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04B1 - 누름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04B1
KR102252304B1 KR1020207004884A KR20207004884A KR102252304B1 KR 102252304 B1 KR102252304 B1 KR 102252304B1 KR 1020207004884 A KR1020207004884 A KR 1020207004884A KR 20207004884 A KR20207004884 A KR 20207004884A KR 102252304 B1 KR102252304 B1 KR 10225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dy
lever
plunger
movabl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015A (ko
Inventor
카즈아키 모리타
유스케 코모구치
타다히코 오가와
마사미 니시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01H9/285Locking mechanisms incorporated in the switch assembly and operable by a key or a special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2003/0246Resetting of bistable emergency operating part by rotating itself or an access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8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누름버튼 스위치가, 하우징, 조작부 및 로크 레버부를 구비한다. 로크 레버부의 레버 본체가, 장척의 치구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가지며, 하우징이, 치구를 이용하여 레버 본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일단부가 계지부에 계지된 치구의 중간부와 접촉하여 치구의 회동 지점이 되는 지점 돌기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누름버튼 스위치
본 개시는,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B접점을 갖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의 B접점을 개폐 조작하는 조작부와, 조작부 및 접점부를 상호 고정 가능한 로크 레버를 갖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조작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에서는, 로크 레버에 조작구멍이 마련되고, 이 조작구멍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로크 레버를 회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허 제414704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조작 스위치에서는, 통상, 손가락으로 로크 레버가 회동 조작된 것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한 경우, 로크 레버를 용이하게 회동 조작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치구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로크 레버부를 구비한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한 예의 스위치는,
조작구멍이 마련된 조작면과, 상기 조작면에 교차하는 지점(支點) 형성면과,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조작구멍에 접속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작구멍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까지 상기 조작면에 교차하는 가동 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조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가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면이 상기 조작면에 대해 접근 동작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조작면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점 형성면부터 상기 지점 형성면에 교차하면서 상기 지점 형성면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함께,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상기 가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부를 갖는 로크 레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이용하는 장척의 치구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점 형성면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치구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일단부가 상기 계지부에 계지된 상기 치구의 중간부와 접촉하여 상기 치구의 회동 지점이 되는 지점 돌기부를 갖는다.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로크 레버부의 레버 본체가, 장척의 치구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가지며, 하우징이, 치구를 이용하여 로크 레버부의 레버 본체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일단부가 계지부에 계지된 치구의 중간부와 접촉하여 치구의 회동 지점이 되는 지점 돌기부를 갖는다. 계지부 및 지점 돌기부에 의해, 예를 들면, 로크 레버부의 레버 본체의 회동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한 경우라도, 치구를 이용함으로써 로크 레버부의 레버 본체를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저면도.
도 8은 도 1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부의 정면도.
도 10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부 및 로크 레버부의 저면도.
도 11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외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레버부의 상면도.
도 13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하우징의 일부 및 조작부(20)를 투과시킨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레버부의 우측면도.
도 15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플런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1 플런저의 사시도.
도 17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2 플런저의 사시도.
도 18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레버부 및 플런저의 사시도.
도 19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전달 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8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제1의 평면도.
도 20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전달 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8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제2의 평면도.
도 21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2 플런저, 접점 기구부 및 단자 접속 기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접점 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의 평면도.
도 23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접점 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의 평면도.
도 24는 도 1의 XXⅣ-XX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25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치구를 이용한 레버 본체(31)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의 정면도.
도 26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치구를 이용한 레버 본체(31)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의 정면도.
도 27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지점 돌기부의 제1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지점 돌기부의 제2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지점 돌기부의 제3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개시의 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특정한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고,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일치하고는 있지 않다.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도 1∼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입방체형상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부착된 조작부(20)와,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하도록 마련된 로크 레버부(3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조작구멍(13)이 마련된 조작면(12)을 갖고 있다. 조작구멍(13)은, 한 예로서, 개략 원형상을 갖고 있다. 조작부(20)는, 이 조작구멍(13)을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조작면(12)에 교차하는(예를 들면, 직교하는) 가동 방향(이하, 단지 가동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늘어나 있고, 그 연재 방향에서의 일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가동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하우징(1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부(30)는, 하우징(10)의 조작면(12)의 연부(緣部)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조작구멍(13)에 접속된 수용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조작부(20)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는, 수용부(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11)의 내부에는, 제1 플런저(41) 및 제2 플런저(42)를 갖는 플런저(40)와, 전달 기구부(50)(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다)와, 접점 기구부(60)와, 가세부(70)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11)의 가동 방향에서의 조작면(12)측의 단부에, 플런저(40)가 배치되고, 수용부(11)의 가동 방향에서의 조작면(12)에 대향하는 단자 접속면(14)측의 단부에, 가세부(7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40)와 가세부(70)의 사이에, 전달 기구부(50) 및 접점 기구부(60)가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누름버튼 스위치(1)의 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면(12)에 대향하는 단자 접속면(14)과, 조작면(12) 및 단자 접속면(14)에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직교 방향)으로 늘어나는 4개의 측면을 가지며, 4개의 측면 중의 하나의 측면이, 지점 형성면(15)을 구성하고 있다.
지점 형성면(15)에는, 이 지점 형성면(15)부터,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직교 방향)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지점 돌기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지점 돌기부(15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가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조작면(12) 및 단자 접속면(14)의 중간이면서 지점 형성면(15)의 가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지점 돌기부(151)는,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레버 본체(31)의 이동 방향에서의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의 중앙을 통과하는 조작부(20)의 가동 방향으로 늘어나는 중심선(CL)(도 24 및 도 25 참조)보다도 제1 위치(P1)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점 돌기부(151)는, 그 연재 방향의 일방의 만곡면(152)이, 장척의 치구(100)(도 24 및 도 25 참조)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를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치구(100)의 일단부인 선단부(101)가 후술하는 로크 레버부(30)의 계지부(312)에 계지된 치구(100)의 중간부(102)와 접촉하여, 치구(100)의 회동 지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만곡면(152)은, 치구(100)의 중간부(102)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지점 돌기부(151)로부터 치구(100)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단자 접속면(14)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141)가 마련되어 있다. 각 개구부(14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전선의 도체부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에 마련된 단자 접속 기구부(16)에 접속되어 있다. 이 단자 접속 기구부(16)는, 한 예로서, 이른바 푸시 인 접속식을 채용하고 있고, 전선의 도체부를 개구부(141)로부터 삽입할 뿐으로, 누름버튼 스위치(1)에 전선의 도체부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원주형상으로, 하우징(10)의 외부에 마련되면서 조작면(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압면(21)을 갖고 있다. 이 조작부(20)는, 가동 방향에 따라 가압면(21)이 조작면(12)에 대해 접근하는 접근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접근 동작에 의해 플런저(40)가 후술하는 복귀 위치(P3)(도 19 참조)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20)는, 플런저(40)가 복귀 위치(P3) 이외의 비복귀 위치(상세하게는, 제2 플런저(42)가 복귀 위치(P32) 이외의 비복귀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 동작에 의해,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도 8에 도시한다)로부터 가압 위치까지 이동하고,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상세하게는, 제2 플런저(42)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2))에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면(21)에는, 조작부(20)를 하우징(10)에 부착할 때의 조작부(2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부(25)는, 가동 방향에서의 가압면(21)이 조작면(12)에 접근하는 접근 방향(이하, 단지 접근 방향이라고 한다)에서 보아, 시계방향의 화살표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의 외주면에는, 가동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1 홈부(23)와, 제1 홈부(23)의 가동 방향에서의 가압면(21)측의 단부(231)에 접속되면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제2 홈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홈부(23) 및 제2 홈부(24)는, 후술하는 로크 레버부(30)에 마련된 계지 돌기부(342)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홈부(23)는,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계지 돌기부(342)를 수납 가능하고, 제2 홈부(2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을 때에 가동 방향에서의 계지 돌기부(342)를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부(30)의 계지 돌기부(342)와, 조작부(20)의 제1 홈부(23) 및 제2 홈부(24)는, 이동 규제부(80)를 구성하고 있다. 이동 규제부(80)는,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돌기부(342)가 제1 홈부(23)의 가동 방향에서의 가압면(21)측의 단부(231)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가동 방향에서 초기 위치보다도 조작면(12)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조작부(20)는, 일방향(이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25)의 화살표의 방향)으로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 홈부(23) 및 제2 홈부(24)가 접속되어 있다. 즉, 이동 규제부(80)는, 수용부(11)의 내부에서 조작부(20)와 로크 레버부(30)의 사이에 마련되고,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조작부(20)가 하우징(10)에 대해 확실하게 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의 외주면에는, 조작부(20)의 하우징(10)에 대한 부착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부(26)(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방향에서 가압면(21)부터 수용부(11)측의 단부(22)를 향하는 부착 방향의 화살표)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레버부(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301)와, 이 레버부(301)를 덮도록 하우징(10)에 고정된 외장부(32)를 갖고 있다. 레버부(301)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한 레버 본체(31)와, 수용부(11)에 배치된 레버 지지부(34)를 갖고 있다.
레버 본체(3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점 형성면(15)부터 지점 형성면(15)에 교차(예를 들면, 직교)하면서 지점 형성면(15)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함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방향에서 가압면(21)과 조작면(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 본체(31)는,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제1 위치(P1)(도 24 참조) 및 제2 위치(P2)(도 25 참조)의 사이를 가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직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장부(3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31)의 가동 방향에서의 상면(즉, 레버 본체(31)의 조작면(12)에 대향하는 대향면(311)(도 7에만 도시한다)의 가동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면)에 대향하면서 레버 본체(31)의 이동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1벽부(321)와, 레버 본체(31)의 가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레버 본체(31)의 이동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1벽부(321) 및 하우징(10)의 조작면(12)에 각각 접속된 제2벽부(322) 및 제3벽부(3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장부(32)에 의해, 레버 본체(31)의 이동 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벽부(321)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즉, 도 6의 우단부)에는,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유지부(33)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P2)에서 레버 본체(31)를 가동 방향의 일방부터 타방으로(즉, 도 11의 상방부터 하방으로)가압하여 레버 본체(31)를 유지 가능한 탄성 유지부(331)를 갖고 있다. 탄성 유지부(331)는, 제1벽부(321)의 연재 방향으로 늘어나 있음과 함께, 제1벽부(321)의 그 연재 방향의 타단부측(즉, 도 11의 좌측)의 단부(332)가, 제1벽부(321)에 접속되고, 제1벽부(321)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측의 단부(333)가, 제1벽부(321) 및 조작면(12)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동 방향에서의 조작면(12)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벽부(321)의 조작면(12)에 대향하는 면의 제1 위치(P1)측(즉, 도 11의 좌측)에는, 표시부(37)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37)는, 「UNLOCK」의 문자와,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31)의 대향면(311)에는, 계지부(312)와, 유지 해제부(313)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부(312)는, 레버 본체(31)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의 이동에 이용하는 장척의 치구(100)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인 선단부(101)(도 25 및 도 26 참조)를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해제부(313)는, 제2 위치(P2)에서 레버 본체(31)를 가동 방향의 타방부터 일방으로(즉, 도 7의 지면(紙面) 관통 방향에서의 앞쪽부터 속쪽으로) 가압하여, 탄성 유지부(331)에 의한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 본체(31)에는,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유지 해제부(313)에 대한 지점 형성면(15)의 반대측(즉, 도 7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유지 해제부(313)를 보호하는 보호벽부(3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부(3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31)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레버 본체(31)에 접속된 레버 지지부(34)를 갖고 있다. 이 레버 지지부(34)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에 마련되고,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를 그 둘레 방향(즉, 가동 방향 둘레)으로 둘러싸고, 레버 지지부(34)의 내주면(341)이,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지지부(34)에는, 그 내주면(341)부터 조작부(20)를 향하여(즉, 레버 지지부(34)의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돌기부(3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 예로서, 4개의 계지 돌기부(342)가, 레버 지지부(34)의 내주면(34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지지부(34)는, 접속부의 한 예의 레버 접속부(345)와 경사부(346)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 접속부(345)는, 개략 원환형상을 가지며, 조작면(12)에 따라 늘어나 있음과 함께, 그 중앙부의 개략 원형상의 관통구멍부(344)에 조작부(20)의 수용부(11)의 단부(22)가 수용되어 있다. 즉, 레버 본체(31)는, 레버 접속부(345)의 중심을 통과하면서 가동 방향으로 늘어나는 회동축 둘레를 회동한다. 또한, 레버 접속부(345)는,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는 경우에 조작부(20)와 함께 가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조작부(20)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346)는, 레버 접속부(345)와 레버 본체(31)에 접속되고, 레버 접속부(345)로부터 레버 본체(31)를 향함에 따라 가동 방향을 따라서 조작면(12)부터 가압면(21)을 향하는 개리 방향(이하, 단지 개리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경사하고 있다.
레버 접속부(345)에는, 레버 지지부(34)의 외주면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캠 돌기부(343)(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 예로서, 2개의 캠 돌기부(343))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캠 돌기부(343)는, 레버 접속부(345)의 관통구멍부(344)의 연부로부터 가동 방향에 따라서 조작면(12)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다리부(35)의 외주면(351)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캠 돌기부(343)는, 그 돌출 방향에서 보아, 모든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4각형상을 갖고 있다. 각 다리부(35)는, 관통구멍부(344)의 중심(CP)(도 12에 도시한다)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상에 각각 배치되고, 각 캠 돌기부(343)가, 후술하는 제1 플런저(41)의 복수의 캠 홈부(412)의 각각에 각각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 지지부(34)와, 복수의 캠 돌기부(343)와, 복수의 캠 홈부(412)로, 전달 기구부(50)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전달 기구부(50)는. 로크 레버부(30) 및 플런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31)에는,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외장부(32)에 의해 덮이지 않은 노출한 측면에, 표시부(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부(36)는, 「LOCK」의 문자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4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에서의 조작면(12)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가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부터 떨어진 복귀 위치(P3)(도 19 참조)와, 조작면(12) 및 복귀 위치(P3)의 중간의 동작 위치(도 20 참조)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40)는, 개략 사각형 판형상의 제1 플런저(41)와, 제1 플런저(41)에 대해 가동 방향에 따라 직렬적으로 배치되면서 조작면(12)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제2 플런저(42)를 갖고 있다. 제1 플런저(41) 및 제2 플런저(42)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호 독립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플런저(41)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어 가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략 원형상의 관통구멍부(411)와, 이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에 마련되면서 내주면(414)의 둘레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띄워서(예를 들면, 180도 간격을 띄워서) 배치된 복수의 캠 홈부(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 예로서, 2개의 캠 홈부)(412)를 갖고 있다. 또한, 관통구멍부(411)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내주면(414)의 둘레 방향(즉, 가동 방향 둘레)으로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각 캠 홈부(412)는, 접근 방향에서 보아,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조작면(1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환언하면, 레버 본체(31)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는 이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부터 떨어지도록) 각각 경사하고 있고,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지지부(34)의 각 캠 돌기부(343)에 각각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은, 레버 지지부(34)의 각 다리부(35)의 외주면(351)에 대향하고 있고, 각 캠 홈부(412)는, 각각 각 캠 돌기부(34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1 플런저(41)의 각 모서리부에는, 원형상의 오목부(41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오목부(413)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1)이 각각 수용되어 있다.
제2 플런저(42)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구멍부(423)가 마련된 환형상의 본체부(421)와, 이 본체부(421)의 지름 방향 외측에 마련된 복수의 플런저 접속부(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 예로서, 4개의 플런저 접속부422)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421)에는, 그 중앙부의 관통구멍부(423)의 주연부로부터 가동 방향을 따라서 조작면(12)에 접근하는 방향(즉, 도 17의 상향)으로 돌출한 환형상 벽부(4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환형상 벽부(424)는, 제1 플런저(41)의 관통구멍부(411)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421)의 환형상 벽부(424)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수용된 부분 원환형상의 오목부(425)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런저 접속부(422)는, 본체부(421)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에 따라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다. 각 플런저 접속부(422)는, 본체부(421)로부터 가동 방향을 따라서 조작면(12)부터 떨어지는 방향(즉, 도 17의 하향)으로 각각 늘어나는 개략 직방체형상을 가지며, 접점 기구부(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플런저(42)의 관통구멍부(423)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유닛(90)이 배치되어 있다.
로크 레버부(30) 및 플런저(40)를 접속한 상태를 도 18∼도 20에 도시한다. 도 19는,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있고, 플런저(40)가 복귀 위치(P3)에 있는 상태의 도 18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0은,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고, 플런저(40)가 동작 위치(P4)에 있는 상태의 도 18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플런저(41)는, 전달 기구부(50)에 의해, 레버 본체(31)를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에 이동시키면 복귀 위치(P31)로부터 동작 위치(P41)에 이동하고,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에 이동시키면 동작 위치(P41)로부터 복귀 위치(P31)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플런저(42)는,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72)에 의해 가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플런저(42)는, 제1 플런저(41)의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에의 이동에 수반하여 복귀 위치(P32)로부터 동작 위치(P42)에 이동하고, 제1 플런저(41)의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에의 이동에 수반하여 동작 위치(P42)로부터 복귀 위치(P32)에 이동한다. 또한, 제2 플런저(42)는, 복귀 위치(P32)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부(20)의 접근 동작에 의해,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2)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플런저(42)는, 조작부(20)의 접근 동작에 의해 복귀 위치(P32)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플런저(42)는, 조작부(20)의 접근 동작에 의해 복귀 위치(P32)에 이동한 경우,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에 의해 복귀 위치(P32)에서 유지된다.
즉, 전달 기구부(50)는,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에 이동시키는 한편,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에 이동시킨다. 환언하면, 전달 기구부(50)는, 레버 본체(31)의 이동 동작을 플런저(40)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접점 기구부(60)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 접점부(61)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가동 방향에서 각 고정 접점부(61)에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된 복수의 가동 접점부(62)를 갖고 있다. 각 고정 접점부(61)는, 각각 단자 접속 기구부(16)에 접속되어 있다. 각 가동 접점부(62)는, 각각 제2 플런저(42)의 4개의 플런저 접속부(422)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제2 플런저(42)의 복귀 위치(P32)로부터 동작 위치(P42)에의 이동에 의해 대향하는 고정 접점부(61)에 접촉하고, 제2 플런저(42)의 동작 위치(P42)로부터 복귀 위치(P32)에의 이동에 의해 접촉하여 있는 고정 접점부(61)로부터 개리(開離)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접점 기구부(60)는, 제2 플런저(42)의 가동 방향에 따른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단자 접속 기구부(16)는, 지점 형성면(15) 및 지점 형성면(15)에 대향하는 면에 따라서, 각각 일렬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지점 형성면(15)에 따라서 배치된 단자 접속 기구부(16)(이하, 제1 단자 접속 기구부(161)라고 한다)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 접점부(61) 및 대향하는 가동 접점부(62)는, NO 접점(63)을 구성하고, 지점 형성면(15)에 대향하는 면에 따라 배치된 단자 접속 기구부(16)(이하, 제2 단자 접속 기구부(162)라고 한다)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 접점부(61) 및 대향하는 가동 접점부(62)는, NC 접점(64)을 구성하고 있다. 즉,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있을 때,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O 접점(63)이 폐쇄되고, NC 접점(64)이 개방되는 한편,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을 때,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O 접점(63)이 개방되고, NC 접점(64)이 폐쇄된다.
가세부(70)는, 제1 가세부의 한 예인 코일 스프링(71)(도 13에 도시한다)과, 제2 가세부의 한 예인 코일 스프링(72)(도 8에 도시한다)을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71)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에서 제1 플런저(41)의 네모퉁이에 마련된 오목부(413)에 각각 배치되고,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를 향하여 가세한다. 상세하게는, 각 코일 스프링(71)은, 제1 플런저(41)의 오목부(413)의 저면과, 이 저면에 대향하는 하우징(10)의 수용부(11)를 구성하는 내면(111)(도 24 참조)에 끼여지지되어 있고, 제1 플런저(41)를 가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1 플런저(41)를 동작 위치(P41)로부터 복귀 위치(P31)를 향하여 가세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코일 스프링(71)은, 제1 플런저(41)에의 가압이 균등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제1 플런저(41)를 통하여,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를 향하여 가세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72)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에서 가동 방향에 따라서 단자 접속면(14) 및 접점 기구부(60) 사이에 배치되고,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를 향하여 가세한다.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72)은, 조작부(20)의 가동 방향으로 늘어나는 중심선(CL)상에 배치되고, 접점 기구부(60)의 단자 접속면(14)에 대향하는 부분을 조작면(12)을 향하여 가압하고, 접점 기구부(60)를 통하여, 제2 플런저(42)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2)로부터 동작 위치(P42)를 향하여 가세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71)은, 그 가세력이, 코일 스프링(72)의 가세력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 본체(31)가 조작되지 않는 한, 플런저(40)가 항상 복귀 위치(P3)에 위치하여 NC 접점(64)의 가동 접점부(62)가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개리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누름버튼 스위치(1)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도 24를 참조하여,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조작부(20)가 가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부터 가압면(21)을 향하여(즉, 도 24에 화살표(B)로 도시하는 개리 방향으로) 당겨진 경우의 누름버튼 스위치(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조작면(12)측의 벽부(18)에는, 로크 레버부(30)의 외장부(32)에 접속되고, 레버 지지부(34)의 경사부(346)에 따라 늘어나는 변형부(17)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와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지지부(34)는, 가동 방향으로 함께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20)가 개리 방향으로 당겨지면, 레버 지지부(34)도 함께 개리 방향으로 당겨진다.
레버 지지부(34)가 개리 방향으로 당겨지면, 레버 지지부(34)의 경사부(346)가 조작부(20)를 향하여 이동하고, 하우징(10)의 변형부(17)에 접촉한다. 변형부(17)에 접촉한 경사부(346)는, 접근 방향으로 변형하고, 레버 본체(31)를 접근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레버 본체(31)가, 코일 스프링(71)에 의해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에 이동하고, NC 접점(64)의 가동 접점부(62)가, 대응하는 고정 접점부(61)로부터 개리한다.
계속해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치구(100)를 사용한 레버 본체(31)의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있는 레버 본체(31)의 계지부(312)에, 치구(100)의 선단부(101)를 계지시킨다. 이때, 치구(100)는, 그 중간 부(102)가 지점 돌기부(151)의 만곡면(152)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치구(100)의 중간부(102)에 접촉한 지점 돌기부(151)의 만곡면(152)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선단부(101)를 계지부(312)에 계지시킨 채로, 치구(100)를 도 25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레버 본체(31)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서는, 치구(100)를 사용하여, 레버 본체(31)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플런저(40)가, 로크 레버부(30)의 전달 기구부(50)에 의해 복귀 위치(P3) 및 동작 위치(P4)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1 플런저(41)와, 제1 플런저(41)에 대해 직렬적으로 배치되면서 제1 플런저(41)보다도 조작면(12)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부(20)에 의해 복귀 위치(P3)에 이동 가능한 제2 플런저(42)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플런저(41) 및 제2 플런저(41)가, 상호 독립하여 이동 가능하고, 제2 플런저(42)의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62)가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접촉 또는 개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서는, 로크 레버부(30)의 위치 정밀도의 확보에 영향 받는 일 없이, 제2 플런저(42) 및 접점 기구부(50)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뿐으로, 고정 접점부(61)에 대한 가동 접점부(62)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로크 레버, 캠, 홀더, 및, B접점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 특허 문헌 1의 조작 스위치와 비교하여, 고정 접점부(61) 및 가동 접점부(62)의 접촉 신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런저(41)가, 가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부(411)와,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에 마련되면서 내주면(414)의 둘레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고, 레버 본체(31)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는 이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부터 떨어지도록 각각 경사하는 복수의 캠 홈부(412)를 가지며, 로크 레버부(30)가, 관통구멍부(411)에 배치되고,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에 따라 늘어나 있음과 함께, 레버 본체(31)가 접속된 레버 지지부(34)와, 복수의 캠 홈부(412)의 각각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레버 지지부(34)의 내주면(414)에 대향하는 외주면(351)부터 내주면(414)을 향하여 돌출하면서 대응하는 복수의 캠 홈부(412)의 각각에 각각 계합하는 복수의 캠 돌기부(34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달 기구부(50)가, 복수의 캠 홈부(412), 레버 지지부(34) 및 복수의 캠 돌기부(34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달 기구부(50)에 의해, 플런저(40) 전체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 접점부(61) 및 가동 접점부(62)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가, 장척의 치구(100)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101)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312)를 가지며, 하우징(10)이, 치구(100)를 사용하여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를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일단부(101)가 계지부(312)에 계지된 치구(100)의 중간부(102)와 접촉하여 치구(100)의 회동 지점이 되는 지점 돌기부(151)를 갖는다. 계지부(312) 및 지점 돌기부(151)에 의해, 예를 들면,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의 회동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한 경우라도, 치구(100)를 사용함으로써, 지레의 원리가 발생하여,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를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3)가, 제2 위치(P2)에서 레버 본체(31)를 가동 방향의 일방부터 타방으로 가압하여 레버 본체(31)를 유지 가능한 탄성 유지부(331)를 가지며,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서 레버 본체(31)를 가동 방향의 타방부터 일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유지부(331)에 의한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해제 가능한 유지 해제부(313)를 갖는다. 탄성 유지부(331) 및 유지 해제부(313)에 의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에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유지부(331)에 의한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31)가,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유지 해제부(313)에 대한 지점 형성면(15)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유지 해제부(313)를 보호하는 보호벽부(314)를 갖는다. 보호벽부(314)에 의해, 유지 해제부(313)의 오조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지점 돌기부(151)가, 치구(100)의 중간부(102)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지점 돌기부(151)로부터 치구(100)를 향하여 돌출하는 만곡면(152)을 갖는다. 만곡면(152)에 의해, 치구(100)의 회동 지점이 일정하게 되어, 치구(100)를 사용하여 레버 본체(31)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지점 돌기부(151)가,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레버 본체(31)의 이동 방향에서의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의 중앙보다도 제1 위치(P1)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치구(100)를 사용하여 레버 본체(31)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하우징(10)이,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조작부(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개리하는 개리 방향으로 당겨진 경우, 레버 지지부(34)에 접촉하여 레버 본체(31)를 이동시켜,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에 대한 가압을 해제 가능하게, 레버 본체(31)를 변형시키는 변형부(17)를 갖고 있다. 이 변형부(17)에 의해,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고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가동 접점부(62)가 접촉한 상태에서 유지부(33)에 유지되어 있던 경우에, 조작부(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개리하는 개리 방향으로 당겨졌다고 하여도,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해제하여,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가동 접점부(62)를 개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31)가, 가동 방향에서 가압면(21)과 조작면(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레버 지지부(34)가, 조작면(12)에 따라 늘어나서,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는 경우에 조작부(20)와 함께 가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작부(20)에 접속된 레버 접속부(345)와, 레버 접속부(345)와 레버 본체(31)에 접속되고, 레버 접속부(345)로부터 레버 본체(31)를 향함에 따라 개리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부(346)를 갖고 있다. 또한, 변형부(17)가, 경사부(346)에 대향하면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부(20)가 개리 방향으로 당겨진 경우에, 경사부(346)에 접촉하여 레버 본체(31)를 접근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에 대한 가압을 해제 가능하게, 레버 본체(31)를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고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가동 접점부(62)가 접촉한 상태에서 유지부(33)에 유지되어 있던 경우에, 조작부(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개리하는 개리 방향으로 당겨졌다고 하여도,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해제하여,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가동 접점부(62)를 개리시킬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레버 본체(31)와,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부(33)를 갖는 로크 레버부(30)와,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에 이동시키는 한편,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에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부(50)와,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보다도 조작면(12)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이동 규제부(80)와, 플런저(40)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를 향하여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71)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에서는,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 등으로 일단 분리 조작부(20)를 하우징(10)에 부착할 때,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로 이동시켜서 유지부(33)에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가동 방향에서 초기 위치보다도 조작면(12)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로 이동시킬 수가 없고, 레버 본체(31)는, 제1 가세부(71)에 의해 플런저(40)를 통하여 가세되어 제1 위치(P1)에 이동한다. 이에 의해, 조작부(20)를 완전한 상태로 확실하게 부착 가능한 누름버튼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의 내부에 마련되고,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를 향하여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72)을 또한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71)의 가세력이, 코일 스프링(72)의 가세력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40)가, 코일 스프링(71)에 의해 가세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레버 본체(31)의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달 기구부(50)에 의해, 복귀 위치(P31) 및 동작 위치(P41)의 사이를 가동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플런저(41)와, 코일 스프링(72)에 의해 가세 가능한 상태에서 제1 플런저(41)보다도 가동 방향에 따라서 조작면(12)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면서 제1 플런저(41)에 대해 가동 방향에 따라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부(20)의 접근 동작에 의해 복귀 위치(P32)에 위치하는 제2 플런저(42)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플런저(41) 및 제2 플런저(42)가, 가동 방향에 따라 상호 독립하여 이동 가능하고, 제2 플런저(42)의 가동 방향에 따른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62)가 고정 접점부(61)에 대해 접촉 또는 개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레버부(30)의 위치 정밀도의 확보에 영향 받는 일 없이, 제2 플런저(42) 및 접점 기구부(50)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뿐으로, 고정 접점부(61)에 대한 가동 접점부(62)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런저(41)가, 가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부(411)와,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에 마련되면서 내주면(414)의 둘레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고, 레버 본체(31)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는 이동 방향에 따라 조작면(12)부터 떨어지도록 각각 경사하는 복수의 캠 홈부(412)를 가지며, 레버 지지부(34)가, 관통구멍부(411)에 배치되고, 관통구멍부(411)의 내주면(414)에 따라 늘어나 있음과 함께, 복수의 캠 홈부(412)의 각각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레버 지지부(34)의 내주면(414)에 대향하는 외주면(351)부터 내주면(414)을 향하여 돌출하면서 대응하는 복수의 캠 홈부(412)의 각각에 각각 계합하는 복수의 캠 돌기부(34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달 기구부(50)가, 복수의 캠 홈부(412), 레버 지지부(34) 및 복수의 캠 돌기부(34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달 기구부(50)에 의해, 플런저(40) 전체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 접점부(61) 및 가동 접점부(62)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레버 지지부(34)가,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를 그 둘레 방향(즉, 가동 방향 둘레)으로 둘러싸고, 그 내주면(341)이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내주면(341)부터 조작부(20)를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돌기부(342)를 가지며,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가동 방향으로 늘어나서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에 계지 돌기부(342)를 수용 가능한 제1 홈부(23)와, 제1 홈부(23)의 가동 방향에서의 가압면(21)측의 단부(231)에 접속되면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계지 돌기부(342)를 수용 가능하게 늘어나 있음과 함께,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있을 때에 가동 방향에서 계지 돌기부(342)를 계지하는 제2 홈부(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동 규제부(80)가, 계지 돌기부(342), 제1 홈부(23) 및 제2 홈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20)를 완전한 상태로 확실하게 부착 가능한 누름버튼 스위치(1)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세부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7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를 향하여 가세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세부가,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를 향하여 가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 플런저(40), 조작부(20), 로크 레버부(30), 전달 기구부(50), 이동 규제부(80), 접점 기구부(60) 및 제1 가세부(71) 이외의 구성은, 가능하면, 생략하여도 좋고,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1)와는 다른 구성의 것과 치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하우징(10)의 변형부(17) 및 지점 돌기부(151)는 생략하여도 상관 없다.
전달 기구부(50)는, 레버 지지부(34)와, 복수의 캠 돌기부(343)와, 복수의 캠 홈부(412)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는다. 전달 기구부(50)는,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에 이동시키는 한편,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40)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에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접점 기구부(60)는, 고정 접점부(61)와, 가동 방향에서 고정 접점부(61)에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플런저(40)가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에 이동한 경우에 고정 접점부(61)에 접촉하고, 플런저(40)가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4)에 이동한 경우에 고정 접점부(61)로부터 개리하는 가동 접점부(62)를 갖고 있으면, 임의의 구성의 접점 기구부를 채용할 수 있다.
레버 지지부(34)의 레버 접속부(345)는, 개략 원환형상인 경우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원환형상이라도 좋다.
유지부(33)는, 탄성 유지부(331)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제2 위치(P2)에서 레버 본체(31)를 유지할 수 있으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 해제부(313)는, 유지부(33)의 구성에 응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보호벽부(314)는, 레버 본체(31)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외장부(32)에 마련하여도 좋다.
지점 돌기부(151)는, 타원 형상을 갖는 경우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그 연재 방향의 치구(100)의 중간부(102)에 접촉하는 측에만 만곡면(152)을 갖는 지점 돌기부(151)라도 좋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그 연재 방향의 치구(100)의 중간부(102)에 접촉하는 측이, 치구(10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만곡면(152)을 갖는 지점 돌기부(151)라도 좋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부(153)를 갖는 지점 돌기부(151)라도 좋다. 이 경우, 관통구멍부(153)의 내주면이 치구(100)의 중간부(102)에 접촉하여, 치구(100)의 회동 지점이 된다.
제1 가세부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71)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동작 위치(P4)로부터 복귀 위치(P3)를 향하여 가세 가능한 임의의 구성의 가세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세부는, 단일 또는 3 이상의 코일 스프링(71)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제2 가세부는, 단일한 코일 스프링(7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플런저(40)를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로부터 동작 위치(P4)를 향하여 가세 가능한 임의의 구성의 가세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세부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72)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플런저(40)는, 제1 플런저(41) 및 제2 플런저(42)를 가지며, 가동 방향에 따라 복귀 위치(P3)와 동작 위치(P4)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면 좋고, 그 형상 등은, 누름버튼 스위치(1)의 설계 등에 의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변형부(17)는, 레버 본체(31)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조작부(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개리하는 개리 방향으로 당겨진 경우, 레버 지지부(34)에 접촉하여 레버 본체(31)를 이동시켜, 유지부(33)에 의한 레버 본체(31)에 대한 가압을 해제 가능하게, 레버 본체(31)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즉, 변형부(17)는, 레버 본체(31) 및 레버 지지부(34)의 형상 등에 응하여, 그 형상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동 규제부(80)는, 계지 돌기부(342), 제1 홈부(23) 및 제2 홈부(24)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는다. 이동 규제부(80)는, 레버 본체(31)가 제1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조작부(20)의 수용부(11)측의 단부(22)가 초기 위치보다도 조작면(12)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레버 본체(31)의 제2 위치(P2)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의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최후로, 본 개시의 여러가지의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예로서, 참조 부호도 첨부하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조작구멍(13)이 마련된 조작면(12)과, 상기 조작면(12)에 교차하는 지점 형성면(15)과,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조작구멍(13)에 접속된 수용부(11)를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작구멍(13)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11)의 내부까지 상기 조작면(12)에 교차하는 가동 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외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조작면(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압면(21)을 가지며, 상기 가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면(21)이 상기 조작면(12)에 대해 접근 동작 가능한 조작부(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조작면(12)측의 단부(22)에 마련되고, 상기 지점 형성면(15)부터 상기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면서 상기 지점 형성면(15)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함께,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의 사이를 상기 가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본체(31)와, 상기 레버 본체(31)를 상기 제2 위치(P2)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부(33)를 갖는 로크 레버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31)가, 상기 레버 본체(31)의 상기 제1 위치(P1)로부터 상기 제2 위치(P2)로의 이동에 이용하는 장척의 치구(100)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101)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31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지점 형성면(15)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치구(100)를 사용하여 상기 레버 본체(31)를 상기 제1 위치(P1)로부터 상기 제2 위치(P2)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일단부(101)가 상기 계지부(312)에 계지된 상기 치구(100)의 중간부(102)와 접촉하여 상기 치구(100)의 회동 지점이 되는 지점 돌기부(151)를 갖는다.
제1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계지부(312) 및 지점 돌기부(151)에 의해, 예를 들면,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의 회동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한 경우라도, 치구(100)를 사용함으로써, 지레의 원리가 발생하여, 로크 레버부(30)의 레버 본체(31)를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상기 유지부(33)가,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레버 본체(31)를 상기 가동 방향의 일방부터 타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 본체(31)를 유지 가능한 탄성 유지부(331)를 가지며,
상기 레버 본체(31)가,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레버 본체(31)를 상기 가동 방향의 타방부터 일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 유지부(331)에 의한 상기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해제 가능한 유지 해제부(313)를 갖는다.
제2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탄성 유지부(331) 및 유지 해제부(313)에 의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레버 본체(31)를 제2 위치(P2)에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유지부(331)에 의한 레버 본체(31)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상기 레버 본체(31)가, 상기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유지 해제부(313)에 대한 상기 지점 형성면(15)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점 형성면(1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유지 해제부(313)를 보호하여 보호벽부(314)를 갖는다.
제3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보호벽부(314)에 의해, 유지 해제부(313)의 오조작을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상기 지점 돌기부(151)가, 상기 치구(100)의 상기 중간부(102)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지점 돌기부(151)로부터 상기 치구(100)를 향하여 돌출하는 만곡면(152)을 갖는다.
제4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만곡면(152)에 의해, 치구(100)의 회동 지점이 일정하게 되어, 치구(100)를 사용하여 레버 본체(31)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상기 지점 돌기부(151)가, 상기 지점 형성면(15)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레버 본체(31)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제1 위치(P1) 및 상기 제2 위치(P2)의 중앙보다도 상기 제1 위치(P1)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5 양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치구(100)를 사용하여 레버 본체(31)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 중의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를 적절히 조합시킴에 의해, 각각이 갖는 효과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례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례와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례의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속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누름버튼 스위치는, 예를 들면, 비상 정지 스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누름버튼 스위치
10 : 하우징
11 : 수용부
12 : 조작면
13 : 조작구멍
14 : 단자 접속면
141 : 개구부
15 : 지점 형성면
151 : 지점 돌기부
152 : 만곡면
16 : 단자 접속 기구부
161 : 제1 단자 접속 기구부
162 : 제2 단자 접속 기구부
17 : 변형부
18 : 벽부
20 : 조작부
21 : 가압면
22 : 단부
23 : 제1 홈부
231 : 단부
24 : 제2 홈부
25, 26 : 표시부
30 : 로크 레버부
301 : 레버부
31 : 레버 본체
311 : 대향면
312 : 계지부
313 : 유지 해제부
314 : 보호벽부
32 : 외장부
321 : 제1벽부
322 : 제2벽부
323 : 제3벽부
33 : 유지부
331 : 탄성 유지부
332, 333 : 단부
34 : 레버 지지부
341 : 내주면
342 : 계지 돌기부
343 : 캠 돌기부
344 : 관통구멍부
345 : 레버 접속부
346 : 경사부
35 : 다리부
351 : 외주면
36, 37 : 표시부
40 : 플런저
41 : 제1 플런저
411 : 관통구멍부
412 : 캠 홈부
413 : 오목부
414 : 내주면
42 : 제2 플런저
421 : 본체부
422 : 플런저 접속부
423 : 관통구멍부
424 : 환형상 벽부
50 : 전달 기구부
60 : 접점 기구부
61 : 고정 접점부
62 : 가동 접점부
63 : NO 접점
64 : NC 접점
70 : 가세부
71, 72 : 코일 스프링
80 : 이동 규제부
90 : LED 유닛
100 : 치구
101 : 선단부
102 : 중간부
P1 : 제1 위치
P2 : 제2 위치
P3, P31, P32 : 복귀 위치
P4, P41, P42 : 동작 위치
A, B : 화살표
CP : 중심
CL : 중심선

Claims (5)

  1. 조작구멍이 마련된 조작면과, 상기 조작면에 교차하는 지점 형성면과,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조작구멍에 접속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작구멍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까지 상기 조작면에 교차하는 가동 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조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가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면이 상기 조작면에 대해 접근 동작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조작면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점 형성면부터 상기 지점 형성면에 교차하면서 상기 지점 형성면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함께,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상기 가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부를 갖는 로크 레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이용하는 장척의 치구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점 형성면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치구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일단부가 상기 계지부에 계지된 상기 치구의 중간부와 접촉하여 상기 치구의 회동 지점이 되는 지점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가동 방향의 일방부터 타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 가능한 탄성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가동 방향의 타방부터 일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 유지부에 의한 상기 레버 본체의 지지를 해제 가능한 유지 해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가동 방향에서 보아, 상기 지점 형성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지점 형성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점 형성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유지 해제부를 보호하는 보호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돌기부가, 상기 치구의 상기 중간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지점 돌기부로부터 상기 치구를 향하여 돌출하는 만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돌기부가, 상기 지점 형성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레버 본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중앙보다도 제1 위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KR1020207004884A 2017-12-28 2018-11-30 누름버튼 스위치 KR102252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4320 2017-12-28
JP2017254320A JP6848854B2 (ja) 2017-12-28 2017-12-28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CT/JP2018/044227 WO2019130985A1 (ja) 2017-12-28 2018-11-30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015A KR20200027015A (ko) 2020-03-11
KR102252304B1 true KR102252304B1 (ko) 2021-05-14

Family

ID=6706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884A KR102252304B1 (ko) 2017-12-28 2018-11-30 누름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11325B2 (ko)
JP (1) JP6848854B2 (ko)
KR (1) KR102252304B1 (ko)
CN (1) CN111095458B (ko)
DE (1) DE112018006677T5 (ko)
TW (1) TWI688981B (ko)
WO (1) WO2019130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10737S (ko) * 2017-12-26 2018-08-06
JP1610736S (ko) * 2017-12-26 2018-08-06
USD920924S1 (en) 2017-12-26 2021-06-01 Omron Corporation Push switch
JP1666318S (ko) * 2019-10-18 2020-08-17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568A (ja) 1998-07-09 2000-01-28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
JP2000340062A (ja) 1999-05-28 2000-12-08 Omron Corp スイッチ
JP2001283674A (ja) 2000-03-31 2001-10-12 Idec Izumi Corp 部品取付構造
JP2003272468A (ja) 2002-03-13 2003-09-26 Idec Izumi Corp 操作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049A (en) 1977-06-16 1979-04-03 Textron, Inc. Drawing heavy walled parts
JP2586624Y2 (ja) * 1992-08-28 1998-12-09 和泉電気株式会社 パネル取付ユニットのロック機構
JPH10228835A (ja) * 1997-02-13 1998-08-25 Idec Izumi Corp 操作スイッチ
US6376785B1 (en) * 1999-09-27 2002-04-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emovable latch assembly for an electrical switch
JP4029552B2 (ja) * 2000-08-03 2008-01-09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ーフティスイッチ用操作キー装置
TW487214U (en) 2001-04-24 2002-05-11 Tend Technology Co Ltd Switch module with convenience of loading and unloading
JP4147049B2 (ja) * 2002-04-17 2008-09-10 Idec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
US7342194B2 (en) * 2005-01-03 2008-03-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Dual function reset operator for an electrical device
JP4927023B2 (ja) * 2008-04-24 2012-05-09 株式会社秩父富士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CN201966087U (zh) * 2010-10-29 2011-09-07 洛克威尔自动控制技术股份有限公司 电气开关锁紧组件
TWI624855B (zh) * 2016-11-07 2018-05-21 進聯工業股份有限公司 開關裝置之鎖扣結構
TWM541105U (zh) * 2016-11-07 2017-05-01 Switchlab Inc 開關裝置之鎖扣結構
TWI603359B (zh) * 2016-12-22 2017-10-21 Switchgear locking, lifting the structure
JP6859948B2 (ja) * 2017-12-28 2021-04-14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568A (ja) 1998-07-09 2000-01-28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
JP2000340062A (ja) 1999-05-28 2000-12-08 Omron Corp スイッチ
JP2001283674A (ja) 2000-03-31 2001-10-12 Idec Izumi Corp 部品取付構造
JP2003272468A (ja) 2002-03-13 2003-09-26 Idec Izumi Corp 操作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21481A (ja) 2019-07-22
TWI688981B (zh) 2020-03-21
TW201931399A (zh) 2019-08-01
CN111095458A (zh) 2020-05-01
CN111095458B (zh) 2021-09-14
WO2019130985A1 (ja) 2019-07-04
JP6848854B2 (ja) 2021-03-24
KR20200027015A (ko) 2020-03-11
US11011325B2 (en) 2021-05-18
DE112018006677T5 (de) 2020-09-17
US20210066002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303B1 (ko) 누름버튼 스위치
KR102252304B1 (ko) 누름버튼 스위치
KR102255613B1 (ko) 누름버튼 스위치
KR102300150B1 (ko) 누름버튼 스위치
JP2017168002A (ja) 車両用シフト装置
US20220010904A1 (en) Coupling
JP2764689B2 (ja) ペンダントスイッチにおける非常停止用スイッチ
JP7047802B2 (ja) 無線スイッチ
CN221171423U (zh) 连接组件、锁定机构及led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