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08B1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508B1
KR102247508B1 KR1020190156567A KR20190156567A KR102247508B1 KR 102247508 B1 KR102247508 B1 KR 102247508B1 KR 1020190156567 A KR1020190156567 A KR 1020190156567A KR 20190156567 A KR20190156567 A KR 20190156567A KR 102247508 B1 KR102247508 B1 KR 102247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bar
post
hinge
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화
조부현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정도산업 주식회사
신도산업 주식회사
해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산업 주식회사, 신도산업 주식회사, 해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횡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베이스 지주; 상기 베이스 지주의 상부에서 중공된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지주; 및 적어도 2 이상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지주가 관통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횡대;를 포함하며, 상기 횡대는 상기 상부지주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과회전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휀스{FENCE}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횡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차량의 통행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공간을 분리하거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도 1은 종래 휀스, 특히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휀스(100)는 하나의 지주(110)가 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주(110)의 양측에 중공형성된 연결부(111)가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도로가 곡선구간으로 형성된 경우에 휀스도 곡선으로 설치를 해야 하는데, 도 1에 도시된 휀스(100)는 곡선구간에서 설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곡선구간에 설치하기 위해서 도 2와 같은 개선된 휀스가 개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휀스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지주(210)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힌지축(220)과, 상기 힌지축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공(232A,233B)이 형성된 가로보(230A,230B)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가로보(230A,230B)가 힌지공(232A,233B)이 형성되고, 힌지축(220)에 축결합되어 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휀스는 도로의 곡선구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차량이 휀스에 충돌하여 가로보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절단된 가로보의 끝단이 차선방향으로 회전되어 도로에 주행중인 차량과 충돌하는 2차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973588 등록특허 제10-1512344 등록특허 제10-192848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충돌 등으로 횡대 절단시에도 절단된 횡대의 끝단이 차선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베이스 지주; 상기 베이스 지주의 상부에서 중공된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지주; 및 적어도 2 이상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지주가 관통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횡대;를 포함하며, 상기 횡대는 상기 상부지주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과회전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회전 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이웃하는 횡대의 세로바에 간섭되어 과회전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회전 방지부와 세로바에는 각각 설정된 각도로 테이퍼진 접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힌지공은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주는, 상기 베이스 지주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베이스 지주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삽입부보다 직경이 확장된 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는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의 내측벽에는 내측으로 안내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주의 상면에는 상기 횡대의 체결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주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부를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주가 관통하도록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대를 지주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로의 곡선구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지주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 등으로 횡대 절단시에도 절단된 횡대의 끝단이 차선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요부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실시예(1)는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 지주(10)와, 상기 베이스 지주의 상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부지주(20)와, 상기 베이스 지주와 베이스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대(30)와, 충격흡수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횡대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3개의 가로바(31)와, 상기 가로바(31)의 양단에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세로바(32)와, 상기 세로바(32)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지주(20)가 관통하도록 힌지공(35)이 형성되는 힌지부(34)를 포함한다(도 6 (a)참조).
따라서 상기 횡대(30)는 상기 힌지공(35)에 상부지주(20)가 관통하여 힌지결합되므로 상부지주(20)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이다. 이러한 힌지구조를 채택하여 도로의 곡선구간에서도 횡대(30)를 횡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기 횡대(30)의 횡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과회전방지부(36)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과회전 방지부(36)는 상기 힌지부(34)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이웃하는 횡대(30)의 세로바(32)에 간섭되어 과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과회전 방지부(36)와 세로바(32)에는 각각 설정된 각도로 테이퍼진 접면(37,33)이 형성된다. 즉, 횡대의 과회전 방지부의 접면(37)이 이웃하는 세로바의 접면(33)에 접하면서 설정각도를 넘어서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웃하는 횡대(30)들 사이의 사잇각이 최대 6.5°가 되도록 과회전 방지부(36)와 세로바(32)의 접면(37,33)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로의 곡선구간에 설치하기 위하여 횡대(30)를 상부지주(20)에 힌지결합하면서도, 그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함으로써, 차량 충돌 등으로 가로바(31)가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가로바(31)가 도로측으로 과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공(35)은 정원(正員)이 아니라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도 6의 (b)참조). 즉, 상기 힌지부(34)의 평면형상은 서로 마주보며 대칭된 원호부(35a)와, 서로 마주보는 직선부(35b)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원호부(35a)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직선부(35b)들 사이의 거리(D2)보다 길다(D1>D2).
이것은 계절에 따라 횡대(30)가 수축, 팽창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축 또는 팽창시에 횡대(3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공간을 부여한 것이다.
즉, 상부지주(20)가 힌지공(35)에 삽입되더라도 힌지공(35)이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는 직선부(35b)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축, 팽창을 위한 여유공간을 부여하면서도 상부지주가 흔들림없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수축, 팽창을 위한 여유공간을 부여하기 위하여 힌지공을 상기 원호부(35a)와 같은 반경을 갖는 정원(正員)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힌지공의 반경이 상부지주(20)의 반경보다 커서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수축, 팽창에 대응할 수는 있지만, 평상시 상부지주(20)가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공(35)은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직선부(35b)와, 수축, 팽창에 대응하기 위한 여유공간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지주(20)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호부(35a)가 형성되는 장공형태가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주(10)는 하부에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가 형성되고, 고정부(11)에는 앵커홀(12)이 형성되어 앵커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지주(10)에는 내측면에 안내돌기(13)가 한 쌍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링형태의 단턱(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나사가 관통하는 체결홀(15)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지주(20)는 하부에 베이스 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21)의 상부에 일체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지주(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삽입부(21)보다 직경이 큰 축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축부(22)가 상기 힌지부(34)의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21)는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안내홈(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21a)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베이스 지주(10)와 체결하는 나사가 관통하는 체결홀(21b)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홈(21a)을 상기 안내돌기(13)에 맞춰 삽입하기만 하면 베이스 지주(10)의 체결홀(15)과 삽입부(21)의 체결홀(21b)이 정렬되게 되어 체결홀(21b,15)들의 정렬이 용이하다.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13)는 상기 체결홀(15)과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홈(21a)은 체결홀(21b)이 있는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그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축부(22)의 외주면에도 세로방향으로 요홈(22a)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지주(20)의 강도가 보강된다. 그리고 상기 축부(22)의 직경이 상기 삽입부(2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삽입부(21)와 축부(22) 사이에는 단차진 걸림턱(22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지주(20)는 상기 걸림턱(22b)이 상기 베이스 지주(10)에 걸릴때까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축부(22)의 상면에는 표시부(도 8의 '23'참조)가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횡대(30)의 체결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 지주(10)를 지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면상 우측에 있는 제1횡대(30B)를 베이스 지주(10)의 상부에 올려 놓는다. 이 때 제1횡대(30B)의 하부에 있는 힌지부가 단턱(14)에 임시로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면상 좌측에 있는 제2횡대(30A)의 힌지부를 상기 제1횡대(30B)의 힌지부와 엇갈려 삽입한다.
다음으로, 이들 힌지공에 상부지주(20)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상부지주(20)의 삽입부(21)에 형성된 안내홈(21a)이 베이스 지주(10)의 내측벽에 돌출형성된 안내돌기(13)를 따라 삽입되도록 위치를 정렬한 다음, 하방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삽입부(21)에 형성된 체결홀(21b)과, 베이스 지주(10)에 형성된 체결홀(15)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정렬되어 나사를 관통할 수 있게 되고, 나사를 체결하여 베이스 지주(10)와 상부지주(20)를 체결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로의 직선구간에서는 이웃하는 횡대(30A,30B)의 가로바(31A,31B)가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 때 상부지주(20)의 상면에 형성된 표시부(23)와 양측의 가로바(31A,31B)가 일직선이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2횡대(30A)의 과회전 방지부(36A)의 접면(37A)과, 제1횡대(30B)의 세로바(32B)의 접면(33B)이 평행하지 않고 사잇각(α)이 소정의 예각으로 형성된다(도 9(a)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구간에서 제2횡대(30A)의 과회전 방지부(36A)의 접면(37A)을 지나는 선(L0)과, 제1횡대(30B)의 세로바(32B)의 접면(33B)을 지나는 선(L1)의 사잇각(α)이 6.5°가 되도록 양측의 접면(37A,33B)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횡대(30B)의 세로바(32B)의 접면(33B)이 가로바(31B)의 중심축선과 직교되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횡대(30A)의 과회전 방지부(36A)의 접면(37A)도 가로바(31A)의 중심축선과 직교되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의 곡선구간에서는 제1횡대(30B)를 상부지주(20)를 축으로 회전시키는데, 최대 6.5°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횡대(30A)의 과회전 방지부(36A)의 접면(37A)과, 제1횡대(30B)의 세로바(32B)의 접면(33B)이 접하면서 간섭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기 때문이다(도 9(b)참조).
다시 말하면, 차량 충돌 등의 사고로 인해 횡대의 가로바(31A,31B)가 절단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구조로 가로바(31A,31B)가 6.5°를 넘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절단된 가로바(31A,31B)의 끝단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충돌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흡수부재(40)를 설명한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40)는 휀스(1)의 양 끝에서 차량이 충돌했을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차량을 보호하고, 마감처리를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만약, 충격 흡수부재(40)가 구비되지 않으면, 도 2의 우측 끝과 같이 가로보(230B)의 힌지부(233B)가 노출되어 마감처리가 부자연스럽고, 특히, 힌지부(233B)의 하단이 베이스 지주(21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공간이 형성되어 가로보(230B)가 기울어진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1)는 충격 흡수부재(40)가 구비되어 횡대(30)가 기울어지지 않고, 차량이 충돌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40)는 휀스(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차량흡수부재(40)는 상기 상부지주(20)가 관통하도록 힌지공(41a)이 형성된 힌지부(41)와, 힌지부(41)의 외측에 형성되는 완충부(4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41)는 이웃하는 횡대(30)의 힌지부(34)와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41)에는 상부지주(20)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4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량흡수부재(4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실시예
10: 베이스 지주
20: 상부지주
30: 횡대
40: 충격흡수부재

Claims (8)

  1.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베이스 지주(10);
    상기 베이스 지주의 상부에서 중공된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지주(20);
    적어도 2 이상의 가로바(31)와,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세로바(32)와, 상기 세로바에서 상기 가로바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지주가 관통하는 힌지공(35)이 형성되는 힌지부(34)를 포함하는 횡대(30);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상기 세로바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측으로 돌출된 과회전 방지부(36)가 형성되고,
    제1횡대(30B)의 세로바(32B)가 상기 제1횡대에 이웃하여 설치된 제2횡대(30A)의 과회전 방지부(36A)에 간섭되어 과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회전 방지부와 세로바에는 각각 설정된 각도로 테이퍼진 접면(37,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횡대(30B)의 세로바(32B)의 접면(37B)이 상기 제2횡대(30A)의 과회전 방지부(36A)의 접면(33A)에 면접하면서 간섭되어 과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는,
    상기 베이스 지주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베이스 지주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삽입부보다 직경이 확장된 축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안내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내측벽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안내돌기(13)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의 상면에는 상기 횡대의 체결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주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부를 지지하는 단턱(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가 관통하도록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힌지공은 장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KR1020190156567A 2019-11-29 2019-11-29 휀스 KR10224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67A KR102247508B1 (ko) 2019-11-29 2019-11-29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67A KR102247508B1 (ko) 2019-11-29 2019-11-29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508B1 true KR102247508B1 (ko) 2021-05-03

Family

ID=7591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567A KR102247508B1 (ko) 2019-11-29 2019-11-29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1272A1 (en) * 2020-06-08 2021-12-09 Origin Point Brands, Llc Prefabricated modular fencing with advantageously-shaped connecto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177528B1 (ko) * 2011-07-25 2012-08-27 도아기업주식회사 관절형 완충 난간
KR101512344B1 (ko)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KR20170079225A (ko) * 2015-12-30 2017-07-10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1928486B1 (ko) 2016-10-28 2018-12-12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2016341B1 (ko) * 2018-11-14 2019-08-30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충격저항성과 강도가 강화된 디자인형 울타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177528B1 (ko) * 2011-07-25 2012-08-27 도아기업주식회사 관절형 완충 난간
KR101512344B1 (ko)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KR20170079225A (ko) * 2015-12-30 2017-07-10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1973588B1 (ko) 2015-12-30 2019-04-30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1928486B1 (ko) 2016-10-28 2018-12-12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2016341B1 (ko) * 2018-11-14 2019-08-30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충격저항성과 강도가 강화된 디자인형 울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1272A1 (en) * 2020-06-08 2021-12-09 Origin Point Brands, Llc Prefabricated modular fencing with advantageously-shaped connectors
US11542721B2 (en) * 2020-06-08 2023-01-03 Origin Point Brands, Llc Prefabricated modular fencing with advantageously-shaped conne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40B1 (ko)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1709576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KR101451555B1 (ko) 회동방지기능을 갖는 가드레일포스트
KR101913838B1 (ko) 휀스
KR102247508B1 (ko) 휀스
KR101707139B1 (ko)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200491930Y1 (ko)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JP2011007033A (ja) 防護柵用支柱
KR20170079867A (ko) 휀스
KR101334279B1 (ko)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KR101253076B1 (ko) 가드빔이 결합된 보강가드레일 및 보강가드레일 시공방법
KR20190122110A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101973588B1 (ko) 휀스
EP3587670B1 (en) Mobile safety b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obile safety barrier
KR102035821B1 (ko) 무단횡단 방지용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252075B1 (ko) 휀스
KR10097093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20180036933A (ko) 휀스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2057202B1 (ko) 도로 방호블록 연결기구
KR101284786B1 (ko) 차량 방호책
JPH10110414A (ja) フレキシブル複合防護柵
JP5705171B2 (ja) 車両用防護柵
KR100942674B1 (ko) 방호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