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388B1 -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388B1
KR102255388B1 KR1020190130635A KR20190130635A KR102255388B1 KR 102255388 B1 KR102255388 B1 KR 102255388B1 KR 1020190130635 A KR1020190130635 A KR 1020190130635A KR 20190130635 A KR20190130635 A KR 20190130635A KR 102255388 B1 KR102255388 B1 KR 10225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point
mixture
powder
low melting
sol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402A (ko
Inventor
은희철
장나온
김선병
최왕규
박상윤
원휘준
최만수
최병선
문제권
정종헌
이성복
이상훈
서범경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388B1/ko
Priority to FR2003980A priority patent/FR3102290B1/fr
Priority to US16/859,465 priority patent/US11587693B2/en
Priority to DE102020116067.4A priority patent/DE102020116067B3/de
Publication of KR2021004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09B3/25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using mineral binders or matrix
    • B09B3/29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using mineral binders or matrix involving a melting or soften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05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of glass-forming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6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po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4/00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 C03C14/0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the non-glass component be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04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comprising or including particular isoto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 C03C4/087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for X-rays absorbing glas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 G21F9/305Glass or glass like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4/00Glasses, glazes or enamels with spec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4/00Nature of the non-vitreous component
    • C03C2214/14Waste material, e.g. to be disposed 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한 분말의 고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Bi2O3, B2O3, ZnO 및 SiO2를 포함하는 저융점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과 상기 저융점 유리를 혼합한 유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Solidifying method of hydroxides of radionuclides}
본 발명은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한 피처리 혼합물의 고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일차냉각계통 내부에는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부식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계통의 유지보수 과정에서 작업자의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부식산화막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냉각계통 내 부식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HP CORD UV 공정을 포함하는 화학적 제염공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염공정에서는 냉각계통의 모재가 손상되고 제염폐액의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 등이 발생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종래 제염공정과 유사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HyBRID(Hydrazine Based Reductive metal Ion Decontamination)제염공정기술을 개발하였다.
상기 HyBRID 제염공정에서도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금속이온과 황산이온 및 하이드라진을 포함하는 제염폐액이 발생되며, 이러한 제염폐액은 침전과 분해반응 및 고-액분리 등을 활용하는 제염폐액 처리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BaSO4와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이 혼합된 분말들이 최종폐기물로 발생되며, 이들에 대한 최종처분을 위해서는 이 혼합 분말을 안정한 형태로 고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최종폐기물은 95% 이상이 BaSO4로 구성되어 있어 시멘트를 이용하여 고형화를 수행할 경우 에트린자이트(ettringite)라는 물질이 생성되고, 그로 인해 고화체의 팽창과 균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시멘트를 이용한 고형화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메타카오린(metakaolin) 기반의 지오폴리머(geopolymer)를 이용할 경우 40%의 고함량 폐기물 담지율에서도 높은 압축강도와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고화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J. Ahn et al., Development of metakaolin-based geopolymer for solidification of sulfate-rich HyBRID sludge waste, J. Nuclear Materials, 518, pp. 247-255, 2019). 그러나 지오폴리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화체는 겉밀도가 비교적 낮고(약 1.5 내지 2.0 kg/L), 200℃ 이내의 온도에서 20% 이상의 무게감량이 발생되어 구조적 변화가 발생될 수 있어 열적 안정성이 낮으며, 고화체를 제조하는데 있어 매질 준비시간을 포함하여 많은 시간(약 7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고방열성 핵종인 Co-60 등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최종폐기물에 대해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고형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한 분말의 고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Bi2O3, B2O3, ZnO 및 SiO2를 포함하는 저융점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과 상기 저융점 유리를 혼합한 유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융점 유리분말을 이용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550℃ 이하)에서 HyBRID 제염공정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핵종 함유 폐기물을 고밀도의 균질화된 고화체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연구되고 있는 고형화 방법(지오폴리머)과 비교하여 고형화 결과물(고화체)의 밀도가 약 2.6 내지 3.5배 이상 높아 폐기물 담지율을 고려할 때 최종 처분을 위한 폐기물 발생량의 부피를 35 내지 50% 수준으로 감축시킬 수 있고, 고방열성 핵종인 Co-60 함유 폐기물을 고형화하는 것으로 제조한 고화체의 열적 안정성이 비교적 높으며, 제조방법이 단순하고 제조시간이 짧아 공정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낮은 온도조건에서 고밀도의 균질한 세라믹 고화체를 제조할 수 있어 제염공정 폐기물 외에도 원전 운영 및 해체폐기물을 대상으로 적용이 가능한 폐기물이 다양할 것으로 판단되어 최종처분을 위한 방사성 폐기물 고형화 방법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저융점 유리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중 수냉시킨 것(a) 및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을 육안으로 관찰한 이미지(b)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저융점 유리분말이 균질하게 혼합된 분말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저융점 유리분말의 용융점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을 450℃로 가열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융점 유리분말과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한 분말을 혼합하여 고형화시킨 고화체를 육안으로 관찰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융점 유리분말과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한 분말을 혼합하여 고형화시킨 고화체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고화체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융점 유리분말과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한 분말을 혼합하여 고형화시킨 고화체가 균질하게 혼합된 물질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고화체를 SEM-mapp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자력발전소의 일차 계통은 원자로계통 또는 프라이머리(primary) 시스템을 지칭하며, 원자로를 둘러싼 각종 기기와 설비, 예를 들어,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 냉각재가 순환되는 배관들, 가압기, 증기발생기, 격납용기 등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일차 계통의 다양한 위치에서 방사능으로 오염된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산화물은 크롬 산화물, 철 산화물 또는 니켈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사능으로 오염된 금속 산화물을 HyBRID 제염 공정으로 제염할 경우,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금속이온과 황산이온 및 하이드라진을 포함하는 제염폐액이 발생되는 데, 이러한 제염폐액은 침전과 분해반응 및 고액분리 등을 활용하는 제염폐액 처리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분말들이 최종폐기물로 발생되며, 최종처분을 위해서는 이 혼합분말을 안정한 형태로 고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최종폐기물, 즉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분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Bi2O3, B2O3, ZnO 및 SiO2를 포함하는 저융점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과 상기 저융점 유리를 혼합한 유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성 핵종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핵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롬, 코발트, 철, 니켈 금속의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융점 유리의 융점은 440 내지 46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0℃일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융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유리와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을 혼합하여 고형화시킬 때, 균질한 고화체 제조를 위한 고형화 온도의 조절 및 저융점 유리와 피처리 혼합물의 혼합비가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처리 혼합물은 HyBRID 제염 공정 폐기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폐기물은 방사능으로 오염된 금속 산화물을 HyBRID 제염 공정으로 제염할 경우,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금속이온과 황산이온 및 하이드라진을 포함하는 제염폐액이 발생되는 데, 이러한 제염폐액은 침전과 분해반응 및 고액분리 등을 활용하는 제염폐액 처리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로, 이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분말들이 최종폐기물이며, 이때, 상기 폐기물은 중량의 95% 수준이 BaSO4로 이루어져 있고, 그 잔부에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금속 수산화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제염공정 조건에 따라 BaSO4의 중량은 90 내지 97%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분말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0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분말이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화체 제조가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처리되는 폐기물의 양이 적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고형화 방법을 통한 최종처분 폐기물 발생량의 감용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형화 매질이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을 초과하여 고형화에 관여되지 않는 폐기물 분말이 발생하고, 제조한 고화체의 견고성이 떨어져, 상기 고화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최종처분이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형화 방법에 의해 획득된 고화체가 균질한 결정 형태일 수 있도록, 상기 피처리 혼합물 및 상기 저융점 유리는 각각 분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저융점 유리의 평균 입자 크기(입경)와 피처리 혼합물의 평균 입자 크기(입경)는 유사한 수준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피처리 혼합물의 평균 입자 크기의 0.8 내지 1.2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는 500 내지 5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가 50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고화체의 고형화가 충분이 수행되지 않아, 상기 고화체의 겉밀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해 고형화 공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금속 수산화물이 산화물 형태로 전환됨에 따른 가스 발생으로 이에 따른 부대장치가 요구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융점 유리는 Bi2O3, B2O3, ZnO 및 SiO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세하게 상기 저융점 유리는 Bi2O3, B2O3, ZnO 및 SiO2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분말을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물질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물질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융점 유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Bi2O3, B2O3, ZnO 및 SiO2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는 각 분말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것으로, 상기 분말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Bi2O3 32 내지 38몰%, B2O3 25 내지 30몰%, ZnO 29 내지 35몰% 및 SiO2 5 내지 7몰%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몰 비율로 혼합된 분말로 유리분말을 제조할 경우, 용융점이 440 내지 460℃인 유리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각 분말의 균질한 혼합은 혼합하는 양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분말교반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백 g 수준의 분말을 혼합할 경우에는 마노(agate) 유발을 이용하거나 밀폐용기 내에서 쉐이킹(shaking)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10분 이상 혼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Bi2O3, B2O3, ZnO 및 SiO2 분말이 혼합된 분말을 880 내지 950의 온도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혼합된 분말을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처리 시, 분당 5-10℃ 정도로 승온하며 열처리 시 열처리 용기 안은 분위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열처리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공기 분위기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농도의 산소 분위기로 열처리를 해도 무방하다. 다만, 아르곤이나 질소 등 불활성 기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스 사용의 비용과 기밀유지가 함께 고려되어 장치 제작비용과 재료비 측면에서 단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 조건에서의 열처리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열처리에 의해 생성된 분말의 용융물은 저융점 유리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급속히 냉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용융물을 수냉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용융물을 신속히 증류수에 들이부음으로써 급속히 냉각시킬 수 있으며, 도 1(a)와 같은 형상의 유리구조의 냉각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냉각과정을 거쳐 얻은 유리구조의 냉각물을 분말 형태로 만들기 위해 분쇄하는 양에 따라 다양한 분쇄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냉각물을 분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분쇄는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의 평균 입도 크기가 180 내지 220메쉬가 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의 평균 입도 크기가 현저히 작으면 비산이 잘되어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현저히 크면 저융점 유리분말과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분말과의 고형화 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제조된 고화체의 견고성과 균질성이 낮아지고 고화체의 겉밀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융점 유리분말의 제조
Bi2O3, B2O3, ZnO 및 SiO2 분말을 총 분말을 기준으로 각각 35몰%, 27몰%, 32몰% 및 6몰%가 되도록 혼합하여 900℃ 온도까지 가열시켜 용융시킨 다음, 증류수를 통해 용융된 분말을 수냉하였다.
나아가, 상기 수냉된 분말을 건조시킨 후 200메쉬(mesh) 수준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저융점 유리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저융점 유리분말을 촬영한 이미지를 도 1(b)에 나타내었으며, 상기저융점 유리분말이 균질하게 혼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XR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은 Bi2O3, B2O3, ZnO 및 SiO2 분말이 균질하게 혼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의 용융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을 가열하였으며, 그 결과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450℃ 수준에서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이 용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 4 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의 분말 획득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의 분말은 HyBRID 제염 공정으로 제염할 경우,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금속이온과 황산이온 및 하이드라진을 포함하는 제염폐액이 발생되고, 상기 제염폐액을 Ba(OH)2-와 같은 수산화물에 의핸 침전과 H2O2를 이용한 하이드라진의 분해반응을 수행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고액분리 등을 활용하는 제염폐액 처리공정의 결과물로부터 획득하였다.
이때, 상기 폐기물은 BaSO4가 95중량% 수준으로 포함되고, 잔부에는 방사성 모의핵종의 수산화물이 함유된 분말로, 상기 방사성 모의핵종에는 크롬, 코발트, 철, 니켈 금속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분말의 입도 크기는 200메쉬(mesh) 수준이었다.
(3) 방사성 모의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 4 를 함유하는 분말과 저융점 유리분말의 혼합
분말 혼합기에 상기 (1)에서 제조된 저융점 유리분말 및 상기 (2)에서 획득한 분말을 8.5:1.5의 중량비로 장입하여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하였다.
혼합된 혼합물 5g을 원기둥 형태의 소결 용기에 담아 압착하고, 상기 소결 용기를 가열로에 장입한 뒤 500℃ 수준의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냉각된 소결 용기로부터 소결된 고화체를 회수하였다. 이 때 회수된 고화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고화체는 500℃에서 제조된 고화체로 500℃ 이하의 온도에서는 열적변화가 없으며, 비교적 열적으로 안정한 고화체이다.
(4) 상기 (3)에서 회수된 고화체의 분석
[고화체의 겉밀도 측정]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고화체의 겉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고화체의 겉밀도는 5.35kg/L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고형화 방법은 우수한 밀도의 고화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화체의 균질 여부 측정]
상기 고화체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고화체를 분말화하여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BaSO4와 저융점 유리분말의 주성분이 함께 결정 형태로 공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SEM-mapping을 통해 제조한 고화체 내 주요 성분들의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고,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과 BaSO4 분말이 상분리 없이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2)

  1. 저융점 유리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Bi2O3 32 내지 38몰%, B2O3 25 내지 30몰%, ZnO 29 내지 35몰% 및 SiO2 5 내지 7몰을% 포함하는 저융점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방사성 핵종의 수산화물 및 BaSO4를 함유하는 피처리 혼합물과 상기 저융점 유리를 혼합한 유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핵종은 크롬, 코발트, 철 및 니켈 금속의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의 융점은 440 내지 460℃인,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혼합물은 HyBRID 제염 공정 폐기물인,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혼합물은 피처리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중량% 내지 97 중량%의 BaSO4 를 함유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혼합물은 상기 유리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혼합물 및 상기 저융점 유리는 각각 분말로 제공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저융점 유리 분말은 입자 크기가 피처리 혼합물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의 0.8 내지 1.2배인 분말인,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는 500 내지 550℃에서 수행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는
    Bi2O3, B2O3, ZnO 및 SiO2 분말을 혼합된 분말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Bi2O3 32 내지 38몰%, B2O3 25 내지 30몰%, ZnO 29 내지 35몰% 및 SiO2 5 내지 7몰%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분말을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물질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물질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분말의 평균 입도 크기가 180 내지 22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KR1020190130635A 2019-10-21 2019-10-21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KR10225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35A KR102255388B1 (ko) 2019-10-21 2019-10-21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FR2003980A FR3102290B1 (fr) 2019-10-21 2020-04-21 Procédé de solidification d'hydroxydes de radionucléides
US16/859,465 US11587693B2 (en) 2019-10-21 2020-04-27 Solidifying method of hydroxides of radionuclides
DE102020116067.4A DE102020116067B3 (de) 2019-10-21 2020-06-18 Verfahren zur verfestigung von hydroxiden von radionuklid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35A KR102255388B1 (ko) 2019-10-21 2019-10-21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02A KR20210047402A (ko) 2021-04-30
KR102255388B1 true KR102255388B1 (ko) 2021-05-26

Family

ID=7449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635A KR102255388B1 (ko) 2019-10-21 2019-10-21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7693B2 (ko)
KR (1) KR102255388B1 (ko)
DE (1) DE102020116067B3 (ko)
FR (1) FR31022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2087A (ja) * 2006-10-20 2008-05-01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放射性廃液の固化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455A (en) * 1982-11-24 1986-05-27 Pedro B. Macedo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liquid
JPH11295487A (ja) * 1998-04-08 1999-10-29 Hitachi Ltd 放射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放射性廃棄物のガラス固化体
FR2934183B1 (fr) * 2008-07-28 2011-02-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nfinement de dechets par vitrification en pots metalliques.
US8262950B1 (en) 2008-11-13 2012-09-11 Sandia Corporation Low sintering temperature glass waste forms for sequestering radioactive iodine
FR2940718A1 (fr) 2008-12-30 2010-07-02 Areva Nc Verre alumino-borosilicate pour le confinement d'effluents liquides radioactifs, et procede de traitement d'effluents liquides radioactifs
JP6292854B2 (ja) 2012-12-25 2018-03-1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放射性廃棄物のガラス固化体及びその形成方法
KR101507148B1 (ko) 2013-11-19 2015-04-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성 희토류 폐기물 유리화 방법
KR101578623B1 (ko) 2014-10-29 2015-12-17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세슘 폐필터를 고화하기 위한 저온용융유리의 제조방법
CN104445920B (zh) 2014-12-18 2017-04-19 中南大学 一种综合性能优良的无铅低熔点玻璃及其应用方法
CN109775994B (zh) 2019-03-26 2021-08-31 西南科技大学 一种敷银硅胶的玻璃陶瓷低温固化方法
CN109949962B (zh) 2019-03-26 2020-09-18 西南科技大学 一种敷银硅胶的低温固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2087A (ja) * 2006-10-20 2008-05-01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放射性廃液の固化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02290B1 (fr) 2023-04-21
US11587693B2 (en) 2023-02-21
FR3102290A1 (fr) 2021-04-23
KR20210047402A (ko) 2021-04-30
DE102020116067B3 (de) 2021-02-25
US20210335513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h et al. Experimental study on cesium immobilization in struvite structures
Jantzen et al. On selection of matrix (wasteform) material for higher activity nuclear waste immobilization
JPS6046394B2 (ja) 高レベル放射性廃液のガラスによる固化処理方法
Maddrell et al. Silver iodide sodalite–wasteform/Hip canister interactions and aqueous durability
Vance et al. Advantages hot isostatically pressed ceramic and glass-ceramic waste forms bring to the immobilization of challenging intermediate-and high-level nuclear wastes
KR101122632B1 (ko) 방사성 희토류 산화물이 함유된 세라믹 고화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밀도, 열적 안정성 및 내침출성이 향상된 세라믹 고화체
Zhou et al. Tritium and deuterium release behavior of Li2TiO3-0.5 Li4SiO4–Pb ceramic
KR102255388B1 (ko) 방사성 핵종의 고형화 방법
Yang et al. Effect of on the Immobilization of High-Level Waste with Magnesium Potassium Phosphate Ceramic
Kirishima et al. Study on the chemical structure and actinide leaching of MCCI debris
RU2191436C1 (ru) Оксидный материал ловушки расплава активной зо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KR100768093B1 (ko) 철-인산 유리를 이용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방법
Abdelouas et al. Immobilization of inert TRISO-coated fuel in glass for geological disposal
JP4129237B2 (ja) 放射性廃棄物の固化処理用ガラス
KR101578623B1 (ko) 방사성 세슘 폐필터를 고화하기 위한 저온용융유리의 제조방법
Ojovan et al. Application of glass composite materials for nuclear waste immobilization
US8969646B2 (en) Ceramic ingot of spent filter having trapped radioactive cesiu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Olkhovyk et al. Corrosion resistance of Chernobyl NPP lava fuel-containing masses
Sato et al. Microstructure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glass heavily irradiated in a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e
JPH04143697A (ja) 放射線遮蔽材
Lifanov et al. Feasibility and expedience to vitrify NPP operational waste
Ortega et al. Improved leach resistance of FLiBe by conversion to a substituted fluorapatite
JP6664639B2 (ja) 放射線遮蔽体
Ferrand et al. Matrices for waste streams immobilization
Shao et al. Sintering of SrB2Si2O8 glass-ceramics and their Sr immob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