(8) 내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2)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을 차폐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돌기(11)는 내벽면(8a)에, 퓨즈 엘리먼트(2)를 둘러싸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돌기(11)는 용융 도체(13)가 모든 방향으로 비산한 경우에도,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을 차폐하여,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11)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단 개소(12)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돌기(11)는 다른 면(11b)이 일면(11a)에 의해 충분히 차단되지 않아, 용단 개소(12)로부터 비산한 용융 도체(13)가 부착될 우려가 있다. 퓨즈 엘리먼트(2)는 대부분의 경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용단되므로, 돌기(11)는 퓨즈 엘리먼트(2)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보다 도출구(7)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돌기(11)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에 의해 비산한 용융 도체(13)가, 용단 개소(12)와 대향하는 일면(11a)에 부착되고, 일면(11a)의 반대측의 다른 면(11b)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11)는 도출구(7) 근방에 설치되도록 하면, 확실히 다른 면(11b)에의 용융 도체(13)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11)는 적어도 하나 형성하면 되지만,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복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1)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복수 형성됨으로써, 용융 도체(13)의 비산이 광범위하게 미쳐도 확실히 돌기(11)의 다른 면(11b)에의 용융 도체(13)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에 있어서, 다른 면(11b)에의 용융 도체(13)의 부착이 방지되면,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단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형태]
제2 형태에 관한 차폐부(10)는, 퓨즈 엘리먼트(2)에 설치된 돌출부(16)이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6)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케이스(3)의 내벽면(8a)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돌출부(16)는 수납 공간(8) 내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 뻗어 나옴으로써, 케이스(3)의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 중 적어도 일부가, 용단 개소(12)로부터 차폐된 돌출부(16)의 그림자가 된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6)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배후의 내벽면(8a)이 그림자가 되어 용단 개소(12)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가 용단되어,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용융 도체(13)가 비산한 경우에도, 용융 도체(13)가 돌출부(16)에 부착되고, 그 그림자가 되는 내벽면(8a)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돌출부(16)는 수납 공간(8) 내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2)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 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6)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2)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6)는 용융 도체(13)가 모든 방향으로 비산한 경우에도,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을 차단하여,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퓨즈 엘리먼트(2)는 상하로 절곡됨으로써 용단 개소(1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제1 돌출부(16a)가 형성됨과 함께[도 9의 (A)], 돌출부(16a)보다 중앙측이 폭 방향으로 협소화됨으로써 용단 개소(12)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6b)가 형성되고[도 9의 (B)], 이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2)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퓨즈 엘리먼트(2)는 폭 방향으로 협소화된 중앙부가 고저항이 되어, 정격을 초과한 대전류가 흘렀을 때의 용단 개소(12)가 된다.
또한, 돌출부(16)도, 돌기(11)와 마찬가지로,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단 개소(12)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돌출부(16)는 용단 개소(12)로부터 케이스(3)의 내벽면(8a)을 충분히 차단할 수 없어, 용단 개소(12)로부터 비산한 용융 도체(13)에 의해 도출구(7, 7) 사이가 단락할 우려가 있다. 퓨즈 엘리먼트(2)는 대부분의 경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용단되므로, 돌출부(16)는 퓨즈 엘리먼트(2)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보다 도출구(7)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돌출부(16)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융 도체(13)의 비산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에 의해 비산한 용융 도체(13)가 부착되어, 돌출부(16)의 그림자가 되는 내벽면(8a)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는 도출구(7) 근방에 설치하도록 하면, 도출구(7) 부근에의 용융 도체(13)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는 용단 개소(12)로부터 퓨즈 엘리먼트(2)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6a) 및 용단 개소(12)로부터 퓨즈 엘리먼트(2)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6b)를 복수 형성해도 된다. 돌출부(16)가 복수 형성됨으로써, 용융 도체(13)의 비산이 광범위하게 미쳐도 확실하게 돌출부(16)의 그림자가 되는 내벽면(8a)에의 용융 도체(13)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6)에 의해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용융 도체(13)의 부착이 방지되면, 용단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형태]
퓨즈 소자(1)는 차폐부(10)로서, 상술한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설치한 돌기(11) 및 퓨즈 엘리먼트(2)에 설치한 돌출부(16)의 양쪽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차폐부(1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덮개(6)에 돌기(11)를 설치함과 함께, 퓨즈 엘리먼트(2)의 길이 방향의 양측을 도출구(7)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용단 개소(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11)는 퓨즈 엘리먼트(2)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덮개(6)측의 내벽면(8a)을 차단하도록 세워 설치된다. 돌기(11)는 일면(11a)이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에 대향하고, 반대측의 다른 면(11b)이 일면(11a)의 그림자가 되어 용단 개소(12)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가 용단되어,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용융 도체(13)가 비산한 경우에도, 용융 도체(13)가 돌기(11)의 일면(11a) 측에 부착되고, 일면(11a)의 그림자가 되는 다른 면(11b) 측에는 부착되지 않으므로,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용융 도체(13)가 연속해서 부착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 도출구(7)에 걸쳐,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케이스(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돌출부(16)는 수납 공간(8) 내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 뻗어 나옴으로써, 케이스(3)의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하우징(5)의 내벽면(8a) 중 적어도 일부가, 용단 개소(12)로부터 차폐된 돌출부(16)의 그림자가 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6)는 퓨즈 엘리먼트(2)의 용단 개소(12)로부터 돌출되고, 배후에 있는 하우징(5)의 내벽면(8a)이 돌출부(16)의 그림자에 들어가 용단 개소(12)로부터 차폐되므로, 퓨즈 엘리먼트(2)가 용단되어, 케이스(3)의 내벽면(8a)에 용융 도체(13)가 비산한 경우에도, 용융 도체(13)가 돌출부(16)에 부착되고, 그 그림자가 되는 내벽면(8a)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돌출부(16)는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퓨즈 엘리먼트(2)의 용융 도체(13)가 도출구(7, 7) 사이에 걸친 하우징(5)의 내벽면(8a)에 연속해서 부착됨으로써 용단된 퓨즈 엘리먼트(2)의 양단부가 단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의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퓨즈 소자(1)는 퓨즈 엘리먼트(2)를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로서 형성하고,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2a)을 외층이 되는 고융점 금속층(2b)에 의해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도 2의 (B)]. 그리고 퓨즈 엘리먼트(2)는 저융점 금속층(2a)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2b)을 도금 기술을 사용해서 성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긴 형상의 땜납 박의 표면에 Ag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크기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면에는 고융점 금속층(2b)에 둘러싸인 저융점 금속층(2a)이 노출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2)는 이 저융점 금속층(2a)이 고융점 금속층(2b)에 피복된 구조에 있어서, 저융점 금속층(2a)이 노출되는 단부면(21)이 설치되고, 이 단부면(21)이 설치된 단부가, 외부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22)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22)는 퓨즈 엘리먼트(2)가 케이스(3)에 수납되면, 도출구(7)로부터 외부로 도출된다. 또한, 단자부(22)는 퓨즈 소자(1)가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23)의 랜드(24) 상에 땜납 등의 접합재(25)를 개재해서 접속되는 접속부(26)를 갖는다. 또한, 랜드(24) 상에는 솔더 레지스트층(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22)는 단부면(21)이 접속부(26)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2)는 접속부(26)가 랜드(24)에 접속되었을 때도, 단부면(21)의 접합재(25)와의 접촉이 방지되고 있다. 따라서, 퓨즈 소자(1)는 프린트 기판(23)에 리플로우 등에 의해 가열 실장될 때, 단부면(21)에 노출되는 저융점 금속층(2a)이 용융한 접합재(25)에 접촉함으로써 인입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퓨즈 엘리먼트(2)는 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므로, 단부면(21)에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2a)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저융점 금속층(2a)은 퓨즈 소자(1)의 가열 실장 시에 있어서 용융하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용융하는 접합재(25)와 접촉하면, 습윤성이 우수한 랜드(24) 상에 인입되어, 퓨즈 엘리먼트(2) 내로부터 유출될 우려가 있다. 저융점 금속층(2a)이 유출되면, 퓨즈 엘리먼트(2)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 단면적의 협소화에 수반하는 저항값의 상승 및 정격의 변동, 용단 특성이나 차단 시의 절연 특성의 열화 등을 초래할 우려도 발생한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2)는 랜드(24)에 접합재(25)를 개재해서 접속되는 접속부(26)로부터 단부면(21)을 돌출시킴으로써 저융점 금속층(2a)과 접합재(25)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저융점 금속의 유출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2)는 형상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소정의 정격, 용단 특성 및 절연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2)는 단자부(22)의 단부면(21)을 접속부(26)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함으로써 돌출시켜도 된다. 단부면(21)을 접속부(26)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함으로써, 접속부(26)가 랜드(24)에 접속되었을 때도 저융점 금속층(2a)과 접합재(25)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합재(25)가 단자부(22)를 타고 단부면(21)에 도달한 경우에도, 절곡부(28)에 의해 저융점 금속의 유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단자부(22)의 단부면(21)을 접속부(26)로부터 복수회 절곡함으로써, 단부면(21)을 접합재(25)로부터 차폐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2)는 단부면(21)을 접속부(26)로부터 2회 절곡함으로써, 케이스(3)의 하우징(5) 측을 향해, 접합재(25)로부터 차폐한다. 이에 의해, 단부면(21)으로부터 노출되는 저융점 금속층(2a)이 접합재(25)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저융점 금속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22)의 단부면(21)을 폐색해도 된다. 도 16에 도시한 퓨즈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단자부(22)의 선단부를 열 프레스함으로써 외층을 구성하는 고융점 금속층(2b)에 의해 내층을 구성하는 저융점 금속층(2a)이 폐색된다. 단부면(21)을 폐색하는 고융점 금속층(2b)은 계면이 소정의 온도, 압력 하에서 프레스됨으로써 일체화되어, 확실하게 저융점 금속층(2a)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단부면(21)에 노출되는 저융점 금속층(2a)이 폐색되어 있으면, 폐색하는 수단은 열 프레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협소화된 용단부(30)를 형성해도 된다. 용단부(30)는, 단면적이 협소화됨으로써 고저항화되고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2)는 용단부(30)를 형성함으로써, 용단 개소를 임의인 부위로 설정할 수 있다.
용단부(30)는, 예를 들어 대략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펀칭하고, 절제 등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단부(3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2)의 내측을 펀칭함으로써 복수 형성해도 되고, 또는 퓨즈 엘리먼트(2)의 외연부를 펀칭하고, 절제 등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하나만 형성해도 된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2)는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도,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선상의 퓨즈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실 땜납에 전해 도금법 등에 의해 Ag 도금을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선상의 퓨즈 엘리먼트(2)에 있어서도, 단자부(22)를 접속부(26)보다 돌출시키거나, 접속부(26)보다 절곡하거나, 또는 단부면(21)을 폐색함으로써, 실 땜납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상의 퓨즈 엘리먼트(2)의 일부를 코오킹 등에 의해 단면적을 협소화함으로써 용단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1 : 퓨즈 소자
2 : 퓨즈 엘리먼트
2a : 저융점 금속층
2b : 고융점 금속층
3 : 케이스
5 : 하우징
6 : 덮개
7 : 도출구
8 : 수납 공간
10 : 차폐부
11 : 돌기
12 : 용단 개소
13 : 용융 도체
16 : 돌출부
21 : 단부면
22 : 단자부
23 : 프린트 기판
24 : 랜드
25 : 접합재
26 : 접속부
27 : 솔더 레지스트층
28 : 절곡부
30 : 용단부

Claims (27)

  1.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과,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부가 도출되는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 내에는, 상기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내층을 저융점 금속층으로 하고, 외층을 고융점 금속층으로 하고, 상기 저융점 금속층이 노출되는 단부면이 설치되고, 상기 단부면이 설치된 단부를 외부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로 하는 퓨즈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수납 공간의,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내벽면에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에 의해 비산한 상기 용단 비산물이 용단 개소와 대향하는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측의 다른 면에는 부착되지 않는, 퓨즈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벽면의,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둘러싸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개소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도출구 근방에 설치되는, 퓨즈 소자.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벽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7.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과,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부가 도출되는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중공에서 지지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수납 공간 내에는, 상기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설치되고, 해당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개소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벽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융 도체의 비산 방향으로 뻗어 나와, 상기 내벽면에의 부착을 방지하는, 퓨즈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개소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출구 근방에 설치되는, 퓨즈 소자.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수납 공간의,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내벽면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설치되고, 해당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개소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벽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에 의해 비산한 용융 도체가 상기 용단 개소와 대향하는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측의 다른 면에는 부착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융 도체의 비산 방향으로 뻗어 나와, 상기 내벽면에의 부착을 방지하는, 퓨즈 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 회로의 랜드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퓨즈 소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되어 있는, 퓨즈 소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 회로의 랜드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단부면은 폐색되어 있는, 퓨즈 소자.
  16. 케이스 내의 수납 공간에 중공에서 지지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도출구로부터 양단부가 도출되는 퓨즈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도출구에 이르는 내벽면을 용단 비산물로부터 차폐하는 돌출부가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설치되어 있고,
    내층을 저융점 금속층으로 하고, 외층을 고융점 금속층으로 하고, 상기 저융점 금속층이 노출되는 단부면이 설치되고, 상기 단부면이 설치된 단부를 외부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로 하는 퓨즈 엘리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개소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출구의 근방에 설치되는, 퓨즈 엘리먼트.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 회로의 랜드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면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 회로의 랜드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단부면은 폐색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67004775A 2013-08-28 2014-08-27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KR102255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7071 2013-08-28
JPJP-P-2013-177071 2013-08-28
JP2014165154A JP6437239B2 (ja) 2013-08-28 2014-08-14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
JPJP-P-2014-165154 2014-08-14
PCT/JP2014/072351 WO2015030023A1 (ja) 2013-08-28 2014-08-27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810A KR20160046810A (ko) 2016-04-29
KR102255773B1 true KR102255773B1 (ko) 2021-05-26

Family

ID=5258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775A KR102255773B1 (ko) 2013-08-28 2014-08-27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7619B2 (ko)
JP (1) JP6437239B2 (ko)
KR (1) KR102255773B1 (ko)
CN (1) CN105518820B (ko)
TW (1) TWI631590B (ko)
WO (1) WO2015030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4318B2 (ja) * 2013-10-09 2017-10-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流ヒューズ
JP6483987B2 (ja) * 2014-09-26 2019-03-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及び発熱体内蔵ヒューズ素子
WO2016127846A1 (zh) * 2015-02-14 2016-08-18 南京萨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保护元件
JP6714943B2 (ja) * 2015-03-11 2020-07-0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及びヒューズ素子
JP6363974B2 (ja) * 2015-06-24 2018-07-25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ヒューズ
JP2017073373A (ja) 2015-10-09 2017-04-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US10141150B2 (en) * 2016-02-17 2018-11-27 Littelfuse, Inc. High current one-piece fuse element and split body
CN109661712B (zh) 2016-03-25 2020-02-07 苏州力特奥维斯保险丝有限公司 无焊料表面贴装熔断体
JP6707428B2 (ja) 2016-09-16 2020-06-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保護素子
JP7002955B2 (ja) * 2017-02-28 2022-01-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JP7010706B2 (ja) * 2018-01-10 2022-01-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CN108321063A (zh) * 2018-01-26 2018-07-24 Aem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一种表面贴装熔断器及其生产方法
US11417490B2 (en) * 2018-12-20 2022-08-16 Littelfuse, Inc. Sealed battery fuse module with energy dissipating cap
JP7133723B2 (ja) * 2019-03-12 2022-09-08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電子部品に温度ヒューズをスナップフィットするためのホルダ
IT201900018947A1 (it) * 2019-10-16 2021-04-16 Audio Ohm Di Tonani Caterina & C S R L Fusibile elettrico
EP4097750B1 (en) * 2020-01-30 2024-06-05 Schurter AG Current-limiting fuse
US11557451B1 (en) * 2021-12-07 2023-01-1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igh voltage high current fuse with arc interrupter
JP2024057230A (ja) * 2022-10-12 2024-04-24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ヒュー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6910A1 (en) * 2007-03-26 2010-07-15 Norbert Knab Fusible alloy element, thermal fuse with fusible alloy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ermal fuse
US20120133478A1 (en) * 2010-11-30 2012-05-31 Hung-Chih Chiu Fus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267A (en) * 1978-01-27 1979-08-28 Gould Inc. Electric fuse having heat retaining means
JPS6011538Y2 (ja) * 1982-12-01 1985-04-17 三王株式会社 チツプ型ヒユ−ズ
US4894633A (en) * 1988-12-12 1990-01-1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Fuse Apparatus
JPH0720828Y2 (ja) * 1989-06-14 1995-05-15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超小型電流ヒューズ
JP2717076B2 (ja) * 1995-08-30 1998-02-18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表面実装超小型電流ヒューズ
JP3174251B2 (ja) * 1995-10-13 2001-06-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
JP3562685B2 (ja) * 1996-12-12 2004-09-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6642834B1 (en) * 1999-03-04 2003-11-04 Littelfuse, Inc. High voltage automotive use
JP3820143B2 (ja) * 2001-02-16 2006-09-13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表面実装型小型ヒューズ
EP1300867A1 (fr) * 2001-10-03 2003-04-09 Metalor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 Element de fusibl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4001757B2 (ja) * 2002-03-06 2007-10-31 内橋エステック株式会社 合金型温度ヒュ−ズ
US6872648B2 (en) * 2002-09-19 2005-03-29 Infineon Technologies Ag Reduced splattering of unpassivated laser fuses
DE102004046387A1 (de) * 2004-09-24 2006-04-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chmelzsicherung für Hochstromanwendungen
US7569907B2 (en) * 2005-03-28 2009-08-0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Hybrid chip fuse assembly having wire lead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JP2009032489A (ja) * 2007-07-26 2009-02-12 Soc Corp ヒューズ
JP4348385B2 (ja) 2007-09-20 2009-10-21 日本製線株式会社 表面実装型電流ヒューズ
US8525633B2 (en) * 2008-04-21 2013-09-03 Littelfuse, Inc. Fusible substrate
CN101567283B (zh) * 2008-04-24 2012-04-18 Aem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表面贴装熔断器及其制造方法
CN201282089Y (zh) * 2008-10-08 2009-07-29 日本能源服务株式会社 高压熔断器用熔丝
US8203420B2 (en) * 2009-06-26 2012-06-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ubminiature fuse with surface mount end caps and improved connectivity
JP5583991B2 (ja) * 2010-03-03 2014-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6910A1 (en) * 2007-03-26 2010-07-15 Norbert Knab Fusible alloy element, thermal fuse with fusible alloy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ermal fuse
US20120133478A1 (en) * 2010-11-30 2012-05-31 Hung-Chih Chiu Fus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810A (ko) 2016-04-29
US10937619B2 (en) 2021-03-02
TWI631590B (zh) 2018-08-01
JP6437239B2 (ja) 2018-12-12
TW201523681A (zh) 2015-06-16
JP2015065156A (ja) 2015-04-09
CN105518820A (zh) 2016-04-20
US20160172143A1 (en) 2016-06-16
WO2015030023A1 (ja) 2015-03-05
CN105518820B (zh)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773B1 (ko)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KR102213303B1 (ko) 퓨즈 엘리먼트, 및 퓨즈 소자
US10170267B2 (en) Current fuse
US10707043B2 (en) Fuse element, fuse device, and heat-generator-integrated fuse device
TWI699811B (zh) 熔絲元件
KR102442404B1 (ko) 퓨즈 소자
TWI685872B (zh) 熔絲元件、及熔絲單元
TW201535450A (zh) 阻斷元件及阻斷元件電路
TW201805984A (zh) 保護元件
JP6714943B2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及びヒュー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