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375B1 -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 Google Patents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375B1
KR102249375B1 KR1020190052067A KR20190052067A KR102249375B1 KR 102249375 B1 KR102249375 B1 KR 102249375B1 KR 1020190052067 A KR1020190052067 A KR 1020190052067A KR 20190052067 A KR20190052067 A KR 20190052067A KR 102249375 B1 KR102249375 B1 KR 10224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stone
reinforcing
pill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604A (ko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김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환 filed Critical 김덕환
Priority to KR102019005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3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기둥석(C)으로 이루어지는 징검다리를 개선한 것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트(M);
상기 매트(M)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석(C);
상기 기둥석(C) 상부에 양단을 걸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판석(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는 처짐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섬유(200), 보강와이어(300) 또는 보강판(4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the improved top plate structure in stepping stones}
본 발명은 상판이 없는 기존의 징검다리를 개선하여 처짐에 강한 상판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 하천 등에는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면서 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징검다리의 시공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징검다리는 상판이 설치되지 않아 보행자 특히 어린이를 포함한 노약자의 횡단에 지장을 주며 안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자전거 및 휠체어 등의 통행도 막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판이 없는 기존의 징검다리를 개선하여 처짐에 강한 상판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9998호 ‘징검다리’, 2014년01월28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671호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2008년06월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상판이 없는 기존의 징검다리를 개선하여 처짐에 강한 상판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기둥석(C)으로 이루어지는 징검다리를 개선한 것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트(M);
상기 매트(M)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석(C);
상기 기둥석(C) 상부에 양단을 걸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판석(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는 처짐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섬유(200), 보강와이어(300) 또는 보강판(4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이 없는 기존의 징검다리를 개선하여 처짐에 강한 상판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판석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판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움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는,
다수개의 기둥석(C)으로 이루어지는 징검다리를 개선한 것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트(M);
상기 매트(M)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석(C);
상기 기둥석(C) 상부에 양단을 걸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판석(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개의 매트(M) 상호간에는 유속에 의한 모래의 쇄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쉬(W)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석(C)을 와이어로 상기 메쉬(W)에 긴결하여 상기 기둥석(C)의 위치고정과 상기 메쉬(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판석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는 처짐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섬유(2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200)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성형성이 좋은 탄소섬유 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는 처짐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와이어(300) 또는 보강판(40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상기 보강와이어(300) 또는 상기 보강판(400)의 양단은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 앵커링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c)와 같이 상기 보강와이어(300) 또는 상기 보강판(400)의 양단이 상기 상판석(100) 측면에 앵커링되어 고정되면 보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 상기 보강와이어(300) 또는 상기 보강판(400)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와이어(300) 또는 상기 보강판(400)를 매립하게 되면 디자인적인 효과와 동시에 상기 기둥석(C)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판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판석(100)은,
하부 중앙에 아치부(110)를 형성하고 하부 양단에 고정부(120)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치부(110)로 인하여 상판석(100)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자인적 효과가 극대화된다.
그리고 상기 아치부(110)에는 상술한 보강섬유(200), 보강와이어(300) 또는 보강판(400) 등을 설치하여 상기 상판석(100)의 처짐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치부(110)에는 상기 보강판(400)의 양단이 앵커링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120)에도 상기 보강판(400)의 양단이 앵커링되어 설치되므로, 보강판(400)이 상하에서 2열로 설치되어 인장력을 발휘하므로 보강효과가 극대화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섬유(200), 보강와이어(300) 또는 보강판(400)의 고정 및 매립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움판을 도시한 것이다.
시공현장에서 아무리 정밀시공을 하더라도 기둥석(C) 상부에 거치 또는 설치되는 2개의 상판석(100) 사이에는 틈(G)이 발생하여 어린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오물이 끼는 등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기 메움판(200)은 기둥석(C) 상부에 거치 또는 설치되는 2개의 상판석(100) 사이의 틈(G)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상기 틈(G)에 T자형으로 설치되며,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두께로 제작된다.
상기 메움판(200)은 내구성과 열화성 그리고 마찰력이 좋은 탄성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상기 메움판(200)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 기둥석
M: 매트
W: 메쉬
100: 상판석
110: 아치부
120: 고정부
200: 보강섬유
300: 보강와이어
400: 보강판

Claims (4)

  1. 다수개의 기둥석(C)으로 이루어지는 징검다리를 개선한 것으로,
    수중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매트(M);
    상기 매트(M)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석(C);
    상기 기둥석(C) 상부에 양단을 걸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판석(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판석(100) 하부에는 처짐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판(40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다수개의 매트(M) 상호간에는 유속에 의한 모래의 쇄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쉬(W)를 설치하며,
    상기 기둥석(C)을 와이어로 상기 메쉬(W)에 긴결하여 상기 기둥석(C)의 위치고정과 상기 메쉬(W)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상판석(100)은 하부 중앙에 아치부(110)를 형성하고 하부 양단에 고정부(120)를 형성하도록 성형되어, 상기 아치부(110)로 인하여 상판석(100)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아치부(110)에는 상기 보강판(400)의 양단이 앵커링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120)에도 상기 보강판(400)의 양단이 앵커링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보강판(400)이 상하에서 2열로 설치되어 인장력을 발휘하므로 보강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2067A 2019-05-03 2019-05-03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KR10224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67A KR102249375B1 (ko) 2019-05-03 2019-05-03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67A KR102249375B1 (ko) 2019-05-03 2019-05-03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604A KR20200127604A (ko) 2020-11-11
KR102249375B1 true KR102249375B1 (ko) 2021-05-06

Family

ID=7345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67A KR102249375B1 (ko) 2019-05-03 2019-05-03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3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783Y1 (ko) * 2001-08-28 2001-12-24 이승영 슬래브 교량의 보강 구조용 강판
JP2005029953A (ja) * 2003-05-15 2005-02-03 Metropolitan Expressway Public Corp 道路床版の補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71B1 (ko) * 2006-10-14 2008-06-19 주식회사 세영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359998B1 (ko) 2012-05-14 2014-02-07 (주)리버앤텍 징검다리
KR101761726B1 (ko) * 2015-12-31 2017-07-28 포엠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783Y1 (ko) * 2001-08-28 2001-12-24 이승영 슬래브 교량의 보강 구조용 강판
JP2005029953A (ja) * 2003-05-15 2005-02-03 Metropolitan Expressway Public Corp 道路床版の補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604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320B1 (ko)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CN110485287B (zh) 一种减震型桥梁伸缩缝结构
KR20130082052A (ko)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20120033667A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JP634708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KR102249375B1 (ko)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35821B1 (ko) 무단횡단 방지용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CN108547209A (zh) 一种单孔预制空心板无伸缩缝桥梁及其施工方法
JP2016534256A (ja) 長寿命の伸縮継手の付いた橋のデッキと橋台との間の遷移スラブ、および橋のデッキの伸縮運動を吸収する方法
KR20080005462U (ko) 펜스
KR101215133B1 (ko)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JP3204073U (ja) 鉄筋配筋用スペーサ
KR101600986B1 (ko)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JP3678951B2 (ja) 格子状床版を備えた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0930629B1 (ko) 크랭크형 콘크리트 엣지 거더를 구비한 케이블 교량
CN210288098U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1929885B1 (ko)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597654B1 (ko) 차량용 교량에 설치된 인도 및 그 설치방법
KR101029144B1 (ko) 교량용 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