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605B1 -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605B1
KR102254605B1 KR1020197021946A KR20197021946A KR102254605B1 KR 102254605 B1 KR102254605 B1 KR 102254605B1 KR 1020197021946 A KR1020197021946 A KR 1020197021946A KR 20197021946 A KR20197021946 A KR 20197021946A KR 102254605 B1 KR102254605 B1 KR 10225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ing device
fork
rotation
reversing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332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키
이츠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잉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잉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잉그
Publication of KR2019010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 E04G21/168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used for tilting, e.g. from horizontal to vertical position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Abstract

중간 위치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판 형상 건재(建材)를 반전시킬 수 있는 반전 장치를 제공한다.
반전 장치(1)는 2대가 1세트로 이용된다. 구동륜(8a), 종동륜(8b)을 구비한 대차(臺車; 8) 상에 승강 구동부(6)가 설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 건재를 유지시키는 유지부(2)는 회전 구동부(4)의 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유지부(2)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배치된 슬라이더(2a)와, 이 슬라이더(2a)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포크(2b)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4)는 승강 구동부(6)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회전 구동부(4), 승강 구동부(6) 및 대차(8)의 구동륜(8a)은, 외부로부터 수신기(22)에 송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Description

반전 장치
[0001] 본 발명은, 시멘트 패널 등과 같은 중공(中空)의 판 형상 건재(建材)의 반전(反轉)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최근, 오피스 빌딩 등의 외벽에는, 압출 성형 시멘트판이라 불리는 시멘트 패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시멘트 패널은, 경량인 데다가, 내화성, 차음성 등이 우수하다.
[0003] 이러한 시멘트 패널의 이면(裏面)에는, 대들보(梁) 등의 골재에 대해 설치하기 위한 금구(金具)를 미리 부착시켜 둘 필요가 있다. 시멘트 패널은, 복수 장(枚)을 쌓아 올린 상태로 운반되므로, 상기의 금구는, 현장에서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시멘트 패널을 반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0004] 도 15는, 종래의 성형 패널의 분류 장치(101)를 나타낸 도면이다.
[0005] 도 15의 분류 장치(101)는, 건축 현장에 있어서 수평인 상태로 적층된 성형 패널의 산(山)으로부터 최상부에 있는 1장의 패널을 꺼낼 수 있다. 또한, 꺼낸 패널을 수평 상태, 또는 세워 쌓기한 상태로 대차(臺車)에 이재(移載; 옮겨싣기)할 수도 있다.
[0006] 분류 장치(101)는, 수직 프레임(102a)과 수평 프레임(102b)으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한 프레임(102)을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102)은, 전방에 차륜(103)을 가지며, 후방에 자유륜(自在輪, freewheel ; 104)이 설치되어 있다.
[0007] 또한, 수직 프레임(102a)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대(昇降臺座; 105)에는, 클램프 수단(106)을 갖는 아암(107)이 상방으로 회동 가능해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클램프 수단(106)은, 아암(107)의 중간 정도에 설치된 패널 스토퍼(108)와, 선단(先端)의 클램프 부재(10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0008] 아암(107)은, 또한, 중간 위치가 와이어(110)에 의해 매달아 올려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수직 프레임(102a)의 상단에 구비된 윈치(111)를 감음으로써 상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0009] 이러한 구성의 분류 장치(101)를 이용하면, 적층된 최상 위치의 패널을 클램프 수단(106)에 의해 클램핑하여, 들어 올릴 수 있는 동시에, 윈치(111)를 감아 올림으로써, 들어 올린 상태에서 경사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0010] 따라서, 분류 장치(101)는, 시멘트 패널의 이면에 금구를 부착하는 작업에 유용하다. 나아가, 분류 장치(101)는, 시멘트 패널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부착 위치까지 반송할 수도 있다.
[0011] 또한, 이러한 구성의 분류 장치(101)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0012]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05-149005호
[0013]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분류 장치(101)에서는, 균형 있게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시멘트 패널의 중간 위치로의 위치 맞춤을 정확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0014] 그러나, 시멘트 패널은 다양한 길이인 것이 혼재하여 쌓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각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맞추어, 그때마다, 분류 장치(101)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잡해진다.
[0015]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 위치로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판 형상 건재를 반전시킬 수 있는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6]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평행하게 형성된 중공의 판 형상 건재를, 상기 관통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듯이 유지시키는 동시에 반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반전 장치로서,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포크가 평행하게 배치된 유지부(保持部)와, 상기 포크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포크의 상방에 회전축이 배치되어, 상기 유지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포크의 선단측은, 기단(基端)측보다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 중 적어도 일방(一方)은, 부하의 증대에 수반하여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특성을 가진 전동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9]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쌍을 이루는 구성의 각각에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제어 및 상기 승강 구동부의 승강 제어의 각 제어 신호를 받는 수신 수단이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수단은 동일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유지부는, 상기 포크를 신축(伸縮) 조작 가능한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승강 구동부는, 2개의 채널강(鋼)이 서로의 홈(溝)측을 폭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2개의 끝단 가장자리(端緣)가 모두 후방을 향해 굽힘가공되어 있는 지지 기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2]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지지 기둥의 내벽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접촉하여 상하로 전동(轉動) 가능한 제1 롤러와, 폭 방향으로 접촉하여 상하로 전동 가능한 제2 롤러를 갖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3]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지 기둥의 상하 방향의 중간 영역에, 적어도, 후방 및 폭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4]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지 기둥의 폭 방향의 내벽과 상기 제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지지 기둥보다 경질(硬質)의 보강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구동부의 회전축보다 하방(下方)에, 유지부의 2개의 포크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전 조작의 전반(前半)의 회전 영역(回轉域; 0∼90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토크는, 반전 조작의 후반(後半)의 회전 영역(90∼180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토크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전반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 환언하자면, 반전 조작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현저해지는 장치 간의 부하의 차(差)로부터, 동기가 어긋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0026]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판 형상 건재의 하중에 의해 포크에 휨이 생긴 경우라 하더라도, 선단측과 기단측의 직경 차의 범위 내라면, 기단측과 판 형상 건재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손 등의 손상이 생기기 쉬운 개구단(開口端)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포크의 길이만큼 관통 구멍 내로 침입한 위치에서 안전하게 판 형상 건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7]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동기의 어긋남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동작이 선행하는 반전 장치는, 후행측에 비해 상대 부하가 커지므로, 부하의 차에 따라 회전수(數)가 저하되는 전동기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후행측과의 동기의 어긋남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8]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한 쌍의 반전 장치는, 모두 동일 채널로 설정된 수신 수단을 구비하므로, 단일의 제어 신호를 받아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29]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반전 장치 본체를 판 형상 건재의 관통 구멍의 개구측에 근접하게 배치한 다음, 포크를 신축 조작함으로써, 관통 구멍으로의 포크의 삽입 또는 이탈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30]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채널강의 끝단 가장자리가 후방을 향해 굽힘가공되어 있으므로, 전후 방향으로의 강도가 향상된다. 특히, 후방의 끝단 가장자리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부분을 후방의 프레임 등의 구조와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지지 기둥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0031]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지지 기둥의 내측에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갖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수용되므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0032]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적어도, 후방 및 폭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러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지지 기둥이 팽창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33]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지지 기둥의 폭 방향의 내벽과, 폭 방향으로 접촉하는 제2 롤러와의 사이에, 보강판이 설치되므로, 지지 기둥의 폭 방향으로의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판은 지지 기둥보다 경질의 재료로 구성되므로, 제2 롤러의 구름 마찰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0034]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한 쌍의 반전 장치의 일방을 정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반전 장치를 배면측(背面側)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반전 장치의 회전 동작을 나타낸 회전 구동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반전 장치의 간격 조정 동작을 나타낸 회전 구동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반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반전 장치의 승강 구동부의 나사 기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a)는 유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 (b)는 시멘트 패널을 재치(載置; 올려 놓음)한 상태, (c)는 시멘트 패널의 재치 위치를 초과하여 유지부가 하강(降下)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반전 장치의 유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의 정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반전 장치의 배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반전 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전체도이고, (b)는 아암 기단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반전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전체도이고, (b)는 아암 주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반전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전체도이고, (b)는 아암 기단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성형 패널의 분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003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36]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 장치(1)는 2대가 1세트(組)로 이용된다. 도 1에는, 경면(鏡面) 대칭으로 구성된 한 쌍의 반전 장치(1)가, 판 형상 건재인 시멘트 패널(100)을 그 길이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듯이 배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시멘트 패널(100)에는, 관통 구멍(100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반전 장치(1)의 각각의 포크(2b)는, 상기 관통 구멍(100a)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0037] 빌딩의 외벽 등에 이용되고 있는 시멘트 패널(100)에는, 설치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서, 이면(裏面) 또는 양면(兩面)에 금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패널(100)을 1장씩 반전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전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38] 도 2는 본 발명의 반전 장치(1)를 정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반전 장치(1)는, 2대가 1세트로 이용되는 한 쌍의 장치인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에서는, 일방(一方)의 구성만을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구동륜(8a)(도 3)에 의한 전진 방향(도 1 참조)을 향했을 때의 좌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우측에 배치되는 구성에는, 상기 도 2에 나타낸 구성에 대해, 적어도, 전장품(電裝品)을 이용하여 경면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0039]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사용 상태의 설명에서 나타낸 시멘트 패널(100)과 같은, 관통 구멍(100a)이 형성된 중공의 판 형상 건재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2)의 구성인 2개의 포크(2b)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0040] 유지부(2)는, 슬라이더(2a)와 포크(2b)로 이루어지며, 포크(2b)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회전축(4a)을 배치한 회전 구동부(4)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4)는, 직육면체인 케이스 내에 모터(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포크(2b)에 의해 유지되는 시멘트 패널(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4)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반전 조작된다. 상기 회전 구동부(4)는, 승강 구동부(6)에 부착되어 있다.
[0041] 상기 유지부(2), 회전 구동부(4) 및 승강 구동부(6)는 대차(8)에 설치되어 있으며, 반전 장치(1) 전체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0042] 승강 구동부(6)는, 대차(8) 상에 세워 설치(立設)된 나사 기둥(6a)과, 나사 기둥(6a)의 상단에 부착되어, 나사 기둥(6a)을 축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6b)와, 나사 기둥(6a)에 평행하게 세워 설치된 지지 기둥(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4)는, 대략 수평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아암(6d)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암(6d)의 기단측에는, 승강 구동부(6)의 나사 기둥(6a)에 나사 결합(螺合)되어, 이송 나사를 구성하는 너트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 나사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8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회전 구동부(4)는, 승강 구동부(6)의 나사 기둥(6a)을 모터(6b)에 의해 축회전시킴으로써 승강 제어가 가능하다.
[0043] 대차(8)의 후방에는 구동륜(8a)(도 3)이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종동륜(8b)이 설치되어 있다. 단,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방 또는 중간 위치에 구동륜(8a)이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0044] 종동륜(8b)은 대차(8)의 전방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되며, 이들의 주행 방향은, 포크(2b)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에 반해, 구동륜(8a)은,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의 유지부(2)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측에 치우쳐서 배치되며, 주행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주행 조종(操舵) 핸들(8d)(도 3)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륜(8a)보다 약간 전방이며, 폭 방향에 있어서 구동륜(8a)과 반대되는 측에는, 모든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한 자유륜(8c)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조종 핸들(8d)에 특정 방향으로 로킹(locking)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주행이 안정된다. 예컨대, 직진 방향으로 로킹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판 형상 건재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평행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0045] 도 3을 참조하면, 대차(8) 상에는, 상기 회전 구동부(4), 승강 구동부(6)(도 2) 및 구동륜(8a)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20)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21)도 재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제어, 승강 제어 및 구동 주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2)가 제어반(21)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접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송신기(18)를 이용한 원격 조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0046] 여기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도 1과 같이 시멘트 패널(100)의 관통 구멍(100a)에 포크(2b)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멘트 패널(100)의 길이 방향의 각각의 단부(端部) 근방에 반전 장치(1)를 배치한다. 이때, 구동륜(8a)에 의한 구동 주행에 의해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륜(8a)의 주행 조종 핸들(8d)의 로킹을 해제하고, 핸들의 방향을 바꾸면서 구동 주행에 의해 시멘트 패널(100)의 단부에 가깝게 대고, 포크(2b)의 위치를 관통 구멍(100a)의 위치에 맞춘다.
[0047] 도 2로 되돌아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의 유지부(2)의 포크(2b)에는, 신축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도 2에는, 포크(2b)의 수축 상태의 배치가 점선으로 중복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크(2b)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시멘트 패널(100)에 가깝게 대고, 위치 맞춤을 행한 후에 포크(2b)를 신장시키면, 반전 장치(1) 전체를 움직이면서 삽입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포크(2b)의 삽입이 가능하다.
[0048] 다음으로 회전 구동 기구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49] 도 4는 도 2의 반전 장치(1)의 회전 구동부(4)의 주변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포크(2b)를 구비한 유지부(2)가 회전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2개의 포크(2b)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가 실선으로 도시되고, 근소하게 회전한 상태가 점선으로 중복하여 도시되어 있다.
[0050]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의 포크(2b)는 각각 회전 구동부(4)의 회전축(4a)으로부터 등거리(等距離)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멘트 패널의 단변(短邊) 방향의 중심 위치를 회전 중심에 맞추면, 균형 있게 반전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1] 도 5는, 도 4와 마찬가지로 반전 장치(1)의 회전 구동부(4)의 주변을 확대한 사시도인데, 여기서는, 포크(2b)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기구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간격이 확대된 상태는 점선으로 중복하여 도시되어 있다.
[0052]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부(2)의 포크(2b)는 슬라이더(2a)에 부착되며, 슬라이더(2a)는 1개의 나사축(2c)에 의해 각각 나사 대우(對偶)로 배치되어 있다. 단, 각각의 슬라이더(2a)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2c)의 나사산은 서로 역(逆)나사가 되도록 나사가 커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축(2c) 끝단(端)의 입력부(2ca)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축(4a)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더(2a) 끼리를 서로 이간 또는 접근시켜, 포크(2b)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멘트 패널(100)의 관통 구멍(100a)(도 1 참조)에 대해 중심 위치 맞춤을 행한 후에, 포크(2b)의 간격을 미세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반전 장치(1) 전체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관통 구멍(100a)에 포크(2b)를 삽입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a) 및 나사축(2c)으로 이루어진 간격 조절 기구를 이용하여, 넓히는 방향 또는 좁히는 방향으로 관통 구멍(100a)의 내벽에 가압접촉(壓接) 상태로 유지시키면, 반전 조작에 있어서 덜컹거리는 일 없이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0053]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축(2c) 끝단에는 입력부(2ca)로서 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동(手動)으로 이용 가능한 입력부를 설치하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0054] 이어서, 승강 기구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55] 모터(6b)가 나사 기둥(6a)과 평행하게 세워 설치된 지지 기둥(6c)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나사 기둥(6a)은, 상단 내부에 설치된 베벨 기어(도시 생략)에 의해 모터(6b)의 회전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56] 상술한 회전 구동부(4)는, 지지 기둥(6c)에 대해 미끄럼 대우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나사 기둥(6a)에 대해 이송 나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0057] 이에 의해, 모터(6b)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회전 구동부(4)를 지지 기둥(6c)을 따라 승강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8] 다음으로, 상기 이송 나사 기구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0059] 도 7은, 나사 기둥(6a)에 대해 구성된 이송 나사 기구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 일점쇄선(一點鎖線)으로 나타낸 삼각형의 정점의 위치는, 시멘트 패널 등의 판 형상 건재가 재치되어 있는 산의 상면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즉, 일점쇄선은 작업의 하방 한계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나사 기둥(6a)에는, 이송 나사의 너트(6e)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6e)는, 승강 구동부(6)의 아암(6d)(도 2 참조) 내에 설치된 걸림고정부(6f)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어 있다. 걸림고정부(6f)의 하방에 접해 있는 것은, 걸림고정부(6f)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받는 수압판(受壓板; 6g)이다. 너트(6e)에는 수압판(6g)에 걸림결합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너트(6e)를 통해 수압판(6g) 및 걸림고정부(6f)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0060] 도 7(a)는 작업 대상 부재가 재치되어 있는 높이보다 걸림고정부(6f)가 더 들어 올려져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b)는 작업 대상 부재가 재치 위치에 접지(接地)해 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c)는, 작업 대상 부재가 재치 위치에 접지한 상태보다 더욱 하방으로 너트(6e)가 하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0061] 너트(6e)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고정부(6f)에 대해 길이(L)의 범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시킨 시멘트 패널(100)이 다른 시멘트 패널(100)이 재치된 산의 상면 위치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의 너트(6e)의 위치보다 더 하방으로, 대략 길이(L)만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판 형상 건재 등의 작업 대상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하중이 완전히 사라지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포크(2b)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0062]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크(2b)의 작업 대상에 대한 하방 접촉 위치보다 더 하방에 길이(L)만큼 동작 범위에 여유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원이 육안으로 보면서 러프하게 조작한다 하더라도, 작업 대상인 건재를 파괴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중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나, 재치면과의 거리를 계측하는 측거(測距)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성은 불필요하여, 비용 및 중량의 대폭적인 삭감이 가능하다. 특히, 작업 현장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장치를 반입할 수 있으면 작업 효율뿐만 아니라 반입 비용의 면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하기 때문에, 중량을 삭감할 수 있는 구성에는 이점이 많다.
[0063] 다음으로, 포크(2b)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유지부(2)를 나사축(2c)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다. 도 8(a)는 슬라이더(2a)에 대한 포크(2b)의 신축 슬라이딩의 전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신장 상태가 실선으로 표시되고, 수축 상태(후퇴 상태)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크(2b)의 선단측은, 전체 둘레에 있어서 기단측보다 한 사이즈만큼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는 후퇴 시의 후방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로서 이용된다.
[0064] 도 8(b)는 신장 상태에 있어서의 포크(2b)에 시멘트 패널(100)로부터 하중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커다란 힘이 포크(2b)에 가해지면, 근소하게나마 하방으로 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크(2b)의 선단에는 한 사이즈만큼 커지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휨이 발생된 경우라 하더라도, 그 휨량이 근소하다면, 기단부측에서는 시멘트 패널(100)과 접촉하는 일 없이, 포크(2b)의 선단측만으로 시멘트 패널(100)이 지지된다. 따라서, 깨짐 등의 손상이 생기기 쉬운 단부로의 하중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비록, 포크(2b)의 기단측과 시멘트 패널(100)이 접촉할 정도로까지 휨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하중의 대부분은 포크(2b)의 선단측에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 패널(100)에 손상이 생기기 어렵다는 것에는 변화가 없다.
[0065] 또한, 반전 조작에 의해 시멘트 패널(100)과의 접촉 위치가, 포크(2b)의 측면으로부터 저면측으로 옮겨간 경우라 하더라도, 선단측의 단차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시멘트 패널(100)의 단부는 보호된다.
[0066] 이상 기재한 반전 장치(1)는, 독립적으로 배터리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수신기(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에서는, 서로의 동작 상태를 검지하여 자신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등의 복잡한 피드백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대신에, 각각의 수신기(22)를 동일 채널로 설정하고, 하나의 무선 송신기(18)로부터 동일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동시에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동기가 이루어진 일체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동일 채널이란, 무선 통신에 있어서 사용하는 주파수가 동일한 주파수 혹은 주파수대이거나, 혹은 통신을 패킷으로 행하는 경우는 동일 어드레스를 말한다.
[0067] 따라서, 복잡한 서보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 회로나 개체 간의 통신 수단은 불필요하며, 중량 및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68] 또한, 특징적인 구성은, 회전 구동, 승강 구동의 구동에 이용되는 전동기(모터(4b, 6b))에,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굳이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회전 구동부(4)의 모터(4b) 및 승강 구동부(6)의 모터(6b) 중 적어도 일방에, 부하의 증대에 수반하여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특성이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0069]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의 유지부(2)의 포크(2b)는, 회전 구동부(4)의 회전축(4a)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 구동부(6)의 아암(6d)을 크게 내리는 일 없이, 낮은 위치의 시멘트 패널(100)을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들어 올린 시멘트 패널(100)을 반전시킬 때, 2개의 포크(2b)가 모두 회전축(4a)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0∼90도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 서서히 회전 토크가 증대되고, 90도의 위치에서 최대가 된다.
[0070] 가령, 회전 구동부(4)의 모터(4b)가, 부하의 증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0∼90도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 회전 토크의 증대에 수반하여 서서히 회전 속도가 저하된다.
[0071] 여기서,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반전 장치(1)의 위상에 어긋남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또는, 배터리(20)의 축전량의 차에 의해 전압차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 모터(4b)의 회전 속도가 완전히는 일치하지 않고, 근소하게 동기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0∼90도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의 들어 올리는 힘에 편향이 생겨, 선행하는 측의 포크(2b)에 대한 부하가 커진다. 그러나, 부하의 증대에 따라 회전 속도가 크게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선행측 쪽이 회전 속도의 저하가 현저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에서는, 복잡한 피드백 제어 회로를 이용하는 일 없이, 부하가 큰 쪽의 동작이 억제됨으로써, 후속측을 자동적으로 동조시키도록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2] 이상과 같은 작용은, 회전축(4a)으로부터 포크(2b)가 이격되어 있을수록 현저해진다. 따라서, 모터(4b, 6b)의 구동 능력과, 취급하는 시멘트 패널(100)의 중량 간의 관계를 가미하여, 양자(兩者)의 거리를 설정하면, 0∼90도의 반전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동기의 어긋남이 크게 완화되어, 그 이후의 반전 조작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3] 또한, 승강 구동부(6)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선행하여 들어 올림 동작을 행하는 측에는, 후속측보다 큰 부하가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속도의 저하가 커진다. 따라서, 선행측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상승 동작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동기화가 도모된다.
[007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반전 장치(1)에 의하면,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면서 행하는 조정으로부터 발생하는 근소한 동기의 어긋남에 대해서는, 전동기(4b, 6b)의 부하에 대해 회전 속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완화되도록 작용하므로, 복잡한 서보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시멘트 패널(100)의 손상을 막아 안전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5] 이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현장의 자재 운반용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0076] 또한, 비교적 러프하게 초기 설정을 행하더라도, 장치 간에 자동적으로 동기가 도모되도록 동작하므로, 작업에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0077] (제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51)의 정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반전 장치(51)의 배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다. 반전 장치(5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상기 도 9 및 도 10을 적절히 참조하여 설명한다.
[0078]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반전 장치(51)도 2대가 1세트로 이용된다. 이후, 도면 중에 나타낸 내측이란, 2대가 1세트인 반전 장치(51)로 구성되는 작업 공간에 있어서의 내측이며, 단독의 반전 장치(51)에 있어서 내측(중앙측)을 설명하는 경우는, 「장치의」 내측이라고 칭하여 구별하기로 한다. 또한, 작업 대상인 판 형상 건재를 유지 또는 반전 조작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후술하는 구동륜 및 주행 조종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측을 후방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쌍을 이루는 구성 중 일방만을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을 향했을 때의 좌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우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구성에 대해, 적어도, 전장품을 제외한 부분이 경면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0079] 시멘트 패널 등의 판 형상 건재를 직접 들어 올리는 유지부(52)는, 제1 실시형태의 반전 장치(1)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52)는, 내측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포크(52b)와, 이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슬라이더(52a)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슬라이더(52a)는 나사축(52c) 중, 서로 역나사로 커팅된 부분에 대해 각각 이송 나사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사축(52c)의 단부에 설치된 어느 일방의 입력부(52ca)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2개의 슬라이더(52a)를 동시에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0080] 또한, 유지부(52)에는, 반전 장치(51)의 폭 방향에 있어서, 포크(52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 4개의 가이드 롤러(52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롤러(52d)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1)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다. 포크(52b)는, 도 1의 반전 장치(1)와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퇴피(退避)시킬 수 있다. 상기 퇴피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52d)를 가이드로 하여 시멘트 패널의 단부에 꽉 누르면서 반전 장치(51)를 가깝게 대면, 시멘트 패널의 단부가 깎이는 일 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포크(52b)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81] 이러한 유지부(52)는, 회전 구동부(54)에 부착되어 있다. 유지부(52)의 포크(52b)는, 회전 구동부(54)의 회전축(54a)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포크(52b)는, 회전축(54a)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54)는, 직육면체의 케이스 내에 모터(54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포크(52b)에 의해 유지된 시멘트 패널은, 도 1의 반전 장치(1)와 마찬가지로, 회전 구동부(54)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반전 조작된다. 이 회전 구동부(54)는, 승강 구동부(56)에 부착되어 있다.
[0082] 상기 유지부(52), 회전 구동부(54) 및 승강 구동부(56)는 대차(58) 상에 설치되어 있고, 반전 장치(51)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도, 도 1의 반전 장치(1)와 동일하다.
[0083] 승강 구동부(56)는, 대차(58) 상에 세워 설치된 나사 기둥(56a)과, 나사 기둥(56a)의 상단에 설치되어, 나사 기둥(56a)을 축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56b)와, 나사 기둥(56a)을 둘러싸도록 세워 설치된 지지 기둥(5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54)는, 대략 수평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아암(56d)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암(56d)의 기단측에는, 승강 구동부(56)의 나사 기둥(56a)에 나사 결합되어, 이송 나사를 구성하는 너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구동부(54)는, 승강 구동부(56)의 나사 기둥(56a)을 모터(56b)에 의해 축회전시킴으로써 승강 제어가 가능하다.
[0084] 다음으로, 대차(5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반전 장치(1)의 대차(8)와 마찬가지로, 대차(58)에도, 폭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종동륜(58b)이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대차(58)에서는, 종동륜(58b)이 부착되어 있는 2개의 다리부(58c) 중, 외측보다 내측 쪽이 강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차(58)의 다리부(58c)가 비대칭인 구성은, 도 1의 반전 장치(1)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의 다리부(58c)는, 후방 외측으로부터 전방 내측으로 연장되는 브레이싱(bracing)부(58e)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에는 구동륜(58a)이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륜(58a)은,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주행 조종 핸들(58d)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0085] 대차(58)의 후방에는, 상기 회전 구동부(54), 승강 구동부(56) 및 구동륜(58a)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70)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71)도 재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 제어반(71)에는, 회전 제어, 승강 제어 및 구동 주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접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의 반전 장치(1)와 마찬가지로, 무선 송신에 의한 원격 조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0086] 회전 구동 기구에 대해서는, 도 1의 반전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0087]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승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0088] 모터(56b)가 나사 기둥(56a)과 평행하게 세워 설치된 지지 기둥(56c)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대로이다. 나사 기둥(56a)은, 상단의 내부에 설치된 베벨 기어(도시 생략)에 의해 모터(56b)의 회전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모터(56b)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회전 구동부(54)를 지지 기둥(56c)을 따라 승강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구에 대해서는, 도 1의 반전 장치(1)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기둥(56c)의 구조가 크게 상이하다. 도 1의 반전 장치(1)의 지지 기둥(6c)은, 나사 기둥(56a)의 양쪽 겨드랑이 부분에 각각 세워 설치하는 2개의 각진 기둥(角柱) 부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반전 장치(51)의 지지 기둥(56c)은, 채널강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0089]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이송 나사 기구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52)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0090] 다음으로, 이러한 지지 기둥(56c) 및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91] 도 11은, 도 9의 반전 장치(51)의 좌측면도로서, 도 11(a)는 전체도를, 도 11(b)는, 아암(56d) 기단측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0092] 우선, 도 11(a)를 참조한다. 유지부(52)의 포크(52b)로 시멘트 패널을 들어 올리면, 하방을 향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56d)의 전방을 하방으로 기울이는 듯한 힘(F)이 작용한다. 이러한 힘(F)에 의해 나사 기둥(56a)(도 9 참조)에 발생하는 축방향 이외의 불필요한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지지 기둥(56c)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접촉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접촉부(57)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57)는, 지지 기둥(56c)을 따라 상하로 2세트가 설치되어 있다.
[0093] 여기서, 슬라이딩 접촉부(57)와 지지 기둥(56c)의 위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1(a)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 12를 참조한다.
[0094] 도 12에서는, 주로 지지 기둥(56c) 및 슬라이딩 접촉부(57)의 구조에 주목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반(71)의 내부 구조나 기타 주변의 구조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배면(背面) 커버(59)의 내측에 회전 구동부(54) 등의 구동 시스템의 배선 등이 수용되어 있지만, 골격 구조의 설명에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배선류에 대해서도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0095]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기둥(56c)은, 홈측을 마주보도록 배치한 2개의 채널강(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채널강(60)의 끝단 가장자리는, 모두, 후방을 향해 절곡(折曲)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채널강(60)의 전판부(前板部; 60a)의 끝단 가장자리는 절곡부(60d)로서 형성되고, 후판부(後板部; 60b)의 끝단 가장자리는 절곡부(60e)로서 형성되어 있다.
[0096] 슬라이딩 접촉부(57)는, 채널강(60)의 전판부(60a) 또는 후판부(60b)에 접촉 배치되는 전후 방향 롤러(57a)(제1 롤러)와, 측판부(60c)측에 접촉 배치되는 폭 방향 롤러(57b)(제2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폭 방향에 대해서는, 측판부(60c)와 폭 방향 롤러(57b)와의 사이에, 채널강(60)의 측방(側方)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판(6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61)에는, 채널강(60)보다 경도(硬度)가 높은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탄소강의 보강판(61)이라면, 전후 방향 롤러(57a)보다 작기 때문에 압력이 집중되기 쉬운 폭 방향 롤러(57b)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0097] 일반적으로, 채널강은 일방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파이프재나 각재(角材)에 비해 강도적으로 뒤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51)에서는, 채널강(60)의 홈측을 폭 방향으로 대향시켜 이용하므로, 전후 방향의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강(60)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부(60d, 60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후 방향으로도 충분한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0098] 또한, 채널강(60)이 일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승강 기구를 안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접촉부(57)를 지지 기둥(56c) 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0099] 여기서, 다시 도 11로 돌아와서, 슬라이딩 접촉부(57)가 설치되어 있는 아암(56d)의 기단측을 확대한 도 11(b)를 참조한다.
[0100]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51)에서는, 상측에 배치된 슬라이딩 접촉부(57)의 전후 방향 롤러(57a)는 채널강(60)의 전판부(60a)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후방과 후판부(60b)와의 사이에는 근소한 틈새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반해, 하측에 배치된 슬라이딩 접촉부(57)의 전후 방향 롤러(57a)는 채널강(60)의 후판부(60b)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전방과 전판부(60a)와의 사이에 근소한 틈새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방을 향한 힘(F)이 아암(56d)에 작용하더라도, 지지 기둥(56c)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있어, 나사 기둥(56a)에 발생하는 회전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0101] 다음으로, 지지 기둥(56c) 및 슬라이딩 접촉부(57)의 관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시점(視點)을 바꾸어 설명한다. 도 13은, 도 9의 반전 장치(51)의 정면도로서, 도 13(a)는 전체도를, 도 13(b)는, 아암(56d) 주변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0102] 여기서는, 작업 대상인 시멘트 패널(100)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a)에는, 복수 장이 재치된 시멘트 패널(100)의 산 위로부터 1장을 들어 올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빌딩의 외벽에 이용되는 시멘트 패널(100)은, 1장의 중량이 수백 킬로나 되기 때문에, 2대를 1세트로 이용하여 들어 올리더라도, 일방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진다.
[0103] 아암(56d)의 주변을 확대한 도 13(b)를 참조한다. 슬라이딩 접촉부(57)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접촉부(57)에는, 지지 기둥(56c)의 측판부(60c)의 내벽에 대어진 보강판(61)에 접촉하는 폭 방향 롤러(57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측을 향해 설치된 유지부(52)의 포크(52b)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측의 슬라이딩 접촉부(57)의 폭 방향 롤러(57b)는 지지 기둥(56c)에 대해 폭 방향 내측의 보강판(61)에 꽉 눌린다. 이에 반해, 하측의 슬라이딩 접촉부(57)의 폭 방향 롤러(57b)는, 외측의 보강판(61)에 꽉 눌린다. 이와 같이 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도, 지지 기둥(56c)에 의해 안정적으로 반력을 받을 수 있다.
[0104] 다음으로, 지지 기둥(56c) 주변의 구성에 대해, 평면 시점으로 바라보고(平面視) 설명을 행한다. 도 14는, 도 9의 반전 장치(51)의 평면도로서, 도 14(a)는 전체도를, 도 14(b)는, 아암(56d) 기단측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과 마찬가지로, 시멘트 패널(10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0105] 도 14(a)를 참조하여, 지지 기둥(56c)의 주위에 판 형상의 외측 보강 리브(6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b)에서는, 형상을 판별하기 용이하도록, 편의적으로, 외측 보강 리브(62)에 사선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상기 외측 보강 리브(62)는, 지지 기둥(56c)에 대해, 전방을 제외한 세 방향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접촉부(57)의 전후 방향 롤러(57a)나 폭 방향 롤러(57b)로부터 지지 기둥(56c)의 내벽에 강대(强大)한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 하더라도, 지지 기둥(56c)의 팽창에 의한 변형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0106] 또한, 상기 외측 보강 리브(62)에 의해, 좌우 한 쌍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채널강(60)끼리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지지 기둥(56c) 전체의 강성(剛性)도 향상된다.
[0107] 외측 보강 리브(62)는, 적어도, 슬라이딩 접촉부(57)가 통과하는 지지 기둥(56c)의 중간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70)와 제어반(71)과의 사이의 근소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0108]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51)에서는, 지지 기둥(56c)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장치의 폭 방향에 있어서 컴팩트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3 및 도 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지지 기둥(56c)보다 내측, 즉, 포크(52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멘트 패널(100)을 들어 올린 상태로 전진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나머지 시멘트 패널(100)의 산과 간섭할 일은 없기 때문에, 작업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0109] 동시에, 지지 기둥(56c)을 컴팩트하게 설계함으로써, 포크(52b)가 설치되지 않은 쪽의 공간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즉,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있어서, 지지 기둥(56c)을 통해 유지부(52)와 반대되는 측에 중량물(예컨대, 배터리(70)나 제어반(71) 등)을 카운터 웨이트로서 배치하는 경우에 설계 자유도가 높다. 이에 의해, 지지 기둥(56c)을 중심으로 한 전체의 밸런스가 양호해지므로, 반전 장치(51)가 안정된다.
[0110] 나아가, 지지 기둥(56c)을 구성하는 채널강(60)은, 후판부(60b)의 끝단 가장자리가 절곡부(60e)로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후방의 구조(예컨대, 대차(58)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 등)와 연결하여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후방의 구조와 연결하여 설치하면, 지지 기둥(56c)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할 수가 있다.
[0111] 또한, 이상 설명한 구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
[0112]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포크(2b, 52b)는 유지부(2, 52)에 2개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인 구성도 포함된다. 단, 3개 이상인 경우는, 양(兩)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포크가, 상술한 포크(2b, 52b)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면,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0113] 또한,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20, 70)를 전원으로 한 구성을 예로 하였지만, 상용(商用) 전원을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0114] 또한,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구동부(4) 및 승강 구동부(6) 중 적어도 일방은, 부하의 증대에 수반하여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특성을 가진 전동기(모터(4b, 6b))인 것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구체적으로는, 정회전(定回轉)의 피드백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직류 모터가 바람직하다. 특히, 완전한 로킹을 방지하여 정지 상태에 있어서 과대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가 적합하다.
[0115] 나아가, 부하의 증대에 수반하여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전동기에는, 전자 클러치를 구비한 것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동력 흡수 또는 토크 리미터를 위해, 파우더 클러치나 히스테리시스 클러치 등을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介在)시킨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전동기를 이용하면, 과부하로 인해 작업 대상측(클러치의 출력측)의 움직임이 완전히 정지되어 버리는 등의 경우라 하더라도, 파우더 클러치 등에 있어서 적당한 슬립이 생기기 때문에, 전동기 홈측(클러치의 입력측)은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속도의 유지를 위해 과전류가 발생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2대의 반전 장치(1)의 동조의 어긋남이 발생한 후, 다시 동조되었을 때 정지측이 기동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파우더 클러치 등의 구성이 완충 기구로서 작용하므로, 불필요한 반동을 일으키게 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장치(51)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0116] 또한,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륜(8a)이 후방에 하나로 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전력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구동륜을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나아가, 폭 방향에서 일방에 치우치게 배치할 필요도 없다.
[0117] 또한, 상기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57)에 대해, 전후 방향 롤러(57a)와 폭 방향 롤러(57b)를 조합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승강 구동부(56)의 아암(56d)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받을 수가 있고, 또한, 승강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성이라면, 롤러 이외의 슬라이딩 접촉 부재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예컨대, 내마모성의 고분자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고분자 재료와 롤러와의 조합이어도 상관없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0118] 본 발명의 반전 장치는, 정밀한 동조 기구를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資材)용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작은 스페이스의 건축 현장에서 유용하다. 또한, 시멘트 패널 등의 판 형상 건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다란 건재를 안전하게 승강 또는 반전시키는 장치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0119] 1 : 반전 장치
2 : 유지부
2a : 슬라이더(간격 조절 기구)
2b : 포크
2c : 나사축(간격 조절 기구)
2ca : 입력부
4 : 회전 구동부
4a : 회전축
4b : 모터
6 : 승강 구동부
6a : 나사 기둥(이송 나사 기구)
6b : 모터
6c : 지지 기둥
6d : 아암
6e : 너트(이송 나사 기구)
6f : 걸림고정부
6g : 수압판
8 : 대차
8a : 구동륜
8b: 종동륜
8c : 자유륜
8d : 주행 조종 핸들
18 : 무선 송신기(송신 수단)
20 : 배터리
21 : 제어반
22 : 수신기(수신 수단)
51 : 반전 장치
52 : 유지부
52a : 슬라이더(간격 조절 기구)
52b : 포크
52c : 나사축(간격 조절 기구)
52ca : 입력부
52d : 가이드 롤러
54 : 회전 구동부
54a : 회전축
54b : 모터
56 : 승강 구동부
56a : 나사 기둥(이송 나사 기구)
56b : 모터
56c : 지지 기둥
56d : 아암
57 : 슬라이딩 접촉부
57a : 전후 방향 롤러(제1 롤러)
57b : 폭 방향 롤러(제2 롤러)
58 : 대차
58a : 구동륜
58b : 종동륜
58c : 다리부
58d : 주행 조종 핸들
58e : 브레이싱부
59 : 배면 커버
60 : 채널강
60a : 전판부
60b : 후판부
60c : 측판부
60d, 60e : 절곡부
61 : 보강판
62 : 외측 보강 리브
70 : 배터리
71 : 제어반
100 : 시멘트 패널(판 형상 건재)
100a : 관통 구멍
101 : 분류 장치
102 : 프레임
102a : 수직 프레임
102b : 수평 프레임
103 : 차륜
104 : 자유륜
105 : 승강대
106 : 클램프 수단
107 : 아암
108 : 패널 스토퍼
109 : 클램프 부재
110 : 와이어
111 : 윈치
F : 힘
L : 길이

Claims (9)

  1. 복수의 관통 구멍이 평행하게 형성된 중공의 판 형상 건재(建材)를, 상기 관통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듯이 유지시키는 동시에 반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반전 장치로서,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포크가 평행하게 배치된 유지부(保持部)와,
    상기 포크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포크의 상방에 회전축이 배치되어, 상기 유지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선단측은, 기단(基端)측보다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 중 적어도 일방(一方)은, 부하의 증대에 수반하여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특성을 가진 전동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구성의 각각에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제어 및 상기 승강 구동부의 승강 제어의 각 제어 신호를 받는 수신 수단이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수신 수단은 동일 채널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포크를 신축 조작 가능한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2개의 채널강(鋼)이 서로의 홈(溝)측을 폭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2개의 끝단 가장자리(端緣)가 모두 후방을 향해 굽힘가공되어 있는 지지 기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지지 기둥의 내벽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접촉하여 상하로 전동(轉動) 가능한 제1 롤러와, 폭 방향으로 접촉하여 상하로 전동 가능한 제2 롤러를 갖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의 상하 방향의 중간 영역(中間域)에, 적어도, 후방 및 폭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의 폭 방향의 내벽과 상기 제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지지 기둥보다 경질(硬質)의 보강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장치.

KR1020197021946A 2017-01-17 2018-01-16 반전 장치 KR102254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6214 2017-01-17
JP2017006214 2017-01-17
PCT/JP2018/000992 WO2018135480A1 (ja) 2017-01-17 2018-01-16 反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332A KR20190100332A (ko) 2019-08-28
KR102254605B1 true KR102254605B1 (ko) 2021-05-20

Family

ID=6290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946A KR102254605B1 (ko) 2017-01-17 2018-01-16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5165B2 (ko)
KR (1) KR102254605B1 (ko)
CN (1) CN110177749B (ko)
WO (1) WO2018135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0364A (zh) * 2020-09-16 2020-12-22 邹城市茂恒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稳定性好的混凝土轻质墙板起板机
CN115416560B (zh) * 2022-09-19 2024-03-26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单元支架搬运的蓄电池胶轮车
CN115370161B (zh) * 2022-09-21 2024-03-26 北京城建北方众邦装饰工程有限公司 超大规格陶瓷饰面板进入电梯轿厢的方法及限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963A (ja) * 2003-11-07 2005-06-02 Matsuo Endo 直方体製品の上下反転装置
CN202729719U (zh) * 2012-07-25 2013-02-13 米亚斯物流设备(昆山)有限公司 一种新型防滑伸缩叉
CN106079063A (zh) * 2016-07-29 2016-11-09 福建省闽亿钢构铁塔有限公司 一种水泥电线杆制造模具的自动翻转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800U (ko) * 1979-10-09 1981-05-20
JPS6146924U (ja) * 1984-08-31 1986-03-28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パネル反転装置
JPS61178127A (ja) * 1985-01-31 1986-08-09 Sekisui Chem Co Ltd 建物用パネルの転回装置
JPH03106606A (ja) * 1989-09-20 1991-05-07 Toto Ltd 成形体の反転方法
JPH0489711U (ko) * 1990-12-18 1992-08-05
JP2899146B2 (ja) * 1991-07-31 1999-06-0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JP2850089B2 (ja) * 1993-12-10 1999-01-27 株式会社 巴技研 柱状物体の反転装置
JPH082896A (ja) * 1994-06-15 1996-01-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のスライド式クランプアタッチメント
DE202007008217U1 (de) * 2006-06-29 2007-09-13 Netstal-Maschinen Ag Hilfsvorrichtung mit Greifer mit einer Vielzahl von Nippeln
NL1034139C2 (nl) * 2007-07-16 2009-01-19 Wilhelmus Johannes Hubertus Maria Heesakkers Inrichting voor het manipuleren van een althans in hoofdzaak plaatvormig object.
US8256577B2 (en) * 2008-10-31 2012-09-04 Dannmar Worldwide, Inc. Portable two post automobile lift
JP5078928B2 (ja) * 2009-02-27 2012-1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反転装置
CN103252614B (zh) * 2013-04-19 2015-08-26 杭州凯尔达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双龙门升降式翻转机
CN104444962B (zh) * 2014-11-13 2016-09-07 上海市动物无害化处理中心 一种可向前自动翻转的叉车投料装置
CN205257914U (zh) * 2015-11-12 2016-05-25 广西银钢南益制造有限公司 三轮摩托车搬运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963A (ja) * 2003-11-07 2005-06-02 Matsuo Endo 直方体製品の上下反転装置
CN202729719U (zh) * 2012-07-25 2013-02-13 米亚斯物流设备(昆山)有限公司 一种新型防滑伸缩叉
CN106079063A (zh) * 2016-07-29 2016-11-09 福建省闽亿钢构铁塔有限公司 一种水泥电线杆制造模具的自动翻转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25165B2 (ja) 2020-07-15
WO2018135480A1 (ja) 2018-07-26
JPWO2018135480A1 (ja) 2019-11-07
KR20190100332A (ko) 2019-08-28
CN110177749B (zh) 2021-07-13
CN110177749A (zh)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605B1 (ko) 반전 장치
EP2412658B1 (en) Apparatus for moving individual or packed plate-like products
US6523647B2 (en) Elevating platform assembly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JP5459558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111483777A (zh) 建筑施工用物料运送装置
CN103233752A (zh) 一种用于隧道掘进机的物料吊运装置
JP6939831B2 (ja) 搬送ロボット
CN111453642B (zh) 一种水利施工用钢板桩输运吊装设备
US6942198B2 (en) Lifter
CN210852722U (zh) 车门拆装辅助装置
KR100994123B1 (ko) 선체블록 맨홀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JP2014080805A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KR101619366B1 (ko) 호이스트
US5320197A (en) Sextuple upright
JP5213516B2 (ja) リーチスタッカのコンテナ保持装置
US6032998A (en) Power assisted roll handling apparatus
KR101585858B1 (ko) 크레인
US20080078624A1 (en) Vertical conveyor with hydraulic drive
US3231047A (en) Lift truck
KR101204174B1 (ko) 장축중량체의 각도전환장치
KR100701513B1 (ko) 인양장치
CN210260175U (zh) 一种砖坯转向生产线
JP2007022132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