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498B1 -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 Google Patents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498B1
KR102245498B1 KR1020167020404A KR20167020404A KR102245498B1 KR 102245498 B1 KR102245498 B1 KR 102245498B1 KR 1020167020404 A KR1020167020404 A KR 1020167020404A KR 20167020404 A KR20167020404 A KR 20167020404A KR 102245498 B1 KR102245498 B1 KR 102245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fructopranosidase
ala
gly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375A (ko
Inventor
다쿠미 도치오
사키 나카무라
미사 야하라
다다시 후지이
게이스케 다무라
Original Assignee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바이오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바이오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08Glucanases acting on alpha -1,4-glucosidic bonds
    • C12N9/2431Beta-fructofuranosidase (3.2.1.26), i.e. inver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6Beta-fructofuranosidase (3.2.1.26), i.e. invert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을 억제하고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얼라인먼트에서 상기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위치에 상당하는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이다.

Description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IMPROVED β-FRUCTOFURANOSIDASE}
본 발명은,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니스토오스(nystose) 등의 부생성물(副生成物)이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케스토오스(kestose)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그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당해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recombinant vector), 당해 DNA 또는 당해 재조합 벡터를 숙주(宿主)에 도입해서 얻어지는 형질전환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 및 그들을 사용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는, 수크로오스(sucrose)의 프룩토오스(fructose)를 인식하여 수크로오스를 프룩토오스와 글루코오스(glucose)로 가수분해하는 활성(수크로오스 가수분해활성)을 구비하는 효소이다.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중에는, 가수분해에 의해 발생한 프룩토오스를 수크로오스로 전이(轉移)시키는 활성(프룩토오스 전이활성)을 구비하고, 1분자의 글루코오스와 2분자의 프룩토오스가 결합한 3당(糖)인 케스토오스를 생성하는 것도 존재한다.
케스토오스 중에서도 1-케스토오스는, 수크로오스(설탕)와 비슷한 감미질(甘味質)로서, 설탕의 3분의 1 정도의 단맛이 나는 한편 설탕의 약 반 정도의 칼로리인 것, 섭취해도 혈당값을 상승시키기 어려운 것, 알레르기 억제 기능을 발휘하는 것(특허문헌1) 등 때문에, 유용한 올리고당인 것이 알려져 있다. 1-케스토오스를 생성하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스페르길루스·니거(Aspergillus niger) 유래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및 그 아미노산 배열에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변이체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2).
일본국 특허 제416214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628336호 공보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사용해서 케스토오스를 제조할 때에는, 보통 부생성물로서 4당의 니스토오스가 생성된다. 니스토오스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케스토오스와의 분리가 곤란하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정제공정을 거쳐도 반응액중에 잔존하기 쉽다. 또한 액중에 존재하는 일정량 이상의 니스토오스는, 정석공정(晶析工程; crystallization step)에서의 케스토오스의 결정화(結晶化)를 저해한다. 이런 이유로부터,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니스토오스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을 생성하는 비율이 작고, 효율적으로 케스토오스를 생성할 수 있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을 억제하고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그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당해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당해 DNA 또는 당해 재조합 벡터를 숙주에 도입해서 얻어지는 형질전환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 및 그들을 사용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Beijerinckia indica subsp.indica NBRC3744 (이하, 「B.Indica」라고 약기한다) 유래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얼라인먼트에서 상기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위치에 상당하는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케스토오스가 생성되는 비율이 증가하여 케스토오스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찾아냈다.
또한 상기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대하여,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및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의 i)∼iii)의 아미노산 변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케스토오스가 생성되는 비율이 증가하여 케스토오스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찾아냈다.
또한 상기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대하여,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및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의 i) 및 iii)의 아미노산 변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락토수크로오스가 생성되는 비율 및 락토수크로오스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찾아냈다.
여기에서 이들 지견에 의거하여 하기의 각 발명을 완성하였다.
(1)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하나의 태양은,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얼라인먼트에서 상기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위치에 상당하는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진다.
(2)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또 하나의 태양은, 하기 (a) 또는 (b)의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진다; (a)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이하의 i)∼iii)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b)아미노산 배열(a)에 있어서, 아미노산 변이가 도입된 아미노산을 제외한 1개 혹은 몇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
(3)본 발명에 관한 폴리펩티드는,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한다.
(4)본 발명에 관한 DNA는,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한다.
(5)본 발명에 관한 재조합 벡터는, (4)에 기재되어 있는 DNA를 포함한다.
(6)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는, (4)에 기재되어 있는 DNA 또는 (5)에 기재되어 있는 재조합 벡터를 숙주에 도입해서 얻어지는 형질전환체이다.
(7)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에 있어서, (4)에 기재되어 있는 DNA 또는 (5)에 기재되어 있는 재조합 벡터를 도입하는 숙주는 대장균이더라도 좋다.
(8)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은, (6) 또는 (7)에 기재되어 있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로부터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취득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9)본 발명에 관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은, (1) 혹은 (2)에 기재되어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6) 혹은 (7)에 기재되어 있는 형질전환체 또는 (6) 혹은 (7)에 기재되어 있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과 수크로오스와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나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 본 발명에 관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을 억제하고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폴리펩티드나 본 발명에 관한 DNA, 본 발명에 관한 재조합 벡터,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니스토오스가 생성되는 비율을 억제하고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을 수 있다.
[도1]pCDF-Indica 재조합 벡터(상측 도면) 및 pCDFDuet-1 플라스미드(하측 도면)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에 의해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을 한 반응액에 포함되는 각 당의 비율을 나타내는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DNA,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 및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스토오스는 보통 수크로오스에 프룩토오스가 결합해서 생성되며, 프룩토오스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1-케스토오스, 6-케스토오스 및 네오케스토오스의 3종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1-케스토오스는 프룩토오스가 수크로오스중의 프룩토오스 단위에 β(2→1) 결합해서 생성되고, 6-케스토오스는 프룩토오스가 수크로오스중의 프룩토오스 단위에 β(2→6) 결합해서 생성되며, 네오케스토오스는 프룩토오스가 수크로오스중의 글루코오스 단위에 β(2→6) 결합해서 생성된다. 또한 니스토오스는, 프룩토오스가 1-케스토오스중의 프룩토오스 단위에 β(2→1) 결합해서 생성되는 4당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케스토오스」란, 1분자의 글루코오스와 2분자의 프룩토오스가 결합한 3당을 의미하고, 1-케스토오스, 6-케스토오스 및 네오케스토오스를 포함한다.
또한 락토수크로오스(lactosucrose)는,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갈락토오스(galactose)가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3당이며, 화학적으로는 β-D-프룩토프라노실4-O-β-D-갈락토피라노실-α-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4G-갈락토실수크로오스로 나타내진다. 즉, 그 분자구조 내에 수크로오스(자당)와 락토오스(유당)의 부분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유과올리고당(乳果oligo糖)」, 「유당과당올리고당」이라고도 불린다. 락토수크로오스는 장내(腸內)의 비피더스균을 늘려서 변성(便性)·변통(便通)을 개선하는 것 등 때문에, 유용한 올리고당인 것이 알려져 있다.
락토수크로오스는, 수크로오스 등과 같이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糖質) 및 락토오스에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작용시켜서, 락토오스에 프룩토오스를 결합시킴으로써 생성한다. 여기에서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등과 같이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2당이나 케스토오스 등과 같이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당,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다당(多糖) 외에,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알코올이나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배당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는, 「프룩토실트랜스퍼라아제」, 「사카라아제」, 「β-D-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인베르타아제(invertase)」 또는 「인베르틴(invertin)」과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란, 유전자공학의 방법을 사용해서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하지 않고 있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말하고,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란,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1 또는 2 이상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말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하나의 태양은,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얼라인먼트에서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위치에 상당하는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진다.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그 이외의 아미노산 배열과의 동일성은, 보통의 방법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FASTA(http://www.genome.JP/tools/fasta/),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 http://www.ncbi.nlm.nih.gov.), Position-Specific Iterated BLAST(PSI-BLAST; http://www.ncbi.nlm.nih.gov.)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 「동일성」이란 일치성을 가리키고, 「identity」와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과의 동일성이 60%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1개 또는 복수 개의 아미노산을 결실, 치환, 삽입 또는 부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보통의 방법을 따르고, Protein Information Resource(PIR), SWISS-PROT, TrEMBL, Protein Research Foundation(PRF), GenPept(NCBI Protein database) 등의 아미노산 배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STA(http://www.genome.JP/tools/fasta/),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 http://www.ncbi.nlm.nih.gov.), Position-Specific Iterated BLAST(PSI-BLAST; http://www.ncbi.nlm.nih.gov.)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과의 호몰로지(homology) 검색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은, 세균이나 효모, 곰팡이, 식물 등의 어느 생물에서 유래되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이어도 좋다.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과의 동일성(이하, 「소정의 동일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60%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1개 또는 복수 개의 아미노산을 결실, 치환, 삽입 또는 부가한 아미노산 배열이나, Beijerinckia indica subsp.indica ATCC9039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ACB95643.1 ; 소정의 동일성 99%), Burkholderia cenocepacia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CCE47348.1 ; 소정의 동일성 77%), Burkholderia phymatum STM815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ACC75109.1 ; 소정의 동일성 75%), Burkholderia vietnamiensis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ERJ38440.1 ; 소정의 동일성 77%), Burkholderia ambifaria AMMD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ACB66635.1 ; 소정의 동일성 76%), Burkholderia cepacia GG4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AFQ50734.1 ; 소정의 동일성 76%), Burkholderia graminis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EDT09014.1 ; 소정의 동일성 74%), Cupriavidus sp.HPC(L)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ESJ23133.1 ; 소정의 동일성 70%), Burkholderia pseudomallei 1106a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AFR18711.1 ; 소정의 동일성 73%), Gluconacetobacter diazotrophicus SRT4 유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 AAB36606.1 ; 소정의 동일성 66%)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배열번호2의 아미노산 배열과의 동일성이 60%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1개 또는 복수 개의 아미노산을 결실, 치환, 삽입 또는 부가한 아미노산 배열」이라고 하는 경우의 결실, 치환, 삽입 또는 부가하는 아미노산의 개수는, 예를 들면 1∼200개, 1∼180개, 1∼160개, 1∼140개, 1∼120개, 1∼100개, 1∼80개, 바람직하게는 1∼60개, 더 바람직하게는 1∼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개,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동일성의 값은, 60% 이상을 들 수 있는 것 외에, 예를 들면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 중, 시그널 배열(배열번호2의 1∼28번째에 상당)을 제외한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의 29∼534번째에 상당)」과의 동일성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65% 이상, 66%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얼라인먼트는 「시퀀스 얼라인먼트」나 「얼라인먼트」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동의(同義)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얼라인먼트는 보통의 방법에 따라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FASTA(http://www.genome.JP/tools/fasta/),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 http://www.ncbi.nlm.nih.gov.), Position-Specific Iterated BLAST(PSI-BLAST; http://www.ncbi.nlm.nih.gov.), CLUSTALW(http://www.genome.jp/ja/), MAFFT(http://www.genome.jp/ja/)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또 하나의 태양은, 하기 (a) 또는 (b)의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진다;
(a)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이하의 i)∼iii)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b)아미노산 배열(a)에 있어서, 아미노산 변이가 도입된 아미노산을 제외한 1개 혹은 몇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
상기 (b)의 「1개 혹은 몇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이란, 예를 들면 1∼30개, 1∼20개, 바람직하게는 1∼15개, 더 바람직하게는 1∼10개,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개의 임의의 수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는, 모두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비교하여, 케스토오스의 생성량이 증가하고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고 하는 특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가, 하기 (c) 또는 (d)의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비교하여, 락토수크로오스를 생성하는 비율 및 생성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특징을 구비한다.
(c)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이하의 i) 및 iii)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d)아미노산 배열(a)에 있어서, 아미노산 변이가 도입된 아미노산을 제외한 1개 혹은 몇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는 보통의 방법에 따라서 얻을 수 있고, 그러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합성하는 방법이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gene recombination technique)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화학합성하는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정보에 의거하여 Fmoc법(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법), tBoc법(t-부틸옥시카르보닐법) 등의 화학합성법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합성할 수 있는 것 외에, 각종 시판되는 펩티드 합성기를 이용해서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적합한 발현계에서 발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적당한 숙주에 도입해서 형질전환체를 얻는다. 또는 후술하는 실시예3 및 실시예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적당한 벡터에 삽입해서 재조합 벡터(recombinant vector)를 얻은 후, 그 재조합 벡터를 적당한 숙주에 도입해서 형질전환체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발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는,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DNA합성기를 사용해서 합성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주형(鑄型; template)으로 하여, 폴리머라아제 연쇄반응(PCR)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얻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실시예3 및 실시예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도입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코드하는 DNA 프라이머(primer)를 설계하고, 그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또는 당해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하지 않고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b)의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도 또한 PCR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우선 아미노산 배열(a)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개소(個所; site)에 상당하는 아미노산 배열을 코드하는 DNA 프라이머를 설계하고, 그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아미노산 배열(a)를 코드하는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단백질이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하는 것인가 아닌가는, 보통의 방법에 따라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2(1)[1-3], 실시예2(2)[2-1]<2-1-3> 및 실시예3(1)[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단백질을 수크로오스를 포함하는 반응액중에서 인큐베이트(incubate) 하고, 또는 당해 단백질을 발현시킨 형질전환체를 수크로오스를 포함하는 반응액중에서 배양한 후, 그 반응액의 케스토오스 함유량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에 의해 측정한다. 그 결과, 케스토오스의 함유량이 유의(有意)하게 크면 당해 단백질은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폴리펩티드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펩티드는,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한, 그 배열길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고,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아미노 말단 및/또는 카르복실 말단에, 1개 혹은 복수 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폴리펩티드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및 폴리펩티드와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재조합 벡터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및 DNA와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재조합 벡터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벡터에 삽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DNA의 벡터에의 삽입은, 보통의 방법에 따라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DNA와 선상화(線狀化) 한 벡터의 DNA 단편(斷片)과를 라이게이션(ligation) 함으로써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벡터로서는, 예를 들면 파지 벡터(phage vector)나 플라스미드 벡터(plasmid vector), 코스미드(cosmid), 파지미드(phagemid) 등을 들 수 있고, 숙주나 조작성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조합 벡터는,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의 이외에, 약제내성 마커 유전자(藥劑耐性 marker 遺傳子)나 영양요구 마커 유전자(榮養要求 marker 遺傳子) 등의 형질전환체의 선택 마커 유전자,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발현에 필요한 프로모터(promoter), 전사개시신호, 리보솜 결합부위, 번역정지 시그널, 전사종결신호 등의 전사조절신호나 번역조절신호 등을 포함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형질전환체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DNA 및 재조합 벡터와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또는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숙주에 도입해서 얻어진다. 여기에서 숙주로서는, 예를 들면 대장균(大腸菌)이나 고초균(枯草菌) 등의 세균, 효모, 곰팡이, 사상균(絲狀菌) 등을 들 수 있고, 재조합 벡터의 종류나 조작성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DNA나 재조합 벡터의 숙주에의 도입(형질전환)은 보통의 방법에 따라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플라스미드를 사용한 재조합 벡터를 대장균에 도입하는 경우이면, 대장균의 컴피턴트 세포(competent cell)에 재조합 벡터를 가하여 빙상(氷上)에서 30분간 정치(靜置)하고, 계속하여 42도의 워터 배스(water bath)에 넣어서 45초간 정치한 후, 빙상에서 2분간 정치하고, 그 후에 배지를 가하여 37도에서 1시간 진탕(振蕩)함으로써 할 수 있다. 또한 숙주의 염색체에 직접 원하는 DNA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상동재조합법(homologous recombination metho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은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로부터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취득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DNA, 재조합 벡터 및 형질전환체와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로부터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취득하는 공정에 있어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취득하는 방법은, 형질전환체의 태양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을 그대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 취득하더라도 좋고, 배양물로부터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정제해서 취득하더라도 좋다.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을 그대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 취득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가 형질전환체의 세포 표면 혹은 세포 내부에 발현되도록 DNA 혹은 재조합 벡터를 설계하였을 경우에는, 배양물을 원심분리에 제공해서 형질전환체를 회수하고, 이것을 그대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 취득하는 방법이나, 회수한 형질전환체를 파쇄하여 이것을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 취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배양물로부터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정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가 형질전환체의 외부에 분비되도록 DNA 혹은 재조합 벡터를 설계하였을 경우에는, 배양물을 원심분리에 제공해서 배양 상청(上淸; 표면에 떠 있는 부분)을 회수함으로써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정제할 수 있다. 또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가 형질전환체의 내부에 발현되어지는 경우에는, 배양물을 원심분리에 제공해서 침전시킨 형질전환체를 회수하고, 이것을 완충액중에 현탁, 동결 융해, 초음파처리 또는 마쇄(磨碎)하는 등 해서 형질전환체를 파쇄한 후, 원심분리에 제공해서 상청을 회수함으로써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정제할 수 있다. 그 밖에 정제하는 방법으로서는, 배양물을 열처리, 염침전, 용매침전, 투석, 한외 여과, 겔 여과,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 소수(疏水) 크로마토그래피, 역상(逆相) 크로마토그래피, 등전점전기영동 등에 제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 또는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과 수크로오스와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DNA,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체 및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과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수크로오스와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수크로오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고 20도∼60도로 20시간 정도 정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와 수크로오스와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숙주가 대장균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수크로오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고 50도로 몇 일간 진탕배양(振蕩培養)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과 수크로오스와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을 수크로오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고 20도∼60도로 20시간 정도 정치 혹은 진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관한 배양물은, 파쇄, 마쇄, 완충액에의 현탁, 동결 융해, 초음파처리, 원심분리, 열처리, 염침전, 용매침전, 투석, 한외 여과, 겔 여과,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 소수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등전점전기영동 등의 어떠한 처리에 제공한 것이더라도 좋고, 처리에 제공하지 않고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락토수크로오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락토수크로오스의 제조방법은, 하기 (I)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II)의 형질전환체 또는 (III)의 배양물과,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와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I)하기 (c) 또는 (d)의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c)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이하의 i) 및 iii)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d)아미노산 배열(a)에 있어서, 아미노산 변이가 도입된 아미노산을 제외한 1개 혹은 몇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
(II)상기 (I)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또는 당해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숙주에 도입해서 얻어지는 형질전환체,
(III)상기 (II)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
본 발명에 관한 락토수크로오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DNA,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 및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과 같은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I)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와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고, 20도∼60도로 20시간 정도 정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II)의 형질전환체와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와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숙주가 대장균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관한 형질전환체를,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고, 50도로 몇 일간 진탕배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III)의 배양물과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와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II)의 배양물을, 말단에 프룩토오스 잔기를 포함하는 당질 및 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고, 20도∼60도로 20시간 정도 정치 혹은 진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이나 락토수크로오스의 제조방법에는, 본 발명에 관한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이나 락토수크로오스의 제조방법의 특징을 손상하지 않는 한, 다른 공정을 구비하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케스토오스의 분리공정이나 전당(煎糖) 등의 결정화공정, 건조공정, 세정공정, 여과공정, 살균공정, 식품첨가물을 첨가하는 공정 등을 구비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폴리펩티드, DNA,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체,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 및 락토수크로오스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각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의해 나타내지는 특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1>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염기배열의 결정
Beijerinckia indica subsp.indica NBRC3744(이하, 「B.Indica」라고 약기한다)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클로닝(cloning)을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B.Indica의 게놈DNA를 보통의 방법에 따라 추출했다. 계속하여 하기 배열번호3 및 배열번호4의 프라이머를 설계했다. 계속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폴리머라아제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함으로써,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켰다. 또한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에 대해서, 보통의 방법에 따라 전장(全長)의 염기배열을 결정했다.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의 전장의 염기배열을 배열번호1로, 또한 그것에 코드되는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을 배열번호2로, 각각 나타낸다.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B.Indica의 게놈DNA
포워드 프라이머 ; 5’-atggcaagtcgatcgtttaatgtttgtatac-3’(배열번호3)
리버스 프라이머 ; 5’-tttaccagactcgagttactggccgttcgtgac-3’(배열번호4)
PCR용 효소 ; KOD-Plus-(도요보사(東洋紡社))
반응조건 ; 95도로 10초, 60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30사이클.
계속하여 Beijerinckia indica subsp.indica ATCC9039(게놈DNA ; GenBank : CP001016.1)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의 염기배열을 참고로, SignalP4.1 서버(server)(http://www.cbs.dtu.dk/services/SignalP/)를 사용해서 시그널 배열(signal sequence)을 예측했다. 그 결과,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에 있어서, 시그널 배열은 1∼28번째에 상당하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2>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발현계의 구축
(1)대장균 균체내 발현계
[1-1]재조합 벡터의 구축
우선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함으로써,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켰다.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B.Indica의 게놈DNA
포워드 프라이머 ; 5’-ccgcgcggcagccatggttacccgataccgactccgcattcgggacaagcctatgatcc-3’(배열번호5)
리버스 프라이머 ; 5’-gtggtggtgctcgagttactggccgttcgtgacaccatggccattaccttggccaagcgcgggaagat-3’(배열번호6)
PCR용 효소 ; KOD-Plus- (도요보사)
반응조건 ; 95도로 10초, 60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30사이클.
계속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함으로써, pET28a 플라스미드의 DNA를 증폭시켰다.
《pET28a 플라스미드의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pET28a플라스미드(Merck사)
포워드 프라이머 ; 5’-ctcgagcaccaccaccaccaccactga-3’(배열번호7)
리버스 프라이머 ; 5’-atggctgccgcgcggcaccaggccgct-3’(배열번호8)
PCR용 효소 ; KOD-Plus-(도요보사)
반응조건 ; 95도로 10초, 60도로 20초 및 68도로 6분을 1사이클로 하여 30사이클.
증폭시킨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단편과 pET28a 플라스미드의 DNA 단편과를, In-Fusion HD Cloning Kit(다카라바이오사(Takara Bio Inc.))를 사용해서 연결함으로써, pET28a 플라스미드에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하고, 이것을 pET28a-indica 재조합 벡터로 했다.
[1-2]형질전환 및 형질전환체의 배양과 회수
pET28a-indica 재조합 벡터를 E.coli BL21(DE3) 컴피턴트 세포(코스모바이오사(Cosmo Bio Co., Ltd.))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로서 재조합 대장균을 얻었다. 이것을 37도로 20시간 플레이트 배양한 후, 재조합 대장균의 클론(clone)을 픽업해서 M9 SEED배지 1mL에 식균(植菌)하고, 30도, 220rpm으로 18시간 진탕배양했다. 계속하여 배양물 중에서 10μL를 M9 Main배지 2mL에 계속해서 심고, 25도, 220rpm으로 24시간 진탕배양했다. 그 후에 배양물을 3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함으로써 재조합 대장균을 회수했다. M9 SEED배지 및 M9 Main배지의 조성을 이하에 나타낸다.
M9 SEED배지(계 100mL) ; 물 72mL, 5×M9염 20mL, 20% 카사미노산 5mL, 20% D-글루코오스 2mL, 2mg/mL 티민 1mL, 50mM CaCl2 0.2mL, 2.5M MgCl2 40μL, 100mg/mL FeSO4 28μL, 25mg/mL 카나마이신염 120μL
M9 Main배지(계 100mL) ; 물 67mL, 5×M9염 20mL, 20% 카사미노산 5mL, 2mg/mL 티민 1mL, 50mM CaCl2 0.2mL, 100mg/mL FeSO4 28μL, Overnight Express Autoinduction System1(O.N.E.; Merck사) Sol.1 2mL, O.N.E.Sol.2 5mL, O.N.E.Sol.3 100μL, 25mg/mL 카나마이신염 120μL
[1-3]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의 확인
본 실시예2(1)[1-2]의 재조합 대장균에 BugBuster(Novagen사) 0.5mL를 가하여 37도로 30분 정치함으로써 균체를 파쇄해서 단백질을 추출했다. 그 후에 1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상청을 회수하고, 이것을 크루드(粗; crude)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액으로 했다. 계속하여 하기의 조성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을 조제하여 37도 또는 50도로 22시간 정치함으로써 케스토오스의 생성반응을 하였다.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의 조성》
20(w/w)% 수크로오스 수용액 ; 450μL
0.2M 인산 버퍼 ; 25μL
크루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액 ; 25μL
그 후에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을 하기의 조건으로 HPLC에 제공하고,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 포함되는 각 당(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케스토오스, 니스토오스 및 기타의 당)의 비율 및 케스토오스 및 니스토오스의 양을 확인했다. 각 당의 비율은, 검출된 전(全) 피크의 면적의 총합계에 대한 각 피크의 면적의 비율로서, 백분율로 산출했다. 또한 케스토오스 및 니스토오스의 양은,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 있어서 수크로오스의 질량에 케스토오스 및 니스토오스의 각각의 비율을 곱해서 산출했다.
《HPLC의 조건》
칼럼 ; Cosmosil Sugar-D 4.6×150mm
이동상 ; A : H2O, B : 75% 아세트니트릴 수용액(0∼6분, 8∼11분), 50% 아세트니트릴 수용액(6∼8분)
유속 ; 1.5mL/분
주입량 ; 2.5μL
온도 ; 25도
검출 ; 코로나 하전화입자검출기(CAD ; 일본다이오네쿠스사(Nippon Dionex K.K.)), 레인지 : 500pA
그 결과,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 포함되는 케스토오스는 검출 한계 이하 또는 극히 미량이었던 것으로부터, 케스토오스가 거의 생성되지 않은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로부터,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있어서 대장균 균체내 발현계는 케스토오스 생성에 적당하지 않은 것이 드러났다.
(2)대장균 세포 표면 발현계
[2-1]PgsA앵커(anchor) 단백질에 의한 세포표면제시
<2-1-1>재조합 벡터의 구축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함으로써, Bacillus subtilis(IAM1026, ATCC9466)의 PgsA앵커 단백질(GenBank : AB016245.1)을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켰다. 얻어진 PCR산물을 보통의 방법에 따라 제한효소 NdeI 및 BglII에 의하여 소화하고, 이것을 PgsA-DNA 단편으로 했다.
《Pgs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Bacillus subtilis(IAM1026, ATCC9466)의 게놈DNA
포워드 프라이머(밑줄은 NdeI 사이트를 나타낸다) ; 5’-aaacatatgaaaaaagaactgagctttcatg-3’(배열번호9)
리버스 프라이머(밑줄은 BglII 사이트를 나타낸다) ; 5’-aaaagatcttttagattttagtttgtcactatg-3’(배열번호10)
PCR용 효소 ; KOD-Plus- (도요보사)
반응조건 ; 95도로 10초, 60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30사이클.
PgsA-DNA 단편에 대해서 보통의 방법에 따라 염기배열을 확인했다. 확인한 Pgs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의 염기배열을 배열번호11로, 그것에 코드되는 PgsA앵커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을 배열번호12로,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하여,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키고, 보통의 방법에 따라 제한효소 BamHI 및 XhoI에 의하여 소화하여 이것을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DNA 단편으로 했다.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B.Indica의 게놈DNA
포워드 프라이머(밑줄은 BamHI 사이트를 나타낸다) ; 5’-aaaggatcctcgggttacccgataccgactccgcattcgggaca-3’(배열번호13)
리버스 프라이머(밑줄은 XhoI 사이트를 나타낸다) ; 5’-cccctcgagttactggccgttcgtgacaccatggccattaac-3’(배열번호14)
PCR용 효소 ; KOD-Plus-(도요보사)
반응조건 ; 95도로 10초, 60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20사이클.
계속하여 DNA Ligation Kit Ver.2.1(다카라바이오사)을 사용하여 첨부의 사용서에 따라, pCDFDuet-1 플라스미드(Merck사)의 NdeI 사이트 및 XhoI 사이트에 PgsA-DNA 단편 및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DNA 단편을 삽입하고, 이것을 pCDF-Indica 재조합 벡터로 하였다.
<2-1-2>형질전환 및 형질전환체의 배양과 회수
본 실시예2(2)[2-1]<2-1-1>의 pCDF-Indica 재조합 벡터, 및 컨트롤로서 pCDFDuet-1 플라스미드를, 본 실시예2(1)[1-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대장균에 도입하고, 얻어진 재조합 대장균을 배양해서 회수했다. 다만 M9 SEED배지는 1mL 대신에 0.5mL로 하고, M9 SEED배지에서의 배양 시간은 18시간 대신에 20시간으로 했다. 또한 항생물질은 「25mg/mL 카나마이신염 120μL」 대신에 「50mg/mL 스트렙토마이신 황산염 100μL」를 사용했다.
<2-1-3>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의 확인
본 실시예2(2)[2-1]<2-1-2>의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해서 하기의 조성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을 조제하고, 30도, 220rpm으로 20시간 진탕함으로써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을 하였다. 그 후에 3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상청을 회수했다. 회수한 상청에 50% 아세트니트릴을 가함으로써 100배로 희석한 후, 본 실시예2(1)[1-3]의 조건으로 HPLC에 제공했다. 그 결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도1에 나타낸다.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의 조성》
20(w/w)% 수크로오스 수용액 ; 430μL
0.2M 인산 버퍼 ; 50μL
재조합 대장균 ; 전량
도1의 하측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CDFDuet-1 플라스미드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한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 있어서는, 케스토오스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동(同)도의 상측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 있어서는, 케스토오스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대장균의 세포 표면에 제시시키면, 당해 대장균을 사용해서 케스토오스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2-2]CapA앵커 단백질에 의한 세포표면제시
<2-2-1>재조합 벡터의 구축
PgsA앵커 단백질에 대해서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을 사용해서 검색하여, PgsA앵커 단백질과 동일성이 55%인 Bacillus megaterium DSM319주(株)의 CapA앵커 단백질을 추출했다. CapA앵커 단백질을 대장균의 최적화 코돈(codon)으로 코드한 염기배열을 설계하고, 이것을 capA_opti 유전자로 했다. capA_opti 유전자의 염기배열을 배열번호15로, 그것에 코드되는 아미노산 배열을 배열번호16으로,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capA_opti 유전자의 DNA를 인공합성하고, 이것을 주형으로 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함으로써, Cap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켰다. 얻어진 PCR산물을 capA_opti-DNA 단편으로 했다.
《CapA배열의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인공합성한 capA_opti 유전자의 DNA
포워드 프라이머 ; 5’-taagaaggagatatacatatgaaagaaaagaaactgaacttccaag-3’(배열번호17)
리버스 프라이머 ; 5’-cgggtaacccgattgagatctatttgcctgggcttcgttctttttg-3’(배열번호18)
PCR용 효소 ; KOD-Plus- (도요보사)
반응조건 ; 94도로 15초, 58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21사이클.
다음에 하기의 조건으로 인버스 PCR을 하여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키고, 얻어진 PCR산물을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DNA 단편으로 했다.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실시예3(1)[1-1]의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포워드 프라이머 ; 5’-agatctcaatcgggttacccgataccgac-3’(배열번호19)
리버스 프라이머 ; 5’-catatgtatatctccttcttatacttaac-3’(배열번호20)
PCR용 효소 ; KOD-Plus-(도요보사)
반응조건 ; 94도로 15초 및 68도로 6분을 1사이클로 하여 35사이클.
계속하여 capA_opti 유전자 DNA 단편과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DNA 단편과를, In-Fusion HD Cloning Kit(다카라바이오사)를 사용해서 연결함으로써 Pgs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대신에 Cap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가 삽입된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를 얻고, 이것을 Indica-CapA-H395R/F473Y 재조합 벡터로 했다.
<2-2-2>형질전환 및 형질전환체의 배양과 회수
본 실시예2(2)[2-2]<2-2-1>의 Indica-CapA-H395R/F473Y 재조합 벡터, 및 컨트롤로서 실시예3(1)[1-1]의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를, 본 실시예2(1)[1-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대장균에 도입하고, 얻어진 재조합 대장균을 배양해서 2mL의 배양물로부터 회수했다.
<2-2-3>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의 확인
본 실시예2(2)[2-2]<2-2-2>의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하여 하기의 조성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을 조제했다. 이것을 50도, 200rpm으로 24시간 진탕함으로써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을 시켰다. 반응후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 100μL에 초순수를 900μL 가함으로써 10배로 희석한 후, 이온교환수지(앰버라이트(amberlite) MB-4)를 가하고 30초∼1분간 교반했다. 계속하여 14000×g로 5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상청을 회수했다. 이것을 하기의 조건으로 HPLC에 제공하고, 본 실시예2(1)[1-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각 당의 비율 및 케스토오스의 양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1에 나타낸다. 표1중에서 n.d.는 검출한계 이하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의 조성》
60(w/w)% 수크로오스 용액(0.04M 인산 버퍼(pH7)에 수크로오스를 60(w/w)%가 되도록 용해한 것) ; 500μL
재조합 대장균 ; 전량
《HPLC의 조건》
칼럼 ; TSKgel Amide-80 4.6×250mm
이동상 ; 70% 아세트니트릴 수용액
유속 ; 1.0mL/분
주입량 ; 20μL
온도 ; 70도
검출 ; 시차굴절율검출기(RID ; 아질런트테크놀로지사(Agilent Technologies, Inc.))
Figure 112016072457411-pct00001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ndica-CapA-H395R/F473Y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 있어서도,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과 마찬가지로, 케스토오스가 생성되고 또한 니스토오스의 양은 검출한계 이하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PgsA앵커 단백질이나 CapA앵커 단백질 등을 사용해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대장균의 세포 표면에 제시시키면, 당해 대장균을 사용해서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3>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작성과 평가
(1)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작성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중, N말단으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395번째의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각각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이하, 각각의 아미노산 변이를 「L123C」, 「H395R」, 「H395K」 및 「F473Y」라고 약기한다)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1중변이체, 2중변이체 및 3중변이체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작성하고, 이들을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 했다. 구체적인 순서를 이하에 나타낸다.
[1-1]재조합 벡터의 구축
우선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하여,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켰다.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표2와 같음
포워드 프라이머 및 리버스 프라이머 ; 표2와 같음
PCR용 효소 ; KOD-Plus-NEO(도요보사)
반응조건 ; 95도로 1분, 95도로 10초, 68도로 20초 및 68도로 3.5분을 1사이클로 하여 15사이클.
Figure 112016072457411-pct00002
계속하여 PCR산물에 제한효소 DpnI를 가하여 37도로 1시간 소화한 후, 아가로스겔 전기영동에 제공해서 겔을 잘라내어 정제했다. 이것에 Ligation high(도요보사) 및 T4 Polynucleotide Kinase(도요보사)를 가하여 16도로 1시간 정치함으로써 라이게이션 하여 재조합 벡터를 구축했다.
얻어진 1중변이체의 재조합 벡터에 대해서, L123C, H395R 및 F473Y를 각각 도입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를, 각각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 재조합 벡터 및 Indica-F473Y 재조합 벡터로 했다.
마찬가지로, 2중변이체의 재조합 벡터에 대해서는, H395R 및 L123C, H395R 및 F473Y, F473Y 및 L123C를 각각 도입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를, Indica-H395R/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및 Indica-F473Y/L123C 재조합 벡터로 했다.
또한 3중변이체의 재조합 벡터에 대해서는, L123C, H395R 및 F473Y를 도입한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를, Indica-H395R/F473Y/L123C 재조합 벡터로 했다.
[1-2]형질전환 및 형질전환체의 배양과 회수
본 실시예3(1)[1-1]의 재조합 벡터를 실시예2(1)[1-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해서 E.coli JM109 컴피턴트 세포에 도입하여 재조합 대장균을 회수했다. 계속하여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재조합 벡터를 회수하고, 이것을 E.coli BL21(DE3) 컴피턴트 세포(코스모바이오사)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로서 재조합 대장균을 얻었다. 이것을 37도로 20시간 플레이트 배양한 후, 재조합 대장균의 클론을 픽업해서 M9 SEED배지 0.5mL에 식균하고, 30도, 800rpm으로 20시간 진탕배양했다. 계속하여 배양물 중 5μL를 M9 Main배지 2mL에 계속해서 심어 25도, 800rpm으로 23시간 진탕배양했다. 그 후에 배양물을 3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함으로써 재조합 대장균을 회수했다.
(2)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평가
[2-1]케스토오스 생성 활성의 확인
본 실시예3(1)[1-2]의 재조합 대장균, 및 컨트롤로서 실시예2(2)[2-1]<2-1-2>의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하여, 실시예2(2)[2-2]<2-2-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을 하고,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을 HPLC에 제공했다.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표3중에서 n.d.는 검출한계 이하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72457411-pct00003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스토오스의 양은,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39.7mg이었던 것에 대해서,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 재조합 벡터, Indica-H395K 재조합 벡터, Indica-F473Y 재조합 벡터, Indica-H395R/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Indica-F473Y/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F473Y/L123C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44.5mg, 163.5mg, 105.3mg, 89.9mg, 175.5mg, 184.3mg, 120.5mg 및 218.8mg이었다.
또한 케스토오스의 비율은,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10.25%이었던 것에 대해서,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 재조합 벡터, Indica-H395K 재조합 벡터, Indica-F473Y 재조합 벡터, Indica-H395R/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Indica-F473Y/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F473Y/L123C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11.50%, 42.26%, 27.20%, 23.23%, 45.34%, 47.63%, 31.13% 및 56.54%이었다.
또한 니스토오스의 비율은,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5.11%이었던 것에 대해서,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 재조합 벡터, Indica-H395K 재조합 벡터, Indica-F473Y 재조합 벡터, Indica-H395R/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Indica-F473Y/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F473Y/L123C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3.99%, n.d., 1.95%, 3.42%, n.d., n.d., 1.32% 및 0.07%이었다.
또한 기타의 당의 비율은,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9.02%이었던 것에 대해서,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 재조합 벡터, Indica-H395K 재조합 벡터, Indica-F473Y 재조합 벡터, Indica-H395R/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Indica-F473Y/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F473Y/L123C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3.52%, 2.41%, 3.28%, 8.37%, 0.32%, 2.95%, 1.68% 및 1.51%이었다.
즉,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 재조합 벡터, Indica-H395K 재조합 벡터, Indica-F473Y 재조합 벡터, Indica-H395R/L123C 재조합 벡터, Indica-H395R/F473Y 재조합 벡터, Indica-F473Y/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F473Y/L123C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과 비교하여, 케스토오스의 양이 증가함과 아울러 니스토오스의 비율 및 기타의 당의 비율 모두가 저하하여 케스토오스의 비율이 증가했다. 이것으로부터 L123C, H395R, H395K 및 F473Y중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의한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에서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의한 케스토오스 생성반응과 비교하여,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의 비율이 현저하게 저하해서 케스토오스의 비율이 향상하고, 그 결과로서 케스토오스의 양이 증가한 것이 밝혀졌다.
이들 결과로부터,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에 대하여, N말단으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395번째의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각각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중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을 억제하고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2-2]락토수크로오스 생성 활성의 확인
본 실시예3(1)[1-2]의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F473Y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 및 컨트롤로서 실시예2(2)[2-1]<2-1-2>의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하여, 하기의 조성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을 조제했다.
단, 재조합 대장균은 0.5mL의 배양물로부터 회수한 전량을 사용했다. 또한 배양물로부터의 재조합 대장균의 회수는, 4도, 15000×g로 10분간 배양물을 원심분리에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의 조성》
수크로오스/락토오스 용액(0.05M 인산 버퍼(pH6.0)에 수크로오스를 22(w/w)%, 락토오스를 18(w/w)%가 되도록 용해한 것) ; 350μL
재조합 대장균 ; 전량
이것을 55도, 220rpm으로 6시간 진탕함으로써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을 하였다. 반응후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 50μL에 초순수 450μL 및 아세트니트릴 500μL를 가하여 희석한 후, 35도로 10분간 가열했다. 계속하여 25도, 15000×g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상청을 회수해 필터 여과했다. 이것을 하기의 조건에 의해 HPLC에 제공하고, 실시예2(1)[1-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각 당의 비율 및 락토수크로오스의 양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표4중에서 n.d.는 검출한계 이하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HPLC의 조건》
칼럼 ; TSKgel Amide-80 4.6×250mm
이동상 ; 70% 아세트니트릴 수용액
유속 ; 1.0mL/분
주입량 ; 20μL
온도 ; 35도
검출 ; 시차굴절율 검출기(RID ; 쇼와전공사(Showa Denko K.K.))
Figure 112016072457411-pct00004
표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락토수크로오스의 양은,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29.4mg이었던 것에 대해서,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F473Y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54.8mg 및 45.6mg이었다. 또한 락토수크로오스의 비율은,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17.8%이었던 것에 대해서,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F473Y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33.2% 및 27.6%이었다.
즉, Indica-L123C 재조합 벡터 및 Indica-F473Y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액과 비교하여, 락토수크로오스의 양 및 락토수크로오스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했다. 이것으로부터 L123C 및 F473Y중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의한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에서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의한 락토수크로오스 생성반응과 비교하여 락토수크로오스의 비율 및 락토수크로오스의 양이 증가한 것이 밝혀졌다.
이들 결과로부터,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에 대하여, N말단으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각각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중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락토수크로오스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4>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상동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있어서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작성과 평가
(1)얼라인먼트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75%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 하기 (가)를,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와 66%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로서 하기 (나)를, 각각 추출했다. 또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로부터 시그널 배열(배열번호2의 1∼28번째에 상당)을 제외한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의 29∼534번째에 상당)과의 동일성을 괄호내에 나타낸다.
(가)75%의 동일성(시그널 배열을 제외했을 경우의 동일성 : 76%) : Burkholderia phymatum STM815(이하, 「Burk」라고 약기한다)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GenBank:ACC75109.1)
(나)66%의 동일성(시그널 배열을 제외했을 경우의 동일성 : 65%) : Gluconacetobacter diazotrophicus SRT4(이하, 「Glucono」라고 약기한다)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GenBank:AAB36606.1)
다음에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에 대해서, (가) 및 (나)에 대하여 ClustalW법(http://www.genome.jp/tools/clustalw/)에 의하여 얼라인먼트를 하였다. 그 결과,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의 N말단으부터 395번째의 히스티딘(H)은, (가)에서는 N말단으부터 393번째의 히스티딘(H), (나)에서는 N말단으부터 419번째의 히스티딘(H)에, 각각 상당하는 것이 밝혀졌다.
(2)재조합 벡터의 구축
[2-1]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의 구축
하기의 조건에 의해 PCR을 하여, Burk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키고, 얻어진 PCR산물을 Burk 야생형 DNA 단편으로 했다. Burk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의 염기배열을 배열번호37로, 그것에 코드되는 Burk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을 배열번호38로, 각각 나타낸다.
《Burk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Burk의 게놈DNA
포워드 프라이머 ; 5’-aaactaaaatctaaaagatctcagactgcaacgccaggcttccccg-3’(배열번호39)
리버스 프라이머 ; 5’-ggtttctttaccagactcgagttactggctgttgccgccctgcccgtttcc-3’(배열번호40)
PCR용 효소 ; KOD-Plus- (도요보사)
반응조건 ; 94도로 15초, 58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21사이클.
또한 Glucono의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GenBank:AAB36606.1)을 대장균의 최적화 코돈으로 코드하는 염기배열을 설계하고, 이것을 Glucono_opti 유전자로 했다. Glucono_opti 유전자의 염기배열을 배열번호41로, 그것에 코드되는 아미노산 배열을 배열번호42로,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Glucono_opti 유전자의 DNA를 인공합성하고, 이것을 주형으로 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함으로써, Glucono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증폭시키고, 얻어진 PCR산물을 Glucono 야생형 DNA 단편으로 했다.
《Glucono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인공합성한 Glucono_opti 유전자의 DNA
포워드 프라이머 ; 5’-aaactaaaatctaaaagatctcaaggcaatttttctcgccaggaag-3’(배열번호43)
리버스 프라이머 ; 5’-ggtttctttaccagactcgagttattgattcagaaattgacggacctgt-3’(배열번호44)
PCR용 효소 ; KOD-Plus- (도요보사)
반응조건 ; 94도로 15초, 58도로 20초 및 68도로 2분을 1사이클로 하여 21사이클.
다음에 하기의 조건으로 PCR을 함으로써, Pgs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pCDFDuet-1 플라스미드의 DNA를 증폭시키고, 얻어진 PCR산물을 pCDF-PgsA-DNA 단편으로 했다.
《PgsA앵커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pCDFDuet-1의 DNA 증폭용 PCR의 조건》
주형 ; 실시예2(2)[2-1]<2-1-1>의 pCDF-Indica 재조합 벡터
포워드 프라이머 ; 5’-tctggtaaagaaaccgctgctgcgaaattt-3’(배열번호45)
리버스 프라이머 ; 5’-tttagattttagtttgtcactatgatcaat-3’(배열번호46)
Burk 야생형 DNA 단편 및 pCDF-PgsA-DNA 단편, 및 Glucono 야생형 DNA 단편 및 pCDF-PgsA-DNA 단편을, In-Fusion HD Cloning Kit(다카라바이오사)를 사용해서 각각 연결함으로써 재조합 벡터를 얻고, 전자를 pCDF-Burk 재조합 벡터로 하고 후자를 pCDF-Glucono 재조합 벡터로 했다.
[2-2]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의 구축
실시예3(1)[1-1]의 방법에 의하여, Burk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의 N말단으부터 393번째의 히스티딘 잔기, 및 Glucono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N말단으부터 419번째의 히스티딘(H)을, 각각 아르기닌(R)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이하, 각각의 아미노산 변이를 「Burk-H393R」 및 「Glucono-H419R」이라고 약기한다)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1중변이체)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를 조제했다. 단, PCR의 주형 및 프라이머는 표5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했다.
얻어진 1중변이체의 재조합 벡터에 대해서, Burk-H393R 및 Glucono-H419R을 각각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를 삽입한 재조합 벡터를, 각각 Burk-H393R 재조합 벡터 및 Glucono-H419R 재조합 벡터로 했다.
Figure 112016072457411-pct00005
(3)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의 확인
본 실시예4(2)[2-1]의 pCDF-Burk 재조합 벡터 및 pCDF-Glucono 재조합 벡터, 및 본 실시예4(2)[2-2]의 Burk-H393R 재조합 벡터 및 Glucono-H419R 재조합 벡터를, 실시예3(1)[1-2]의 방법에 의해 대장균에 도입하고, 얻어진 재조합 대장균을 배양해서 2mL의 배양물로부터 회수했다. 계속하여 이들의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하여 실시예2(2)[2-2]<2-2-3>의 방법에 의해 케스토오스 생성량 및 니스토오스 생성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또 비교를 위하여, 표3에 나타내는 결과 중 pCDF-Indica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에 있어서의 결과를 표6 아래 2단에 나타낸다. 표6중에서 n.d.는 검출한계 이하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72457411-pct00006
표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스토오스의 양은, pCDF-Burk 재조합 벡터, pCDF-Glucono 재조합 벡터 및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57.6mg, 56.8mg 및 39.7mg이었던 것에 대해서, Burk-H393R 재조합 벡터, Glucono-H419R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106.4mg, 60.3mg 및 163.5mg로, 모두 증가했다.
또한 케스토오스의 비율은, pCDF-Burk 재조합 벡터, pCDF-Glucono 재조합 벡터 및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14.87%, 14.67% 및 10.25%이었던 것에 대해서, Burk-H393R 재조합 벡터, Glucono-H419R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27.49%, 15.59% 및 42.26%로, 모두 증가했다.
또한 니스토오스의 비율은, pCDF-Burk 재조합 벡터, pCDF-Glucono 재조합 벡터 및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4.53%, 5.03% 및 5.11%이었던 것에 대해서, Burk-H393R 재조합 벡터, Glucono-H419R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n.d., 0.23% 및 n.d.로, 모두 저하했다.
또한 기타의 당의 비율은, pCDF-Burk 재조합 벡터, pCDF-Glucono 재조합 벡터 및 pCDF-Indica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3.26%, 4.46% 및 9.02%이었던 것에 대해서, Burk-H393R 재조합 벡터, Glucono-H419R 재조합 벡터 및 Indica-H395R 재조합 벡터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액에서는, 각각 0.82%, 0.99% 및 2.41%로, 모두 저하했다.
즉, Burk-H393R, Glucono-H419R 또는 H395R을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의한 케스토오스 생성반응에서는, 이들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하지 않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에 의한 케스토오스 생성반응과 비교하여, 케스토오스의 양이 증가함과 아울러 니스토오스의 비율 및 기타의 당의 비율 모두가 저하하여 케스토오스의 비율이 증가한 것이 밝혀졌다.
이들 결과로부터,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얼라인먼트에서 B.Indica 유래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배열번호2)에 있어서의 N말단으부터 395번째의 위치에 상당하는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니스토오스 등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비율을 억제하고 케스토오스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수 있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110> B Food Science Co., Ltd. MicroBiopharm Japan Co., Ltd. <120> Improved beta-fructofuranosidase <130> PCT0615 <150> JP2013-273402 <151> 2013-12-27 <160> 50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605 <212> DNA <213> Beijerinckia indica <400> 1 atggcaagtc gatcgtttaa tgtttgtata cgtagcctca tcgcgggctc gcttctgact 60 gccacagcac tgtccgctca ggctcaatcg ggttacccga taccgactcc gcattcggga 120 caagcctatg atccatttgc agattttacc gccaaatgga cgcgcgccaa tgcccgtcaa 180 atcaaggcgc aatcacatgt cccggtgtca cccgatcaga attcgctgcc gctcaatctg 240 acgatgcccg atatccctgc cgatttcccg caaaccaacc cggacgtgtg ggtgtgggat 300 acgtggcctc tcgccgatgt gcatggcaat cagctgagct tccaggggtg ggaggtcatt 360 ttctcgctga ccgctgatcc gcatgccggt tatgttttcg atgatcgcca cgttcacgca 420 cgtatcggct tcttttatcg caaggccgga attcccgcga accagcgccc gattgatggc 480 ggctggatct atggcgggca tttgttcccg gatggtagca gcgtcaaagt cttcggtaac 540 gtccccatga cgcaaaacgc ggaatggtcc ggcggcgccc gcttcgtggg cggcccttat 600 gctgatggcc cgcaacacgc ctacctgaag aacaacaacg tcagcctcta ttacacggcg 660 acatcgttca accgtaatgc tcagggcggt aacatcacac cgccgatcgc catcatctcg 720 cgcgcggatg gacaaattca agcagatgat aagcatgtgt ggttcacggg attcgatcaa 780 catctcccgc tgctcgcacc cgacggcaaa tattatcaga ccggtcagca gaacgagttc 840 ttctccttcc gcgatcccta tgtcttcctt gaccccgctc atccgggcaa gaccttcatg 900 gtcttcgaag gcaataccgc cgtgcagcgc ggctcccgct cctgcaccga ggcagatctc 960 ggatattctc ccaatgaccc gaacaaagaa gacctgaatg cggtcatgga ctccggagcc 1020 atttaccaaa tggccaatgt cggtcttgcc gtggcgacga acgatgaact gacgcagtgg 1080 aagttcctgc cgccgatcct gtccggtaat tgcgtgaacg atcagaccga acgtcctcag 1140 atctatctga aggatggaaa atattacctg ttcacgatca gccaccgcac gacctatgcg 1200 gcgggcgtcg atgggccgga cggcgtctat ggcttcgtcg gtgatggcat tcgcagcgac 1260 ttcattcccc tgaatggcct cagcggtctc acgctcggca acccgaccga tctctatcag 1320 ccggccggcg ctccttacgc cttgaatcca aaccaaaatc ctcggacgtt ccagtcctat 1380 tcgcattatg tcatgccggg cggcctcgtt gaatcgttta tcgatgccat cggccctcgt 1440 cgcggtggcg cgctggctcc gacggtgaag atcaacatca acggaacttc taccatcctc 1500 gacaggacct atggcaatgc cggattgggt ggctatggcg acatcccggc caatcttccc 1560 gcgcttggcc aagttaatgg ccatggtgtc acgaacggcc agtaa 1605 <210> 2 <211> 534 <212> PRT <213> Beijerinckia indica <400> 2 Met Ala Ser Arg Ser Phe Asn Val Cys Ile Arg Ser Leu Ile Ala Gly 1 5 10 15 Ser Leu Leu Thr Ala Thr Ala Leu Ser Ala Gln Ala Gln Ser Gly Tyr 20 25 30 Pro Ile Pro Thr Pro His Ser Gly Gln Ala Tyr Asp Pro Phe Ala Asp 35 40 45 Phe Thr Ala Lys Trp Thr Arg Ala Asn Ala Arg Gln Ile Lys Ala Gln 50 55 60 Ser His Val Pro Val Ser Pro Asp Gln Asn Ser Leu Pro Leu Asn Leu 65 70 75 80 Thr Met Pro Asp Ile Pro Ala Asp Phe Pro Gln Thr Asn Pro Asp Val 85 90 95 Trp Val Trp Asp Thr Trp Pro Leu Ala Asp Val His Gly Asn Gln Leu 100 105 110 Ser Phe Gln Gly Trp Glu Val Ile Phe Ser Leu Thr Ala Asp Pro His 115 120 125 Ala Gly Tyr Val Phe Asp Asp Arg His Val His Ala Arg Ile Gly Phe 130 135 140 Phe Tyr Arg Lys Ala Gly Ile Pro Ala Asn Gln Arg Pro Ile Asp Gly 145 150 155 160 Gly Trp Ile Tyr Gly Gly His Leu Phe Pro Asp Gly Ser Ser Val Lys 165 170 175 Val Phe Gly Asn Val Pro Met Thr Gln Asn Ala Glu Trp Ser Gly Gly 180 185 190 Ala Arg Phe Val Gly Gly Pro Tyr Ala Asp Gly Pro Gln His Ala Tyr 195 200 205 Leu Lys Asn Asn Asn Val Ser Leu Tyr Tyr Thr Ala Thr Ser Phe Asn 210 215 220 Arg Asn Ala Gln Gly Gly Asn Ile Thr Pro Pro Ile Ala Ile Ile Ser 225 230 235 240 Arg Ala Asp Gly Gln Ile Gln Ala Asp Asp Lys His Val Trp Phe Thr 245 250 255 Gly Phe Asp Gln His Leu Pro Leu Leu Ala Pro Asp Gly Lys Tyr Tyr 260 265 270 Gln Thr Gly Gln Gln Asn Glu Phe Phe Ser Phe Arg Asp Pro Tyr Val 275 280 285 Phe Leu Asp Pro Ala His Pro Gly Lys Thr Phe Met Val Phe Glu Gly 290 295 300 Asn Thr Ala Val Gln Arg Gly Ser Arg Ser Cys Thr Glu Ala Asp Leu 305 310 315 320 Gly Tyr Ser Pro Asn Asp Pro Asn Lys Glu Asp Leu Asn Ala Val Met 325 330 335 Asp Ser Gly Ala Ile Tyr Gln Met Ala Asn Val Gly Leu Ala Val Ala 340 345 350 Thr Asn Asp Glu Leu Thr Gln Trp Lys Phe Leu Pro Pro Ile Leu Ser 355 360 365 Gly Asn Cys Val Asn Asp Gln Thr Glu Arg Pro Gln Ile Tyr Leu Lys 370 375 380 Asp Gly Lys Tyr Tyr Leu Phe Thr Ile Ser His Arg Thr Thr Tyr Ala 385 390 395 400 Ala Gly Val Asp Gly Pro Asp Gly Val Tyr Gly Phe Val Gly Asp Gly 405 410 415 Ile Arg Ser Asp Phe Ile Pro Leu Asn Gly Leu Ser Gly Leu Thr Leu 420 425 430 Gly Asn Pro Thr Asp Leu Tyr Gln Pro Ala Gly Ala Pro Tyr Ala Leu 435 440 445 Asn Pro Asn Gln Asn Pro Arg Thr Phe Gln Ser Tyr Ser His Tyr Val 450 455 460 Met Pro Gly Gly Leu Val Glu Ser Phe Ile Asp Ala Ile Gly Pro Arg 465 470 475 480 Arg Gly Gly Ala Leu Ala Pro Thr Val Lys Ile Asn Ile Asn Gly Thr 485 490 495 Ser Thr Ile Leu Asp Arg Thr Tyr Gly Asn Ala Gly Leu Gly Gly Tyr 500 505 510 Gly Asp Ile Pro Ala Asn Leu Pro Ala Leu Gly Gln Val Asn Gly His 515 520 525 Gly Val Thr Asn Gly Gln 530 <210> 3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 atggcaagtc gatcgtttaa tgtttgtata c 31 <210> 4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 tttaccagac tcgagttact ggccgttcgt gac 33 <210> 5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ccgcgcggca gccatggtta cccgataccg actccgcatt cgggacaagc ctatgatcc 59 <210> 6 <211> 6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6 gtggtggtgc tcgagttact ggccgttcgt gacaccatgg ccattacctt ggccaagcgc 60 gggaagat 68 <210> 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7 ctcgagcacc accaccacca ccactga 27 <210> 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8 atggctgccg cgcggcacca ggccgct 27 <210> 9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9 aaacatatga aaaaagaact gagctttcat g 31 <210> 10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0 aaaagatctt ttagatttta gtttgtcact atg 33 <210> 11 <211> 1143 <212> DNA <213> Bacillus subtilis <400> 11 atgaaaaaag aactgagctt tcatgaaaag ctgctaaagc tgacaaaaca gcaaaaaaag 60 aaaaccaata agcacgtatt tattgccatt ccgatcgttt ttgtccttat gttcgctttc 120 atgtgggcgg gaaaagcgga aacgccgaag gtcaaaacgt attctgacga cgtactctca 180 gcctcatttg taggcgatat tatgatggga cgctatgttg aaaaagtaac ggagcaaaaa 240 ggggcagaca gtatttttca atatgttgaa ccgatcttta gagcctcgga ttatgtagca 300 ggaaactttg aaaacccggt aacctatcaa aagaattata aacaagcaga taaagagatt 360 catctgcaga cgaataagga atcagtgaaa gtcttgaagg atatgaattt cacggttctc 420 aacagcgcca acaaccacgc aatggattac ggcgttcagg gcatgaaaga tacgcttgga 480 gaatttgcga agcaaaatct tgatatcgtt ggagcgggat acagcttaag tgatgcgaaa 540 aagaaaattt cgtaccagaa agtcaacggg gtaacgattg cgacgcttgg ctttaccgat 600 gtgtccggga aaggtttcgc ggctaaaaag aatacgccgg gcgtgctgcc cgcagatcct 660 gaaatcttca tccctatgat ttcagaagcg aaaaaacatg cggacattgt tgttgtgcag 720 tcacactggg gacaagagta tgacaatgat ccaaatgacc gccagcgcca gcttgcaaga 780 gccatgtctg atgcgggagc tgacatcatc gtcggccatc acccgcacgt cttagaaccg 840 attgaagtat ataacggaac cgtcattttc tacagcctcg gcaactttgt ctttgaccaa 900 ggctggacga gaacaagaga cagtgcactg gttcagtatc acctgaagaa aaatggaaca 960 ggacgctttg aagtgacacc gatcgatatc catgaagcga cacctgcgcc tgtgaaaaaa 1020 gacagcctta aacagaaaac cattattcgc gaactgacga aagactctaa tttcgcttgg 1080 aaagtagaag acggaaaact gacgtttgat attgatcata gtgacaaact aaaatctaaa 1140 taa 1143 <210> 12 <211> 380 <212> PRT <213> Bacillus subtilis <400> 12 Met Lys Lys Glu Leu Ser Phe His Glu Lys Leu Leu Lys Leu Thr Lys 1 5 10 15 Gln Gln Lys Lys Lys Thr Asn Lys His Val Phe Ile Ala Ile Pro Ile 20 25 30 Val Phe Val Leu Met Phe Ala Phe Met Trp Ala Gly Lys Ala Glu Thr 35 40 45 Pro Lys Val Lys Thr Tyr Ser Asp Asp Val Leu Ser Ala Ser Phe Val 50 55 60 Gly Asp Ile Met Met Gly Arg Tyr Val Glu Lys Val Thr Glu Gln Lys 65 70 75 80 Gly Ala Asp Ser Ile Phe Gln Tyr Val Glu Pro Ile Phe Arg Ala Ser 85 90 95 Asp Tyr Val Ala Gly Asn Phe Glu Asn Pro Val Thr Tyr Gln Lys Asn 100 105 110 Tyr Lys Gln Ala Asp Lys Glu Ile His Leu Gln Thr Asn Lys Glu Ser 115 120 125 Val Lys Val Leu Lys Asp Met Asn Phe Thr Val Leu Asn Ser Ala Asn 130 135 140 Asn His Ala Met Asp Tyr Gly Val Gln Gly Met Lys Asp Thr Leu Gly 145 150 155 160 Glu Phe Ala Lys Gln Asn Leu Asp Ile Val Gly Ala Gly Tyr Ser Leu 165 170 175 Ser Asp Ala Lys Lys Lys Ile Ser Tyr Gln Lys Val Asn Gly Val Thr 180 185 190 Ile Ala Thr Leu Gly Phe Thr Asp Val Ser Gly Lys Gly Phe Ala Ala 195 200 205 Lys Lys Asn Thr Pro Gly Val Leu Pro Ala Asp Pro Glu Ile Phe Ile 210 215 220 Pro Met Ile Ser Glu Ala Lys Lys His Ala Asp Ile Val Val Val Gln 225 230 235 240 Ser His Trp Gly Gln Glu Tyr Asp Asn Asp Pro Asn Asp Arg Gln Arg 245 250 255 Gln Leu Ala Arg Ala Met Ser Asp Ala Gly Ala Asp Ile Ile Val Gly 260 265 270 His His Pro His Val Leu Glu Pro Ile Glu Val Tyr Asn Gly Thr Val 275 280 285 Ile Phe Tyr Ser Leu Gly Asn Phe Val Phe Asp Gln Gly Trp Thr Arg 290 295 300 Thr Arg Asp Ser Ala Leu Val Gln Tyr His Leu Lys Lys Asn Gly Thr 305 310 315 320 Gly Arg Phe Glu Val Thr Pro Ile Asp Ile His Glu Ala Thr Pro Ala 325 330 335 Pro Val Lys Lys Asp Ser Leu Lys Gln Lys Thr Ile Ile Arg Glu Leu 340 345 350 Thr Lys Asp Ser Asn Phe Ala Trp Lys Val Glu Asp Gly Lys Leu Thr 355 360 365 Phe Asp Ile Asp His Ser Asp Lys Leu Lys Ser Lys 370 375 380 <210> 13 <211> 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3 aaaggatcct cgggttaccc gataccgact ccgcattcgg gaca 44 <210> 14 <211> 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4 cccctcgagt tactggccgt tcgtgacacc atggccatta ac 42 <210> 15 <211> 119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pA_opti gene <400> 15 atgaaagaaa agaaactgaa cttccaagaa aaggtcctga tgtttattaa gaaaaccaag 60 ccgacgacgg gcaagcaagc actgattctg acgccgatcc tgattgttat cctggctctg 120 tcgggctgga tggaacgtag cgatgcgctg gaaaacccgg aaaccgccaa tccggaagca 180 aacaatgatc tgaccatgac gatggtgggc gacattatga tgggtcgtca tgtgcgcgaa 240 gttaccgaac gttatggcga agattttgtc ttccgcaacg tggaaccgtt tttcaaaaat 300 agcgactatg tgtctggtaa ctacgaaacg ccgattctga ccaatgatgt tgactcctat 360 aaagcgatgg aaaagggcat ccatctgtac tcaaaaccgg ctgatctggc gaccgtgaag 420 aatgctggtt ttgacgttct gaacctggcg aacaatcaca gtatggatta ttccgctaaa 480 ggcctggaag acacgattag cacctttgaa gcaaataagc tggatttcgt gggcgctggt 540 cgtaactctg aagaagcgaa acatatcagt tacaaggatg ccgacggcat tcgcatcgca 600 acggttggtt ttaccgatgt ccactcagac ggcatgtcgg ccggtaaaaa caatccgggt 660 attctgaagg cagatccgga cctgattttc tcgaccatcc agcaagcaaa agctaatgcg 720 gatctggtgg ttgtcaacgc ccattggggc gaagaatatg acgcacagcc gagtccgcgc 780 caagaaggtc tggccaaagc aatggtcgat gctggcgcgg acattatcat tggtcatcac 840 ccgcacgtgc tgcagagcta tgatgtgtac aaaggtagcg ttatctttta ttctctgggc 900 aacttcatct tcgatcaggg ttggagctct acgaagaata ccgccatggt gcaataccat 960 ctgaacaaac agggccaagc taagattgat gttatcccga tggtcattaa agcgggtacc 1020 ccgacgccga ccgataatcc gtggcgtatg aaacgcatct ataacgacct gaataagttt 1080 agttccaacc cggaactgct ggaaaaagaa cgtaacaagt tcgaactgaa tctggatcat 1140 tcccgtatca ttaaacacgc ggaagaacgc aaaaagaacg aagcccaggc aaattaa 1197 <210> 16 <211> 40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pA_opti gene amino acid sequence <400> 16 Met Lys Glu Lys Lys Leu Asn Phe Gln Glu Lys Val Leu Met Phe Ile 1 5 10 15 Lys Lys Thr Lys Pro Thr Thr Gly Lys Gln Ala Leu Ile Leu Thr Pro 20 25 30 Ile Leu Ile Val Ile Leu Ala Leu Ser Gly Trp Met Glu Arg Ser Asp 35 40 45 Ala Leu Glu Asn Pro Glu Thr Ala Asn Pro Glu Ala Asn Asn Asp Leu 50 55 60 Thr Met Thr Met Val Gly Asp Ile Met Met Gly Arg His Val Arg Glu 65 70 75 80 Val Thr Glu Arg Tyr Gly Glu Asp Phe Val Phe Arg Asn Val Glu Pro 85 90 95 Phe Phe Lys Asn Ser Asp Tyr Val Ser Gly Asn Tyr Glu Thr Pro Ile 100 105 110 Leu Thr Asn Asp Val Asp Ser Tyr Lys Ala Met Glu Lys Gly Ile His 115 120 125 Leu Tyr Ser Lys Pro Ala Asp Leu Ala Thr Val Lys Asn Ala Gly Phe 130 135 140 Asp Val Leu Asn Leu Ala Asn Asn His Ser Met Asp Tyr Ser Ala Lys 145 150 155 160 Gly Leu Glu Asp Thr Ile Ser Thr Phe Glu Ala Asn Lys Leu Asp Phe 165 170 175 Val Gly Ala Gly Arg Asn Ser Glu Glu Ala Lys His Ile Ser Tyr Lys 180 185 190 Asp Ala Asp Gly Ile Arg Ile Ala Thr Val Gly Phe Thr Asp Val His 195 200 205 Ser Asp Gly Met Ser Ala Gly Lys Asn Asn Pro Gly Ile Leu Lys Ala 210 215 220 Asp Pro Asp Leu Ile Phe Ser Thr Ile Gln Gln Ala Lys Ala Asn Ala 225 230 235 240 Asp Leu Val Val Val Asn Ala His Trp Gly Glu Glu Tyr Asp Ala Gln 245 250 255 Pro Ser Pro Arg Gln Glu Gly Leu Ala Lys Ala Met Val Asp Ala Gly 260 265 270 Ala Asp Ile Ile Ile Gly His His Pro His Val Leu Gln Ser Tyr Asp 275 280 285 Val Tyr Lys Gly Ser Val Ile Phe Tyr Ser Leu Gly Asn Phe Ile Phe 290 295 300 Asp Gln Gly Trp Ser Ser Thr Lys Asn Thr Ala Met Val Gln Tyr His 305 310 315 320 Leu Asn Lys Gln Gly Gln Ala Lys Ile Asp Val Ile Pro Met Val Ile 325 330 335 Lys Ala Gly Thr Pro Thr Pro Thr Asp Asn Pro Trp Arg Met Lys Arg 340 345 350 Ile Tyr Asn Asp Leu Asn Lys Phe Ser Ser Asn Pro Glu Leu Leu Glu 355 360 365 Lys Glu Arg Asn Lys Phe Glu Leu Asn Leu Asp His Ser Arg Ile Ile 370 375 380 Lys His Ala Glu Glu Arg Lys Lys Asn Glu Ala Gln Ala Asn Arg Ser 385 390 395 400 <210> 17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7 taagaaggag atatacatat gaaagaaaag aaactgaact tccaag 46 <210> 18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8 cgggtaaccc gattgagatc tatttgcctg ggcttcgttc tttttg 46 <210> 1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9 agatctcaat cgggttaccc gataccgac 29 <210> 20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0 catatgtata tctccttctt atacttaac 29 <210> 21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1 tgtaccgctg atccgcatgc cggttatgt 29 <210> 2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2 cgagaaaatg acctcccacc cctggaagct 30 <210> 2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3 cgtcgcacga cctatgcggc gggcgtcgat 30 <210> 2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4 gctgatcgtg aacaggtaat attttccatc 30 <210> 2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5 aaacgcacga cctatgcggc gggcgtcgat 30 <210> 2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6 gctgatcgtg aacaggtaat attttccatc 30 <210> 2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7 tatatcgatg ccatcggccc tcgtcgcggt 30 <210> 2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8 cgattcaacg aggccgcccg gcatgacata 30 <210> 2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9 tgtaccgctg atccgcatgc cggttatgt 29 <210> 30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0 cgagaaaatg acctcccacc cctggaagct 30 <210> 3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1 tatatcgatg ccatcggccc tcgtcgcggt 30 <210> 3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2 cgattcaacg aggccgcccg gcatgacata 30 <210> 3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3 tgtaccgctg atccgcatgc cggttatgt 29 <210> 3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4 cgagaaaatg acctcccacc cctggaagct 30 <210> 35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5 tgtaccgctg atccgcatgc cggttatgt 29 <210> 3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6 cgagaaaatg acctcccacc cctggaagct 30 <210> 37 <211> 1596 <212> DNA <213> Burkholderia phymatum STM815 <400> 37 atgaacgttg gccaccaccc gcgggtcccc cggatcaccc cccggctgcg cgcgcacttc 60 ctgtcggcag cggtgctgtc ggctgttgcc ctaccggcgc tggctcagac tgcaacgcca 120 ggcttccccg cgccgacgcc gcactcgcag caggcatacg accccgagag cagtttcacg 180 atgcgctgga cccgtgccga catccgtcag atcaaggcgc agtcgcatgc cgcgacggcg 240 gcggacaaga actcgctgcc gctttcgctg accatgccgg acatcccgca ggatttcccg 300 ctgatcaatc cgaacgtctg ggtgtgggac acgtggccgc tggccgacat gcgggcgaac 360 cagctggcgt acaagggctg ggaggtgatc ttttcgctga cggccgatcc gcatgccggc 420 tatacgttcg acgaccgtca cgttcacgcg cgcatcggct tcttctaccg ccgcgcgggc 480 attcccgcat cgcagcgacc cgcgaacggc ggctggacct ggggcggcca tctgttcccg 540 gacggtgcga gcgtcaaggt attcggcacg tcgccgatga ccgacaacgc cgaatggtcg 600 ggctcggcgc gtctcacgca cggcgacaac gtcagcctct actacaccgc gacgtcgttc 660 aaccgttcgg cccccggcgg cgccgacatt acgccgccgc aggcgatcat cacgcgcgcc 720 gacggtcaca tccacgccga cgacagtcat gtgtggttct caggcttcga cgatcaccag 780 gcattgctca agccggacgg cacctactac cagaccggcg agcagaacac ctacttctca 840 taccgggatc cgttcgtgtt catcgatccc gcgcatccag gcaagaccta catggtgttc 900 gaaggcaaca cgggcggtcc gcgcggcgcg cgcacctgta cggaagccga cctcggctat 960 gcgccgaacg atccgcaacg ggaagacctg aacgcggtga tgaactcggg cgcggcgtat 1020 cagaaggcca atgttggtct cgcggtcgcg acgaatccgc aactgaccga atggaagttc 1080 ctgccaccga tcctgtcggc gaactgcgtc gatgatcaga ccgagcgccc gcagatttac 1140 ctgaaggacg gcaagtacta cctgttcacg atcagccacc gcacaacgat ggcagcaggc 1200 gttgacggac cggacggtgt ctacggcttc gtcggcaacg gcatccgcag cgacttcttg 1260 ccgctgaacg gcggcagcgg cctcgtactc ggcaacccga ccgacttttc cgccccggcg 1320 ggtgcgccgt acgcgcagga cccgaaccag aacccgcgcg agttccagtc gtactcgcac 1380 tacgtgatgc cgggtggtct cgtcgagtcg tttatcgatg caatcggctc gcggcgcggc 1440 ggcacgcttg cgccgaccgt caagatcaac atcaacggtg acacgacggt cgtggaccgg 1500 acgtatggca agggcggtct cggcggctac ggcgacattc ccgcaaacca gtcggcgccc 1560 ggcaatggaa acgggcaggg cggcaacagc cagtaa 1596 <210> 38 <211> 531 <212> PRT <213> Burkholderia phymatum STM815 <400> 38 Met Asn Val Gly His His Pro Arg Val Pro Arg Ile Thr Pro Arg Leu 1 5 10 15 Arg Ala His Phe Leu Ser Ala Ala Val Leu Ser Ala Val Ala Leu Pro 20 25 30 Ala Leu Ala Gln Thr Ala Thr Pro Gly Phe Pro Ala Pro Thr Pro His 35 40 45 Ser Gln Gln Ala Tyr Asp Pro Glu Ser Ser Phe Thr Met Arg Trp Thr 50 55 60 Arg Ala Asp Ile Arg Gln Ile Lys Ala Gln Ser His Ala Ala Thr Ala 65 70 75 80 Ala Asp Lys Asn Ser Leu Pro Leu Ser Leu Thr Met Pro Asp Ile Pro 85 90 95 Gln Asp Phe Pro Leu Ile Asn Pro Asn Val Trp Val Trp Asp Thr Trp 100 105 110 Pro Leu Ala Asp Met Arg Ala Asn Gln Leu Ala Tyr Lys Gly Trp Glu 115 120 125 Val Ile Phe Ser Leu Thr Ala Asp Pro His Ala Gly Tyr Thr Phe Asp 130 135 140 Asp Arg His Val His Ala Arg Ile Gly Phe Phe Tyr Arg Arg Ala Gly 145 150 155 160 Ile Pro Ala Ser Gln Arg Pro Ala Asn Gly Gly Trp Thr Trp Gly Gly 165 170 175 His Leu Phe Pro Asp Gly Ala Ser Val Lys Val Phe Gly Thr Ser Pro 180 185 190 Met Thr Asp Asn Ala Glu Trp Ser Gly Ser Ala Arg Leu Thr His Gly 195 200 205 Asp Asn Val Ser Leu Tyr Tyr Thr Ala Thr Ser Phe Asn Arg Ser Ala 210 215 220 Pro Gly Gly Ala Asp Ile Thr Pro Pro Gln Ala Ile Ile Thr Arg Ala 225 230 235 240 Asp Gly His Ile His Ala Asp Asp Ser His Val Trp Phe Ser Gly Phe 245 250 255 Asp Asp His Gln Ala Leu Leu Lys Pro Asp Gly Thr Tyr Tyr Gln Thr 260 265 270 Gly Glu Gln Asn Thr Tyr Phe Ser Tyr Arg Asp Pro Phe Val Phe Ile 275 280 285 Asp Pro Ala His Pro Gly Lys Thr Tyr Met Val Phe Glu Gly Asn Thr 290 295 300 Gly Gly Pro Arg Gly Ala Arg Thr Cys Thr Glu Ala Asp Leu Gly Tyr 305 310 315 320 Ala Pro Asn Asp Pro Gln Arg Glu Asp Leu Asn Ala Val Met Asn Ser 325 330 335 Gly Ala Ala Tyr Gln Lys Ala Asn Val Gly Leu Ala Val Ala Thr Asn 340 345 350 Pro Gln Leu Thr Glu Trp Lys Phe Leu Pro Pro Ile Leu Ser Ala Asn 355 360 365 Cys Val Asp Asp Gln Thr Glu Arg Pro Gln Ile Tyr Leu Lys Asp Gly 370 375 380 Lys Tyr Tyr Leu Phe Thr Ile Ser His Arg Thr Thr Met Ala Ala Gly 385 390 395 400 Val Asp Gly Pro Asp Gly Val Tyr Gly Phe Val Gly Asn Gly Ile Arg 405 410 415 Ser Asp Phe Leu Pro Leu Asn Gly Gly Ser Gly Leu Val Leu Gly Asn 420 425 430 Pro Thr Asp Phe Ser Ala Pro Ala Gly Ala Pro Tyr Ala Gln Asp Pro 435 440 445 Asn Gln Asn Pro Arg Glu Phe Gln Ser Tyr Ser His Tyr Val Met Pro 450 455 460 Gly Gly Leu Val Glu Ser Phe Ile Asp Ala Ile Gly Ser Arg Arg Gly 465 470 475 480 Gly Thr Leu Ala Pro Thr Val Lys Ile Asn Ile Asn Gly Asp Thr Thr 485 490 495 Val Val Asp Arg Thr Tyr Gly Lys Gly Gly Leu Gly Gly Tyr Gly Asp 500 505 510 Ile Pro Ala Asn Gln Ser Ala Pro Gly Asn Gly Asn Gly Gln Gly Gly 515 520 525 Asn Ser Gln 530 <210> 39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9 aaactaaaat ctaaaagatc tcagactgca acgccaggct tccccg 46 <210> 40 <211> 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0 ggtttcttta ccagactcga gttactggct gttgccgccc tgcccgtttc c 51 <210> 41 <211> 17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ono_opti gene <400> 41 atggctcacg tccgtcgtaa agtcgcaacg ctgaacatgg ctctggcggg tagtctgctg 60 atggtcctgg gtgcccaatc tgctctggcc caaggcaatt tttctcgcca ggaagcggca 120 cgtatggcac atcgtccggg tgttatgccg cgtggcggtc cgctgtttcc gggtcgcagc 180 ctggccggtg tgccgggttt cccgctgccg tctattcata cccagcaagc atatgatccg 240 cagagtgact ttaccgctcg ttggacccgt gccgatgcac tgcagatcaa agcgcactca 300 gacgccaccg ttgcagctgg ccaaaactcg ctgccggcgc agctgacgat gccgaatatt 360 ccggccgatt tcccggtcat caacccggat gtttgggttt gggacacctg gacgctgatt 420 gataagcacg cggaccagtt tagctataat ggttgggaag tgatcttctg cctgaccgca 480 gatccgaacg ctggctatgg ttttgatgac cgtcatgttc acgcccgcat tggctttttc 540 taccgtcgcg ccggtattcc ggcaagccgt cgcccggtca atggcggttg gacgtatggc 600 ggtcacctgt ttccggatgg cgcaagcgcg caggtgtatg caggtcaaac ctacacgaat 660 caggctgaat ggtccggcag ctctcgtctg atgcagattc acggtaacac cgtctcagtg 720 ttttacacgg atgtggcgtt caaccgcgac gcgaatgcca acaatattac cccgccgcaa 780 gcaattatca cccagacgct gggccgtatc catgctgatt ttaaccacgt ttggtttacc 840 ggtttcacgg cacatacccc gctgctgcag ccggatggcg tcctgtatca gaacggtgcg 900 caaaatgaat ttttcaactt tcgtgatccg tttaccttcg aagacccgaa acacccgggc 960 gtgaattaca tggttttcga gggtaacacc gccggccagc gtggtgtggc aaattgcacg 1020 gaagctgatc tgggctttcg cccgaacgac ccgaatgcag aaaccctgca agaagttctg 1080 gatagcggcg cgtattacca gaaagccaac attggtctgg caatcgctac ggactcaacc 1140 ctgtcgaaat ggaagtttct gagcccgctg atttctgcga actgcgtgaa tgatcaaacc 1200 gaacgtccgc aggtttacct gcataacggc aagtactaca tcttcacgat cagccatcgc 1260 accacctttg cggcgggtgt ggatggtccg gatggcgtct atggttttgt gggcgatggt 1320 atccgcagtg acttccagcc gatgaactac ggctccggtc tgaccatggg caatccgacg 1380 gatctgaaca ccgcagctgg tacggatttt gacccgtctc cggaccaaaa tccgcgtgcc 1440 ttccagagtt attcccatta cgttatgccg ggcggtctgg tcgaaagttt tattgatacc 1500 gttgaaaatc gtcgcggcgg taccctggcc ccgacggttc gtgtccgcat cgcccagaat 1560 gcgtccgccg tggatctgcg ttatggcaac ggcggtctgg gcggttacgg tgatattccg 1620 gcaaatcgcg ctgatgtgaa cattgcgggt tttatccaag acctgtttgg ccagccgacc 1680 agtggtctgg ccgctcaagc aagcacgaat aacgctcaag ttctggcaca ggtccgtcaa 1740 tttctgaatc aataa 1755 <210> 42 <211> 58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ono_opti gene amino acid sequence <400> 42 Met Ala His Val Arg Arg Lys Val Ala Thr Leu Asn Met Ala Leu Ala 1 5 10 15 Gly Ser Leu Leu Met Val Leu Gly Ala Gln Ser Ala Leu Ala Gln Gly 20 25 30 Asn Phe Ser Arg Gln Glu Ala Ala Arg Met Ala His Arg Pro Gly Val 35 40 45 Met Pro Arg Gly Gly Pro Leu Phe Pro Gly Arg Ser Leu Ala Gly Val 50 55 60 Pro Gly Phe Pro Leu Pro Ser Ile His Thr Gln Gln Ala Tyr Asp Pro 65 70 75 80 Gln Ser Asp Phe Thr Ala Arg Trp Thr Arg Ala Asp Ala Leu Gln Ile 85 90 95 Lys Ala His Ser Asp Ala Thr Val Ala Ala Gly Gln Asn Ser Leu Pro 100 105 110 Ala Gln Leu Thr Met Pro Asn Ile Pro Ala Asp Phe Pro Val Ile Asn 115 120 125 Pro Asp Val Trp Val Trp Asp Thr Trp Thr Leu Ile Asp Lys His Ala 130 135 140 Asp Gln Phe Ser Tyr Asn Gly Trp Glu Val Ile Phe Cys Leu Thr Ala 145 150 155 160 Asp Pro Asn Ala Gly Tyr Gly Phe Asp Asp Arg His Val His Ala Arg 165 170 175 Ile Gly Phe Phe Tyr Arg Arg Ala Gly Ile Pro Ala Ser Arg Arg Pro 180 185 190 Val Asn Gly Gly Trp Thr Tyr Gly Gly His Leu Phe Pro Asp Gly Ala 195 200 205 Ser Ala Gln Val Tyr Ala Gly Gln Thr Tyr Thr Asn Gln Ala Glu Trp 210 215 220 Ser Gly Ser Ser Arg Leu Met Gln Ile His Gly Asn Thr Val Ser Val 225 230 235 240 Phe Tyr Thr Asp Val Ala Phe Asn Arg Asp Ala Asn Ala Asn Asn Ile 245 250 255 Thr Pro Pro Gln Ala Ile Ile Thr Gln Thr Leu Gly Arg Ile His Ala 260 265 270 Asp Phe Asn His Val Trp Phe Thr Gly Phe Thr Ala His Thr Pro Leu 275 280 285 Leu Gln Pro Asp Gly Val Leu Tyr Gln Asn Gly Ala Gln Asn Glu Phe 290 295 300 Phe Asn Phe Arg Asp Pro Phe Thr Phe Glu Asp Pro Lys His Pro Gly 305 310 315 320 Val Asn Tyr Met Val Phe Glu Gly Asn Thr Ala Gly Gln Arg Gly Val 325 330 335 Ala Asn Cys Thr Glu Ala Asp Leu Gly Phe Arg Pro Asn Asp Pro Asn 340 345 350 Ala Glu Thr Leu Gln Glu Val Leu Asp Ser Gly Ala Tyr Tyr Gln Lys 355 360 365 Ala Asn Ile Gly Leu Ala Ile Ala Thr Asp Ser Thr Leu Ser Lys Trp 370 375 380 Lys Phe Leu Ser Pro Leu Ile Ser Ala Asn Cys Val Asn Asp Gln Thr 385 390 395 400 Glu Arg Pro Gln Val Tyr Leu His Asn Gly Lys Tyr Tyr Ile Phe Thr 405 410 415 Ile Ser His Arg Thr Thr Phe Ala Ala Gly Val Asp Gly Pro Asp Gly 420 425 430 Val Tyr Gly Phe Val Gly Asp Gly Ile Arg Ser Asp Phe Gln Pro Met 435 440 445 Asn Tyr Gly Ser Gly Leu Thr Met Gly Asn Pro Thr Asp Leu Asn Thr 450 455 460 Ala Ala Gly Thr Asp Phe Asp Pro Ser Pro Asp Gln Asn Pro Arg Ala 465 470 475 480 Phe Gln Ser Tyr Ser His Tyr Val Met Pro Gly Gly Leu Val Glu Ser 485 490 495 Phe Ile Asp Thr Val Glu Asn Arg Arg Gly Gly Thr Leu Ala Pro Thr 500 505 510 Val Arg Val Arg Ile Ala Gln Asn Ala Ser Ala Val Asp Leu Arg Tyr 515 520 525 Gly Asn Gly Gly Leu Gly Gly Tyr Gly Asp Ile Pro Ala Asn Arg Ala 530 535 540 Asp Val Asn Ile Ala Gly Phe Ile Gln Asp Leu Phe Gly Gln Pro Thr 545 550 555 560 Ser Gly Leu Ala Ala Gln Ala Ser Thr Asn Asn Ala Gln Val Leu Ala 565 570 575 Gln Val Arg Gln Phe Leu Asn Gln 580 <210> 43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43 aaactaaaat ctaaaagatc tcaaggcaat ttttctcgcc aggaag 46 <210> 44 <211> 4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4 ggtttcttta ccagactcga gttattgatt cagaaattga cggacctgt 49 <210> 4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45 tctggtaaag aaaccgctgc tgcgaaattt 30 <210> 4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6 tttagatttt agtttgtcac tatgatcaat 30 <210> 4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47 cgtcgcacaa cgatggcagc aggcgttgac 30 <210> 4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8 gctgatcgtg aacaggtagt acttgccgtc 30 <210> 4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49 cgtcgcacca cctttgcggc gggtgtgga 29 <210> 50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50 gctgatcgtg aagatgtagt acttgccgtt 30

Claims (9)

  1.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과 60% 이상의 동일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얼라인먼트에서 상기 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의 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위치에 상당하는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2. 하기 (a) 또는 (b)의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a)배열번호2로 나타내는 야생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에 대하여, 이하의 i)∼iii)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아미노산 배열;
    i)N말단으로부터 123번째의 류신(L)을 시스테인(C)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N말단으로부터 395번째의 히스티딘(H)을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iii)N말단으로부터 473번째의 페닐알라닌(F)을 티로신(Y)으로 치환하는 아미노산 변이,
    (b)아미노산 배열(a)에 있어서, 상기 i)~iii)의 아미노산 변이가 도입된 아미노산을 제외한 1개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삽입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활성을 구비하는 아미노산 배열.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코드하는 DNA.
  5. 제4항의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6. 제4항의 DNA 또는 제4항의 DN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숙주에 도입해서 얻어지는 형질전환체.
  7. 제6항에 있어서,
    숙주가 대장균인 형질전환체.
  8. 제6항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로부터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취득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의 제조방법.
  9. 하기 A~C 중의 어느 하나와 수크로오스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케스토오스의 제조방법.
    A. 제1항 또는 제2항의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B. 제6항의 형질전환체, 혹은 제6항에 있어서의 숙주가 대장균인 형질전환체
    C. 상기 B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해서 얻어지는 배양물
KR1020167020404A 2013-12-27 2014-12-26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KR102245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3402 2013-12-27
JPJP-P-2013-273402 2013-12-27
PCT/JP2014/084680 WO2015099166A1 (ja) 2013-12-27 2014-12-26 改良型β-フルクトフラノシダー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375A KR20160108375A (ko) 2016-09-19
KR102245498B1 true KR102245498B1 (ko) 2021-04-27

Family

ID=5347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404A KR102245498B1 (ko) 2013-12-27 2014-12-26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63691B2 (ko)
EP (1) EP3088520B1 (ko)
JP (2) JP6068671B2 (ko)
KR (1) KR102245498B1 (ko)
CN (1) CN105899661B (ko)
AU (1) AU2014370874A1 (ko)
BR (1) BR112016015035A2 (ko)
WO (1) WO2015099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47535A1 (en) * 2016-12-20 2018-06-28 B Food Science Co., Ltd. Sugar solution and liquid sweetener and bee feed using same
JPWO2018117198A1 (ja) * 2017-04-14 2020-01-23 物産フードサイエンス株式会社 糖液ならびにこれを用いる液体甘味料およびハナバチ用飼料
CN108588058B (zh) * 2018-04-28 2020-04-21 南京工业大学 β-呋喃果糖苷酶突变体及其应用
CU20210020A7 (es) * 2021-03-30 2022-11-07 Ct Ingenieria Genetica Biotecnologia Levanasacarasa modificada para la producción optimizada de fructooligosacáridos
WO2023058637A1 (ja) * 2021-10-04 2023-04-13 京都府公立大学法人 改良型β-フルクトフラノシダー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336A (ja) 1985-07-03 1987-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イスク装置
EP0889134A4 (en) * 1996-03-11 2001-02-21 Meiji Seika Kaisha beta-FRUKTOFURANOSIDASE AND ITS GENES, METHOD FOR ISOLATING Beta-FRUKTOFURANOSIDASE GENES, SYSTEM FOR PRODUCING Beta-FRUKTOFURANOSIDASE AND VARIANTS OF Beta-FRUKTOFURANOSIDASE
JPWO2005085447A1 (ja) * 2004-03-04 2008-01-24 明治製菓株式会社 β−フルクトフラノシダーゼ変異体
KR20060060389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마크로젠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zm4의 게놈 서열 및 에탄올생산에 관여하는 신규 유전자
JP4162147B2 (ja) 2005-04-21 2008-10-08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アレルギー抑制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15035A2 (pt) 2018-01-23
JPWO2015099166A1 (ja) 2017-03-23
CN105899661A (zh) 2016-08-24
EP3088520A4 (en) 2017-07-26
US20160319263A1 (en) 2016-11-03
CN105899661B (zh) 2020-02-21
US9963691B2 (en) 2018-05-08
EP3088520B1 (en) 2020-02-05
JP2017038618A (ja) 2017-02-23
KR20160108375A (ko) 2016-09-19
AU2014370874A1 (en) 2016-07-14
WO2015099166A1 (ja) 2015-07-02
EP3088520A1 (en) 2016-11-02
JP6068671B2 (ja)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498B1 (ko) 개량형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
CN108026518B (zh) 新型endos突变型酶
EP1981914B1 (en) Construction of new variants of dextransucrase dsr-s by genetic engineering
CN107922958A (zh) 用于产生线性聚α‑1,3‑葡聚糖的葡糖基转移酶氨基酸序列基序
JP2016528925A (ja) D−プシコース 3−エピメラーゼの改良された変異体およびその使用
CN114606213B (zh) 一种多聚磷酸激酶突变体、工程菌及其应用
TW201823456A (zh) D-阿洛酮糖表異構酶、使用其製備d-阿洛酮糖的方法、編碼其的聚何苷酸、重組載體、微生物以及組成物
JP6657177B2 (ja) 改良型β−フルクトフラノシダーゼ
JP5751661B2 (ja) デキストラングルカナーゼ
CN113151212A (zh) 一种右旋糖酐蔗糖酶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023392B2 (ja) 改良型β−フルクトフラノシダーゼ
JP2023506154A (ja) アルロースエピマー化酵素変異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ア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7251838B2 (ja) 3’,3’-cGAMPの実践的酵素合成法
JP6047143B2 (ja) cyclicdi−GMPの実践的酵素合成法
US10745675B2 (en) Modified enzymes for producing increased isomelezitose
CN112831532B (zh) 一种酶促合成d-亮氨酸的方法
CN105154457B (zh) 一种来源于丁香假单胞菌的山梨醇脱氢酶基因及其应用
CN114317509A (zh) 一种纤维二糖差向异构酶突变体及其应用
KR101998477B1 (ko) 클로스트리디움 스터코라리움 유래 엘-람노스 이성화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알룰로스로부터 알로스의 생산 방법
JP2003093091A5 (ko)
WO2023058637A1 (ja) 改良型β-フルクトフラノシダーゼ
KR101574952B1 (ko) α-2,3 및 α-2,6 시알산 전이효소의 변이체 탐색 방법 및 시알릴올리고당 생산에의 응용
KR102141174B1 (ko) 아밀로수크라제의 발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투라노스의 생산
JP4340107B2 (ja) 基質特異性改変キメラ酵素
KR20210052317A (ko) 프럭토오스 6-포스페이트 4-에피머화 효소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